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의 관계: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

        김진아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validation from others between both variables. For this study, from May 20 to 26, 2017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4 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who currently use SNS,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with Korea Family Strengths Scale Ⅱ(Yoo, Young Ju et al., 2013),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Jeong, So Young and Kim, Jung Nam, 2014), and Lee, Jung Sook(2010)'s Need for Approval Scale translated and matched to Korean sentiments from the revised Martin-Larsen Approval Motivation Scale(RMLAM) which Martin revised MLAM in 1984. 384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3.0 program and AMOS 22.0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xamined with SPSS 23.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s of the major variables, and, in turn, the status of SNS use was analyzed. After tha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ajor variables were verified. Structural equation program AMOS 22.0 was use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as well as boot strapping metho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a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through validation from others among college students, it shows that the overall correlation was high.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validation from others as well as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Conversely, validation from other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That is, the more college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s, the less they seek to be validated from others and tend to overindulge in SNS. The more they need to have validation from others, the more they come to have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Second, after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validation from ot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it is revealed that validation from others has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It is suggested that family strengths affect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by pursuing other people's vali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rapeutic benefits to the proneness of SNS overindulgence through extensive approaches to family strengths and validation from others. Simultaneously,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effective data for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tendency of overindulgence in social networking services. It can help college students u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appropriately and build their own cultures. Keyword: Family Strengths, Validation from Others,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타인인정추구가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현재 SN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20일 ~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384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Ⅱ(유영주 외 3명, 2013),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정소영과 김정남, 2014), MLAM을 1984년 Martin이 개정한 The Revised Martin-Larsen Approval Motivation scale(RMLAM)을 이정숙(2010)이 한국 정서에 맞게 번안한 인정욕구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주요변수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자 SPSS 23.0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살펴보았고, SNS 사용실태와 주요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보았다. 또한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적인 관계를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프로그램인 AMOS 22.0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타인인정추구,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은 타인인정추구와 SNS 과몰입 경향성 모두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타인인정추구는 SNS 과몰입 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타인인정추구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건강성이 타인인정추구를 통해 SNS 과몰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SNS 과몰입 경향성으로 인해 호소하는 경우 타인인정추구와 가족건강성에 대해 폭 넓은 접근을 통해 SNS 과몰입 경향성에 대한 치료적 유용성을 제공할 것이며, 동시에 SNS 과몰입 경향성 예방을 위한 교육에 효과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를 통해 대학생의 올바른 SNS 사용과 문화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가족건강성, 타인 인정 추구, SNS, 과몰입, 경향성

      •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은경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41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자기격려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온라인 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Sobel Test Calculator를 이용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대인관계와 자기격려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격려와 삶의 만족도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격려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기격려·행동적 자기격려·정서적 자기격려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자기격려와 자기격려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기격려·행동적 자기격려·정서적 자기격려는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기격려·행동적 자기격려·정서적 자기격려가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자기격려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접근 방법으로 고찰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제어 : 대인관계, 자기격려, 삶의 만족도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u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ale, self-encouragement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as carried out by 541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ediated effect through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using SPSS 26.0 Program and Sobel Test Calculator.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ncourage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ncour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self-encouragemen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three subfactors of self-encouragement,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 encourage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showed a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ncouragement and its three subfactors,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reduce and alleviat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ot only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elf- encourag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an integrative mann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ut also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basic materials that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ach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 and consultation situa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self-encouragement. At the end, the limitations,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ncouragement, Life satisfaction

      • 부부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연구

        김효숙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부부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로서, 부부의 섹스리스 현상이 어떠한 상황과 맥락하에서 부부관계와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 결혼생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을 따랐으며, 연구참여자는 이론적 표본 추출에 따라 모집하였고 자료수집은 비구조화된 인터뷰방식을 취하였다. 여기에서 연구참여자는 Friedman(2006)의 정의에 따라 성관계 빈도가 1년에 10회 미만이고, 스스로 섹스리스 부부라고 생각하면서 그 기간이 3년 이상된 자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는 12명으로 모집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방코딩 결과, 총 104개의 개념과 3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8개의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축코딩을 하면서 밝혀진 중심현상은 ‘정서적 연결의 열망’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발견된 중심현상과 범주는 다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과 작용/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결과에 따라 연결 짓고 설명하였다. 과정분석 결과로는 4단계의 과정이 나타났다. 즉, 문제인식·조정 단계’, ‘해결모색 단계’, ‘선택의 단계’, ‘통제·의미부여 단계’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관계 속에 연결되고픈 나를 알아차림’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밝혀진 핵심범주를 다른 범주에 연결시켜 ‘이야기 윤곽 적기’를 통해 서술적 방식으로 기술하였으며 범주를 최종 통합하였다. 범주가 지닌 속성과 차원에 따라서는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는데, ‘자유형’, ‘인내형’, ‘신중형’, ‘적극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설명했다. 본 연구는 섹스리스 부부의 다양한 가족관계망을 살피지 못하고 그들의 부부관계에만 범위를 한정한 점과 다양한 결혼생활 경험에서 섹스리스에 관련된 현상만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으로 인한 섹스리스는 대개 결혼 초기에 시작되고, 이것이 부부의 만성적 갈등이 된다는 점에서 조기 개입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둘째, 가족상담 현장에서 부부상담시 성적 문제를 사정하는 것은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역동을 이해하는데 매우 의미있는 과정이 됨을 실증적으로 설명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qualitative research on married couples’ sexless experience for examining how and under what situation and context married couples’ sexless phenomenon influenced their marital relationship and married life and for exploring the meaning of married life.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participants were sampl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Friedman (2006), the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those who had sexual intercourses fewer than 10 times a year, considered themselves to be sexless, and had been sexless for over three years. By this sampling process, 1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the results of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s of open coding were derived 104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found through axial coding was ‘eager for emotional connection.’ These central phenomenon and categories were again associated and explained according to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tion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Through process analysis, four process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and adjustment,’ ‘process of solution seeking,’ ‘process of choice,’ and ‘process of control and appreciation.’ In the results of selective coding, the key category was ‘recognizing myself who wants to be connected in relationship.’ Through the association of the key category with other categories, the sexless phenomenon was presented in a descriptive way by ‘writing story outline,’ and then the categories were integrated. Depending on the nature and dimension of category, four types were derived and explained, and they were ‘free type,’ ‘patient type,’ ‘prudent type,’ and ‘active typ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s scope was confined to sexless couples’ marital relationship without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family network and that it was focused on the sexless phenomenon among various experiences of married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sexless phenomenon resulting from marital conflicts usually started at the early stage of married life and then developed into a chronic conflict, and this suggests the need of early intervention. Second, the assessment of sexual issues in counseling for married couples in the field of family counseling is a very meaningful process for understanding conflicts and dynamics observed in marital relationship.

      •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정소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이 중 유효한 357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완벽주의척도(H-MPS), 대인관계문제척도(KIIP-SC), 자기불일치척도를 사용했으며, SPSS 20.0과,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 간의 불일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 하위차원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모두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 간의 불일치, 실제 자기와 의무적 자기 간의 불일치 모두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에서 자기불일치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들의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불일치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보는 데 있다. 즉,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청소년을 상담할 경우,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불일치 정도를 탐색한다면 문제해결과 예방에 있어 효과적인 개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 및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해결과 예방을 위한 기초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repancy the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to 40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357 valid survey data among the entire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among them. This study us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scale(KIIP-SC) and Self-discrepancy theory scales and used SPSS 20.0 and AMOS 20.0 statistic program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the inconsistency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Seco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hich are sub-factors of Perfectionis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inconsistency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and inconsistency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mediating effects in Self-discrepancy theory were identified in Perfectionism and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Meaning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fectionism to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discrepancy theory. If Perfectionism tendency and Self-discrepancy theory level are searched when counseling the adolescents who are appealing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it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solve and prevent the problems.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to solve and prevent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targeting the parents of adolescents and adolescent instructors.

      • 색소폰 학습을 위한 유튜브 콘텐츠 채널 연구

        문윤정 상명대학교 상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색소폰 학습을 위한 유튜브 콘텐츠 채널 연구 현대사회는 인터넷이나 모바일기능의 발달로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등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수업방식에도 변화가 오고 있다. 기존에는 직접 만나서 수업하고 책으로 된 교재를 사용하였으나, 코로나 시대에 살고 있는 현재에는 온라인 학습이 활성화 되고 노트북이나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온라인기기를 이용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중에서도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동영상으로 시청 가능한 유튜브가 카카오톡 다음으로 2번째로 많이 이용하는 앱으로 이용되고 있다. 색소폰 관련 콘텐츠도 매일 다양하게 업로드 되고 있으나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나 채널을 운영할 수 있으므로 지식을 습득하려고 이용하기에는 다소 혼선을 초래할 수도 있다. 구독자나 조회 수가 높으면 초보자들은 그들을 전문가로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영상이 많이 올라오는 것은 그만큼 색소폰이라는 악기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것이기에 긍정적인 면도 있으나, 체계적인 콘텐츠 구성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의 영상들이 난립하게 업로드 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을 위해 채널을 시청하는 대중들에게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유튜브가 교육매체로 색소폰 교육의 대중화를 위한 올바른 온라인 학습 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분석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해 첫째, “색소폰기초”“색소폰교육”“색소폰배우기”색소폰레슨“등 교육과 관련된 검색어를 노출시켜 난립한 유튜브의 크리에이터 중에서 교육과 관련된 상위 10채널을 선별하여 그들이 제시하고자 하는 교육 목표를 분석하였다. 둘째, 코로나이후 비대면 교육시장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통한 교육목표 증대와 고령화 사회에 은퇴 이후의 취미를 즐기는 많은 시니어들의 여가 생활 향유를 위한 교육시장을 조사해보았다. 셋째, 색소폰이라는 악기를 배우고 싶은 동기부여를 만들어 주고 노래를 대신해서 즐길 수 있는 악기 중에 50~60대 중장년층의 가장 선호하는 악기가 색소폰이 되었는지 파악해본다. 넷째, 미디어 자료들을 제시하여 반주나 악보 박자기의 활용을 최대한 같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해본다. 다섯째, 스케일 정리표나 운지법, 메트로놈 파일(wav.) 같은 미디어 자료를 제공해 주는지, 보충 자료는 제시를 하였는지, 교수의 수업내용이 적절한지 등의 내용을 분석하며 또한 채널운영자가 교육의 커리큘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색소폰학습자들이 배우기에 적합한 내용을 제공하는지 개선해야할 방향을 제시하여 본다. 색소폰 교육에 블랜디드 교육의 일환으로 유튜브라는 매개체를 이용한 선행연구가 단 한건도 없었기에 본 연구가 추후 미디어를 활용한 색소폰 블랜디드 교육의 발전에 초석이 될 수 있는 현황 연구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study on YouTube content channels for saxophone learning Moon YunJung New Media Music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In modern socie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YouTube, and Instagram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obile functions, the class method is also changing. In the past, people met in person for classes and used textbooks in books, but now, living in the Corona era, online learning is active and they are using laptops, tablet PCs, and smartphones. Among social media, YouTube, where information on various topics can be viewed as videos, is used as the second most used app after Kakao Talk. Saxophone-related content is also being uploaded in various ways every day, and anyone who is not an expert can run a channel, so it may cause some confusion to use it to acquire knowledge. This is because a high number of subscribers or views may lead beginners to mistake them for experts. There is a positive side to the fact that a lot of videos are uploaded because interest in the instrument called saxophone is increasing. In that it is not about imparting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suggest YouTube as an educational medium to be helpful as a correct online learning material for the popularization of saxophone education. For this, first, search terms related to education such as “saxophone basics” “saxophone education” “saxophone learning” saxophone lesson” were exposed, and the top 10 channels related to education were selected from YouTube creators, and the educational goals they wanted to present were analyzed. did Second, in the non-face-to-face education market after COVID-19, we will investigate the education market for increasing educational goals through online content and enjoying the leisure life of many seniors who enjoy hobbies after retirement in an aging society. Third, we try to find out whether the saxophone has become the most preferred instrument among middle-aged people in their 50s and 60s among the instruments that motivate them to learn the saxophone and can be enjoyed instead of singing. Fourth, by presenting media materials, we try to encourage students to use accompaniment or sheet music as much as possible. Fifth, it analyzes whether media data such as scale summary, fingering, and metronome files (wav.) are provided, whether supplementary materials are presented, and whether the professor's class contents are appropriate. Find out whether the saxophone learners are learning,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be improved to see if it provides suitable contents for learning. As there has not been a single previous study using the medium of YouTube as part of blended education in saxophone education, this study is a current status research data that can be the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saxophone blended education using media in the future. It can be said that it has meaning. Key word: YouTube, saxophone, education content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한송이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아동기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선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5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자 아동 243명과 여자 아동 252명을 포함하는 총 49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척도(CINSS), 아동의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추정하기 위해 각 요인의 빈도수와 백분율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α 계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방법론에 근거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공격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 및 기본심리욕구충족의 상관은 모두 유의미 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아동의 공격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각각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력을 나누어 살펴 본 결과 모두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하여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인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 충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각 하위요인이 부분매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가운데 관계성 충족의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능감 충족의 매개효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자율성 충족의 매개효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중요성과 긍정적인 관계 안에서 유능감을 경험하는 것이 아동기의 심리적 성장과 사회적 적응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가정 및 사회의 노력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 심리적 통제, 기본심리욕구 충족, 공격성 This study verified the selected the psychological control and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paren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ggression of children to verify the their relati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rents affects the aggression of the children through the mediation of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verified. For this, 234 male students and 252 female students enrolled in fifth and sixth grades of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parents of these 495 students were studied using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Children's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CINSS), and child aggression scale to collec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estim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of each factor, the percentage and verification of the confidence in the measurement tool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Cronbach α coefficient. In order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on aggression, the three phas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based on the methodology of Baron and Kenny(1986)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the children's aggress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subjects in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and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s well as the children's aggress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and the father, the effects were reviewed separately. Bot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aggress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ere reviewed. Each sub-factor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particular, of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ying competence,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was relatively lower. This study verified that importance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rough positive child-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as well as the fact that experiencing competence within a positive relation contributes to the psychological growth and 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c set of data that can suggest improved efforts from family and society to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mote appropriate child-rearing behavior from parents.

      • 습식수채화를 활용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참여자 경험 연구 : -목회자 부부를 중심으로-

        허국화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발도르프 습식수채화를 주요 매체로 활용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경험을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의 측면에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직업적 특성상 편안한 자기 노출이 쉽지 않은 목회자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그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개신교 목회자 부부 7쌍(14명)을 모집하여 집단 진행에 적절한 인원이 되도록 3그룹(2쌍, 3쌍, 2쌍)으로 무선 배정하여, 각 그룹에 8회기씩 일주일 간격으로 회기당 90~120분씩 습식수채화 부부집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전 회기를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회기 기록지를 만들었으며, 활동 장면과 수채화 작품을 촬영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에 대한 내담자들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후설문 및 사후면접을 시행하였다. 면담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이 외에도 회기 기록지, 사진, 회기 축어록 등이 결과 분석에 활용되어 내용분석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습식수채화를 활용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하여 참여자들은 편안하게 자신의 감정을 끌어내어 볼 수 있으며 자유롭고 재미있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회기의 길이가 짧은 것, 색에 대하여 특정 감정을 부여하고 프로그램에 임하는 것 등에 대하여는 아쉬움을 나타냈다. 둘째, 습식수채화를 활용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이 매체에 대한 흥미로운 경험을 통해 자신에게 몰입할 수 있었고 부부간에 매체를 통한 비언어적이고 간접적인 상호 접촉을 유발하였는데, 자신의 감정표현을 색의 감정 이야기와 연결시키는 것이 안전하게 자신을 개방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습식수채화를 활용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이 자기 자신의 내면을 자각하고 표현해 보면서 자기에 대한 인식이 명확해지는 변화가 있었다. 또한 배우자의 내면 표현을 보고 들으면서 배우자의 내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수용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다른 집단원의 내면 표현을 보고 들으면서 집단원간의 공감과 지지를 통해 자신과 배우자의 감정을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넷째, 습식수채화를 활용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자기와 배우자의 내면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기반으로 부부간 대화의 질이 심화되고 프로그램 중 유발된 부부간 상호작용의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새로운 경험으로 이어지는 변화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습식수채화 매체를 활용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부부의 내면 이해와 부부관계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고, 특히 억압된 내면의 표현을 색채라는 은유를 활용하여 편안하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목회자 부부와 같이 직업의 특성상 감정의 억압과 경직이 만성화될 가능성이 높은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부부프로그램에서 활용하기 유용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습식수채화가 하나의 예술 행위로 미술교육에서 주로 활용될 뿐 치료적 기법으로 쓰이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이 습식수채화 기법을 부부관계 증진을 목표로 하는 부부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에 대한 내담자들의 경험을 탐색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 이론적 체계가 빈약한 부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또한 질적 방법에 의존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방법론상의 한계를 가진다. 향후 습식수채화를 활용한 부부프로그램의 다채로운 구성 실험연구,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통한 검증 등이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couples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aldorf wet watercolor method regarding the program contents and the effect. For this purpose, seven Protestant pastor couple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recruited. The cou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8 sessions wet watercolor couple program was implemented to each group for 8 weeks. In order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effects of the participants, all session transcripts, pictures of the activities, post-program survey results and post-program interview transcripts were collected for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allowed participants to immerse themselves through interesting experiences in the media and caused nonverbal and indirect interaction through the media, helping to safely open themselves up. Second, through this program, participants become aware of and express their inner self, thereby clarifying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It also help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spouse's inner expression. Thir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inner self of spouse, the couples’quality of conversation deepened and the experience of induced interaction during the program led to a new experience of intim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uples' group program using wet watercolor media is effective in improving couples' inner understanding and marital relationships, especially when they expressed their oppressed inner emotion freely by using the metaphor of color. However, this results need to be interpreted considering the limit of this study such as a weak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rogram contents, an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explored only by qualitative data.

      •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에 관한 연구 :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정인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을 주관적 삶의 맥락에서 탐색함으로써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며, 적응해 나가는지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은 어떠한가?'로 시작하여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9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32개의 하위범주와 13개의 범주로 묶어졌다. 축코딩에서는 범주를 패러다임에 연관시켜 파악된 중심현상은 '나의 가족 울타리 만들기'였으며, 이것은 4단계의 연속과정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유형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의의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nded(practical) theory that can explain how unmarried mothers recognize, interpret, and adopt their lives by way of exploring family experience in terms of subjective life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is “what kind of family experiences did unmarried mothers go through?” From the mentioned research question, Ground theory (Strauss & Corbin, 1988) was appli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o perform this study, seven adult single mothers who raise one child alone respectively, were selected from local communi ty and participated in the whole research process. The results of the open coding revealed that 96 concepts were deducted and combined into 32 sub 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hen it comes to the central phenomenon apprehended through axial coding by applying categories to the paradigm was ‘making my family boundary’. And another thing, four step continuous processes were analysed as below; (1) ‘the step of recognition and adjustment’, (2) ‘the step of solution-seeking’, (3) ‘the step of separ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and (4) ‘the step of making new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f origin’. In the process of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making my family boundary separated from the family of origin’ was dis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t that when family counseling is conducted this result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 경험 연구 :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하정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 Focusing on Winnicott's Object Relation Theory - Ha, Jung Lim Dept. of Child & Adolescent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of Welfare & Counseling 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Winnicott’s object relations theory through review over literatures and provide it to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and then examine their experience of changes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it. In order to examine the participants’practical experience after the program, this author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is researcher listened to the participants’vivid experiences and observed them as a therapist and then analyzed the data with the approach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otal 5 topics and 10 subtopics were drawn. 5 topics drawn in this way are‘the experience of being refreshed through the education, ‘doubts arising from practice for trial and error as well as regression’, ‘insight about the family of origin and recognition on the current patter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pattern’, ‘enlightenment about the necessity of a certain amount of education for change, and ‘the outlet and healing found from the critical situation’. The crucial results g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order for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to correct their dysfunctional rearing behavior and play positive parental roles, it is needed to have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parent education. This implies that only with the 10-minute parent counseling conducted after play therapy that is currently being operated in the field of play therapy, it is limited for them to play effective parental roles demanded in play therapy and cooperate properly no matter how long play therapy or parent counseling is done.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mothers of play therapy child clients understood and reflected themselves as parents better. This allows us to be enlightened about the fact that it is needed to have a certain amount of parent education to have a turning point to alter their parental roles. Also, through parent education, they had time for paternal heal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trinsically motivated them to be a fairly good mom, which is facilitative environment that Winnicott talks about.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subjects are limited as this researcher and the mothers of child clients who completed play therapy, after provid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t was difficult for this researcher to observe how the child clients changed according to how their parents changed directly. Second, as the educator of the program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FGI were the same, this raises the problem of research ethics associated with dual relationship. Therefore, follow-up research should be designed to trace and observe how child clients change according to how their parents change after provid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of play therapy. Also, considering research ethic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educator of the program from the person in charge of FGI and perform them separately as an alternative method. Furthermore, to provide parent education in terms of play therapy more efficiently, it is absolutely needed to enhance play therapists’ competencies by having them be trained and taught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about object relations theory or family counseling and adult counseling. key words: "Play Therapy", "Parent Education", "Object Relation", "qualitative analysis"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개발된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어머니들에게 실시한 후,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의 경험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실제적인 경험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프로그램을 모두 마친 후에는 포커스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진행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의 소리를 듣고 치료자적 관점으로 관찰한 것을 질적 내용분석의 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모두 5개의 주제와 10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5개의 주제는‘교육을 통한 신선한 충격 경험’, ‘실천을 통한 시행착오와 퇴행이 주는 의구심’, ‘원가족에 대한 통찰과 현재 모자관계 패턴 인식’, ‘변화에는 일정량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깨달음’, ‘한계점에서 찾게 된 출구와 힐링’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정적인 결과는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어머니들이 역기능적 양육행동의 교정과 긍정적인 부모 역할로의 변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부모교육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현행 놀이치료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놀이치료 후 10분 부모상담만으로는 아무리 긴 시간 놀이치료와 부모상담을 진행하더라도 놀이치료에서 요구되는 효과적인 부모역할 수행과 적절한 부모 협조를 요청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는,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어머니들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부모의 자기 이해 및 자기 성찰을 하였으며, 부모역할에 변화의 전환점을 갖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부모교육을 통한 부모 힐링의 시간을 갖게 되면서 Winnicott이 말하는 촉진적 환경인 충분히 좋은 엄마가 되어야겠다는 내적 동기가 마련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를 연구자와 놀이치료를 종결한 내담아동의 어머니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이후 부모의 변화에 따른 내담아동의 변화 과정을 연구자가 직접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 교육자와 FGI 진행자가 동일하여 이중관계의 연구 윤리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향후 놀이치료 부모교육 프로그램 진행 후 부모의 변화에 따른 내담아동의 변화 모습을 추적 관찰할 수 있는 연구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 윤리를 고려하여 프로그램 교육자와 FGI 진행자를 각각 따로 분리하여 수행하는 대안적 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놀이치료에서 더 효율적인 부모교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관계 이론이나 가족상담, 성인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수련과 체계적인 학습을 통한 놀이치료사의 역량강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주제어: "놀이치료", "부모교육", "대상관계", "질적연구"

      • 부모-자녀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손성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 문 요 약 부모-자녀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이 성장 하면서 지각한 부모-자녀와의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도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389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빈도, 백분율,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부모-자녀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돌봄 모두 대인관계 유능성과는 정적상관을, 대인관계 문제와는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부와 모의 과보호는 대인관계 유능성과는 부적상관을, 대인관계문제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 돌봄과 과보호 모두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의 돌봄과 과보호 모두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대인관계 유능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모의 돌봄과 과보호 또한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와 모 모두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가 지각한 부의 돌봄과 과보호, 모의 돌봄과 과보호를 비교해 보았을 때 미미한 차이지만 대인관계 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상관과 설명력 모두 부보다 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돌봄으로 인한 대인관계유능성의 향상도, 과보호로 인한 대인관계문제의 증가도 부보다 모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은 부보다 모가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고 양육의 주체가 된 현상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만을 유의 표집 하여 연구한 것으로, 대학생 전반에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자녀가 성장 하면서 지각한 부모-자녀와의 결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한 것이다. 주용어 : 부모-자녀 결합, 대인관계문제, 대인관계 유능성, 매개효과 ABSTRACT Influence of Parent-child Bonding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Sung Hui, Son Dept. of Family Counselling & Therapy Graduate School of Welfare & Counselling Sangmyung Universit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Effect of Parental Bonding on Interperson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that parental bonding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ir growth had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10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and 389 questionnaires were used as data for statistical analy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rough reliability, frequency, percentag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through Sobel test. By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effect of parental bonding on interpersonal problem, this study obt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both father’s care and mother’s care wer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 In addition, father’s and mother’s overprotection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 Moreover, interpersonal problem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father’s care and overprote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That is, father’s care had not only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 but also an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the medium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ls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mother’s care and overprote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That is, in both father and mother,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father’s care and overprotection perceived by children were compared with mother’s, the latter was slightly higher in correlation and explanatory power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 That is, mother was more influential than father in terms of the positive effect of car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negative effect of overprotection on interpersonal problem. These findings reflect the current situation that mother spends a longer time with children and play leading roles in parenting than father.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sampled purposively from a few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university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ed the effect of parental bonding perceived by children during their growth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Key words ; parental bonding, interpersonal problem,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