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도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간의 관련성 연구

        정혜숙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강원도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간의 관련성 연구 정 혜 숙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영양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내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사의 일반적인 특성, 근무현황, 영양교육 실태 현황,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간의 현황과 상관성을 살펴보고, 그 중 직무만족도가 교사로서의 교사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진행을 위해 연구 방법으로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난 이후, 강원도내 급식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 262명 전원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5일부터 2018년 1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136부 중 부실 기재된 10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2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Statistics 23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ANOVA분석을 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분석을, 변수들과 요인들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0.05일 때 인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영양교사의 일반적인 특성, 근무현황, 영양교육의 실태 현황,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교육중요도와 교육수행도,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는 연령이 46세 이상이 60.3%이었고, 기혼자가 89.7%였다. 근무경력은 21년 이상이 65%로 고 경력자로 연봉이 6천만원 이상이 47.6%로 높게 조사되었다. 근무지역은 군 지역이 54%로 다소 높았으며, 현재 92.1%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었다. 학교급식 운영 형태로는 단독조리가 58.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영양교육 실태는 학년별 체계화된 교재 및 기자재가 부족, 업무과다로 인해 영양교육 수업에 대해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영양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교구성원의 인식은 긍정적인 응답이 높았고, 특히 학생이 84.92%의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업무중요도는 영양・식생활(간접)교육 4.39, 영양・식생활(직접)교육 4.34, 영양상담 4.33 순이며, 업무수행도는 영양・식생활(간접)교육 4.31, 영양상담 3.72, 영양・식생활(직접)교육 3.63 순으로 조사되었다. 간접 영양교육은 가정통신문 등 유인물을 이용한다가 93.7%였고, 학기별 5~6회 정도 실시하였으며, 직접 영양교육은 강의식 형태의 대면교육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시간에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영양교육 내용별로 살펴보면, 식사예절, 바른 식생활교육, 올바른 식품 선택, 환경문제 관련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 부분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수행도도 높았다. 직무만족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직무요인 평균값이 4.14로 가장 높았고, 인간관계 요인 3.88, 행정체계 요인 3.78, 자긍심 요인 3.43, 영양교육 요인 3.24, 업무외잡무 요인 2.62, 업무량 및 평가요인은 역코딩을 하였으며 1.61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요인 분석 결과 3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요인별로는 대인관계 요인이 3.62로 가장 높았고, 영양수업 진행 요인이 3.53, 영양수업내용 요인 3.35 순으로 교사효능감이 나타났다. 2. 영양교사의 일반적인 특성, 근무현황, 영양교육의 실태 현황별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교육중요도 및 교육수행도,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령은 업무중요도의 영양・식생활 직접교육과 영양상담 업무에서 연령이 적을수록, 수입은 영양상담 업무에서 수입이 적을수록 평균값이 높았다. 업무수행도는 영양・식생활 직접교육 업무에서 5~6천만원 미만에서 평균값이 높았다. 그 외 근무시간, 근무지역, 담당 학교수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교육중요도와 교육수행도는 몇 개의 변수에서 유의성이 보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현황과 큰 관련성이 없었다. 직무만족도는 요인분석 결과 7개 요인으로 축소되었고, 요인들 중 인간관계 요인, 자긍심 요인, 행정체계 요인은 연령이 많을수록, 수입이 많을수록,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만족도가 높았고, 직무 요인은 연령이 많을수록,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업무량 및 평가는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그 외 항목들은 유의성이 없었다. 교사효능감은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으로 축소되었고, 요인들 중 연령이 높을수록, 수입이 많을수록 대인관계 효능감이 높았다. 그 외 항목은 유의성이 없었다. 3. 영양교사의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교육중요도 및 교육수행도, 직무만족도, 그리고 교사효능감 사이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다. 업무중요도는 대부분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으나, 업무수행도의 영양상담, 영양・식생활 간접 및 직접교육 항목 모두 상관성이 있었다. 업무중요도는 교사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없으나, 업무수행도의 영양상담, 영양・식생활 간접 및 직접교육 항목 모두 상관성이 있었다. 교육중요도와 교육수행도의 전 항목과 직무만족도의 인간관계 요인, 영양교육 요인, 직무요인, 자긍심 요인, 행정체계 요인과 상관성이 있었다. 교육중요도의 환경문제, 전통 식생활 문화, 조리방법, 운동과 영양은 교사효능감 3개 요인 모두와 상관성을 보였다. 직무만족도의 인간관계 요인, 영양교육 요인, 직무 요인, 자긍심 요인, 행정체계 요인은 교사효능감 간에는 상관성을 보였다. 4.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대인관계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의 인간관계 요인, 행정체계 요인의 영향을 받았다. 대인관계 교사효능감은 인간관계가 좋을수록 0.444배 증가하고, 행정체계 지원이 좋을수록 0.270배 증가하는 영향을 보였다. 2) 수업진행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의 직무요인, 업무외 잡무요인, 업무량 평가요인, 인간관계요인의 영향을 받았다. 수업진행 교사효능감은 영양교사의 직무를 잘 할수록 0.439배 증가하고, 인간관계가 좋을수록 0.230배 증가하는 영향을 보이고, 업무외 잡무가 많을수록 0.109배 감소하고, 업무량과 평가가 증가될수록 0.218배 감소하는 영향을 보였다. 3) 수업내용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의 직무 요인, 자긍심 요인의 영향을 받았다. 수업내용 교사효능감은 영양교사의 직무를 잘 할수록 0.296배 증가하고, 자긍심이 높을수록 0.166배 증가하는 영향을 보였다. 4) 전체적인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의 직무 요인, 인간관계 요인의 영향을 받았다. 전체적인 교사효능감은 영양교사의 직무를 잘 할수록 0.376배 증가하고, 인간관계가 좋을수록 0.253배 증가하는 영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교사로서의 자존감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영양교사는 영양교육의 중요성과 교육수행 확대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영양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영양교육 요인보다는 급식과 관련된 직무요인, 인간관계 요인, 자긍심 요인, 행정체계 요인에 영향을 받고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 개발과 급식업무 부담완화에 대한 대책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 영양교사, 영양교육,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 군 태권도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신성민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군 체육 향상 프로그램의 일환인 군 태권도 교육의 현황과 그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군 태권도 교육의 총체적 발전에 기여 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2009년 현재 육군의 00사관학교, 제00사령부 및 예하 사단, 제00군단, 제00여단에서 실시되고 있는 태권도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제도 및 조직 편성에 있어서는 국방부 및 국군체육부대의 태권도 담당자의 조직 보강과 임무 및 기능을 강화시켜 태권도를 교육시킬 교관을 체계적으로 교육 시켜야 하며 장교·부사관의 상위계급 진급에 대한 보수 교육 시, 체육지도 및 태권도 지도능력을 배양 시켜야 되겠다. 둘째, 기타 장교 양성 기관인 육군3사관학교와 학생중앙군사학교, 부사관학교에서 소위 및 하사 임관 전 태권도 승단이 가능한 교육 시간편성이 되어야 하겠다. 셋째, 지휘관의 관심에 있어서는 일선 지휘관의 태권도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병영생활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부대원에게 활력과 사기를 진작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겠다. 넷째, 부대 교육면에서는, 승단 위주 교육훈련을 탈피하고 연간 훈련통제 계획을 을 수립하여 지속적이고 연계성 있는 훈련시간 편성과, 교육 방법을 개선 부대별 실정에 맞춰 지도자 교육 및 전문 인력 양성과 군 태권도 발전을 위해 실기 및 이론 교육을 강화하여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 자신감, 단결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 면에서는 교육 보조재료(동영상 CD, 책자, 지침서)를 제작, 교재로 활용할 수 있고 장병들의 군 태권도 훈련에 지표가 될 수 있는 군 태권도 훈련 지침서가 발간되어야 한다. 여섯째, 인증제 면에서는 만 18세 성인이 되면서 해당 품은 단으로 자동 변경이 된다. 이에 사회에서 태권도 인증제를 실시하여 품에서 단으로 변경 시 국기원 내지 각 도 협회에서 인증심사를 통해 검증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 방과후학교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및 요구분석

        최유미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평생학습사회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변화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정규교과 이외의 다양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특기․적성프로그램 중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아동요리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실태와 요구를 조사․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방과후학교의 아동요리 프로그램과 요구분석의 의의를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방과후학교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방과후학교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교육 효과에 대한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조사는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아동요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도교사 28명과 아동요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 179명, 학부모 127명이었다. 조사결과는 빈도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과후학교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운영은 초등학교 1~6학년 전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주1회, 100분의 교육시간과 20명 이하의 인원으로 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장소는 다수가 과학실을 활용하며, 40,000원 이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교사는 대다수가 아동요리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요리수업을 주로 세계요리, 쿠키, 전통요리 순으로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내용구성은 요리실습하기 전에 요리와 관련된 이야기나 식재료의 영양지식 알려주기 등으로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요리실습 후 그림그리기, 감상문 쓰기, 발표하기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요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은 대다수가 여학생이였고, 또한 1~2학년이 많았다. 참여한 동기는 학생의 참여의사에 따라 아동요리 프로그램을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목적에 대해서 교사와 학부모는 학생의 특기, 적성 취미를 살릴 수 있어서, 학생은 요리를 잘하기 위해서라고 나타냈다.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전 영역에서 학생이 학부모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비에 대해서 학부모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요리수업 활동 중 학생은 빵/케이크, 학부모는 전통요리에 흥미를 가장 많이 보였고, 그 이유로 학생은 만드는 과정이 재미있어서, 학부모는 요리완성 작품이 멋있어서라고 응답하였다.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에서 요리활동이 있어 학교생활이 즐겁다는 정서 영향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아동요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다음과 같다. 교육횟수는 학생 주2회, 학부모 주1회를 요구하였고, 교육시간은 60∼80분, 교육인원은 대다수가 20명 이하로 수업하는 것을 희망하였다. 학부모들은 교사의 자격으로 아동요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가 지도하는 것을 원하였고, 학생들은 교육내용으로 부모님과 함께하는 요리활동이 포함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학생과 학부모 모두 요리활동과 함께 다양한 교육 활동을 더 실시할 것을 요구하였다. 방과후학교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는 요리활동 전용공간이 필요하고, 학부모는 학생들의 안전한 조리 활동을 위해 조리도구 및 기구 사용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요리 프로그램에 학부모가 참여하는 수업이 필요하다. 요리 프로그램은 특성상 학부모의 참여로 가정과 연계하여 운영하면 정서적 영향, 식습관의 개선, 가사참여의 변화 등 더 높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아동요리 프로그램은 부모와 함께 요리 활동을 하고 싶다는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학부모의 참여수업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구성시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은 빵/케이크 과정에 대한 수업 비중을 높여 학생 흥미와 만족도를 높힐 필요가 있다. 셋째,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에 맞춘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지도교사는 의도한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을 교육수요자도 제대로 인식하고 달성할 수 있도록 운영해야 한다. 지도교사는 프로그램 계획 단계에서부터 교육 목적에 의거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아동요리 프로그램에 남학생의 참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아동요리 프로그램은 80%가 여학생들의 참여로 편중되어 있다. 아동요리 프로그램은 성별에 관계없이 자신의 소질과 능력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홍보하고, 한쪽으로 성비가 치우지지 않는 교육이 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효과적인 아동요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요리실습 전용공간이 필요하다. 요리 프로그램은 강의보다는 요리실습 비중이 높아 기능적인 면이 고려된 실습 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요리

      • 유아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 4~5세 유아기의 점토공예를 중심으로

        이진경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유아들의 미술활동은 유아의 생활의 일부이며 그들 생활의 표현이자 기록이며 그들 자신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술활동은 다른 발달영역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어 유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통로가 되며 다른 발달영역과 통합을 이룰 수 있다. 유아기의 미술학습은 자기표현에 따르는 경험을 얻게 하여 창의적 표현 능력의 배양과 더 나아가 유아의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언어발달, 지적발달, 신체적 발달을 바탕으로 하여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유아기 미술교육의 중요성과 미술교육의 발달단계 등을 인식하고 다음단계로 유아의 미술교육에 있어서 공예학습이 유아기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내용과 표현 그리고 중요성에 대하여 연구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조형 활동 중에서 인간과 친화력이 강한 재료인 점토를 중심으로 유아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학습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술교육의 현대적 경향이 20세기 초 기능위주의 기술적인 성취를 강조 하던 것 에서 탈피하여 점차적으로 창의성 중심으로 그 내용이 발전하여 이제는 이해 중심의 교육으로서 유아들이 마음으로 본 것을 그리며 아는 만큼 표현 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공예 학습이 갖는 재료의 다양한 체험과 입체에 대한 표현 및 관찰력 등 사물의 구조에 관한 탐색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유아의 정서인지 능력의 전반적인 부분이 활성화 되고 유아의 창의성의 발달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 및 범위는 만 4세에서 5세까지의 취학 전 연령의 유치원 유아들을 대상으로 삼아 이들 유아기에 가장 적합한 재료인 점토의 조형 활동을 통하여 유아기의 표현력 향상과 창의적 수업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유아기의 단계적 발달에 따른 미술 학습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공예 조형 활동의 필요성과 그 내용을 연구하였다. 셋째, 조형 활동의 자료로 점토를 선택하여 표현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넷째, 루지오 에밀리아의 연구 방법을 점토학습에 접근시켜 유아의 표현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업 방안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루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이탈리아 루지오 에밀리아 유치원에서 30여년 전 부터 실시해 오던 아동중심 교육과정으로 유아의 창의력을 이끌어내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일종이다. 유아의 창의력을 이끌어내는 상징화의 주기는 다음과 같다. 구술적 분출 => 토론하기 => 표상하기 => 시뮬레이션 => 대체물이용하기 => 경험하기 => 재 표상하기 => 확장하기 => 심화하기 => 확장 및 심화 본 연구 에서는 유아미술교육의 공예활동 중 어린이와 친숙한 재료인 점토를 통해서 유아교육 수업 이론의 한 방법인 프로젝트 접근법을 유아 미술교육에 적용시켜 유아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지도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프로젝트 접근법의 방법을 통하여 유아들의 공예 조형 활동에 표현력이 향상되어짐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의 조형 활동을 통하여 연구한 결과 유아들에게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발달을 볼 수 있었다. 첫째, 점토 공작 과정에서 흙을 만지거나 다룰 때 유아의 신체적 근육 발달을 촉진 시킨다. 둘째, 경험하기 단계를 통하여 유아의 사고를 확장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입체 조형 능력을 기르고 창의력을 발달시킨다. 셋째, 조형 활동을 통하여 점토와 손의 자유스러운 접촉으로 자연과의 동화감과 정서 발달을 돕는다. 넷째, 조형 활동을 통한 다양한 경험은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고 더불어 다른 학습효과를 증진 시켜 준다. 다섯째, 재 표상의 단계를 통하여 자신의 지식을 심화하고 자기의 경험을 주제에 맞게 표상하는 작업을 통해 주제가 갖는 특성을 이해하고 지적 자율성을 보다 촉진적으로 기를 수 있게 되어 표현력의 향상을 가져온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 미술 교육 가운데 평면·그리기 학습에서 나아가 입체·만들기 학습을 통해 발달단계에 따른 공예학습에 관하여 이해하고 그 안에서 입체 공예 학습의 과정을 거쳐 유아의 표현력을 향상 시키고 그들의 경험을 폭넓고 깊은 단계로 이끌어 줌으로 창의적 표현력이 발달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공예 조형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은 그들의 오감을 발달시키고 점토를 주무르고 굴리고 찍고 만지는 동안에 얻어지는 물성의 효과를 통하여 조형의 기본을 익히게 되며 점토공작을 통한 다양한 경험은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사회적 정서적, 언어적 지적, 신체적 영역에서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어가며 학습효과를 증진 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Children's artistic activities are part of their lives and they are the expressions and records of their lives and the expression for themselves. Such artistic activ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development areas and they become an important route to understand children and one can integrate them with other development areas. The purpose of children's art learning is to let them experience their self-expression, enhance the creative expression abilities and raise them as harmonious human beings based on their emotional, social, linguistic, intelligent and physic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the development stage of art education to review the contents, expressions and importance for how craft art learning had to be applied in children's art education.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children's expression abilities centering on clay, the material that had affinity with human beings in various craft art activities. Modern tendency of art education has escaped from the technical accomplishment based on funct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 has focused gradually on creativeness and now it has been developed into the understanding-oriented education. Therefore, in terms that children could draw what they saw in their mind and express as much as they know, the quest for the structure of objects such as various experiences of materials that craft art learning had and the expression and observation ability for the solid body were utilized effectively; in doing so, the study attempted to revitalize the overall aspects of children's emotional cognitive ability and to develop their creativity. The subjects of study were the kindergarten children from the age of 4 to 5 years and it investigated a method of improving children's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e class through craft art activities with clay, which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to them. The contents of study were as below. First, it investigated the art learning accordance with the stage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it examined the necessity of craft art formative activities and their contents. Third, it looked closely into the expression methods by selecting clay as the material for formative activities. Fourth, it investigated a class method to improve children's expression ability by letting them experience Reggio Emilia's research method in clay learning. Reggio Emilia approach was the children-centered educational curriculum that has been practiced for about 30 years in Reggio Emilia Kindergarten in Italy, and it was a kind of approach to bring children's creativeness. The frequency of symbolization that stimulated children's creativeness was as below. Oral burst/ discussion/ presenting/ simulation/ using an alternative/ experiencing/ representing (re-symbolizing)/ expanding/ deepening/ expansion and deepening This study applied the project approach, one of the class theories for children's education, into children's art education by using clay that had affinity to children among craft art activities of children's art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instruction method for enhancing their expression 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ir expression ability has been improved in their craft art activities through the project approach. Through children's craft art activities, the following developments have been obtained. First, touching or handling clay in the clay operating proces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hysical muscles. Second, through the stage of experience, children could expand their thought, enhance the ability for three-dimensional formation based on their knowledge obtained freely in this process and develop their creativeness. Third,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children could be assimilated to nature with natural contact between clay and their hands develop emotions. Fourth, various experiences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brought children interest and motive and enhance the learning effects and their synergy effects, too. Fifth, through the stage of representation, children could deepen their knowledge and present their experiences corresponding to the themes; in this process, they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s and raise their intellectual independence a lot further, which eventually let them improve their expression ability. Through the plane drawing learning to three-dimensional learning among children's art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children understood craft art learning according to each development stage and improved their expression abilities through three-dimensional craft art learning and expanded their experiences more widely and deeply; in doing so, they could develop their creative expression ability. Children could develop their five senses through craft art formative activities and through the effects of property obtained while touching, rolling and sealing clay, they could learn the fundamentals of formative quality and could have interests and motives from various experiences through clay building, and eventually they could develop themselves harmoniously in social, emotional, linguistic and physical aspects and improve their learning effects.

      •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박지현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formation of the nuclear family has made an accelerate appearance and the Confucianism culture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has de-escalated. It brought a significant change in family structure,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 and the increase of leisure, the reduction of the household labor, and the decline in childbearing and the expenses for child support. Through the changes in the modern society, women became an import part in economic industries to meet the social demands for women workforce. Nowadays, more and more women want to join the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Many changes have been made in female gender roles. As men engage more in the childcare and motherhood which were only considered as women’s work, women take part more in working and physical labor in the society. It indicates the social roles and expectations on the given genders have changed. The generational change has brought differences in women’s life and education. In result, new knowledge and techniques are needed for women to perform the new social roles and functions. Depending on how it is programmed, the effects of the adult education for women will be varied. The adult education program for women should be design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lifelong educat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adult education for women is organized and programmed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etails of the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to find the problems and solutions conducting the programs. Lifelong education centers carry on only some parts of the program development. The program development principle in the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 is well follow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not been able to approach to the students strategically, to meet the market’s needs, and to evaluate the programs efficiently in the program marketing. The program marketing is a tool to attract potential students and promote the enrolment where the women students’ demands can be applied. Therefore, specific and detailed strategies are needed for the programs which reflect the learner’s demands. The program evaluation is the procedure to decide whether the programs are carried out successfully or not. To improve the adult education programs for women, the sustainable program evaluation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practiced. The lack of the program evaluation states that the programs of the adult education for women are not efficient to match the levels of the learners. The programs for the adult education for women have not been able to satisfy the requirements and demands of female students. Out of 153 programs researched, more than 75% of the programs was focused on the general education and leisure improvement courses but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took only 20%. It may suggest the program has not been operated with its main purposes – to improve women’s education, to modify the mindset of women, to bring the better number of the women degree recipients, and to inspire the social responsibilities. It informs that female students a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adult education programs for one’s social life, not to achieve one’s learning goals. As one can see reading the information presented, the new approaches and improvement should be made for the programs and the centers of the adult education for wome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of the adult education for women, the centers should provide the specialized courses for the specific vocations to meet the needs of the women students in Wonju area. Through taking the specialized courses, women in Wonju would be more encouraged to work outside the ho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centers for the adult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improve the programs by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needs and the market research in the phase,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otential women students. 현대 산업사회로 인해 핵가족화가 가속화되고, 가부장적 유교문화가 약화되고 있다. 그 결과 가족구조의 현저한 변화, 생활수준 향상 및 여가의 증대, 가사노동 감축, 출산 및 양육부담 감소가 나타나고, 이를 통해 여성인력에 대한 사회적 수요 확대와 경제활동 참여 증대 등의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여성의 성역할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여성의 일로 생각되어온 모성, 돌봄 등에 대한 남성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는 한편, 남성의 일로 생각되어온 근로, 육체노동 등에 대한 여성의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의 성적 결정에 의하여 주어진 사회적 역할과 기대가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여성의 삶과 교육에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여성이 새로운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여성 평생교육은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평생교육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내용과 방법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여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어떤 형태를 띠고 있고, 어떤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 방법 등을 비교․분석해 보고, 기관 운영자로부터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 및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 기관은 각각의 기본 기반에 따라 프로그램의 개발 중 일부를 따르고 있다. 특히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중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원리를 준수하고 있다. 반면 프로그램 마케팅에서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전략적 접근이나 시장의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프로그램 평가도 비교적 부족하다. 프로그램 마케팅은 잠재적 수강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 및 촉진시키는 조치로서 여성 수강생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단계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한 세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 실행 후 프로그램이 잘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이에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실행 결과에 근거하여 지속적으로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은 학습자 수준에 맞춘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기회가 제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여성 수강생들의 수요와 요구를 크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연구 조사 대상 기관의 153개 프로그램 중 75% 이상이 교양 및 여가증진 프로그램 유형에 치중되어 있으며, 20% 정도의 직업기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여성 평생교육이 지향하는 여성의식 수준 함양이나 교육 학위 취득 등 사회적 책임감을 심어주거나 학력 증진 프로그램과는 거리가 있다. 여성 수강생들은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개인의 교육목표를 성취하기 보다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교육의 장소를 사교의 장소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가를 활용하기 위해서 학습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평생교육 기관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원주 지역 여성 수강생들의 요구에 따라 개설․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각 기관들이 각각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원주 지역 여성들의 실질적인 취업 확대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평생교육 기관은 잠재적 여성 수강생들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의 단계에서 시장평가나 수강생 수요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 및 개선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평생교육 기관, 여성 평생교육,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지향유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와 요구분석

        김자현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사회는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해 성인들은 새로운 변화를 적응하기 위해 많은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과거 전통사회의 대가족 구조에서 현재 핵가족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전통사회에서 조부모나 친척들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자녀양육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대가족구조 아래에서 자녀를 지도·양육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기제가 없게 되었다. 핵가족 사회에서는 기관이나 사회단체를 통해 자녀양육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요구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자와 비참여자간 부모와 자녀간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부모들이 요구는 무엇이며, 참여자와 비참여자간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는 선행연구의 검사도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재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와 원주교육문화관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자 174명과 비참여자 1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는 교차분류(χ ²)검증과 t검증에 의하여 처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 현황은 참여자와 비참여자 동일하게 남자보다 여자(각각 91.4%, 81.1%)가 교육기관을 많이 다니고 있다. 20∼30대보다는 40∼50대가 많았고, 2년제 대졸이하보다는 4년제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부모가 많았다. 농어촌에서 거주하는 부모보다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부모가 교육기관을 많이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경우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은 3개월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참여시간은 1∼10시간미만이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는 자녀교육에 관해 도움을 얻고자 참여한 부모가 86.8%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비참여자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가 76.4%로 높게 나타났다.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심리적, 생활·문화적, 의사소통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만족도가 참여자와 비참여자 모두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심리적, 생활·문화적, 의사소통 만족도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참여하는 부모가 참여하지 않는 부모보다 자녀와의 관계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에서도 참여자와 비참여자간 차이를 보여, 참여자는 자녀와 이야기를 나누는 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참여자는 자녀가 자신의 의견을 잘 이야기한다는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는 다음과 같다.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교육내용이 목표와 일치하였다는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사에 대해서는 강사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였다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방법에서는 전체적으로 교육방법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정도에는 직원들이 친절하고 적극적으로 도와준 것에 대해 가장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의 경우 자녀의 사회성지도에 대한 교육을 요구했고, 비참여자의 경우는 자녀의 사회성지도와 자녀의 학습과 진로지도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였다. 자녀의 사회성 지도에서도 참여자는 자녀가 친구들과의 관계를, 비참여자는 자녀가 가족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 교육받기를 희망하였다. 비참여자의 경우는 자녀의 학습과 진로지도에서 자녀의 적성을 파악하는 교육도 받기를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방법 및 운영방식에 대한 요구는 다음과 같다. 교육방법은 참여자가 주제별 세미나, 비참여자는 강연회 교육방법을 요구하였다. 교육횟수는 참여자와 비참여자 동일하게 한학기 1회 실시를 요구했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적당한 시간대는 참여자의 경우 평일오전을, 비참여자의 경우 토·일요일 또는 공휴일을 요구하였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기관이나 사회단체에서 실시하다보니 평일에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참여자는 평일오전 시간대를 유지하여 또다른 프로그램의 참여를 원하고 비참여자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참여하지 못한 이유를 근거로 보았을 때 주말이나 공휴일을 요구한 것을 알 수 있다. 교육시간은 1회에 참여자가 60∼120분미만을, 비참여자는 30∼60분미만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기는 참여자, 비참여자 모두 결혼한 직후로 나타났다. 교육인원은 11∼20명이 적당하다고 응답했으며, 교육기관은 자녀의 소속학교에서 실시하기를 희망하였다. 교육비는 참여자의 경우 무료 36.2%, 3만원미만 37.3%로 근접하게 3만원 미만의 교육비를 요구하였지만, 비참여자의 경우 무료 56.1%, 3만원 미만 24.3%로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과

      •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공성인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contemporary society, alongside the sexual liberalization, significant changes are occurring in South Korea's traditional perceptions of sexuality. The sexuality of the elderly is also playing a crucial role in terms of health and quality of life. As South Korea enters the era of superaging, various social issues concerning the elderly are being faced, and one of them is the issue of elderly sexuality. Positively transforming the matter of elderly sexuality becomes a vital factor in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heir lives. Therefore, there is a practical need for a sex education program aimed at raising awareness of sexuality in old age and promoting a healthy sex life. The elderly sex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hanging societ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sex education needs of the elderly and providing a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 in which elderly learners can participat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ex education needs of the elderly and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that the elderly can perceive positively and embrace actively. To develop the elderly sex education program,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collect foundational data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elderly sexuality, and programs for elderly sex educa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survey on the sex education needs of the elderl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ir sex education needs. Using the survey results, a concrete program was formulated, and expert opinions were considered to modify and enhance the program, resulting in the final development of an elderly sex education program. The survey results regarding the sex education needs of the elderl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atus. It was observed that female elderly individuals expressed a higher need for sex education, and the need increased for those without spouses, those perceiving good health, and those with better economic conditions. Additionally, satisfaction with sexual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gender,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and frequency of sexual activity. Male elderly individuals reported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sexual lives compared to females, and those without a spouse due to separation or death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sexual lives. Regarding the content of sex education, the highest demand was for education on 'methods for a happy and healthy sexual life.' In terms of sex education methods, the elderly preferred education that involved their direc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with the majority expressing a desire for free educat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specific demands regard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sex education were identified. Adult learners expressed a desire for sex education that allows their direct participation and emphasized that education on methods for a happy and healthy sexual life should be structured to enable learners to explore on their own. The results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aligned with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structured, and with the incorporation of expert opinions, the program underwen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The developed elderly sex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three main areas: 'Happy sexuality,' 'Healthy sexuality,' and 'Safe sexuality,' each further divided into seven subtopics. The final program is structured over seven sessions, and instructional guides for each session were developed for practical use in educational settings. Despite the emphasized need for elderly sex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elderly learners from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has been rare. The significance of this program lies in its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learners, acknowledgment of the demands of the elderly, and the creation of an elderly sex education program from a perspective that enables direct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lifelong education. This developed program can be utilized in elderly welfare institutions, cultural centers, and othe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contributing to the happiness and healthy sexual lives of the elderl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such programs, the elderly can maintain a positive sexual perception and attitude, ultimately enhancing their overall life satisfaction. Keywords: Elderly, Sex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Needs Assessment 현대 사회의 성개방화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성인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노인의 성은 건강과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시대로 들어서면서 노인들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직면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노인의 성문제이다. 노인의 성에 대한 문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노년기 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건강한 성생활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노인의 성교육 프로그램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성교육 요구를 반영하고, 노인 학습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성교육 요구를 조사·분석하고, 노인 스스로가 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노인 평생교육 및 노인의 성,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련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노인 성교육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노인 성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노인들의 성교육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노인들의 성교육 필요성에서 성별과 연령, 결혼 상태, 학력, 건강상태, 경제적 상태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성노인들의 성교육 필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없는 노인일수록, 건강하다고 느낄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성교육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생활 만족도는 성별과 결혼상태, 경제적 상태, 성생활 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성노인들의 성생활만족도가 여성노인에 비해 낮았으며, 이별, 사별로 인해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성생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성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행복하고 건강한 성생활을 위한 방법’에 대한 교육 요구가 가장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성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노인들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는 교육을 선호하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무료교육을 희망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성교육 내용과 성교육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였다. 성인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성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였으며, 행복하고 건강한 성생활을 위한 방법은 학습자 스스로 찾아볼 수 있도록 교육이 구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주었다. 성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설문조사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설계,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통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을 하였다.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최종 프로그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행복한 성’, ‘건강한 성’, ‘안전한 성’의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7개의 소주제로 구분되었다. 최종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은 총 7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차시별 교수 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노인 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학 관점에서 노인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은 드물게 수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노인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노인들의 요구를 확인하고, 학습대상자들은 노인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평생교육 관점에서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노인 복지기관 및 문화센터 등 노인 평생교육 기관에서 활용하여, 노인들의 행복하고 건강한 성생활에 도움을 준다면, 노인들이 긍정적인 성인식과 성태도를 가지고 생활하면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요구분석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작은학교 연구 동향 분석- 강원도교육청 소속 작은학교를 대상으로 -

        손영화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response to the population decline in rural, mountainous and fishing villages, th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the policy of integrating and abolishing small schools and fostering appropriately sized schools since 1982. Accordingly, several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have enacted ordinances related to small schools and have been promoting small school-related polici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keywords of small school research trends based on academic papers related to small schools, analyze the curriculum of various small schools in Gangwon-Province that are operating the ‘Make Small School Hope’ project, and conduct common and distin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upport and revitalization plans for small schools.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ased on academic papers related to small schools after 2000, reports on the operation results of small school hope making by unit school from 2017 to 2021, and the operation plan for 2022, and elementary teachers working at small schools in P region, Gangwon-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For data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etminer 4, and topic modeling and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for research trends in theses related to small schools are ‘small schools and village educational communitie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small school integration’, ‘joint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and ‘small school related policies’. was analyzed. Second,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small schools,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connection centrality in 2017-2019 before COVID-19 and 2021-2022 after COVID-19 is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During the period, all keywords within the top 5 were ‘culture and art’. Other keywords that appear in common, such as ‘skiing’ and ‘surfing’, show that the local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ciliti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operation programs of small schools. On the other hand, in the survey, 88% of 25 teachers working in small schools in area P responded that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work at small schools, felt a sense of worth and accomplishment, and hoped to continue working at small schools in the future. This is based on the reasons for satisfaction with the autonomy of class management, grade-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school atmosphe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required to link with the local curriculum that can continue the common and distinctive educational activities of small schools, and furthermore, it is proposed to build an integrated management network that connects small schools and regions. Key words: small school, keyword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topic modeling 농산어촌의 인구감소에 따라 정부에서는 1982년부터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과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지만 농산어촌 지역의 교육 문제의 해결방안으로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전국의 몇몇 시도에서는 작은학교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작은학교 관련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작은학교 관련 학술논문을 바탕으로 작은학교 연구 동향의 키워드를 알아보고, 강원도의 작은학교 정책인 ‘작은학교 희망만들기’ 사업을 운영하는 여러 작은학교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공통되고 특색있는 교육활동을 찾아 작은학교 지원 및 활성화 방안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2000년 이후의 작은학교 관련 학술논문, 2017~2021년 단위학교별 작은학교 희망만들기 운영 결과보고서와 2022년 운영계획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강원도 P지역의 작은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넷마이너4를 사용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으며, 자료의 처리 방법은 토픽 모델링, 연결 중심성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작은학교와 관련된 논문들의 연구 동향 키워드 분석은 ‘작은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 ‘작은학교 통폐합의 발전과 개선 방향’, ‘공동교육과정 운영’, ‘작은학교 관련 정책’이다. 둘째, 작은학교의 교육과정을 키워드 분석한 결과, 코로나 이전인 2017년~2019년과 코로나 이후인 2021년~2022년에서 가장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현장체험학습’이며,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기간 동안 모두 5순위 안에 있는 키워드는 ‘문화예술’로 나타났다. 또한‘스키’, ‘서핑’ 등 공통으로 나타난 키워드로 지역의 자연환경과 시설의 여부가 작은학교의 운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P지역의 작은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25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전체의 88%가 작은학교에서의 근무 만족도가 높고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며 앞으로도 작은학교에 근무하길 희망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수업 운영의 자율성, 학년 중심의 교육활동, 학생들과의 원만한 관계, 학교의 분위기에 대한 만족 이유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작은학교만의 공통되고 특색있는 교육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지역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요구되고, 더 나아가 작은학교와 지역을 연결하는 통합 관리 네트워크의 구축을 제언한다. 주요어 : 작은학교, 키워드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토픽 모델링

      •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아효능감, 식이효능감, 운동효능감분석

        곽숙희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아효능감, 식이효능감, 운동효능감 분석 곽 숙 희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영양교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성별에 따른 비만관련 식생활요인, 효능감과 체중조절신념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교육 자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여주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306명(남자: 132명, 여자: 174명)의 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다. 성별에 따른 식생활 요인, 효능감, 체중조절관련 신념을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 분석은 SPSS(version 13.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식생활 습관은 전체점수는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몇가지 항목에서 여자가 식생활 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아침식사의 규칙성, 식사 시 적당한 양의 섭취, 녹황색 채소의 섭취 문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행동은 성별에 따라 전체점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식행동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식사는 항상 배가 부를 때가지 먹는 것으로 포만감이 들 때까지 먹으며 튀김 샐러드, 볶음류와 같은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습관은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보다는 남자가 활동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며 매일 30분 이상 운동을 하거나 친구들과 뛰어노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자의 경우 할 일이 많아서 운동할 시간이 없고, 운동이나 몸을 움직여서 하는 일은 뭐든지 다 귀찮다고 하였다. 선호하는 조리법은 성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보다는 여자가 저지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식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여자가 전통음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체중조절 관심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인지하는 체중은 남자가 보통, 약간 뚱뚱으로 인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는 보통으로 인지하고 있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희망하는 체중은 남자는 만족, 약간 살빼기을 원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는 약간 살빼기를 원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자는 체형을 보통이라고 인지하면서도 살빼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아주 가벼운 활동, 심한 활동을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는 보통 활동을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체중 조절에 대한 통제 신념은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다이어트 식사 프로그램 참가 의향에서는 여자가 높게 나타났다. 체중조절 후 신념은 남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여자보다 남자가 체중 조절 후 에는 건강이 좋아 질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자아 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실패자라고 느낄 때가 많다는 문항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식이효능감은 전체점수는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주위 사람들의 속도에 맞추어 천천히 식사할 자신감, 콜라와 청량음료 대신 과일 쥬스를 선택 할 자신감, 또 불안하거나 긴장했을 때 음식을 먹는 것은 여자가 참을 자신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운동 효능감은 남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운동관련 문항에서는 남자가, 일상 생활관련 문항에서는 여자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자는 활동습관이 좋고 체중조절 후 신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는 식습관, 식행동, 저지방조리법 선호, 전통음식 선호도, 식이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이어트 프로그램 참여의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조절에 대한 신념에서는 보통으로 인지한 체형의 비율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살빼기를 원하는 비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볼 때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식생활습관, 식행동, 식이 자기효능감, 활동습관, 좋아하는 음식과 조리법 선호도, 바른 체형인식이 달라 질 수 있다. 아동들의 식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관련 요인들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이 결국 학동기 아동의 성장방해와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식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요인들에 대한 교육과 지도가 절실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전문 영양교육과 가정과의 연계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며, 비만아뿐만 아니라 비비만아도 영양상담 및 영양교육을 통해 올바른 체형인식과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성별에 따른 비만관련 영양교육의 다양한 콘텐츠 개발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ABSTRACT Analysis of Self Efficacy, Dietary Efficacy and Exercise Efficacy Depending on Gender Typ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awak Suk Hee Departmet of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ji University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besity related dietary factors, the efficacy and the belief in weight control depending on gender typ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nutrition education required for health management. Questionnare was used for 306 of the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132, Female: 174) in S Elementary School in Yeoju Kyunggi Province. And it was analysed on the dietary factors, the efficacy and the belief in weight control depending on gender type by SPSS(version 13.0) Total score of diet hab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female students showed better condition in the couple of items. For female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questions as breakfast regularity, mdderation, and regular greenish yellow vegetables intake every day. Total score of diet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and the females revealed better than males. Male students eat always until stomach full and prefer oily foods like fried dishes, salad and roasted foods. Activity habi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and males were better than females. Males students showed to have exercised regularly or played in the field over half an hour everyday but female students responded to have been bothered to do any kind of physical exercise due to the lack of time and heavy workload. Favorite cooking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and females showed more preference for low fat foods than males. And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females tended to have more preference than males. For the interest in weight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for male students the ratio of recognizing as normal or slightly fat was high and for female students the ratio of recognizing as normal was high. Regarding the desired weight, the ratio of satisfactory or losing slightly was high for males and for females, the ratio of losing slightly was high. Thus, females wanted to lose weight even if recognizing themselves with normal physical type. For male students the ratio of engaging in very light exercise or severe activities was high, and for females the ratio of engaging in normal activities was high. Degree of belief in weight contro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females showed strong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diet meal program. Understanding of after the weight contro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more males showed high ratio believing to be healthier after weight control than females. Regarding self 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for the question of acknowledging oneself as a loser, 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io than females. Total score of dietary effica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fe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io than males in the self conviction of having meals slowly to meet with the eating speed of the surrounding people, choosing fruit juice instead of cola or soft drinks and abstaining foods when nervous or alerted. Regarding exercise 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however, males tended to show higher for exercise related questions, and females tended to show higher for general life related questions. Males showed good activity habit and strong conviction in weight control, and females showed high ratio in diet habit, eating behavior, preference for low fat recipe and traditional food and self diet efficacy. In additi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diet programme was high, and for the weight control conviction the ratio of losing weight even under normal physical type was high.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ype in dietary habit, dietary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ctivity habit, preference of food and the recipe, and recognition of right physical type . And diet related factors causing negative eating behavior would cause undesirable eating behavior and hurt growth and health of the students. Thus education as well as guidance for various factors known to affect the eating behavior is earnestly required. School surely needs professional nutrition education and guidance in line with home. In order for the obese and non obese students to obtain right recognition of physical type and dietary habit, various education contents for obesity depending on gender type should be developed.

      • 고등학교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재형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material which is necessary for students so as to lead an active and happy school life through future education activities of physical talent aptitude by investigating relations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and its satisfaction along with its effect toward participating in physical talent aptitude educa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activities of physical talent aptitude in a high school located at S city of Gyeonggi Province. This investigation was executed to 350 students by using questionnaires of own recording methods, and reviewed the missing value in frequency analysis by using statistic program of Window SPSS (version 14.0) on the collected data. Also, the investigation evaluated Crobach’s α to recognize reliability verification. Also, this study executed correlation analysis to inquire into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and its satisfac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o recogni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e to its satisfaction. All significance level was set up to p<05. Through this method and proced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relating to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e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physical talent aptitude to operational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one, it was appeared that pleasure motive and health physical strength motive influenced to significant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cond, relating to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e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physical talent aptitude to event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one, it was revealed that pleasure motive and learning motive influenced significantly to event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one. Third, concern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e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physical talent aptitude to instruction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it was come out that pleasure motive and learning one influenced significantly to instruction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one. Forth, relating to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e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physical talent aptitude to health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one, it was appeared that learning motive and health one among particip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to health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one. Fifth, concern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e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physical talent aptitude to stress solution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one, it was come out that pleasure motive and learning one among participation motive influenced significantly to stress solution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will influence positively to form correct sports attitude and value understanding when students become to have further experience and interests by enlarging participation chances.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methods of sele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of physical talent aptitude fit to each student of high school, utilization for some more educational side through these activities and for enhancement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degree are encouraged to be carried out. 본 연구는 체육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참여동기와 참여만족 간의 관계 및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활기차고 즐거운 학교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로 총 350명을 자기기입방식으로 작성하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versio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으로 결측값을 알아보았고,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을 알아보기 위하여 Crobach's α 값을 구하였다. 또한 참여동기와 참여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참여동기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중 운영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동기 중 즐거움동기와 건강체력동기가 참여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중 종목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동기 중 즐거움동기와 학습동기가 참여만족 중 종목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중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동기 중 즐거움동기와 학습동기가 참여만족 중 지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중 건강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동기 중 학습동기와 건강체력동기가 참여만족 중 건강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중 스트레스해소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동기 중 즐거움동기와 학습동기가 참여만족 중 스트레스해소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통해 고등학생들에게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참여기회를 확대시켜 많은 경험과 관심을 갖게 될 때, 학생들에게 올바른 스포츠 태도 형성 및 가치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견되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이 각자 자신에 맞는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선택의 방법과 이러한 활동을 통해 좀 더 교육적인 측면으로의 활용방안, 참여동기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