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민주화 이행에서 김대중의 역할 1980~1987년

        전재호 ( Jeon Jaeho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기억과 전망 Vol.0 No.35

        이 글은 한국의 민주화 이행에 참여했던 여러 세력 중 정치사회의 역할이 과소평가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정치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던 김대중의 역할을 고찰했다. 그는 군부 권위주의 정권에 의해 많은 탄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국내외에서 한국의 민주화를 위해 많은 활동을 전개했다. 김대중은 1982년 12월 미국으로 추방된 이후 언론과의 인터뷰 및 대중 강연을 통해 군부 권위주의 정권을 지원하는 레이건 정부의 대한 정책을 비판했고, 한국 민주화운동에 대한 미국인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그의 활동은 한국의 민주화를 지지하는 미국 언론과 의원들이 레이건 정부에 압력을 넣도록 만들었다. 이는 직간접적으로 레이건 정부의 대한정책 및 민주화운동에 대한 전두환 정권의 정책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985년 2월 귀국 후 김대중은 김영삼과 함께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했다. 그는 민주화를 위해서는 참여 세력 모두의 연합을 통한 민주화운동의 구심체 형성과 중산층 및 미국의 지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참여세력들의 연합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학생운동 및 사회운동의 급진성을 비판하면서 비폭력, 비용공, 비반미의 3비 원칙을 주장했다. 결국 김대중의 의도대로 1987년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세력이 국민 운동본부로 결집했고, 직선제 개헌 구호를 통해 중산층이 대거 참여하면서 1987년 6월 민주항쟁은 승리했다. 비록 정치사회의 분열로 인해 민주화 세력이 집권에 실패했을지라도, 1980년대 민주화 이행에서 정치사회와 김대중이 했던 중요한 역할은 평가절하될 수 없다.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ole played by political society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f South Korea in the 1980s has been underestimated,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of Kim Dae-jung, one of the key players in this society. Throughout the 1980s, Kim Dae-jung was engaged in various kinds of domestic and overseas activities related to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despite severe oppression of him by the authoritarian regime. Through interviews and public lectures during his exile in the United States, which began in December 1982, Kim Dae-jung criticized the Reagan Administration`s backing of South Korea`s military regime and appealed to the U.S. public for support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His activities enabled the U.S. media and members of Congress in favor of South Korean democratization to put pressure on the Reagan Administration. The evidence shows that this pressure influenced the U.S.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the policy of the Chun Doo-hwan regime toward the domestic democratization move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ter returning to Korea in February 1985, Kim Dae-jung, together with opposition party leader Kim Young-sam, led a nationwide fight for a constitutional amendment that would proclaim a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Furthermore, Kim Dae-jung realized that the succes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depended on a coalition of all the forces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as well as support by the middle class in Korea and sympathetic allies in the U.S. As a result, while working to form such a coalition, he also criticized radical student and social movements and argued for the three principles of nonviolence, non-pro-Communism, and non-anti-Americanism. In 1987, most of the forces participating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formed a coalition, the National Movement for the Democratic Constitutional Amendment. This coalition attracted broad participation by the middle class, under the banner of a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a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and led to the historic victory of the June Democratization Struggle in that year. Although the democratic forces failed to take power immediately, the success of opposition parties in the general election in 1988 contributed greatly to further progress in democratization in Korea, reinforcing this article`s thesis: that the political society and, in particular, Kim Dae-jung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in the 1980s.

      • KCI등재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의례의 분석을 통해 본 진보적 여성연대 한국여성대회(1985~2016년)를 중심으로

        신상숙 ( Shin Sang-sook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기억과 전망 Vol.0 No.35

        지구촌의 대표적인 기념일로 자리 잡은 `3·8 세계여성의 날`과 이를 기념하는 의례는 각국의 여성들이 해당 사회의 조건 속에서 자신들의 필요와 열망을 표출하고 여성들 간의 연대를 확장하는 기능을 해왔다. 3·8 세계여성의 날이 국경을 초월한 여성연대의 상징이라면, 이를 기념하는 행위는 지역화된 여성운동의 동원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과거를 기념하는 의례가 저항의 의미를 함축하고 현재의 운동에 대하여 내재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때, 그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의례에 대해서도 `운동`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부터 3·8 국제부인데이를 기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시작되었으나, 이 기념의 전통은 분단과 전쟁을 거치면서 남한 땅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처럼 명맥이 끊겼던 기념의 실천을 되살린 것은 1980년대에 군사독재 시기에 등장하여 여성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던 진보적 여성단체들이었다. 이 단체들이 1985년에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개최한 제1회 한국여성대회는 그 출발점으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한국여성대회`는 진보적 여성단체들의 연대를 촉진하여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출범(1987)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연합운동의 존재는 국경과 지역의 경계를 횡단하는 3·8 기념의례의 지속성과 여성연대의 확장에 일조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여성대회`를 비롯하여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여성운동의 집합적 실천의 역사를 조명함으로써 기념의례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상을 분석하고, 3·8 여성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들을 짚어보는 것이다. 지난 30여 년간 부단히 이어진 `한국여성대회`는 여성운동의 입장과 요구를 대외적으로 선언하는 집회에서 문화적 축제로 그 의례의 형식과 내용이 변모하면서 발전해왔다. 이 글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 `한국여성대회`를 중심으로 기념의례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지역의 차원에서 이뤄진 3·8 기념의례의 확산 과정을 아울러 살펴본다. International Women`s Day and various events to celebrate it have contributed not only to expressing their needs and aspirations but also strengthening solidarity among women in each socie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mmemoration ceremony of International Women`s Day, which is held around March 8 every year, is a local mobilization process of the women`s movement with a global symbol of women`s solidarity. In Korea, the commemoration of the International Women`s Day commenced in the 1920s,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However the act of commemoration disappeared in the South Korean territory through the Korean division and the Korean War. It was the progressive women`s organizations that emerged in the 1980s,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that revived the tradition of commemoration. The progressive women`s groups participating in the new women`s movement in pursuit of social democracy held the first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on March 8, 1985. This is importan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oalition building, which made it possible to launch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KWAU), the umbrella organization of the progressive women`s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ctive practice of the women`s movement in commemoration of International Women`s Day such as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has been developed from a rally declaring the positions and demands of the women`s movement to cultural festivals by changing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ritual.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from 1985 to 2016, and examine the proliferation process of the rituals held at the local level.

      • KCI등재후보

        특집 1 :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학생운동연구 ; 학생운동가들의 노동운동 참여 양상과 영향 -1970년대를 중심으로

        유경순 ( Kyeong Soon Yoo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기억과 전망 Vol.0 No.29

        1960년대 말 학생운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학생운동가들이 노동현장 투신을 시도하거나 이념서클을 형성한 것이었다. 이런 움직임은 전태일 분신사건 이후 더욱 활발해졌다. 그 결과 1970년대 후반기에 학생운동에서는 노동현장론이 등장했고, 직접 노동운동에 참여하는 이들도 있었다. 이들은 사회주의, 반독재운동, 민중주의 등의 의식이 혼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노동현장에 투신한 이들은 장기적인 관점으로 기술습득을 한 뒤 1970년대 후반기에 취업을 했기에 민주노조운동에 영향을 행사하지 못했고, 한국노총과 종교단체의 실무자로 활동한 이들은 개인적으로 민주노조 지원활동을 벌였을 뿐이다. 유일하게 크리스천 아카데미의 활동가들이 노동교육을 매개로 노조간부들의 정치의식화와 새로운 노조운동의 주체형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1970년대 학생운동세력의 변화는 1980년대 학생운동세력의 노학연대 활동과 집단적인 노동현장 투신의 바탕을 이루었다. In the late 1960s there was a change in the student movement. Student activists actively attempted entering workplace or formed the ideology circles after the events of the Jeontaeil. Their consciousness was mixed with Socialism, Bandokjae movement, and Minjung-ism(or populism). However, they did not exercise the influence on Democratic Trade Union Movement because of the late employment. And as the officials of Korea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and of religious groups, they personally supported the democratic trade union activities only. Activists of the Christian Academy solely attempted to form the political education for the trade union leaders, and make the key men of a new trade union movement. In the base of these changes of the student movement of the 1970s, the student movement in the 1980s constituted Nohak(Labor-Student) solidarity and entered the workplace collectively.

      • KCI등재후보

        특집 2 : 민주화운동단체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3 ; 가톨릭 노동운동의 재평가를 통한 현 노동운동의 대안 모색 -대구노동사목의 활동을 사례로

        김상숙 ( Sang Sook Kim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기억과 전망 Vol.0 No.29

        이 글에서는 대구노동사목의 활동을 사례로 최근 한국 노동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톨릭 노동운동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했다. 한국의 가톨릭 노동운동은 1970년대 왕성했던 가톨릭노동청년회(JOC, 이하 지오세)의 운동과 1970년대 후반부터 진행된 가톨릭노동사목의 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노동사목은 지오세 출신의 평신도들이나 수도회 소속 수도자, 성직자들이 공단 주변 노동자 주거지역에서 노동자들과 함께 살면서 시작되었는데, 가톨릭 노동청년의 자주적 조직의 성격을 가진 지오세와는 달리 사업장 밖 지역 현장에서 노동자의 삶의 문제와 노동조합 운동을 지원하는 지원조직으로 활동했다. 대구노동사목은 1985년 제도교회 밖에서 평신도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 조직은 1990년대 초반까지는 교육, 상담, 조직활동을 하고 노동탁아를 하면서 대구지역노동조합연합 건설에 적극적으로 기여했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는 ``낮은 곳 중의 낮은 곳을 찾아간다``는 기치하에 작은 공장 미조직 노동자들의 권리를 찾기 위한 활동을 주로 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에는 여성노조 대구경북지부와 대구여성노동자회를 결성하여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자기발견 교육``과 같이 노동자의 영성을 일깨우는 교육을 중시하며, 노조 활동에서 조합원을 주체로 세우고 투쟁 목표에서 공공성을 추구하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가톨릭의 생명 · 평화 사상과 공동체주의 사상을 신사회운동의 생태주의, 여성주의 사상과 결합시키면서, 지역사회운동과 적극적으로 연대하고 있다. ``돌봄노동의 사회화`` 문제와 같이 일터(생산)영역의 의제와 삶터(재생산)영역의 의제를 함께 연결하여 해결하려는 활동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대구노동사목의 활동은 과거에 정치적 노동운동이나 전투주의 노동 운동이 주류를 이뤘을 땐 경제주의적인 것으로 평가절하되기도 하고 정치적 노동운동단체의 활동을 보조하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신자유주의 체제하에 노동운동의 조건이 변화된 상황에서, 탈근대적 노동운동과 대안적 조직을 추구하는 대구노동사목의 활동방식을 통해 기존 노동운동에 대한 대안적 요소들을 찾을 수 있다. The Korean Young Christian Workers(Jeunesse Ouvriere Chretienne, JOC hereinafter) movement led on to the movement of the Catholic Labor Pastoral in the late 1970s. Laymen originating from JOC, nuns, monks and priests lived together with laborers in their residential district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 and their labor apostolate activities began there. They stood for the rights of laborers on sites outside workplace as a professional organization endorsing the labor union movement. The Daegu Labor Pastoral was formed mostly of laymen in 1985 outside the circles of the institutional church. Up until the early 1990s, the organization conducted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 counseling, organizational activities and taking care of children, thus actively contributing to construction of a labor union in Daegu. Since the mid-1990s, it sought to protect the rights of laborers that did not belong to any organization in small factories under a slogan that went, "We reach out to the lowest of all." Since the 2000s, they have focused on the Korean Women`s Trade Union. It focused on education to awaken the religiosity of laborers through courses such as ``Education on Self-Discovery`` and to put union members on the forefront for labor union activities, while seeking for the public value in achieving its goal for winning in strife. Converging the community spirit of Catholicism and peace for life with ecology and feminism, the organization passionately aligned with local civic movements. Moreover, like the issue of ``socialization of care-giving labor``, activities are underway that link the assumptions for workplace (production) and the agenda for living place (reproduction). Activities of the Daegu Labor Pastoral used to be downgraded mainly due to the economic principle at a time when political and militaristic labor movements were mainstream. However, under the new liberalism scheme, it`s activities included alternative elements to the existing labor movements.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통일운동의 프레임 분화

        안리라 ( Li Ra Ahn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5 기억과 전망 Vol.0 No.33

        이 연구는 한국의 통일운동이 1987년 이후 국내·외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민족·민주프레임에서 시민·평화프레임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사회운동의 프레임 이론을 활용하되 사회운동이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해가는 모습을 구조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프레임 분화``를 제안한다. 프레임 분화란사회운동의 프레임이 기존의 프레임과의 연관 속에서 다양한 형태 및 갈래의 프레임으로 나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프레임의 구조변동이라 할 수 있다. 프레임 분화 양상의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이 글에서는 운동정체성과 운동이슈를 두 개의 축으로 하여 통일운동을 유형화하였다. 그중에서도 민중지향적 평화통일운동, 시민지향적 통일운동을 시민·평화프레임을 구성하는 새로운 유형의 통일운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통일운동의 프레임 분화를 추동한 정치적 기회구조로 국제적 차원에서는 탈냉전 질서의 형성과 세계화의 확산을 지적하고, 국내요인으로는 민주화 확대 및 햇볕정책으로 대표되는 대북정책 기조의 변화 등을 주요하게 설명한다. 이를 통해 통일운동 변화의 구조적 맥락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 운동 전개의 장기적 방향을 예측하는 데 일조하여 새로운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frame differentiation in Korean Unification movements and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which affect this differentiation. The concept of ``frame differentiation`` means that the initial frame is divided into several parts as relating to former frame. This is suggested to capture the changing aspects of social movements in social structural context. To study effectively, the typology of Korean Unification movements is accomplished as based on the two factors, the belief which the members of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pursue and the issue of social movements`` activities. Civil frame centered on peace includes people-oriented movements for unification·peace and citizen-oriented movements for unification. This research indicates some primary factors-start of the post-Cold War era, rising of globalization, increasing the level of democratization in Korea, change in the mood of Korean policies for unification, as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at lead differentiation of unification movements.

      • KCI등재

        한국의 저항주기 궤적과 역사적 사회운동의 형성 -저항사건분석, 1960~1987

        홍성태 ( Sung Tai Hon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기억과 전망 Vol.0 No.34

        이 연구는 한국 민주화운동의 저항주기와 그 궤적을 실증적 차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저항사건분석의 연구방법을 동원해 다음의 세 가지 물음을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첫째, 민주화운동의 퇴적층을 이룬 수많은 시위들이 시계열적 차원에서 어떤 형태의 저항주기 궤적을 형성했는가? 둘째, 공간적 차원에서 저항주기의 내적 구성은 어떠한가? 셋째, 주체적 차원에서 저항주기를 추동한 사회세력은 누구였는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민주화운동의 역사에서 저항주기를 주조한 집합적 저항의 동학에 더욱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민주화운동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상징의 해석과 재해석을 넘어 일련의 저항사건들로 이루어진 집합적 저항들의 거대한 퇴적층을 면밀하게 톺아보는 기초작업 위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seeks to empirically assess the protest cycles and their trajectories in South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Utilizing protest event analysis,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dealt with. First, what type of protest cycles trajectories were formed by various protests that make up the layer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trajectories of protest cycles are examined in terms of protest frequency, mobilization size and frame consistency. Second, how did the internal configurations of protest cycles in the spatial dimension; By looking at the regions of protests, geographical concentration and diffusion of protest cycles are reoriented empirically. Third, who were the main agents, social forces behind each protest cycles; Internal composition and the changes in the social forces participated in protest cycles are identified. Based on these inquiries,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s that formulated protest cycles in the history of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be understood in a more embracive fashion. Empirical assessments on democratization movements are in dire need of reorientation. Going beyond the discourses of symbols and reinterpretations, the massive layers within them are to be revisited and analyzed.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체코의 벨벳혁명과 민주화

        안승국 ( Seung Gook Ahn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4 기억과 전망 Vol.0 No.30

        1960년대 체코의 경제위기는 이른바 프라하의 봄이라는 체제개혁의 계기였다. 이 과정에서 시장경제의 도입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개혁이 추진되면서 정치를 비롯한 사회 전반의 개혁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68년 8월 소련군의 침공으로 프라하의 봄은 좌절되었으며 체코에서는 정상화를 통한 감시와 통제가 다시 지속됐다. 프라하의 봄 이후 20년에 걸친 후삭 정권은 1989년 동유럽에 확산된 민주화의 물결에 따라 전환에 직면하게 됐다. 체코의 민주화는 공산정권이 반대세력의 정치적 요구를 수용함에 따라 시작됐다. 소련군의 프라하침공을 항의하는 시위를 계기로 반체제운동이 전개되었고 이른바 벨벳혁명을 통해 40년간의 공산당 지배체제가 종식됐다. 체코의 체제변동과정은 크게 탈공산화 시기, ``정상화`` 시기, 민주화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탈공산화 시기는 1963년 지식인들의 개혁운동부터 1968년 프라하의 봄까지이며 정상화 시기는 후삭 정권 등장 이후 20년간, 민주화 시기는 공산정권의 붕괴와 1990년 이행선거를 포함하는 기간이다. 체코에서는 이행선거를 통해 공산당 일당독재가 종식되었고 민주주의체제가 수립되었지만 많은 시행착오와 난관에 직면했다. 특히 정당의 형성과정이 단기간에 참여폭발의 형태로 이루어지다 보니 비정상적으로 분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당의 분열은 이념 및 정책과 더불어 인물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우파 개혁세력들의 능력부족도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전문성과 관리능력의 한계는 정책실패를 유발하여 무능한 정부로 전락되는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우파 개혁세력에 대한 반발은 좌파세력의 재등장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전반적으로 체코의 체제이행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신정부는 정치개혁을 통해 절차적 민주주의의 조건을 형성시키는 데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 따라서 이제는 민주제도의 안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절차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실질적 민주주의를 구축해 나가야 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Czech`s democratic transition was led by negotiations between the ruling forces and the opposition forces. The transition process involved a distinct sequence of stages. First, the ruling forces engaged in political liberalization and began to lose control power. The opposition established the Civic Forum and exploited the opportunity of challenge. The Civic Forum expanded political demands like nationwide election and political reform. Second, the ruling forces reacted forcefully to suppress the opposition and the opposition pushed the regime strongly. The ruling and opposition forces perceived a standoff and began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 democratic transition. Therefore Czech`s democratic transition was marked by cycles of challenge and repression. Such cycles eventually led to bilateral agreements of democratic transition. The political process through negotiated agreements resulted in political reform and transition elections. Third, Czech`s transition election, the 1990 general election and took place through a pact between the ruling and the opposition forces. With the election, Czech moved from the communist rule to the democratic regime.

      • KCI등재후보

        참여민주주의와 사회적 배제 1987년 6월 민주항쟁기에 대두된 "여성정치세력화운동"에 대한 이론적 검토

        최일성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2 기억과 전망 Vol.0 No.27

        1980년대를 거치면서 한국사회에서는 탈권위주의적 민주화가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여성운동 또한 크게 성장하였다. 1987년 2월에는 21개의 진보적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향후 여성운동의 실질적인 결집체가될 ‘한국여성단체연합’을 결성하게 되는 바, 그로부터 여성운동의 흐름은 ‘민주화운동’ 차원에서 소위 ‘여성정치세력화운동’ 차원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의 의의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 여성계는 주부, 청년여성 등좀 더 광범위한 계층의 ‘정치적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합법적 운동공간의 의미를 부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도정치에의 여성참여 증가현상을 토대로 한국사회의 여성들의 민주적 주체성이 실질적으로 향상되었다고 평가할 수 없음이 분명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1987년 6월 민주항쟁기에 대두된 ‘여성정치세력화운동’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nflicts and crises attached to the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at the time of the June 1987 Democratic movement in South Korea while the country's polity was in a state of transition from an authoritarian to a democratic order. According to several feminists,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was understood from a political, collective and bottom-up perspective, and operationalized via political participa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main hypothesis: this movement stimulate more directly and intentionally women's democratic subjectivity. But this paper argue that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contrary to the original assumptions of their thesis, not only need to be focused on the public woman, but also on the problem of the social exclusion.

      • KCI등재후보

        특집 1 :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학생운동연구 ; 운동의 혁명적 개조와 이념의 퇴행성, 이중성의 딜레마 -민중민주(PD)파 학생운동의 집합적 특성 연구

        고원 ( Won Ko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기억과 전망 Vol.0 No.29

        1980년대 초에서 1990년대 초까지 민족해방(NL)파와 함께 학생운동의 양대 세력을 형성했던 민중민주(PD)파 학생운동은 변혁운동의 전통적 관념, 노선, 방법들을 대체하는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고자 했다. 그들은 한국에서 자본주의의 고도의 발전 현상을 과학적 변혁운동이론의 틀 속에 담고자 했고, 정서적 인간관계에 기초한 학생운동의 불철저성을 과학적 이론에 입각한 토론과 논쟁 그리고 혁명적 전위주의에 기초한 조직시스템으로 바꿔내는 새로운 노선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그들은 학생운동 개조의 과제를 역사 속에서 소멸해 가는 레닌주의의 혁명 전략을 통해 달성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끊임없는 자기모순에 직면하였다. ‘People Democracy(PD)’, one of the two dominant Korean student movements from the early 1980s to the early 1990s, criticized the traditional student movements for their ideology, strategy, and method and tried to rebuild a new revolutionary movement. PD attempted to include the South Korean capitalist development into its scientific revolutionary theory. PD also criticized existing students movements for their imperfection due to emotional human relation and transformed them into a new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scientific debates and a revolutionary avant-garde. Nonetheless, PD could not but face an endless self-contradiction because it had been pursuing the Leninist ideology and strategy, which had rapidly become extinct since the late 1980s.

      • KCI등재

        일반논문 : 유신체제기, 광주,전남 교육민주화운동의 재조명 -삼봉조합과 양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이영재 ( Young Jae Yi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5 기억과 전망 Vol.0 No.33

        1970년대 유신체제는 교육민주화운동사에서 ``단절의 시기``, ``암흑의 시기``로 불린다. 1960년 4·19 혁명의 열기에 힘입어 결성된 ``교원노조``가 ``5·16 쿠데타``로 와해된 이후 1980년대 초반 ``Y중등교사협의회``(1982) 결성까지 약 20년 동안의 시기가 그 암흑의 시기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주목하고 있는 유신시대 광주·전남 교육운동의 흐름은 기존의 양상과 상당히 다르게 전개되었다. 양성우 시인의 「겨울공화국」 발표, 전남대 교수 11인의 ``우리의 교육지표`` 사건 등은 적극적인 반유신 투쟁의 전형이었으며, 1970년대 후반 광주·전남 교육운동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 시기 광주전남 교육운동 영역에 ``삼봉조합``과 ``양서협동조합``이라는 새로운 교육운동의 조직적·실천적 양상이 전개된다. 그동안 광주·전남 교육민주화운동사가 체계적으로 정리된 바 없기 때문에, 이 ``삼봉조합``과 ``양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교육민주화 운동사적 맥락이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유신체제기 광주 ·전남의 교육민주화운동사에서 독특한 형태로 제기된 조직적·실천적 양상을 발굴하고, 교육민주화운동사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재조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In the history of the Education Movement, the Yushin Regime Era in the 1970s is known as "the age of severance" and "the dark age." The teachers`` union created with the energy of the April·19 Revolution in 1960 was destroyed by the May·16 coup, leading to a 20-year "dark age" in the history of the Educational Democratic Movement, lasting until the early 1980s, when the "Y Middle School Teacher Group" (1982) was created. Interestingly, the Educational Movement in the Gwangju-Jeonnam area of the Yushin Era was depicted as an active resistance movement against this Yushin Era. The poet Sung Woo Yang published his poem "Winter Republic"; after this, the "Declaration of Our Education Orientation" incident occurred, in which 11 professors from Chonnam University participated. These were active anti-Yushin movements that continuously affected the educational movement in the Gwangju- Jeonnam area in the late 1970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ambong" and "cooperative movement of a good book" were systematically and actively created in the Gwangju-Jeonnam area at the time. The Educational Democratic Movement in the Gwangju-Jeonnam area has never been organized systematically, so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movement focusing on the "Sambong" and "cooperative movement of the good book" could not be sufficiently highlighted. This study seeks to demonstrate structural and active aspects of the Educational Democratic Movement in the Gwangju-Jeonnam area in the late 1970s, which is included in the dark age and the "age of emptiness" in the educational movements; this study also seeks to focus again on the meaning of this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movement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