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성 요소를 적용한 Tea infuser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구실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demand of the consumers is getting more and more individual and diversity. Moreover, the view point of design function is getting focused on the view point of functionalism rather than the view point of emotional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ociety. In case of the Tea infuser product, the producers all focus on that how to abstract the emotional area. In this context, the ’emotion issue’ is the main issues in the Tea infuser product design. Therefore, the ’emotion’ concept that offer a joyful and satisfy to consumers is emerging in these days. This research can be seen the almost first research work which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products, and then develop the emotion products as an experimental research. This research mainly has two aim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im of this research work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products in order to product the guide lines for making emotional products. The other aim is to develop new tea infuser product which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as a case study. This research work carried out the below steps as a research methods. The first, make a collection of famous products within emotion concept as many as you can; second, choose the representative samples in the collected products following the design team’s common opinions; third, make a interview to 10 designers in different majors and record the results; forth, make a visual grouping analysis to the samples and a linguistic grouping analysis to the interview results using the Emotional Engineering method at the same time; fifth, define the emotional product design characters following the analysis results; and last, make a guide line applying the defined emotional product design . This research woke can be contributed to help people, who want to make emotional design, with the definitions of emotional design.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시대의 트렌드(Trend)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 시킬 수 있는 Tea infuser 제품 디자인 개발해보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감성 제품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이렇게 분석 되어진 감성 제품 디자인 특징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제품 디자인에 대한 감성 개념을 적용하고 Tea infuser 제품 개발을 진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 논문의 목적을 기술하면, 첫째, 기준 제품의 특징을 분석하여 Tea infuser 제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Guide line)을 만드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위의 감성 컨셉을 적용한 Tea infuser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런 연구 목적을 갖고 이론적인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론적인 고찰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연구 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는 기존 제품들을 연구 대상으로 감성의 원인을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분류법과 귀납적 연구 방법이 채택되어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키워드를 중심으로 Tea infuser 을 직접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성만족을 주는 Tea infuser 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의 경우에는 “감성디자인 개발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에 대한 논문들과 “어떻게 감성디자인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준 연구가 거의 없었다. 감성디자인 개발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대부분 오감을 만족하는 제품디자인을 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언급만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감성디자인 방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도심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공공디자인 연구 : 사상구 주례오거리 동서고가로 하부공간을 중심으로

        남동현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 도심은 과거 금속한 도시화의 과정에서 양적 팽창에 비하여 질적 평준화를 이루지 못하였고, 점차 사회 기반 시설들의 노후화 또는 도심기능 약화로 인하여 지역 불균형 및 공동화 현상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도심의 기능 회복을 위한 새로운 공간의 창출 및 개발은 양적 팽창을 마친 도시에서는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도시에서의 효과적인 재개발은 비활성공간의 재활성화 방안으로 해당공간의 정체성 및 상징성을 찾고 재생하는 것이다.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심지 교통의 필요에 응하기 위해 건설된 고가도로는 교통량이 증가 할수록 더욱 정교한 입체 교차로로 발달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의 시각적 혐오, 소음의 발생, 하부공간의 슬럼화 등의 부정적 상황을 만들었다. 이러한 고가도로의 경우 그 필요성이 점차 축소되지는 않을 것이며, 앞으로 더 많은 고가도로 및 고가시설물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현재 국내 많은 고가도로 하부공간이 새로운 공간으로 창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고가도로 하부공간이라는 특수성과 공간개발에 따른 상징성 부족으로 인하여 반복적 조경이나, 중앙 분리대 식의 화단의 건설로 진행 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지의 반복적 조경을 넘어 해당 공간에 정체성을 찾으며, 상징성을 부여하여 공간 개발을 제안하며, 그 후 개발되어질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대하여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과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대상 및 범위, 과정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문헌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공공공간과 공공디자인의 이론을 고찰하고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을 통하여 공간 개발 방향성을 알아본다. 도심 비활성공간과 고가도로하부공간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진행될 공간의 특수성 및 개발 필요성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한다. 제 3장에서는 국내 도심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개발 사례 5곳을 선정하여 분석을 한다. 분석된 자료를 기본으로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제 4장에서는 연구 대상지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며 거주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삶의 질적 향상, 거주자를 포함한 방문자 중심의 지역활성화에 대한 응답자의 의식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진행 과정에 반영한다. 제 5장에서는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디자인 컨셉 및 전개를 통하여 해당 대상지의 도심 문화적 재생을 위한 대상지 환경 분석을 실시한다. 사례조사의 소결과 설문조사의 소결을 조합하여 환경 분석 결과와 함께 공간의 세부 계획을 수립하여 디자인 도출 과정을 통하여 공간 디자인과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포함한 최종안을 제시한다. 제 6장에서는 도심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공공디자인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내린 결론과 의의를 정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내린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비활성 공간인 도심의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문화적 재생을 통한 공공디자인을 연구 진행하였으며 단순한 조경적 요소의 개발인 아닌 상징적 공간이자 문화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높일 수 있는 공간 표현에 중심을 두었다. 공간의 특수성을 인정하여 공간 개발에 대한 다른 시선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결과물이 해당 지역에 대한 긍정적 가치 상승 결과를 가질 수 있도록 연구의 타당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앞으로 계획되어질 비활성공간 개발을 포함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에 대한 많은 사업들에 있어서 개발방향을 시사 해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활용가치에 의의를 두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자는 결과물로 제시된 도심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공공디자인 계획이 대상지에 실제 적용 및 변환 적용을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이라는 긍정적 결과물로 나타나기를 개대한다. The current urban cities could not achieve the qualitative standardization relative to the qualitative expansion it went through due from the rapid urbanization in the past. Eventually, drawbacks have emerged from such incompleteness as it was shown with the deterioration of social facilities or the weakening of the urban functions leading to the regional imbalance and doughnut phenomena. Unfortunately, it is very difficult for a city that has gone through a qualitative expansion to create and to develop a whole new space in the means of recovering the urban function. Thus, an efficient redevelopment within the city as such may only be viable through identification and reclamation of the identity as well as the symbolism of the place as a measure of rehabilitating the inert spaces. Along with the on-going development of a city, the need for proper infrastructures to facilitate the increasing traffic has stimulated the development of exquisite three-dimensional intersections. As a result, improper atmospheres have emerged such as the slumism of underneath spaces, creation of noise, and the unpleasant sight for a huge concrete structure. In fact, the demand for such an overpass will not likely to fall but it will definitely increase. Therefore, more and more of overpass and elevated facilities may be required in the future. Currently, it has been the case where the space underneath an overpass is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into a newly innovated infrastructure. However, such developments are rather repetitive but inefficient because of their lack of symbolism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ch isolated spaces as well as the insufficient symbolism effect. For example, these spaces are generally renovated with repetitive landscapes as mentioned above or flower beds as a form of median strips. Consequently, this very research will further investigate the identities of such spaces rather than to construct repetitive and inefficient landscapes and as well as to provide a symbolism, which will lead to the higher level of special development. In the end, the research provides the fundamental data regarding the future developments of spaces underneath the overpass. This ver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following. In chapter 1, backgrounds, objectives, subjects and scopes as well as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research are introduced. In chapter 2, theories regarding public spaces and public designs are considered through materials such as referenced literatures as well as precedent studies and at the same time identification of the future trends of space development is taken into account. The contemplation of literatures relating to urban inert spaces and the space underneath overpass will allow this very research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dealt in this paper. In chapter 3, five ca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which the locations are selected for its past experie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downtown spaces underneath overpass. In addition, it suggests the directiv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underneath overpass based on the analysis carried out throughout this very research. In chapter 4, a survey regarding the selected subject locations has been carried out and further developed into an analysis of the consciousness of respondents over the issue of regional vitalization centered around the visitors including the residents as well a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style and their living environments in order to assist the designing procedure. In chapter 5, mission fields of this very research have been sel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of subject location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cultural renovation of each corresponding heart of the city. In the end, the final suggestion is provided which includes the designs of public facilities and spaces through design deduction process by establishing detailed pla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nvironment analysis, the combination of the case studies and surveys. In chapter 6, it concludes the research with a reorganiza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research carried out, summarizing the whole procedure of the research regarding the public design of the space underneath overpass in order for the rejuvenation of urban culture. Through such procedures, the research can be concluded as following, This very research has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 regards to the public design through a cultural rejuvenation of the space underneath overpass within the heart of a city, which may frequently be considered as a non-active space. It focused on the goal of clearly expressing the regional identity as a measure of vitalizing the city culture or even its symbolism rather a simple landscaping factor. Even though it is not impossible to perceive the space development in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uch spaces, th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considering the validity so that the resulting developments in accordance with this very research may appreciate the optimal value of each region. Als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future developments of the applications toward the space underneath overpass including inert spaces with the development directions as the fundamental source for improvement. Lastbutnotleast,theresearchermyselfanticipatethatthepublicdesignplansofthespaceunderneathoverpass for the regeneration of urban culture suggested in this very research will be actually carried out in the real-life situa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ociety as an optimistic influence.

      • 백화점 전문식당공간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 : 북경시내 주요 백화점을 대상으로

        주자가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21세기의 중국의 경제는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유통환경의 변화와 국제교류의 증가에 따라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끊임없이 향상되고 경제무역과 문화생활환경 또한 개선되었다. 사람들의 여가시간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경향이고, 소비자들의 수요도 이와 함께 다양화, 개성화, 그리고 고급화되어가고 있다. 수많은 ‘외식업체’의 탄생, 발전과 더불어 외식산업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고객의 수요를 어떻게 만족시켜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하고 발전해나가야 할 것인가? 우선, 고객의 수요를 우선시해야 한다. 하지만 “외식산업”의 경쟁적 환경에서 수많은 기업이 무수히 생겨났다가 소멸된다. 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보장하고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백화점들에서는 음식산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고객들의 결코 단일하지 않은 쇼핑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백화점의 음식공간은 왕성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음식문화가 오늘날까지 발전된 것이 이미 단일하게 중국전통음식문화만을 설명하는 것뿐만은 아니다. 현재 중국의 음식문화는 날로 다원화, 개성화를 표현해주고 있다. 서로 다른 지역의 문화가 음식과 함께 중국으로 오게 되었다. 문화의 도입은 소비자들의 품위와 수요를 제고시켜 주고 있기에 소비자들은 날이 갈수록 단순히 미식(美食)에만 만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고, 식사환경에 대한 요구 또한 어느 정도 높아졌다. 음식공간의 색채는 고객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시각적 충격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색채 또한 고객들에게 양호한 식사환경과 문화 예술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음식 공간”은 이미 단순하게 음식만을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점차 문화와 예술체험의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와 미식(美食)경험은 후각을 통해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감각도 특히 중요하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하에서 장기간 생활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색채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색채를 통해 서로 다른 음식문화를 느껴볼 수 있다. 소비자들이 쇼핑을 하는 동시에 다른 곳으로 가서 식사를 하지 않고 백화점의 식사공간을 이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쇼핑 자체가 단순하게 물건을 사는 것만이 아니라, 이미 하나의 여가활동으로 승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여가활동 시간에 식사를 할 때 음식 또한 유일한 수요가 아니게 되었다. 식사를 하는 동시에 음식 배후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어야 만이 고객에게 정신적으로도 생리적으로도 모두 만족을 가져다 줄 수 있게 된다. 이로부터 색채의 요소와 문화적 요소가 백화점 식사공간에서의 응용이 특별히 중요하고, 또한 서로 뗄수 없는 사이라는 점을 설명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서 음식문화와 음식색채에 관련된 이론지식을 소개하고 음식색채가 사람의 시각과 심리에 대한 느낌을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백화점 음식공간의 관련 이론을 소개하고 백화점 식사공간의 문화적 스타일과 색채의 스타일을 세우는데 관한 연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베이징 시내 가장 큰 상권 중에서의 다섯 개의 백화점의 식사공간에 대한 조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식당의 색채요소와 문화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베이징 백화점 식사 공간 내 음식문화의 색채가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백화점의 식사환경을 보다 좋게 개선하는데 참고적 자료를 제공하여,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는 고객들의 물질문화적 추구를 만족시키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will see a rapid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With the changes in circulating environment, more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exchange, the improvements of living standard and the developments in economy, trade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Chinese, nowadays, have much more leisure time than before, so the demands of consumers become more diversified, individual and advanced. As many catering enterprises are established and enjoy a boom, the competition among those companies has become fiercer. Given this circumstance, a mass of department stores adopt to catering trade in order to ensure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mselves and meet the demands of the consumers who go to department stores no longer only for shopping. As a result, the catering trade in department stores is flourishing. Besides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China’s diet culture has developed into a much more diversified and individual one. Different cultures, which flock into China with exotic food, result in the improvement in the tastes and the increasing demands of consumers. Therefore, people cannot be satisfied only by delicious food, and a better dining environment is also required. In the dining space, color is the exact element which can give consumers the most direct visual impact and create a comfortable dining environment for them.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dining space” is not only a place for the sale of food, but also a space to experience culture and art. Besides the taste, visual impression is also particularly important to the cultural and cuisine experience. Under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people form different habits towards colors because of their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so we can sense different diet cultures from the usage of colors. One important reason why people don’t eat anywhere else but in the department stores where they are shopping is that the purpose of shopping is not just buying the necessities, but also a way of relax. Therefore, food is not the only demand any more. The cultural experience behind the food can meet the demands of consumers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From the above analysis, we can safely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combination of color and culture is especially vital in the dining space of department stores. This paper first introduces some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diet culture and the usage of colors in food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that color has on people’s vision and psychology. Second, this paper gives a brief introduction of the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the dining space in department stores, aiming at doing a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styles and color styles in them. At last, this paper record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dining space in five department stores in the largest CBD of Beijing. From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color and culture in those dining-halls, some problems about the usage of colors can be sensed. By exposing these problems, the dining environment of these department stores can be improved so that it can better meet people’s increasing demands both in material and culture.

      • 사용자 중심의 해운대 해수욕장 공공벤치 디자인

        방호근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21세기에 들어 산업화 위주의 도시발전과 팽창은 파괴와 함께 인간의 삶을 획일화하는 도시환경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환경은 인간을 삶의 터전으로부터 소외시키고 말았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관심은 산업화에 의한 메마른 도시공간을 인간중심, 자연친화적인 도시공간으로의 변화에 대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도시해변휴양지는 도시가 시민과 관광객에게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해주는 소통의 공간이면서 시민의 대표적인 휴식 공간이다. 하지만 도시 해변휴양지의 빠른 성장과 시민들의 대표적인 휴식공간임에도 불구하고 해변구역의 공공시설의 인프라, 특히 공공벤치의 발전은 점점 해변 지역의 발전에 따라 가지 못하고 있다. 휴식공간의 시설 인프라 낙후는 도시 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도시해변 휴양지의 광장 인프라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해운대 해수욕장의 지역 특징을 반영하고, 사용자가 공공벤치 각 디자인 요소에 대한 수요 분석에 의하여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해운대 해수욕장 공공벤치를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조사로써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개념, Street Furniture의 개념과 디자인 구성 요소 분류를 통해 공공벤치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공공벤치의 개념 및 그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을 통하여 공공벤치 디자인의 각 요소를 분류하였다. 문헌연구조사이후,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 지역의 해변벤치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해변공간의 벤치의 특징을 정의하였다. 이는 해운대 해수욕장 공공벤치의 디자인에 대한 지표를 제공해주었다. 또 해운대 해수욕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해수욕장에 있는 벤치의 장단점을 파악하며, 30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벤치 디자인과 위치를 확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벤치의 디자인 구성요소를 분석한 후에 새로운 벤치 디자인의 근거로 삼았다. The 21st century is known as the era of modern society, has been called the information age, with the urban rapid development; people have needs for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e outdoor life than the past. The pedestrian street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at is to make life more comfortable in the city at outdoor. The pedestrian street is means traffic freeze area and it is just for the pedestrians. For pedestrian's public life, bench is the most important furniture, because it not only can meet pedestrian people to stay, small sitting, watching,listening and conversation as the most simple and basic activities of requirements, but also result as a starting point, inciting the other, such as walking, shopping, and a series of street events. The appropriate high-quality designed benchto will helping people's street life more exciting, this is a reflection of urban culture. What kind of outdoor public seating to meet people's needs that we need to study. Bench's shape, color, material, structure, design and other street facilities are often formed with the specific atmosphere of a certain region. At the same time can help people 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fort and relaxation, feel the city's culture and style. The core objective is to design the specific needs of users as the center, the Haeundae Beach public seating design improvement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coastal areas and the existing design are summarized in urban coastal areas of public seating design features, and attached to the major users of public seating design elements of requirements analysis, design and strive to meet user needs Haiyun Taiwan public beach chairs, allowing users to Haeundae Beach feels comfortable in this environment. In this paper,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user-centered design, street furniture and design elements of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sea space and crowd behavior analysis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is design. Second, Chapter III, through the concept of public seating and the design elements of the analysis, the design of the major elements of public seating categories. In this guide, based on the seat and then the sea around the world to study the case, summed up the characteristics of benches in waterfront for Haeundae Beach public seat design provide direction and guidance. Finally, under the guidance of the user's requirements analysis, detailed analysis of Haeundae Beach's environmental and zoning,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existing seat design strengths and weaknesses analysis to determine the design of the proposal in this direction.

      • 중국 전통 길상(吉祥) 문양에 관한 연구 : 주류 포장 디자인을 중심으로

        왕비 동서대학교 디자인 & IT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세상의 어떠한 민족이든 모두 자신들만의 문화를 갖고 있다. 중화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민족 중의 하나로써 풍부한 문학, 예술, 건축 등 전통적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길상문양은 중국 전통문화 중에서 가장 대표성이 있으며 건축, 조각, 복식, 회화 등 다양한 영역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길상문양은 여전히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문양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 전통길상문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중국 전통 길상문양을 현대의 제품 포장 디자인에 응용하는 것을 시도함으로써 기업의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중국의 제품이 국제시장으로 진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latest sale statistics of alcohol drinks, Chinese people drink more than 55 million tons of alcohol drinks in 2008, which is 20% of the world’s quantum. The market is as big as 60 billion dollars-it’s a really big market. This paper is about Chinese traditional propitious pattern in wine package design. In this paper, I studied Chinese traditional pattern and theory of package design, in order to find out a method to combine them together. With my study, I hope I can help some wine companies to improve their package and sell their goods better.

      •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나타난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이정일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술적인 성능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로 디자인이 부각되고 있으며, 화장품 용기 디자인 또한 과거의 단순하고 겉모습과 색상 등 시각적인 부분으로만 인식된 디자인이 이제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변할 정도로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으며, 화장품을 개발하면서 용기를 특별히 고안하거나 다른 제품과 차별화를 꾀하고 소비자의 의견을 제품 개발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단순한 내용물을 담는 개념을 넘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경제성장과 한류에 의해 한국화장품의 인기가 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에는 어떤 공통분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구매에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용기 디자인 표현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하게 될 중국과 한국의 화장품 용기 디자인을 통해 선호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10-5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 부산 지역 및 중국 북경 지역에서는 조사도구로 설문지를 2011년 6월 3일 부터 8월20일까지 이용하였으며 총 2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200부를 분석에 이용한 유의적인 통계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1. 부산지역 10대-50대 여성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연령별로는 20~30세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30~40세, 40~50세, 10~20세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학생 및 회사원이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100~200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200~300만원, 400만원 이상, 300~400만원과 100만원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2.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화장품 구입 시에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써 한국이 좋은 품질, 기능성, 유리와 플라스틱에 용기 재질, 매끄러움과 투명 용기 질감, 장방형 형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화장품 유형별 컬러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한국 여성소비자들은 평소에 선호한 색상, 화장품 용기 패키지디자인 선호에 색상, 클렌징류 화장품, 베이직류 화장품, 주름 탄력류 화장품, 미백류 화장품, 모발류 화장품 5개 구매 시에 우선 선호하는 색상은 흰색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 1. 북경 지역 10대-50대 여성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연령별로는 20~30세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30~40세, 10~20세, 40~50세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학생 및 회사원이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3000원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3000~4000원, 4000~5000원, 5000~6000원과 6000원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2.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화장품 구입 시에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써 중국이 좋은 품질, 표기사항(제품정보)과 기능성, 유리에 용기 재질, 불투명 용기 질감, 장방형 형태와 도자기 형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화장품 유형별 컬러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중국 여성소비자들은 평소에 선호한 색상, 화장품 용기 패키지디자인 선호에 색상, 클렌징류 화장품, 베이직류 화장품, 주름 탄력류 화장품, 미백류 화장품, 모발류 화장품 5개 구매 시에 우선 선호하는 색상은 흰색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여성소비자가 선호하는 용기 패키지디자인은 품질에 고려요인, 기능성에 패키지 요소, 유리에 용기 재질, 불투명과 매끄러움과 투명에 용기 외관 질감, 장방형 용기 형태, 흰색 등을 표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화장품 용기 디자인이 화장품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시각적 효과와 소유욕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또한 마케팅적 관점에서 볼때, 중국인 품질과 불투명 유리 재질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은 기능성과 매끄러움과 투명 유리를 선호하기에 향후 마케팅 전략 수립에 이 같은 결과가 반영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products in order to meet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onsumers cosmetic design is now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During the cosmetic container design simple appearance, color and other visual elements of the products are now enough to represent the brand of a company, yielding a strong impression on the consumers. In the cosmetics product development process, especially in container design process, the designer should be always consistent with the consumers' opinions, which may increase the value of the brand obviously. In recent years, China's economic growth increases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the Korea's cosmetic products have been cognized by both Chinese and Korean people. From this phenomenon we can see there is a common attitude for cosmetics in Korea and China. Thus,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sumer's common preferences in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cosmetic package design the effective package design strategies can be set up for the increase of purchasing. Thus, women at 10-50 year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xperience of using cosmetics. 270 questionnaires were released in Busan, South Korea, and Beijing, China. 200 questionnaires were taken back and statistic results are as follows. South Korea: 1. In Busan the general custom of women is to buy 10 to 50 packages. The age orders of women are from 20-30, 30-40, 40-50 and 10-20 years. The vocations orders are students, office workers. For monthly income the orders are from 1-2 million, 2-3 million, more than 4 million, 3-4 million and less than 1 million. 2. When they buy cosmetics, analysis shows that container design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Korea consumers like the containers with good quality, functional, glass and plastic, texture, smoothness, clear and rectangular shape. 3. For the color of the container, analysis shows that Korea female consumers prefer white color, some also like blue color when they buy cleansing cosmetics, basic cosmetics, change white cosmetics and protect hair cosmetics. China: 1. In Beijing the general custom of women is to buy 10 to 50 packages. The age orders of women are from 20-30, 30-40, 10-20 and 40-50 years. The vocations orders are office workers, students. For monthly income the orders are from 3000, 3000-4000, 4000-5000, 5000-6000 and more than 6000 RMB. 2. When they buy cosmetics, analysis shows that container design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Chinese consumers like the containers with good quality, writte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function, glass, opaque textures, rectangular shapes and pottery forms. 3. For the color, analysis shows that Chinese female consumers prefer white color, some also like purple color when they buy cleansing cosmetics, basic cosmetics, change white cosmetics and protect hair cosmetics. From the investigation we can get the following results: Women consumers in South Korea and China prefer to consider the elements of package design factors on the quality, functionality, glass container material, opaque and transparent, smooth and textured appearance, rectangular container shape and white color. The visual effect of the cosmetic containers will improve the possessive desires of the consumers and get positive results. Also, from the market point of view the Chinese consumers prefer the quality and opaque glass, Korean consumers prefer the functionality, smooth and clear glass. For future marketing strategies this investigation can help to get better results.

      • 쿠마 켄고 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양미진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과거의 단순한 네모박스 형태였던 건축물들은 근대 이후로 접어들면서 예술가들의 손에 의해 기하학적인 형태와 예술성이 더욱 돋보이는 건축물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인 쿠마 켄고는 근대 건축의 상징인 콘크리트 건물을 비판하면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할 수 있는 건축물, 자연과 건축이 연결되는 건축물을 제작하는 건축가로써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쿠마 켄고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건축가로써 건축요소에 관한 논문은 많이 찾아 볼 수 있으나 패션과의 접목과 관련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의식주에서 자연적 요소가 중요시 되는 현 시점에서 쿠마 켄고의 건축 사상을 패션과 접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그의 작품에서 보여주는 조형적인 특성을 그의 건축 사상에 조명을 두고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형태, 색채, 질감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패션디자인의 모티브로써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물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패션에 접목함에 있어 그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차 세계대전이후 활발해진 모더니즘과 1960년대에 일어난 메타볼리즘 운동, 이후에 일어난 포스트 모더니즘 등은 건축양식에서의 다양한 변화를 일으켰다. 또한 건축의 상품화를 초래하면서 공공시설만 지어오던 건축가들의 관심사가 개인 주택으로 몰리면서 콘크리트라는 새로운 재료로 많은 건축물들이 세워지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건축 흐름의 변화가 활발하던 시기를 겪은 쿠마 켄고는 주변과 어울리지 않고 무작위로 생겨나는 건축이 점차 사회에서 미움을 사고 부정적인 요소로 취급받고 있다고 보았다. 사람에게 필요한 존재이지만 사람에게 부정적인 요소로 보이는 건축을 긍정적인 요소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요소의 해결책으로 ‘단절’의 존재가 된 건축물을 ‘접합’의 존재로 만드는 방법을 생각했으며 그 방법은 공간의 접합, 주변의 접합, 시간적인 접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방식으로 제작되어 온 쿠마 켄고의 작품은 나무나 돌을 이용한 건축물을 중심으로 많은 작품을 선보였다 그의 작품은 외형에서 보이는 형태와 화려하지 않고 자연에 묻어나는 모던한 느낌의 색채, 그리고 자연그대로의 재료로 지은 건축물이 나타내는 질감을 통해 조형성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형태, 질감, 색채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조형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에 있어서 쿠마 켄고 건축에 나타나는 형태의 조형성은 건축물의 겉으로 나타난 큰 외형들이 사각형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인테리어 및 외형에 장식적인 요소에서 조형적인 요소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모티브의 반복되는 배열은 균형감을 나타내는 형태를 보여주며 하나의 면을 구성하는 형태를 하고 있다. 둘째, 반복되는 모티브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비어있는 공간의 깊이 감을 보여주는 다공성은 건물의 내·외부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기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나무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따뜻한 계열의 베이지 톤으로 구성되어 건조하고 매끄럽지 못한 나무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돌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세련된 느낌의 그레이 계열의 톤에 의해 반대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정리한 쿠마 켄고의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적인 요소로써 모티브의 반복적인 형태와 중첩되는 형태적인 요소를 작품 제작에 접목함에 있어 하나의 모티브를 선정하여 크기의 변화 및 반복적, 중첩적인 효과를 활용하여 부분적인 디테일의 소재개발을 통해 볼륨감과 입체적인 디테일을 잘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공성의 요소를 표현함에 있어 컷 아웃 기법과 스모킹 기법 등을 사용하여 건물 외형의 반복적인 디테일과 깊이 감을 통해 구조적인 연출을 표현할 할 수 있었다. 셋째,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울, 멜톤, 스웨이드 끈을 활용해 색채와 질감을 표현하였다. 메인컬러의 검은색과 돌, 나무의 느낌을 인용하기 위해 회색과 베이지 색채를 활용하여 건축물에서 보여주는 자연 소재의 색상을 표현하는 작품을 제작 할 수 있었다. 최근 들어 건축분야에서는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성을 중심으로 예술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시각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사례가 나타나고, 이러한 경향들은 패션디자인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큰 영향을 주는 추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축과 패션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서 각 분야의 발전에 있어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었으며, 쿠마 켄고의 예술성이 가미된 독창적인 건축 작품들이 패션디자인뿐만 아니라 각 디자인의 연구에 있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노인용 유니버설 제품디자인에 관한 연구

        손위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ith the coming of the 21st century,  our society has started a fire-new age—Information Economic Age (IEA). And the whole world has entered the aging society gradually as well. But the most of daily necessities in our life are designed for people between the age of 18-60,and few for the elderly, especilly electronic products . Oweing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those electronic products seem to become far  and far away form their lifes . Firstly, the thesis describes the theory of general design, and summarizes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nd social characteristic of the elderly person, and understands the tendency of Aging Society. Secondly, to analysis the effects of the products for elderly person basing on thei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Finally , to co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for the elderly so that the existing products could be upgraded with the theory of general design and are availble to more people, especilly for the elderly person. And to describe the theory of general design combining 12 different design proposals hereby.  Keywords : Elderly, Universal Design, Product 21세기에 우리사회는 이미 정보화 시대에 진입하였습니다. 그와 동시에 전 세계 역시 점차 노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위의 생활용품 대부분은 18∼60세의 일반 사람들 위해 고안된 것으로 노인에게 적합한 용품은 적습니다. 특히 전자제품은 계속적인 기술 발전으로 인해 노인과는 점점 멀어지는 것 같습니다. 본 논문은 우선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을 논술하고 노인의 기본적 특징을 이해하였습니다. 또한 노인 생활의 생리적, 심리적 특징 및 노령화 시장의 동향을 알고 노인의 사회적 특징 및 경제적 여건 등을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노인의 생리적, 심리적 특징이 제품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끼칠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한 노인의 생리적, 심리적 특징의 분석을 토대로 그들이 제품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끼칠 영향을 이해하였고 현재 사회의 디지털 상관법과 결부하여 노인을 위한 리모컨 외관, 색채 그리고 기타의 요소를 종합해보았습니다. 키워드: 노인, 유니버설 디자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