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경험 연구

        오지영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전업직장인이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의 본질이 무엇인지 밝혀 기술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하위 연구 문제는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이유, 둘째, 전업직장인은 상담대학원 과정에서의 경험,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에 관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생활 10년 차 이상으로 대학원 3학차 이상에서 졸업 1년 이내인 전업 직장인 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에 따라 9개의 상위주제, 21개의 하위주제, 85개의 구성된 의미로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참여자들의 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동기는 ‘현 직장에서의 불안감이 상담 직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상담 경험이 상담공부로 이끔’, ‘다양한 루트를 통해 상담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낯설고 힘들지만 수업을 통해 ‘나’를 찾아감’, ‘직장생활과 학업의 병행은 서로에게 시너지가 됨’, ‘다중역할을 감당하며 한계와 현실의 벽을 마주함’, ‘관계의 Good & Bad를 경험하며 대상의 다양성을 체득함’, ‘지금의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가족과 동료와의 관계에 선한 변화가 생김’이었다.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는 ‘직업으로서의 상담 현실을 인정하고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함’, ‘미래의 직업으로서 상담사를 꿈꾸며 준비해 나감’에 있다. 결론적으로 직장인으로 10년 이상 근무하며 안정적인 진로를 영위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새로운 분야인 상담학에 진학하게 되며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는 한마디로 ‘상담학을 통한 성장으로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하며 전문상담사를 준비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기업과 직장을 이해하는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밝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평생직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대사회에서 중년의 전업직장인이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를 이해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중년 직장인들이 상담 경험과 상담대학원 진학을 통해 자신을 수용하고 통합해가는 과정을 겪으며 자아실현과 성숙을 이루어 나가는 경험을 드러내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전업직장인,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질적연구, van Man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one han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people who are full-time employees and enrolled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counseling, and on the other hand, to reveal their meaning phenomenologically.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followering subtopics: first, the reason why full-time employees’ chos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second, their experiences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nd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selected seven full-time employe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 and less than one year of graduation from three or more graduate schools as study subject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inally analyzed with nine top topics, 21 subtopics, and 85 meanings according to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full-time employees to enter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re "facing anxiety about their current job leads to interest in counseling jobs," “getting counseling experience leads to study counseling," and "considering the entrance of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hrough various routes." Second,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full-time employee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major are "finding meanings through classes despite of facing unfamiliar and difficult situations," "combining work and study life creates synergy with each other," "facing limitations and walls of reality while playing multiple roles," "learning diversity of objects by experiencing Good & Bad of relationships", "accepting me as I am now" and "building goo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colleagues." Third,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o full-time employees lies in "recognizing the reality of counseling as a job and upgrading expertise at the current job" and "preparing for a counselor as a future job." In conclusion,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as full-time employees for more than 10 years and have a stable career will go to counseling, a new field, and the world of 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 "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ies upgrades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leads to preparation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rst, it is meaningful to reveal how full-time employees who understand companies and jobs experienced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Second, an example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experience experienced by middle-aged full-time employees in the process of seeking a new career path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jobs is emerging, was presented. Third,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study achieving self-realization and maturity of an individual through the process of middle-aged employees accepting and integrating themselves through counse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ntrance. Keywords: full-time employee, counseling studies, master's degree, qualitative research, van Manen.

      • 인터넷 과잉몰입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좋은 삶 모형(GLM) 기반-

        김은경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nternet Overindulgent Adolescents - Based on Good Lives Model(GLM) - Kim, Eun Kyung Major in Multicultural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Baekseok University This purposed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ood Life Model(GLM)-based 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nternet overindulgence adolescents. This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s. The program was held two sessions in a day for four weeks. It consists of (1) Life: Living and Surviving (2) Knowledge: Leaning and Knowing (3) Being Good at Work (4) Being Good at Play (5) Persnal Choice and Independence (6) Peace of Mind (7)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8) Community: Being Part of a Group (9) Spirituality: Having Meaning in Life (10) Happiness (11) Creativity. Eigh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ore Korean Internet overindulgence Scale(K-Scale for youth observers). The measurements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overindulgenc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date we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GLM-based 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et time, Internet overindulgence, Depression, Self-esteem, Self-control,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renting Attitude, School Life Adjus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LM-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be helpful to Internet overindulgence of adolescents. Key Word : GLM(Good Lives Model), Internet Overindulgence Adolescent, Group Counseling Program

      •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직무소진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곽원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에서 근무 중인 교정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감정노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때 직무소진과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해 보는 데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공무원의 자살생각을 완화하고 보다 건강한 공무원으로서의 직업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6개 교정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정공무원 276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척도, 자살생각 척도, 직무소진 척도(MBI-GS), 우울 척도(BDI)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직무소진과 우울의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acro Model 6으로 분석하고, 개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모두 Bootstrapping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그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그리고 우울은 모두 자살생각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감정노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소진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그리고 우울할수록 교정공무원들은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정공무원의 자살생각을 감경시키기 위해서는 교정공무원의 직장 내 감정노동의 강도와 직무소진의 경험, 그리고 우울 수준을 낮추는 방안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소진은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직무소진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교정공무원의 자살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직무 스트레스나 업무 부담감 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는 가운데, 교정공무원의 정신건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정공무원의 직무소진을 감경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우울은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즉 우울 역시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과 관련한 영향 요인에 대한 논의에서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언급되는 개인의 정서적 상태인 우울이 교정공무원들의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임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은 교정공무원의 업무 특성상 자살에 대한 생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울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교정조직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경감시켜줄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직무소진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 우울의 영향력은 정적으로 유의했지만 직무소진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직무소진과 우울이 공존하는 경우, 직무소진보다는 우울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공무원이 감정노동으로 인해 자살생각을 하게 될 때, 직무소진과 우울을 경감시키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이때 상대적으로 우울을 경감시키는 개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교정공무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변인 외에 자살생각을 저지할 수 있는 교정공무원 정신건강 주치의 제도, 전담 상담센터 운영,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등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확장 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the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at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plored ways to mitigate their suicidal ideation and help them lead a healthier occupational life as civil servants. To this end,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276 correctional officers at six correc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ith emotional labor inventory, a scale of suicidal ideation,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Collected data was put into the SPSS 26.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llowed to test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whose dual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with Macro Model 6. Both individual and dual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with bootstrapping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ain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labor, burnout, and depression of correctional officers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icidal idea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emotional labor and experiences with burnout, the more depression tended to result in more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e need to take interest in plans to lower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s with burnout, and depression levels of correctional officers at the workplace to relieve their suicidal ideation. Secondly, burnout wa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That is, burnout had direct impacts on suicidal ideation and also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show a need for plans to mitigate the burnout of correctional officers to keep their mental health at a stable level as job stress and work burdens are mentioned as critical factors in the rising number of suicide cases among them in recent years. Thirdly, depression was also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That is,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while having 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depression, which is a personal emotional state often mentioned as the most powerful factor in discussions about the influential factors of suicide,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ir depression firs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rather than the personal level to prevent their suicidal ideation despite the high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in the line of their work. Finally, burnout and depress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While depres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between them, burnou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hem, which suggests that depression has greater influences than burnout when they are introduced simultaneously in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Thus, it is needed to take into account the mitigation of burnout and depression and prioritize depression over burnout when correctional officers have suicidal ideation due to emotional labor. Based on thes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d to further expand discussions about a family doctor system for the mental health of correctional officers, the management of a devoted counseling center, and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 to deter them from having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that can have impacts on their suicidal ideation.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 외모만족도의 상관관계

        김민영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 외모만족도를 조사하고 세 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지식 전달 위주가 아닌, 본질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대학생들이 바르고 긍정적인 성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수도권, 경상권, 충청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총 43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무효를 제외한 403부를 사용하여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 전공, 거주형태, 가족 월 소득 수준에 따라서는 모든 요인들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대학생의 연령, 종교, 성장지역, 학교형태, 아버지의 교육정도, 주보호자에 따라서는 일부 요인들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전공에 따라서는 이공계열 학생들이 모든 요인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거주형태에서는 자취 집단의 평균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고, 가족 월 소득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 성태도, 성행동, 외모만족도가 500만원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지식은 100만원 미만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연령에 따라서는 성의식, 외모만족도에 대해서만 연령이 높을수록 평균값이 높게 나왔으며, 종교에 따른 차이는 성태도, 성행동에서만 나타났는데, 무교 집단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무교 집단과 기독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독교 대학생이 무교 대학생에 비해 성태도가 보수적이고 성행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장지역에 따라서는 서울 지역에 사는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성행동, 외모만족도가 타 지역 대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형태에 따른 차이는 4년제 대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성행동, 외모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부모님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아버지의 교육정도가 대학원 졸업 이상일 때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난 반면,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주보호자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보호자가 본인 스스로인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성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성지식, 성행동, 외모만족도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성태도와 외모만족도는 연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태도와 자아존중감은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개인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자아존중감, 성의식, 외모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으며, 자아존중감, 성지식, 성행동, 외모만족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기존의 지식 전달 위주의 성교육 프로그램, 또는 부모교육 프로그램보다 본질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대학생들의 올바른 성의식은 가정에서 어릴 때부터 형성되어오는 것이며, 그와 관련된 성교육 또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이의 중요성을 뜻한다. 본 연구 결과가 주는 의의는, 성의식과 외모만족도와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있다. 또, 외모지상주의인 사회 분위기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대학생들의 외모만족에 대한 집단별 특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성의식, 외모만족도, 이 세 요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것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보다 본질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어머니의 양육태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에 따른 틱 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 틱 증상 심각도에 관한 연구

        김미자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정신장애로 인해 소아정신과를 찾는 아동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틱 장애는 아동과 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 틱 장애 아동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의 심리적 특성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에 따른 틱 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틱 증상 심각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가 아동을 잘 양육하고 지지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을 위해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아동의 틱 증상 호전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어머니․ 아동 각 5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입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현재 연령과 틱 장애 종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아동의 틱 증상 심각도는 틱 증상 발병 연령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 및 자율적 태도와 정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고, 거부적 태도와는 부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아동의 틱 증상 심각도는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 및 자율적 태도와 부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고 거부적 태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정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고, 어머니의 문제형 의사소통과는 부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아동의 틱 증상 심각도는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부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고 어머니의 문제형 의사소통과는 정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아동의 틱 증상 심각도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부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틱 증상 심각도와 부적인 상관관계와 차이를 보였다. 틱 증상은 신경생물학적인 원인과 심리적인 문제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는 변인 연구와 함께 고려되어 연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틱 장애 아동을 치료하는 전문병원과 상담기관, 자조모임 기관 등의 협력으로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아동에게 틱 장애가 발생했을 때 대다수의 어머니는 틱 장애에 대한 이해와 정보부족으로 양육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모 자조모임의 활성화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아동을 포함한 가족에게 정보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틱 장애 아동의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의 적응을 돕고 지원 방안을 강화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기독교 가정 부모의 학령기 자녀 양육 경험

        고현정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학령기 아동은 초등학교에 입학 후 학교생활과 또래관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다양한 변화와 성장을 한다. 이러한 아동의 변화에 기독교 가정의 부모는 부모로서의 개입과 다양한 심리사회적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기독교 가정 부모의 양육 과정에서의 개입과 양육경험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하위 연구 문제는 기독교 가정의 부모들이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개입하는가, 그리고 어떠한 심리사회적 경험을 하는가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령기 자녀를 둔 기독교 가정의 부모 11명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9월 파일럿 인터뷰를 시작으로 2022년 1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분석방법에 따라 18개의 주제군, 43개의 주제, 100개의 구성의미로 최종분석 되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참여자들의 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독교 가정의 부모들은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자녀의 수준에 적합한 신앙훈련법을 고민함’, ‘신앙의 본이 되고자 노력함’, ‘자녀에게 신앙훈련의 습관이 형성되도록 자녀와 함께 말씀, 기도, 찬양의 시간을 가짐’, ‘바른 신앙의 성품을 가지도록 지도함’, ‘실생활의 어려움을 신앙적으로 해결하도록 조언함’, ‘비기독교문화를 분별할 수 있도록 교육함’, ‘자녀의 신앙을 위해 미디어를 선용하는 방법을 고심함’의 개입을 하였다. 두 번째,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기독교 가정의 부모들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원가족에서의 신앙 경험이 현재의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실감함’, ‘신앙생활을 가볍게 여기기 시작하는 자녀로 인해 노심초사함’, ‘자녀가 학교에서 세속적인 문화에 노출되는 것이 곤혹스러움’, ‘신앙훈련을 통해 자녀가 신앙의 확신을 갖기를 갈망함’, ‘자녀에게 좋은 신앙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에 버거움’, ‘배우자와 합심하여 일관된 신앙적 양육태도를 취하는 것이 어려움’, ‘신앙 안에서 양육한 자녀가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근심스러움’, ‘문제 상황을 자녀의 신앙훈련의 기회로 선용하는 가운데 감사함’,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하나님을 의지하며 든든함’, ‘기독교 가치관이 형성된 자녀를 보며 보람됨’, ‘기독교 양육 과정에서 자녀와 함께 신앙 성장을 경험하여 행복함’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 가정 부모의 학령기 자녀의 양육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기독교상담자들이 앞으로 상담현장에서 만날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기독교 가정 부모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확장하여 안정적인 상담관계를 맺도록 상담의 방향과 구체적인 계획과 전략을 세우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School-age children experience many changes and growth in their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In this process of change, parents in Christian families experience parental involvement and various psychosocial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volvement and experience of parents in Christian families in raising school-age children. The sub-research questions are how parents intervene in the upbringing process of their school-age children and what psychosocial experiences they have during this process. 11 parents from Christian families with school-ag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ilot interviews in September 2022 and in-depth interviews until December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analysis method, resulting in 18 categories, 43 clusters, and 100 themes. The analysis identified two main themes. First, parents in Christian families intervened in the upbringing process of their school-age children by 'using appropriate faith training methods based on their children's level', 'striving to be a role model of faith',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 for faith training', 'guiding their children to develop good Christian characteristics', 'helping their children to solve real-life problems within faith', 'educating their children to avoid secular culture', 'selecting and controlling media to nurture their children's faith training habits'. Second, parents in Christian families, who are raising school-age children, values experienced various psychosocial experiences during the upbringing process, including 'realizing that their children's faith experience in childhood affects their current parenting', 'worrying about their children's neglected faith life and training', 'feeling perplexed that their children are exposed to secular education and culture in school and peer relationships', 'feeling burdened to be a good example of faith to their children', 'feeling upset that they cannot raise their children with faith together with their spouse', 'worrying about social problems in their children despite Christian upbringing', 'feeling grateful for viewing their children's problem situations as opportunities for faith training', 'relying on God in the parenting process', 'feeling proud of their children's Christian values and character formed through upbringing', and 'experiencing happiness in growing in faith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during the upbringing proc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henomenologically analyzed the parenting experience of school-age children of parents in Christian families. The findings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hristian counselors to expand their practical understanding of parents in Christian families who are raising school-age children whom they will meet in the counseling field in the future, and to establish a counseling direction, specific plans, and strategies to establish a stable counseling relationship.

      • 비행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적 기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박은주 백석대학교 상담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학교 적응을 위한 사회적 기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YS중학교에서 비행행동으로 징계 받은 경험이 있는 여학생 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통제집단 8명과 비교하여 비행청소년의 학교 적응을 위한 사회적 기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학교적응 유연성, 대인관계 변화, 학교생활 부적응 행동, 청소년 문제 대처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기간은 2011년 11월 7일부터 12월 21일까지 매주 2회씩 총 12회를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추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5%(α=.0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분석과 실험군과 통제군의 그룹별 동질성 확인과 사후 변화의 차이검증을 위해 Mann 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는 그룹 내 평가결과의 사전․사후차이 사후․추후차이 검증을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으로 인한 학교부적응 학생이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으로 학교 적응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Z=-2.380 p=.017). 둘째, “비행으로 인해 학교부적응 학생이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으로 학교 부적응 행동을 감소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Z=-2.521, p=.012). 셋째, “비행으로 인한 학교부적응 학생이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으로 대인 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Z=-2.100, p=.036). 넷째, “비행으로 인한 학교부적응 학생이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 대처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Z=-2.251, p=.012). 다섯째, “비행으로 인한 학교부적응 학생이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프로그램의 효과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추후 검사에서 프로그램 실시전보다 사회적 기능의 증진이 효과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사회적 기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비행으로 인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에게 학교 적응과 사회적 기능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비행 청소년 프로그램이 격리 수용된 대상으로 연구된 것과는 차별화된 것이다. 대상 청소년들은 현재 학교에 다니고 있어 가족이나 교사 및 또래 친구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점이 보호요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교부적응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에서 기존의 학교에서 격리된 비행청소년들에 비해 그 심각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과 재범의 가능성이 공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미 비행 청소년으로 분류되어 학교를 이탈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료적 개입을 하기 보다는 예방적인 차원에서 학교 내의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상담개입을 적용하는 것이 개인적 및 사회적 차원 모두에게 보다 큰 효과를 보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학교 안에 있는 비행청소년을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돌보고 개선시킬 수 있는 전문가가 매우 부족하다. 기존의 학교 상담자들은 보통의 청소년들을 다루고 있으나, 비행청소년을 다루는 데는 전문성이 부족하여 프로그램 자체가 실행이 잘 되지 않는 실정이다. 비행청소년 상담 경험을 쌓은 전문가가 양성되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그에 따른 결과를 관찰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 이혼소송 중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현상 연구

        박효순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판상 이혼소송 중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들의 심리적인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연구 대상이 되는 어머니의 자녀 양육권 주장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가정 및 사회적인 지지체계를 확보하며 법원에서 재판상 이혼의 핵심 주제가 되는 자녀양육권 지정을 위한 상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가정법원에 재판상 이혼을 청구한 부부 중 초등학생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소송 중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배경 요인에는‘가정은 고통과 복종의 자리’,‘남편으로 인해 부부관계가 와해됨’,‘자녀로 인해 이혼하지 않으려고 인내함’이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이 원가족에서 수치스러운 양육을 받은 경험과 결혼생활의 고통이 자녀양육을 주장하는 배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집안 일로 쉬지 못하고, 남편에게 폭행을 당하는 등 원가족에서의 고통스러운 삶을 연장하고 있으면서도 자녀로 인해 굴욕적인 결혼생활을 견뎌내고 있었다. 둘째,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현상은‘자녀에 대한 모성애적 자기사랑’,‘자녀에 대한 연민’,‘좋은 엄마로 남고 싶음’,‘자녀 유기에 대한 불안감’,‘양육 실패에 대한 두려움’,‘양육권 주장에 대한 부담감’,‘이혼소송으로 우울함’,‘몸부림치며 양육권 주장하기’등이 있었다.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가 경험하는 중심 현상으로는‘자녀에 대한 모성애적 자기사랑으로 몸부림치며 양육권 주장하기’라는 본질적 주제군이 발견되었다. 이혼소송 중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들은 자녀는 곧‘나’이며 자녀를‘가슴에 못 박힌 존재’,‘장기(臟器)라도 팔아서 다 해주고 싶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무조건적인 모성애를 바탕으로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며 자신의 채워지지 않은 공허한 마음을 자녀를 사랑하며 메워가고 있었다. 즉 부모와 남편으로부터 채워지지 않은 심리적인 빈 공간에 자녀를 마치 자신인 양 채움으로써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남편에게 분노하며 자녀와의 갈등으로 좌절하면서도 몸부림치며 자녀양육권을 주장하고 있었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양육 의지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소송 중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의 변화와 회복의 전망으로‘관계의 주체로 타인을 수용함’,‘꿋꿋한 어머니로 새롭게 출발하기’가 있었다.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들은 자신에 대한 인식이 통합되고 남편에 대한 감정이 정리되면서 관계의 주체로 타인을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침체되었던 신앙이 회복되고, 어머니로 꿋꿋하게 살아남아서 자녀와의 관계에서 만족감을 찾으며 미래에 대해 희망을 가지고 새롭게 출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혼소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현상은 원가족의 수치스러운 피양육 경험과 결혼생활의 고달픔에서 비롯되었고, 부모와 남편으로 채우지 못한 심리적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자녀를‘나’처럼 인식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모성본능적인 자기사랑으로 몸부림치며 양육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이혼소송 중에 있는 여성들이 고통스러운 결혼생활을 벗어버리고 꿋꿋한 어머니로 새롭게 출발하며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함으로써 자녀양육권 주장에 대한 지식의 영역을 한층 더 넓혔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서울가정법원에서 현재 이혼소송이 진행 중인 실제 여성들의 자녀양육권 주장에 따른 심리적 경험에 초점을 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가정법원의 재판상이혼상담 현장에서 자녀양육권을 주장하는 어머니를 보다 더 잘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상담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면에서 법원 관계자나 이혼 상담자들에게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a Mother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during a Divorce Suit Hyo-Soon Park 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sychological phenomenon of a mother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and figure out essence and meaning of them. This study is hopefully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ounseling to designate child custody that is essential in a divorce suit and establish social supportive syste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7 mothers insisting on the child custody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7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ll the statements of participant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s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background factors of mothers insisting on child custody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are 'a concept that family is a field of agony and obedience', 'a thinking which marital relationship is collapsed by husband', 'enduring not to be divorced for children'. Shameful experiences in their original family and agony in marriage turned out to be background factors of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Participants have beared humiliating marriage life for their children. Second, psychological phenomena of mothers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are 'mother's instinctive self-love toward her children', 'pity on children', 'wish to be good mother', 'anxiety of being rejected from children and losing children', 'fear of failure on child-rearing', 'burden of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depression caused by divorce suit', 'struggling with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etc. As a core phenomenon which mothers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experience, essential subject-group called 'struggling to protect children equal to herself' is found. Mothers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recognized children as themselves, whom they are eager to protect at the sacrifice of themselves. It turned out that participants who insist on the child custody had satisfied their unfilled and dejected mind by loving their children with unconditional mother's instinctive love. In other words, participants put their children to emotionally unfilled mind caused by their parents and husbands considering the children as themselves and also it turned out that they had been establishing identity as mothers. Despite of their financial distress and continuous frustrations from conflicts with husbands, participants strongly insist on the child custody and their strong will seems everlasting under any circumstances. Third, as prospects of a mother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subject-groups are 'accepting others as a subject of relationship', 'restarting as a mother'. As divorce suit is processing, participants reflect themselves profoundly and grow meaningfully. According that mothers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aware themselves and emotions are cleaned up, they accept others as a subject of relationship. It turned out that they recover religious faith, survive bravely as a mother and find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restart toward their future with hope. In conclusion, psychological phenomena of mothers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in the process of divorce suit are caused by shameful experiences in original family and toilsome marriage, and even under difficult situations, they struggle to insist on the child-custody to fill psychological emptiness recognizing their children as themselves with mother's instinctive love. This study has several meanings. First of all, this study tried to broaden perception of insisting on the child-custody by describing process for women to come out of toilsome marriage and grow restarting new life in detail and depth.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is found by the fact that it focuses on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women who are actually involved with ongoing divorce suits. Si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give a hand to understand women to insist on the child-custody during a divorce suit, I expect this research will be a valuable data in terms of providing therapeutic data to counselors and lawyers.

      •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최효숙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청소년들을 상담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모 건강가정 지원센터에 상담 의뢰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뉴로 피드백 뇌파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자기조절력 지수가 낮게 나온 청소년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적인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절차에 따라 질적 분석을 하였다.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정서적 특성으로 이중적인 감정이 있고 내면에 두려움과 불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억울한 마음에 복수심을 느끼고 마음 깊이 섭섭함과 실망감을 갖고 있으며 우울한 마음이 많다는 것이 발견 되었다. 특히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은 분노나 억울함 등의 부정적 정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정적 정서는 하나가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감정들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그들의 부정적 정서를 더욱 강화 시키고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의 인지적 특성으로는 학생으로서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자신의 주변 환경과 주위 사람들을 불신하며 학업보다는 돈에 더욱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음이 발견 되었다. 또한 비합리적 사고의 하나로 자신이 작은 잘못에도 부당한 폭력에 노출되었던 것처럼 자신에게 잘못한 또래나 후배에 대해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생각은 자신이 행하는 물리적 폭력을 정당화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학업보다 돈에 가치를 부여하고 중요시 여기는 사고는 오늘날 팽배해진 개인주의와 배금주의 사상으로 인한 비합리적 사고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시사해 준다. 한편 학생으로서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은 학교와 학생이라는 신분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갈등을 빚는 또래나 교사와의 신뢰롭지 못한 관계로 인해 더욱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의 행동적 특성으로는 순간순간 기분에 따라 충동적인 행동을 하며 매사 쉽게 포기를 하거나 비행을 일삼고 있었다. 그리고 권위에 대항하고 화가 나거나 분노를 느끼면 폭력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분노와 폭력성은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을 향하기도 하여 자해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이 발견 되었다. 또한 자신이 하고 있는 행동을 인식하지 못하고 주의가 산만하며 부주의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들의 관계적 특성으로는 가족의 불화로 불행한 어린 시절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움을 필요로 했을 때 적절한 도움을 받을 만한 곳이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족으로부터 충분한 지지와 사랑을 받지 못하고 공감과 수용을 얻지 못하면서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해 가족을 싫어하며, 감정적으로 관계를 끊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자신의 감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계를 단절하여 제한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처럼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은 정서나 사고 행동 및 관계패턴이 하나의 독립된 형태로 작용되지 않고 서로 맞물려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참여자들은 열등감속에 문제를 회피하며 분노를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는데 이러한 심리적 특성은 그들의 정서에 영향을 끼치고 그 정서는 다시 사고 과정에 영향을 주어 행동을 표출시키고 이러한 행동은 또다시 참여자들의 관계 패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비자발적이면서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을 상담함에 있어 그들이 보이는 말과 행동의 이면에 있는 심리적 동기와 사고의 배경을 이해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상담자와 내담 청소년들과 친밀한 라포를 형성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상담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고 나아가 상담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독교인 성인의 애착과 종교성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기독교인 성인의 애착과 종교성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교회에 출석하는 기독교인 성인 중 교회의 임원 및 신학생, 교역자 등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결혼만족도, 종교성향, 애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종교성향과 애착이 결혼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애착과 결혼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내재적 종교성향과 결혼만족도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애착과 종교성향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중 내재적 종교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결혼만족도가 낮다는 것은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이전의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기독교인 중 목회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연구의 결과와는 동일하게 내재적 종교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결혼만족도가 낮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교가 자신의 삶에 내면화된 내재적인 종교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결혼만족도가 낮다는 것은, 부부와 가정의 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의 현재와 마찬가지로 교회 공동체도 부부와 가정의 위기에서는 예외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내재적 종교성향의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신학생 및 목회자들의 부부 및 가족관계를 면밀히 분석하고, 가족의 중심인 부부관계의 회복과 성장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s that attachments and religious orientation of Christian adults have on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82 individual Christian adults whom attend church and serve as church staff members, theology seminary students, and ministers. Research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s of marital satisfaction, religious orientation, and attachm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o verify religious orientation and attachment’s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Research findings showed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whil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Verification results of th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which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and religious orientation showed no meaningful interaction. In the research findings, people with hig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having low marital satisfaction showed contrary results from research findings of precedent studies targeted at Christians. However, identical to researches targeted specifically to ministers within Christians, people wit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showed to have low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earch finding that people wit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ternalized in their lives having low marital satisfaction, it signifies that church communities are not excep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which experience crisis in married couples and families. Further detailed analysis on intrinsic religious oriented Christians focused on theological seminary students and minister’s couple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and detailed measures an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for the restoration and growth of married couple relationships centered on family. * Major Terms: Attachment, Religious Orientation, Marit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