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행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연구 : 서울시 중구, 종로구의 거리를 중심으로

        풍려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보행공간은 도시를 구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기본 배경이다. 건물과 사람, 가로수, 각종 가로시설 등 모든 요소를 담아내는 밑바탕으로써, 특정인이 아닌 어느 누구나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성이 가장 요구되는 부분이다. 보행공간은 말 그대로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이므로 유니버설디자인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인간 공학적인면을 고려한 효율적인 디자인을 모든 사람에게 장애 없는 환경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행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을 알아보기 위해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중심지이며 낮과 밤시간대의 유동인구가 활발한 지역구인 중구와 종로구의 유명거리인 동대문 쇼핑거리(서울시 중구), 명동거리(서울시 중구), 삼청동길(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서울시 종로구), 대학로길(서울시 종로구) 이상 5곳을 선정하여 2011년 9월 1일부터 2011년 10월 15일까지 조사하였다. 대상지역내 보행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적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보행공간의 구성요소 중, 도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본 배경이며 건물과 사람, 가로수, 자동차, 각종 가로시설 등 모든 요소를 담아내는 밑바탕으로, 특정인이 아닌 어느 누구나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성이 가장 요구되는 부분인 공공공간과, 거리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중 하나로써 사용자 중심으로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설치 및 구성이 요구되는 공공시설물, 그리고 공공정보를 알릴 목적으로 공중이 자유롭게 통행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정보형 가로시설물 및 기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공공시각매체로 나누어 유니버설디자인을 연구 분석 하였다. 건축가 메이스(R. Mace.)가 제안한 기능적 지원성, 수용성, 접근성, 안전성의 유니버설디자인 4가지 원리를 분석도구로 활용하여 보행자를 위하여 기능적 지원을 하고 있으며 요구를 반영하였는지의 수용성 그리고 누구나 쉽게 접근을 할 수 있으며 위험요소가 없어 안전한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능적 지원성, 수용성, 접근성, 안전성별로 보행을 하는데 있어서 기능적 지원이 얼마나 되고 있으며, 불편함이 없고 다양성을 만족시키며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장애인들에게 접근이 용이하며 차와 보행자 또는 기타시설물과 보행자간의 안전성이 확보 되었는지를 조사하여 보행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사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것을 토대로 보행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보행공간의 구성요소별로 유니버설디자인 분석도구들을 나누어 방사형 차트를 정리하여 분석한 결과, 공공공간에서는 가장 높게 나타난 유니버설디자인은 수용성과 접근성으로 수용성은 동대문 쇼핑거리 명동거리 인사동길에서 높게 나타났고 접근성은 삼청동길과 인사동길, 그리고 대학로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행공간의 공공시설물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요소 중에서 접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이 동대문 쇼핑거리, 명동거리, 대학로길 이상 3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삼청동길과 인사동길은 지원성과 수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시각매체는 유니버설디자인 요소 중에서 접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이 많았는데 사례대상지역 5곳 모두에서 접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 공간, 공공시설물, 공공시각매체의 보행공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상지역 5곳의 분석결과 유니버설디자인이 가장 높게 나타난 항목이 접근성으로 전체 15곳에서 11곳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용성은 7곳, 지원성은 3곳, 안전성은 1곳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보행공간에서 유니버설디자인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한 디자인은 많이 부족 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안전성은 보행자의 목숨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편리한 이용을 위해 보행자의 요구를 수용 하고 기능적으로 지원하여 접근을 쉽게 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유니버설디자인의 중요성은 보행공간에서 기능을 살리고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형태를 고려한 디자인과 접근이 쉬우며 그리고 무엇보다 구조적인 안전성과 심미성, 유지관리의 편의성 등을 동시에 확보하여 쾌적하고 편리한 보행 공간 환경을 조성해야 만한.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보다 나은 보행공간의 요소들이 적재적소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even though Pedestrian Space is based on constructing the city that everyone can use for publicness among building and person, street tree, any other street scape. It means universal design is most important element for effective pedestrian space. Universal design need barrier free between design and human engineering for everyone. It researched universal design of pedestrian selected five places for Dongdaemun Shopping Street and Myungdong(Jung-gu), Samcheongdong, Insadong and Daehangno(Jongno-gu) as intersected floating population in Seoul, Korea on Sep.01, ~ Oct. 15, 2011. For research the applying universal design of pedestrian space, public space is based on publicness among building and person, street tree, any other street scape with everyone that user - centered public facility in one of constructing element for street safely and effectively and divided street information facility into public visual media that it researched the universal design four fundamentals like functional support, acceptance, accessibility, safety through R. Mace's theory. It analysed how to effect the pedestrian about functional support, acceptance, accessibility, safety for universal design that researched the satisfied diversity and barrier free for the handicapped between car and pedestrian any other facilities. It arranged radar chart the universal analysis tool for each element of pedestrian space understand for the property of universal design in pedestrian space that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acceptance and accessibility which distirbuted acceptance highly in Dongdaemun Shopping Street, Myungdong and Insadong into accessibility highly in Samcheongdong, Insadong and Daehangno as public space. It showed universal design for accessibility which distirbuted acceptance highly in Dongdaemun Shopping Street and Myungdong and Daehangno into functional support, acceptance highly in Samcheongdong, Insadong in pedestrian of public facility. It arranged universal design for accessibility highly for all cases in public visual media. As a result, accessibility is applied highest item as 11 places in 15 places and acceptance showed 7 places, functional support applied 3 places and safety showed only 1 place as the pedestrian space of public space, public facility and public visual media that universal design of pedestrian applied approach anyone else but risk of consideration for safety of pedestrian that accept need of pedestrian within functional support for convenient use because safety is important element of pedestrian's life. Therefore, it understand the design for safety of pedestrian with accepting functional environment as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that apply constructive safety, aesthetic and maintenance on making comfortable and useful environment of pedestrian space. I expect it construct bond of sympathy the need and importance in universal design through better element of pedestrian.

      • 비즈니스 정장과 캐주얼 웨어를 중심으로 본 남성복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2010 A/W ~ 2012 S/S 파리, 밀라노, 뉴욕 컬렉션을 중심으로

        최동은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sign pattern and feature used for contemporary men's wear, focused on designs appeared in fashion collection. The change of variety and style of fashion express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ter-textual texts of de-constructivism features pervading in general fashion would be examine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empirical test to analyze inter-textual design feature, around 843 pictures selected based on 5 design features out of 7,221 pictures collected mainly from Paris, Milan, and New York collection published in the『GAP Press Men』, a magazine, for A/W season, 2010 through S/S season, 2012. After the examination of contents to study focused on de-constructivism theory, inter-textuality, style classification of Men's wear, and item composition, analysis items for design features were set up on the basis of contents of these precedent studies. For data analysis, χ²-test was performed to test frequency and significance probability by design feature derived, using SPSS program, with design feature classification and qualitative analysis by the pictures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features and frequency of inter-textual design are as follows; It was analyzed that the features of inter-textual design were 5 types such as gender neutralization, style mixture, item redundancy, order confusion, and length confusion for 3 years or 6 seasons. It was shown that the features of inter-textual design were in the order of style mixture, length difference, gender neutralization, item redundancy, and order confusion. Second, the results of design feature analysi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der neutralization is divided into wearing of strong male image and of femininity emphasis. While style mixture is divided into stylized and non-stylized wearing, item redundancy is done into simple redundancy of same item and item redundancy by order. And, both of order confusion and length order are done into stylized wearing and non-stylized style, respectively. Third, it was found that seasonal frequency by design fea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W season, style mixture, gender neutralization, length difference, item redundancy, and order confusion in order. For S/S season, the frequency of style mixture was highest, followed by length difference, item redundancy, gender neutralization, and order confusion in order. Forth, it was found that year on year frequency by design fea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2010, length difference, item redundancy, style mixture, gender neutralization, and order confusion in order. For 2011, style mixture, gender neutralization, length difference, item redundancy, and order confusion in order. For 2012, style mixture, length difference, item redundancy, gender neutralization, and order confusion in order. 본 연구는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들을 중심으로 다양해진 현대 남성복의 스타일의 변화와 최신 트렌드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호텍스트성 특성을 지닌 디자인의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2010년 A/W시즌~2012년 S/S시즌까지『GAP Press Men』잡지 중 파리, 밀라노,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총 7,221개 중 연구에 적절한 사진을 중심으로 내용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해체주의의 이론과 상호텍스트성, 남성복의 스타일 구분에 따른 아이템과 트렌드에 대해 살펴보았고, 상호텍스트성으로 분류한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현대 남성복과 관련된 내용들을 기준으로 하여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와 기사, 포털사이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도출된 디자인 특성별 빈도율과 유의확률 검증을 위해 카이검정을 실시하였고, 선출한 사진을 중심으로 디자인 특성을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연구 결과 상호텍스트적인 디자인의 특성을 지닌 유형들은 5개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타났다. 스타일의 혼재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다음으로 길이의 차이, 성의 혼재, 아이템의 중복, 순서의 혼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적으로 파악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디자인의 상호텍스트적인 특성을 질적으로 보다 면밀히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유형들은 다음의 두 가지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1) 성의 혼재는 남성이 여성 전용의 아이템을 착용했음에도 남성적 이미지가 느껴지는 착장과 여성성이 보다 강조되는 이미지를 표출하는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2) 스타일의 혼재는 일상적으로 편히 볼 수 있는 정형화된 착장과 일상적으로는 보기 힘든 비정형화된 착장으로 나뉠 수 있다. (3) 아이템의 중복은 같은 아이템의 단순 중복과 순서에 따른 아이템의 중복으로 분류되었다. (4) 순서의 혼란은 착장 순서에는 어긋나나 자연스러우면서 착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정형화된 착장과 착용 순서를 해체한 비정형화된 스타일로 나뉠 수 있다. (5) 길이의 혼란은 길이의 순서에는 어긋나나 자연스러우면서 착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정형화된 착장과 길이의 순서를 해체한 비정형화된 스타일로 나뉠 수 있다. 셋째, 상호텍스트적인 디자인 특성별 계절의 발생 빈도율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W시즌에는 순서대로 스타일의 혼재, 성의 혼재, 길이의 차이가, S/S시즌에는 스타일의 혼재, 길이의 차이, 아이템의 중복이 많이 나타났다. 넷째, 상호텍스트적인 디자인 특성별 연도의 발생 빈도율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2012년은 대체로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으나, 2011년부터 시작된 남성복의 피코크 혁명으로 2011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 정보디자인에서 에스노그라피 활용에 관한 연구

        박주연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Good design has capability to communicate with people. Designers not only bring about a variety of responses from people but also provide them with the pleasure, inspiration, and usefulness in their lives. Therefore, it is no wonder that designers need to try to study and understand people’s emotion and behavior in order to communicate and form a social consensus with the users. To do this, most of the studies have applied to natural scientific or soci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process of hypothesis, experiment, and verification. However, the research of emotional and subjective approach or that of objective approach using numeric data has not been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users’ context and behavior by comprehending the needs of the users in language. Hence, there have been needs of new approach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industrial design methodology based on social science. Ethnography – a qualitative method of study based on cultural anthropology- is needed for the strong and convincing design that understands the essence and value of the users by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Ethnography is a participatory method that observes the users’ behavior and thoughts by living with them in their ordinary environment. Ethnography is in need of examination in order to apply to the design as it enables the researchers to collect data related with the actual uses and their further information such as inner side, situation, unconscious behavior, relationship, culture, beliefs, and emotional responses by contacting face-to-face. Additionally, it leads to create more persuasive, special, and valuable design. Based on this needs,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Ethnography application to the area of the design, derive the factors required to be considered for application of Ethnography, and analyze how they are exploited in information desig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works and the theoretical analysis from the leading experts, the research extracts factors to consider in application of Ethnography as follows: individual factor, social factor, cognitive factor, and physical factor. The study ha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researches Ethnography as the means of user observation study and contributes to generalize it academically through applicable factors as well.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develop the case of information design uses Ethnography based on the proposed factors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hereafter research by confirm and evaluate the factors to consider. 좋은 디자인은 사람과 소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디자이너는 사람들에게 여러 반응을 유발하여 즐거움과 영감을 주기도 하고 때론 생활에 유용함을 제공해 하기도 한다. 그래서 디자이너는 사용자와 소통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그들의 감정과 행태에 대한 연구를 하고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과학적 연구 과정을 통하여 가설-실험-검증이라는 자연과학 또는 사회과학의 연구방법 체계를 적용해 왔다. 그러나 감성적이고 주관적인 감각에 의존하는 방법이나 정량적이거나 과학적인 데이터 수치를 통해 진행 되어온 객관적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의 니즈를 언어로서 이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맥락과 행동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리하여 사회과학에 뿌리를 둔 전통적인 디자인 방법론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해졌다. 사용자와의 관계를 친밀하게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에서부터 사용자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하는 사용자 중심의 강렬하고 설득력 있는 혁신적인 디자인을 위하여 문화인류학을 기초로 하는 해석적이고 정성적 연구 방법인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가 필요하게 되었다. 에스노그라피는 관찰자가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사용자의 환경 속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사용자의 행동과 사고를 관찰하는 참여 방법이다. 에스노그라피는 사용자와 대면 적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내면, 상황, 무의식적 행동, 관계, 문화, 신념, 감정적 반응과 같은 심층적 정보와 실질적인 사용자에 관련된 데이터 수집을 가능케 하여 더욱 설득력 있고 특별하며 가치 있는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게 되어 디자인에서 에스노그라피 적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사례와 전문가들의 이론 분석을 토대로 정보디자인에서 에스노그라피 활용을 위한 고려 요소로서 개인적 요소, 사회적 요소, 인지적 요소, 물리적 요소 4가지를 추출하였다. 4가지 요소를 통해 에스노그라피를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정보디자인은 잘 설계된 정보와 디자인을 통해 질 좋은 정보와 전달환경을 만들어 전달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정보를 조직화하고 사용자 중심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즉각적인 인지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세 가지 사례에서 기능적이고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작용의 세부요소의 특징을 지닌 인지적 요소에 대해 가장 많은 비중으로 중요하게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인지를 위한 기본 바탕이 되는 행위적 요소의 발견을 위해 에스노그라피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에스노그라피를 사용자 관찰 조사의 도구로서 적용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그 특징을 바탕으로 제안된 활용 요소를 통해 학문적으로 일반화 연구에도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안한 활용 요소를 바탕으로 에스노그라피가 활용된 정보디자인 사례를 개발해보고 고려 요소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평가하여 향후 연구의 기반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 비일상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진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s wrought by the Information Age in the 21st century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workplace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the need to reconceptualize it beyond a daily working space. To establish a study range for creative and efficient working-space design, express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non-daily working spa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e., Amusement, Communication, Amenity, Flexibility), and international cases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categories to analyze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 non-daily working spaces. Based on the results, characteristics applicable to changing non-daily working spaces were derived. Non-daily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he most essential to be reflected in an establishment plan in that they promote more creative and efficient work by increasing workers’ interest in tasks. Thus, it is anticipated that the basic analysis of express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non-daily working spaces deriv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environments that encourage creative ideas and efficient work in Korean working spaces and to conducting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promotion of a higher level of non-daily working space design in Korea.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정보화 시대에 따른 사회 환경의 변화는 업무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일상적 업무공간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기반 사회로서의 창의적인 업무가 주를 이루는 비일상적 업무공간 유형을 통해 비일상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 도출하여 보았으며, 이와 같은 비일상적 디자인 표현 특성들이 업무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어 구성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공간 디자인을 위해 비일상적 업무공간을 위한 디자인 표현 특성을 4가지로 구분하여 유희성(Amusement),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쾌적성(Amenity), 가변성(Flexibility)을 기준으로 비일상적 업무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국외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변화되는 비일상적 업무공간에 적용 가능한 특성들을 도출하였다. 비일상적 특성은 근무자들에게 창의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업무를 지원하는데 있어서 업무의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구축안으로 보여 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비일상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들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 업무공간에서도 창의적인 발상과 효율적 업무 지원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여 비일상적 업무공간 디자인을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국내 업무공간의 진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바탕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필립스탁의 혼성적 표현특성을 적용한 호텔 실내 코디네이션 연구

        이상은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Hotel interior coordination applying Philippe Starck’s hybrid representation feature has been programmed in order to understand and systemize interior coordination, a way of expressing a lifestyle, which has recently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space design field. Boutique hotel that is to respond sensitively to a modern trend shows the notion ‘Hybrid’ as its most important virtue. This phenomenon is not only proper for architecture of modern society, but also universal in other genres of arts. Coordination components and hybrid representations feature were analyzed and understood to apprehend hybrid feature representations in Philippe Starck’s hotel interior design and extract the design languages displayed in Philippe Starck’s hotel interior design.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Philippe Starck’s hybrid representation feature was applied to planning hotel interior coordination. The followings are what this paper found out. First, Hybrid representation feature has appeared in Philippe Starck’s hotel interior design, as a method for expressing boutique hotel’s design which ought to lead new trend. Hybrid representation feature consists of time-based type, location-based type and genre-based type. And the feature can be shown uniformly, otherwise, complexly. Second, surface, furniture, illumination, interior landscaping and decoration which are the components of coordination are characterized compositively and variously in Philippe Starck’s hotel interior design. And time-based type coordination components were expressed through furniture and color. As closing details of furniture having past motives with modern and new materials, the shape displays past tradition, but fresh image is shown. Third, artworks in location-based type hybrid are utilized as a point in a space so that other culture can be felt. Moreover, in genre-based type hybrid, the components of painting, sculpture and graphics affect the shape and closing of carpets or furniture, and are expressed in the patterns of fabrics. Thus, they appear to be fresh as an object mixed with genres of various arts in a space, which is above the basic function of artworks. Fourth, the keywords extracted from Philippe Starck’s hotel interior design showing boutique hotel’s hybrid representation features are applied to the hotel interior coordin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more accurate notion, characteristics and hybrid representation tendency of design of boutique hotel that is now being magnified as a new social and designical code. Coordination elements in a boutique hotel take an important role for small but characterful formation, and infinite diversity and creativity can be inspired through appropriate formation of the elements in order to draw hybrid concepts. Boutique hotels are going to change and develop to a space where people can be vitalized and earn novel experiences and meanings. 최근 인테리어를 비롯한 종합적인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사람의 생활표현의 한 방법인 실내 코디네이션의 시각에서 이해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필립 스탁의 혼성적 표현특성을 적용한 호텔 실내 코디네이션을 계획하였다.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해야 하는 부티크 호텔에서는 혼성의 개념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양상에 알맞은 건축적 상황일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의 예술들도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전반적인 현상이기도 하다. 필립 스탁의 호텔 실내디자인 사례에서 보이는 혼성적 표현특성을 파악하고, 필립 스탁의 호텔 실내디자인에 표출되는 디자인 언어를 추출하기 위하여 코디네이션 구성요소 분석과 혼성적 표현특성 분석을 통해 그 개념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기초로 호텔 실내 코디네이션 계획을 함에 있어 필립 스탁의 혼성적 표현특성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표현방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해야하는 부티크 호텔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필립 스탁의 호텔 실내디자인에서는 혼성적 표현특징이 나타나고 있었다. 혼성적 표현은 크게 시간적, 지역적, 장르적 혼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특징은 단일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둘 이상의 복합적 혼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둘째, 필립 스탁의 호텔 실내디자인에서는 코디네이션의 구성요소인 표면, 가구, 조명, 실내조경, 예술 장식품 요소를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구성하는 공간 특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시간적 혼성을 나타내는 코디네이션 요소는 가구와 표면요소가 중심이 되어 표현되었다. 과거의 모티브가 있는 가구의 디테일에 모던하고 새로운 소재로 마감하여 형태적인 구성은 과거의 전통을 나타내지만 신소재의 마감이 새로운 이미지로 연출된다. 셋째, 지역적 혼성에서 코디네이션 요소는 공간 안에서 포인트로 사용되어 타 문화의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정확하고 직접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장르적 혼성에서도 회화, 조각, 그래픽의 요소가 카펫이나 가구의 형태, 마감에 영향을 주고 패브릭의 패턴 등에 표현되어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 공간에서 예술의 장르가 혼합된 오브제적인 요소로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이러한 부티크 호텔의 혼성적 표현특징이 나타난 필립 스탁의 호텔 실내디자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호텔 실내 코디네이션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사회적, 디자인적 코드로 부각되는 부티크 호텔에 대한 보다 정확한 디자인 개념과 특성, 혼성적 표현경향을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부티크 호텔은 규모와 공간구성 면에서 작지만 개성 있는 구성을 위해 코디네이션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혼성적 개념을 이끌어 내기위한 표현방법으로 무한한 다양성과 창조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부티크 호텔은 앞으로도 단순히 숙박을 위해 머무르는 공간이 아닌 인간의 삶에 활력을 주고 색다른 경험과 다양한 의미를 갖게 하는 공간으로 변화, 발전할 것이다.

      • 공연 구성 요소를 통한 콘서트 조명 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이소연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콘서트에서 조명은 기본적인 조명의 기능 이외에 아티스트가 전달하려는 음악을 빛이라는 매개를 통하여 무대에 그려내고, 궁극적으로는 관객이 보다 공연과 음악에 깊이 몰입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형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현대의 콘서트 조명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다 강력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공연의 이미지와 분위기 전달에 필요한 장면을 연출하는 배경 요소로서의 조명이 아닌 시각적 효과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조명 디자이너는 아티스트와 음악에 대한 분석, 공연의 성격과 목적 분석, 무대와 기술의 분석을 통해 조명 디자인을 구상하고 장면을 만들어 이미지를 무대 위에 완성해 나아간다. 조명 디자이너는 공연 구성 요소들 속에서 조명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고 이들이 가지는 빛 필요 성분에 따라 도구를 선택하며 이를 통해 이미지를 완성한다. 이 과정은 그 결과를 어디에 출력하느냐에 따라 조명기의 종류와 수량, 위치를 결정하는 조명 디자인 1과 이렇게 결정되어진 조명기를 가지고 조명기가 가진 빛의 속성을 조절하고 조합하는 조명 디자인 2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콘서트 조명의 특성을 바탕으로, 콘서트 조명 디자인의 1과 2를 완성하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명 디자인 1단계는 조명기를 선택하기까지의 단계이다. 해외 조명 디자이너들의 공연 사례를 통해 콘서트 조명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공연 구성 요소를 찾아보고, 이 공연 구성 요소가 필요로 하는 빛 연출에 적합한 조명기를 찾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콘서트의 기본 콘텐츠인 공연 컨셉을 담은 무대 디자인과 연출 내용이 조명 디자인의 대전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명 디자인 1단계를 통해 구성 및 배치한 조명기는 콘솔을 통해 살아있는 빛으로 탄생하게 된다. 장면을 만드는 과정이 조명의 연출 요소, 실제적으로는 조명기의 속성을 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속성에는 어떤 값들이 있는지, 특히 콘서트에서는 어떻게 그 속성을 활용하는지 조명의 연출 요소를 통해 살펴본다. 본 논문은 기존의 무대조명 이론을 통한 디자인 구상작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콘서트 조명 디자인이 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콘서트 조명 디자이너들이 나름의 작업 양식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며, 국내 콘서트 조명 디자인의 콘텐츠와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콘서트, 조명, 디자인, 무대, 공연 In addition to the basic lighting function, concert lighting is used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allows the artist to draw on the stage through the medium of light, ultimately allowing the audience to immerse more in performances and music. Modern concert lighting has been able to produce a stronger imag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hich makes it possible to become the subject of visual effect rather than lighting as a background factor to produce scenes necessary for conveying the image and atmosphere of performances. To this end, the lighting designer designs the lighting design, analyzes the artist and music, analyzes the character and purpose of the performance, and analyzes the stage and the technique, and makes the scene and finishes the image on the stage. Lighting designers look for elements that affect lighting design in performance elements, choose tools according to the light elements they have, and complete images through them. This process can be divided into a lighting design 1 that determines the type, quantity, and position of the fixture depending on where the result is output, and a lighting design 2 that adjusts and combines the properties of the light of the fixture with the fixture thus determin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cert lighting, we will look at ways to complete the concert lighting design 1 and 2. Through the performance of overseas lighting designers, it is possible to find performance elements that affect concert lighting design, to find fixtures suitable for light production required by these performance elements, and to realize light images through console . Through this, we will overcome the limitation of design work through the existing stage lighting theory and present a method to make it more logical and systematic concert lighting design Keyword: Concert, Lighting, Design, Stage, Performance

      • 조명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 연극 <기묘여행>을 중심으로

        박성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21st Century is seeing a stark acceleration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with technological advances through rapid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lighting equipment and the concomitant increase of skilled and specialized personnel. However, conceptual approaches to actually realizing functional stage lighting, as regards staging plays, is largely lacking compared to the technological advances that have been made thus far.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research to date, the quantity and range of paper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extremely limited. This is largely because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conventional plays have been so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or and director, thus has exceedingly focused upon work review (The act of researching and criticizing individual works; or writings of a similar nature). On the other hand, stage art (stage equipment, lighting, video, costumes, makeup, etc.) has traditionally been limited to the ancillary role of enhancing aesthetic apprec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us, is to propose a method and process for staging performances through specific visual interpretation and lighting design methods,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text of a play. This is an approach rooted in the Principles of Drama and entail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the performance and overcomes the conceptual limitations occurring in traditional lighting design methods which stem from a results-oriented technical approach or impromptu ideas. Thus, by developing and annotating a process of visual creation through a logical and systemic process of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principles and methods in this regard. This study, through drama analysis, will present a detailed method of deducing a visual interpretation and will proceed within the confines of a visual theme and image conceptualization that derives a theoretical category,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ual processes of stage lighting design. It will, thus, research the reciprocality of drama analysis and visual expression, and consider scene analysis and interpretive processes, from the perspective of drama interpret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visualization of lighting design’ and the ‘conventionalization of lighting design’. Accordingly, it will search for complementary points of the two methods from the selection of visual material related to visual unity and diversity through lighting, and those for reappearances and propositions. This study, thus, structurally organized and researched in order to make a multilateral and in-depth analysis of stage lighting on the basis of drama text analysis of the play used. In this process, steps to find a lighting conception that best amplifies the inherent consideration of the speed, texture, direction, and color of light in lighting concepts, the sense of connection between actor and audience that occurs upon the stage, the essence of drama were taken. As such, much importance was put on analyses made upon the text of the play and the realization step in proposing a single methodology. Based upon the piece to be presented after this paper and the thoroughly large amount of lighting design to be done during such process, this must be a point to deepen and intensify drama text analysis processes to deduce design and further research in such area, and also to serve as a point to research the interrelationship and deepen systematic analysis of other stage performances beyond drama. 21세기에 접어든 무대조명은 첨단 조명장비의 발달로 급속한 기술적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숙련되고 전문화된 인력들로 말미암아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희곡을 무대화하는 데 있어 어떠한 방법으로 무대조명이 실현될 수 있는가에 대한 개념적 접근은 기술적 발전에 비해 결핍되어있는 상황이다. 최근까지 연구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자료들은 그 수량과 범위가 매우 한정되어있다. 이것은 종래의 희곡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배우와 연출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옴에 따라 지극히 작품론적인 지점에 머물러 있는 반면, 무대미술(무대장치, 조명, 영상, 의상, 분장 등)은 작품의 심미성을 발견하고 무대화하여 표현하는데 보조적인 협조자로써 그 역할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을 상연하기 위한 희곡을 텍스트로 삼아 구체적인 시각적 해석을 통해 조명디자인으로써 무대화시키는 방법과 과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것은 희곡원론에서 기초된 작품해석의 심미적인 접근이며 결과위주의 기술적 접근이나 즉흥적 아이디어(Idea)로 비롯된 종래의 무대조명 디자인 구상작업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정을 통한 시각적 창조과정을 전개하여 정리함으로써 그 원리와 방법적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희곡분석을 통해, 시각적 해석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무대조명디자인의 구상과정으로 응용하기 위해 시각적 주제와 이미지의 구성을 도출하는 이론적 범주 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그 범위는 희곡의 분석과 시각적 표현성의 상호성 연구를 시작으로 희곡해석의 관점에 의한 장면분석과 해석의 과정을 ‘조명디자인 시각화 단계’와 ‘조명디자인 양식화 단계’ 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로써 두 가지 방법의 상호보완점을 조명 빛을 통한 시각적 통일성과 다양성, 그리고 재현과 제시를 위한 시각적 자료의 선택에서 찾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극의 희곡텍스트분석을 토대로 무대조명에 관한 다각적,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정리하여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는 빛의 속도와 질감, 방향과 색채가 내재되어 있음을 인식한 조명개념, 무대 위에서 이루어지는 배우와 연극적 코드, 희곡의 본질을 드러내는 조명개념을 찾기 위해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이로써 조명디자인 과정에서 희곡텍스트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과정과 실현화단계에 비중을 두어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으로 이후의 공연되어질 무수히 많은 무대조명디자인의 과정에서 작품을 기반으로 희곡텍스트 분석과정이 더욱 심화되고 연구되어 디자인의 도출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며 이 과정을 통해 타 무대예술분야와의 연계성과 유기적 분석을 더욱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조명디자인 연구 : 뮤지컬 <비커밍 맘>을 중심으로

        문동민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컴퓨터의 발전은 전반적인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활용한 작업이 보편화 되고 있다. 무대조명 분야에서는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조명디자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컴퓨터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 중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조명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효율성을 알아보고 결과물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다양하게 발전해온 많은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고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 중에서 조명디자인에 활용하는 데 있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되는 프로그램인 위지위그(WYSIWYG)를 사용하여 뮤지컬 <비커밍 맘>의 조명디자인을 진행하고 위지위그를 통해 얻은 결과물과 실제 공연 사진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위지위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과 위지위그를 활용한 조명디자인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얻어진 결과물은 실제 공연사진과 비교해봤을 때 다소 조명의 색감의 차이가 생기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매우 흡사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조명디자인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 번째, 하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명디자인과 관련된 여러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두 번째, 프로그램을 통해서 얻어낸 결과물을 토대로 연출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세 번째,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네 번째,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조명 프로그래밍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좋은 품질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다섯 번째,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리허설시간을 확보하여 공연의 품질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 다섯 가지의 효과들로 시간적, 금전적인 절약을 가져올 수 있고 이는 극장에서 부족한 준비시간을 보충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전체적인 공연의 품질을 올리는 데 이바지한다.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는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조명디자인에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것이 더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앞으로 무대조명 분야에서 이러한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조명 디자이너가 더욱 많아지고, 보편화하면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has influenced the overall industrial field, and work using computers has become common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various computer softwares that can be used in the lighting design proces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lighting design and analyze the results by usi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among various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For this study, we will learn about many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that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nd use WYSIWYG, the most efficient program to use in lighting design amo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to conduct the lighting design of the musical <Becoming Mom>, And I would like to comp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WYSIWYG with actual performance photos. In this process, the method of using WYSIWYG and the lighting design process using WYSIWYG were described in detai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btained by using the software was able to obtain a result that is very similar to the actual performance picture,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color of the lighting. In addi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when lighting design is performed usi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First, through a single program, several tasks related to lighting design can be handled at once. Seco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director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gram. Third, through simulation, technical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field can be identified in advance. Fourth, it is possible to obtain good quality results by spending sufficient time in lighting programming without being limited in time and space. Fifth,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 time in the field, so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rehearsal time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The above five effects can bring both time and money savings, which helps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by making up for the lack of preparation time at the venue.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is evolving day by day, and accordingly, application of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to lighting design is no longer a special case, but is becoming more common. In the future,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more lighting designers are using this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Korean performing arts will be further improved by universalization.

      • 오리가미를 적용한 조형적 텍스타일의 표현에 관한 연구

        이상비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현대사회는 획일화된 디자인보다는 공예적인 요소가 가미된 트렌디한 감성을 담은 디자인의 선호가 높은 추세이다. 즉 기성디자인에서 볼 수 없었던 독창적이고 개인의 취향이 고려된 디자인으로 개인별 고급화 전략에 맞춰 제작되어 판매되는 형식의 맞춤형 고부가가치디자인을 추구하며, 이러한 미의식의 변화는 소비자가 디자인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텍스타일 분야 또한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소재에 오리가미를 적용시켜 창의적인 소재 개발을 통해 텍스타일 분야에 오리가미의 발전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오리가미를 적용한 조형적 텍스타일의 표현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오리가미는 1차원의 선이 만나 2차원의 면이 되고 새롭게 생성된 면들이 모여 3차원의 공간의 형태로 변형되는 조형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2차원적 소재에 오리가미를 적용시키면 3차원적 소재로 변화하는데, 오리가미라는 방법적인 요소를 통해 1차적으로 텍스타일소재의 구조가 변형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조형적 텍스타일의 표현은 첫째, 오리가미를 접는 행위부터 시작된다. 둘째, 오리가미를 텍스타일소재에 접목시켜 재탄생된 소재를 말하며, 셋째, 규칙적으로 접혀 입체공간의 형태로 변형된 소재를 부분적으로 파괴하면서 생성되는 또 다른 조형적 텍스타일의 표현과 넷째, 조형적 텍스타일 표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표현방법을 다양한 텍스타일 테크닉을 활용하여 적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논제인 오리가미를 적용한 조형적 텍스타일의 표현에 관한 연구에서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오리가미의 개념(정의, 역사, 종류)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정리한다. 둘째, 오리가미의 조형적 특성을 율동성, 가변성, 입체성으로 분리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특성과 이미지를 본 연구에 적용시킬 점을 고찰하여 본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는 텍스타일의 표현에 이미지와 특성을 유추해 본다. 셋째, 오리가미의 조형적 특성을 적용시킨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5년의 자료를 바탕으로 인테리어 디자인, 패션 디자인, 패션액세서리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디자이너 작품의 특징과 디자인에서 나타난 오리가미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넷째, 오리가미의 이론적 고찰과 조형적 특성이 반영된 디자인사례를 분석하여 고찰된 내용을 근거로 본 연구에 적용하여 인테리어 패브릭, 패션 패브릭, 패션액세서리 디자인을 중심으로 작품을 제작 연구하여 텍스타일 분야에 있어 오리가미의 발전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리가미를 텍스타일소재에 적용시키면 평면적인 소재가 입체적인 소재로 재탄생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오리가미를 타이벡, 마(모시), 친환경 PU 합성피혁 소재에 적용시켜 재탄생된 소재에서 나타난 오리가미의 조형적 특성인 율동성, 입체성, 가변성을 알아볼 수 있었다. 셋째, 오리가미의 조형적 특성이 반영되어 재탄생된 소재에 이타지메 시보리와 열 고정 프레스 기법을 적용시켜 조형적 텍스타일 표현을 극대화시킴으로서, 소재와 표현기법의 차이에 따라 다양하고 새로운 텍스타일 표현을 할 수 있었다. 넷째, 오리가미의 세 가지 원리인 기본, 반복, 결합원리에 부합하는 접기 방식과 텍스타일 표현기법을 적용하면 텍스타일 분야에 있어 고부가가치디자인으로써 개개인의 개성을 반영하고, 공예적인 요소와 트렌디하고 고급화된 맞춤형 디자인으로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와 작품제작을 통해 텍스타일 분야에 있어 오리가미를 적용시킴으로써 오리가미의 발전가능성에 대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국내에서는 미비한 오리가미에 대한 연구를 본 논문을 통해 텍스타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these years, modern societies increasingly prefer designs incorporating trendy sensibility added with handicraft elements to uniform designs. In other words, modern societies pursue customized high value-added designs that are both unique and considered individual preferences not found in ready-made designs. They are products designed and sold focusing on strategies based on customization and high-end markets and such changes in the awareness of beauty has become a focal point for consumers to choose design. Textile field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reflecting such tren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mative textile expression based on origami in order to identity the possibilities of advance in origami of textile field through creative material development by applying origami into textile materials. Origami has formative structures transformed by the interconnection between one-dimensional lines and two-dimensional planes and by the interconnection between newly created planes and three-dimensional space forms. Applying origami into existing two-dimensional materials will produce three-dimensional materials. That is the transformation of textile material structures in its first phase through methodological elements of origami. Formative textile expressions this study is going to explain begin with the folding works of origami first. The second is the material recreated by connecting origami with textile materials. The third is one more formative textile expression created in the course of part destruction and creation of material transformed into three-dimensional forms through regular folding. The forth is the application of expression methods to maximize formative textile expressions based on the utilization of various textile techniques. Methods for the Study o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extiles Applying Origami, which is the theme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we will review the concept of origami including its definition, history, and variety for comparison and analysis. Second, we will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s to apply to this study found by categor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igami into rhythm, variability, and solidity and analyzing them to derive the images and characteristics for textile expressions to propose in this study. Third,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igami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s of designer works by dividing into interior design, fashion design, and fashion accessory design based on five-year data from 2010 to 2015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igami. Fourth,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origami into textile filed by producing and studying works focusing on interior fabric, fashion fabric, fashion accessory design through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basis resulting from the analysis and review of design examples reflecting theoretical review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igami. The study results of the research procedures explained above are as the following. First, we found out we could reform flat materials into three-dimensional materials by the application of origami into textile materials. Second, we were able to recognize rhythm, variability, and solidity that a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igami discovered in the materials reformed by applying origami into materials such as Tyvek, Chinese yam (ramie fabric), and Environment-friendly Polyurethane Artificial Leather Third, we were able to apply various new textile expressions based on different methods and expressive methods by maximizing formative textiles express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Itajime Shibori and heat setting press technique into reformed materials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igami. Fourth, it is possible to develop designs combining handcraft elements and trendy and high-quality customization as well as reflecting individual preferences based on high value-added designs in textile field if we apply folding methods to correspond to the principles of basic, repetition, and combination, the three principles of origami s well as the expressive methods of textile. By applying origami into textile field through this study and work production, we were a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dvance in the development of origami.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 of textile development through this paper based on the research of origami that has been a subject of insufficient research.

      •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플리츠 디자인의 특성 : 2009년 F/W부터 2012년 S/S 까지 패션 컬렉션지에 나타난 밀라노 파리, 뉴욕 컬렉션을 중심으로

        TAO SHA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leats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female fashion as they appear in the 'Collections' from '09 A/W to '12 S/S. Data collection of 1027 was done through review of 'prêt-à-porter Collections' of three cities; Milan, New York, Paris. Lastly,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and χ²- test and also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pleats design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ive types of pleats design were founded in the order of accordion, knife, box, inverted, and sunburst pleats. The frequency and ratio of pleats design occur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llection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pleats and their line characteristics of thickness, continuity, length, direction. = Thin fabrics with delicate fine folds were mainly appeared in accordion and sunburst pleats. On the other hand, midium thickness fabrics were used for knife, box & inverted pleats, however, the different images were projected according to the width and the number of folds, characteristics of fabrics and textures. = In all the type of pleats but sunburst, continuity line was appeared the most. The discontinuous lines were appeared the most in the layered types and, sometimes, at some construction lines to add some decorative details or design variations. = The long line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long one-pieces or long skirts of knife, accordion, sunburst pleats. While, the shorter lines showed the most frequently in box and inverted pleats, which mainly used for skirts or the lower part of one-piece. = For the line directions, the vertical lines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and followed by mixed and diagonal line. In mixed or diagonal lines, same type of pleat was repeated in one design. For diagonal lines, one direction was mainly used, however, the symmetrical arrangements or repeated diagonal pleats in various directions also used. In mixed lines, the type of one or two diagonal and one vertical line wa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3. The types of pleats showed some differences between seasons. The types of knife, accordion, and sunburst showed more frequently in the S/S collections and the types for box and inverted showed more frequently in the A/W collections. 4. The ratio of pleats design appearances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and closer to 30% in '12 S/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패션잡지에 나타난 디자인들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플리츠 유형은 무엇이며 유형별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9년 F/W~2012년 S/S시즌까지『GAP Collections』지에 나타난 파리, 밀라노, 뉴욕 컬렉션을 중심으로 총 1204개의 플리츠 디자인을 수집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자료 처리 방법은 기술통계와 χ²- test 그리고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3대 컬렉션에 사용된 플리츠의 유형은 모두 5개로 동일하였으나, 발생빈도율과 발생 양상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발생비율은 아코디언, 나이프 , 박스, 인버티드, 선버스트 플리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리츠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플리츠에 사용된 소재에 의한 선의 두께와 디자인에 사용된 플리츠 선의 연속성 여부와 길이, 그리고 선의 방향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플리츠 유형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 아코디언과 선버스트 플리츠는 얇은 두께의 소재로 된 폴드면이 좁고 가는 형태의 정교한 디자인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나이프, 박스, 인버티드는 중간 두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플리츠의 폭의 넓이와 수, 소재의 유연성의 정도와 텍스츄어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를 표출해 내고 있었다 (2) 선버스트 플리츠를 제외하면 모든 유형들에서 연속적인 선들이 주도적으로 나타났다. 비연속적인 선들은 주로 레이어링 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는 의복 구성선 위치에서 선을 일시 정지 시키거나 장식 등을 넣어줌으로써 플리츠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3) 나이프, 아코디언, 선버스트는 긴길이의 선들이 긴 길이의 원피스나 긴 스커트 등에 많이 사용된 반면, 박스와 인버트드 플리츠에는 짧은선들이 더 많은 비율로 나타났는데, 대부분 스커트나 원피스의 허리선 아래쪽에 주로 짧은 길이로 나타났다. (4) 선의 방향은 수직선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혼합형과 사선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선과 혼합형은 대부분이 한 디자인 내에서는 동일한 플리츠의 유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었고, 사선의 방향은 대부분이 한 방향만을 사용하였으나, 좌우 대칭이나 혹은 다양한 사선의 방향으로 여러개를 반복시키기도 하고, 방사선 형태로 배치하기도 하였다. 혼합선의 경우는 주로 사선을 한번이나 두 번 정도 반복시키고 직선을 한번 정도 반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셋째, 플리츠 유형은 계절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프, 아코디언, 선버스트 플리츠는 S/S 시즌에, 박스와 인버티드 플리츠는 F/W에 더 많이 나타났다. 넷째, 플리츠 디자인의 발생 빈도율은 09 F/W부터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면서 2012 S/S 년에는 거의 30%에 이르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