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과정 개선방향

        조기룡(Cho, Ki-Ry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불교종립대학이란 불교이념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불교종단이 출연(出捐)하여 설립한 대학을 의미한다. 본고는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교과과정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국대학교(조계종), 위덕대학교(진각종), 금강대학교(천태종), 그리고 원광대학교(원불교)의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사회 측면에서는 취업교육의 강화와 교양교육의 약화가, 학생 측면에서는 거부감과 무관심이, 그리고 교·강사 측면에서는 전임교원 교양교육 비율의 저조와 교양교육 강의의 개별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들 문제점을 토대로, 본고는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개선방향을 다음의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자유학문적 교양교육의 강화이다. 취업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대학교육의 현실 속에서 본래 대학교육의 이념인 자유학문적 교양교육, 즉 진·선·미와 지·정·의를 갖출 수 있도록 전인교육(全人敎育)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둘째,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대중화이다.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목의 수업들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방적 불교의 포교가 아닌 그들이 가진 고민과 문제, 그리고 인생관을 교수와 논의하는 쌍방향적 토론식으로 개발하여 해당 교과목들에 대한 학생들의 종교적 거부감을 해소하자는 것이다. 셋째,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표준화이다.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목들의 표준교재를 지정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공통되게 교육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비교과 교육과정의 활성화이다. 인성교육은 교과과정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불교의 교리와 사상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본고는 그 구체적 방안으로 교수 ․ 학생 신행회, 템플스테이 체험, 명상 및 참선 프로그램 등을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 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마일리지 점수와 그에 따른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인 (가칭)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를 제안하였다.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was founded with funding from the religious orders of Buddhism with the purpose of offering education based on Buddhist idea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t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To this end, the author investigated current curricula at Dongguk University (Jogye Order), Uiduk University (Jin-gak Order), Geumgang University (Cheontae Order), and Wonkwang University (Won-Buddhism)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curricula: an excessive emphasis on job training and weakened general education with regard to social aspects ; repulsion and disinterest on the part of students; and a low proportion of full-time instructors with general education background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ur directions to improve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at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The first task is to reinforce general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learning. Given the current focus on job training, general education based on free learning, a core principle of university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to enhance whole-person education so that students are equipped with truth, goodness, and beauty, as well as knowledge, justice, and righteousness. The second direction involve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Classes related to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be designed to propagate religious ideas but must instead be designed to encourage two-way discussions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about issues students care most about, such as their lives and careers, without being religiously intimidating. The third task is to standardize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tandard textbooks for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ated for each subject so that education and evaluation are carried out in a uniform fashion. The fourth initiative should be to vitaliz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the ability of regular curricula to fulfill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is limi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Buddhist doctrines, ideas, and cultures.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detailed programs such as a faith practice retreat for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as well as experiences such as temple stays, meditation, and mindfulness training.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this study proposes an “extracurricular mileage program” that incentivizes students to engag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rough “mileage points.”

      • 印度佛敎硏究의 歷史

        BAREAU, Andre'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90 東國思想 Vol.23 No.-

        1825년 경까지, 유럽에서는 힌두교와 구분조차도 못할 정도로 인도불교에 대해 거의 아무것도 몰랐었다. 사실 사람들이 불교에 대해 알고 있었던 얼마간의 지식도 스리랑카 불교에 대한 것이었다. 여행자들이 이따끔 불교에 관한 정보를 얼마간씩 가지고 왔지만 일반적으로 그것들은 그들의 편견으로 대단히 왜곡된 것이었다. 이 여행자들 가운데서 Maroo Polo(AD.1254-1323)를 들 수 있다. 그는 그의 <동방견문록>에서 붓다에 대한 전설과 불사리 의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1825년부터 유럽에서, 인도불교를 다룬 최초의 저술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독일인 Klaproth가 1823년에 지은 <La vie di Buddha>(붓다의 생애)는 아직 대단히 불완전한 것이었다. 그러나 불란서학자 Burnouf와 독일학자 Lassen이 1826년에 출판한 <팔리어에 관한 시론>는 스리랑카 불전에 대한 연구의 길을 열었다. 이로부터 약 10년 후, 영국의 네팔 주재원이었던 Hodgson이 불교의 새로운 모습을 알게 해 준 많은 량의 산스크리트 대승경전의 필사본들을 런던과 파리에 보내왔다. 몇몇 인도학 학자들은 곧 그것들을 번역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Burnouf는 1844년에 <Introduction a I'histoire du Bouddhisme indien>(인도불교사 서설)을 출판했다. 이것은 어느 의미에서는 유럽에서 인도불교연구의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는 저술이다. 그리고 그는 역시 1852년에 법화경의 불어역<Le Lotus de la Bonne Loi>를 내어 놓았다. 1853년에는, 영국인 R.Spenser hardy의 Manual of Buddhism이 그리고 뒤이어 1859년에는 독일학자 Ko¨ppen의 <Die Religon des Buddha>(불타의 종교)가 나오게 되었다. 1860년에 러시아인 Wassilief는 용감한 헝가리인 Csomo de Ko¨ro¨srk rmqhek 30년 전에 티베트에서 수집했던 귀중한 문헌들을 사용해서 <Der Buddhismus>(불교)를 출판했다. 같은 헝거리인인 Schiefner역시 티베트자료들을 사용해서 티베트학자 Taranatha가 저술한 유명한 역사서를 <Geschichte des Buddhismus in Indien>(인도불교사)이라는 이름으로 1869년에 독일어로 출판했다. 이 기간 동안에 인도불교에 대한 많은 논문들이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의 학술지와 백과사전에 게재되어, 동양학 학자들의 첫 연구결과를 지식층 대중들이 알 수 있게 되었다. 19세기말에는 인도불교연구는 새롭고도 결정적인 도약을 하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막연했던 윤곽이 보다 분명하게 되어졌고, 그리고 여러 학자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영국이 19세기 초엽 이래로 스리랑카를, 그리고 같은 세기 중엽이래로 버마를 지배했기 때문에 영국학자들은, 특히 이 두나라에 존재하고 있었던 pali어로 쓰여진 저작들을 출간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먼저 pali 삼장부터 시작했다. 그리고 1909년에는 이 사업에다, 삼장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영역하는 일을 추가했다. 불교연구에 지대한 도움을 준 이 모임은 시초부터 국제적인 성격을 띄고 있었다. 영국학자 Rhys Davids, Moris, Chalmers, Carpenter 외에, 독일학자 Oldengerg, Pichel, Geiger, F.MAx Mu¨ller, 스칸디나비아 학자 Trenkner, 프랑스학자 Feer, 러시아학자 Minayeff등이 이 모임에서 일했다. 1895년에는 Pali,어와 Sanskrit어로 간행된 불교전적들의 영역총서인 <Sacred Books of the Buddhist>의 첫 책들이 나왔다.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KCI등재

        팔상성도(八相成道)의 시현(示現)과 대승불전의 붓다관 -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와 시현팔상(示現八相) -

        석길암(Seok, Gil-A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6

        본 논문은 한국적 팔상성도관의 전(前) 이해로서, 팔상성도(八相成道)라는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붓다관 혹은 붓다전기를 대표하는 관념이 어떻게 성립되었는가를 해명하려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팔상성도(八相成道)’ 혹은 ‘시현팔상(示現八相)’으로 일련의 대승경전군에서 전형화된 붓다 전기 이해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시현팔상’의 ‘시현(示現)’은 응화신(應化身)의 붓다를 의미한다. ‘시현팔상’이라는 관점이 형성된 기원이 되는 경전은 『광찬반야경』·『방광반야경』이 언급하고 있는 ‘수능엄삼매’이다. 이때의 수능엄삼매는 법신 그리고 마하연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그것을 계승하여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이 성립되었다. 『수능엄삼매경』에서 수능엄삼매는 십지보살의 삼매로 규정되며, 또 여기에서 처음으로 시현팔상의 원형이 등장한다. 『화엄경』과 『대반열반경』은 수능엄삼매의 개념을 확장하고 보살의 실천행과 연계하여 재해석한다. 『열반경』은 수능엄삼매를 불모(佛⺟)·불성(佛性)으로 재해석하며, 『십지경』은 수능엄삼매를 법운지(法雲地) 보살이 성취하는 일체불국체성삼매(⼀切佛國體性三昧)로 재규정한다. 『화엄경』의 「불부사의법품」과 「이세간품」은 팔상의 각 상이 가지는 의미를 다시 확장하고 부연함으로써 ‘시현팔상’의 대승적 붓다관을 종합하고 있다. 이 같은 일련의 과정은 법신의 붓다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응화신의 붓다를 중심으로 하는 대승의 붓다관을 체계화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부파불교의 색신의 붓다를 중심으로 하는 붓다관에 대응하여 새롭게 대승의 붓다관을 재정립한 과정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또 6세기 중후반의 중국과 동아시아 불교인들 사이에 붓다의 전기를 ‘팔상성도’를 중심으로 하는 응화현의 붓다라는 전형적인 도식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 것이 바로 이들 수능엄삼매와 시현팔상을 설하는 대승경전들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시현팔상(示現八相)’의 관점을 기반으로 한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팔상성도는 동아시아 불교전통에서 나타나는 이해하는 붓다관의 전형이면서, 대승불교 내부에서 추구해 간 붓다관의 전형이며, 나아가 중국불교 대승화의 전환점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기도 하다고 생각된다. As a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the Korean view of the Buddha’s life in eight stages, this thesis purported to elucidate how the notion of the Buddha’s life in eight stages (八相成道), a concept representing the Buddhist view on the biography of the Buddha in East Asian Mahayana Buddhism, was established. And in the process, it purported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the biography of the Buddha, typified in a series of Mahayana Sutras with “the presentation of the life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八相成道)” or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示現八相)”. In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示現八相)”, they portray the Buddha as an incarnated being (應化身). The sutra as the origin of the view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is the Śūraṃgama-samādhi, which is mentioned in the Pañcaviṃśati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utra (光讚般若經) and the Light-emitting Perfection of Wisdom Sutra, in which the Śūraṃgama-samādhi is another name of the dharma body or the Mahayana. The Śūraṃgama-samādhi Sutra was established as a succession of it. In this sutra, which also portrays the prototype of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for the first time, it is presented as the samādhi of the boddhisattva in the tenth stage. The Flower Garland Sutra and the Great Nirvana Sutra expand the concept of the Śūraṃgama-samādhi, reinterpreting it in connection with the bodhisattva practice. The Nirvana Sutra reinterprets it as the mother of the Buddha and the Buddha-nature, and the Daśabhūmika Sūtra redefines it as the samādhi of fundamental nature in every Buddha land that is achieved by the Bodhisattva at the stage of the dharma-cloud. The chapters of “The unthinkable dharma of the Buddha” and “Leaving this world” in the Flower Garland Sutra summarizes the Mahayana view of Buddhahood in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by expanding and amplifying the meaning of each stage. This series of processes is a process of systematizing the view of the Mahayana Buddha centered on the incarnated Buddha based on the notion of the Buddha as dharma body.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the view of the Buddha in Mahayana in response to the notion of the Buddha centered on the incarnated Buddha in Southern Buddhist schools of early Buddhism. Also, among Chinese and East Asian Buddhists in the mid to late 6th century, the biography of the Buddha was accepted according to a typical schema of the incarnated Buddha (rupakaya or nirmāṇakāya) centered on the eight stages, which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Sutras that teaches Śūraṃgama-samādhi and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Therefore, the Mahayana Buddhist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in East Asi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ight stages is a typical view of the Buddha that we understand i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which forms the basis of the view of the Buddha pursued within Mahayana Buddhism. Furthermore, in China. this is considered to be an example revealing a turning point in the making of Chinese Buddhism into a Mahayana one.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죽음교육 현황과 불교계 과제

        이범수(Lee, Pum-So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치열한 경쟁사회를 사는 현대 한국사회의 젊은이들에게서는 높은 자살률, 낮은 행복지수, 주변과의 소외, 인터넷 및 게임 중독, 알코올 중독 등의 문제들이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특히 격심한 입시 경쟁을 뚫고 대학에 입학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대학생들은 잠시 숨 돌릴 틈도 없이 입대, 구직 등을 대비해야 하는 상황과 맞닥뜨려야한다. 이러한 실정은 단적으로 취직, 결혼, 출산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3포 세대’라는 말로 상징되고 있다. 따라서 이럴수록 힘든 시대를 살아야 하는 대학생들에게는 자신의 실체를 보다 정밀하게 이해하게 할 수 있고, 스스로를 끊임없이 격려해주며, 생명력을 강화해줄 에너지를 보충시키는 자가(自家) 충전시스템을 갖추는 심리적 구조화가 절실하다. 대학생의 죽음교육은 발달기상 특징과 욕구를 바탕으로, 삶의 한계상황을 인식하게 하는 과정으로, 삶을 정견(正見)하게 하고 현재의 삶에 가용한 에너지를 전력투구하게 하는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국내 대학생 죽음교육은 거의 시행되고 있지 않으며, 대개 사회복지시설에서 장 · 노년층을 대상으로 서양에서 도입한 방법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불교의 전통을 반영한 교육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불교에는 어떤 분야보다 전통적으로 다양하고 실제적인 죽음 교육 방안들이 풍부히 전승되고 있다. 그러한 방안들 중 삼법인, 연기법, 업보윤회설, 사수념(死隨念), 무상관, 마음챙김, 사념처 수행과 MBSR, MBCT 등의 수행법과 치유방법을 할용하고, 교육 목표, 프로그램 내용 선정기준, 교수전략, 학습 환경 등을 개선한다면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대학생을 위한 참신한 현대적이며 불교적인 대학생 죽음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witnessing a high rate of suicides among the youth, who are generally facing issues dealing with isolation, lack of happiness, Internet game addiction, alcoholism, and so on. Not long after gaining admission through competitive college entrance exams on postings, they still face several challenges. This situation is symbolized by the “Give up Three Generations” who have had to give up hopes of getting a job, getting married, and giving birth. Therefore, for college students, to face the reality of these stressful times, there is a need to support and encourage them.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the charging system of these young minds should be a critical part of college education. To this end, college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situation; it should help students distinguish between the death of life and the critical situation of life. For gaining the right perspective on death under the current political circumstances, there must be more education available on death focusing on the energy tilt. However, so far, educating people on death has often focused on introducing it as a topic as done in the West in social welfare facility centers. Education reflecting on the death according to the tenets of Buddhism has been few, if any. Buddhism is packed with education on death than any other field, with its traditionally diverse and practical measures to deal with the question of death.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the performance of such measures, retributions according to the cycle of life and death theory, defilement meditation, education, Satipatthana, education targets, dogmas, and utilizing the law and the education contents, and so on can all help students in gaining mindfulness. The eight stages of death will need to be explained using selection criteria and improved teaching strategies to make the learning conditions of college students facing a hard time such that they can develop a fresh outlook on life.

      • KCI등재

        지나내학원(支那內學院)과 근대 중국불교학의 부흥

        김진무(Jin Moo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중국의 근대불교학은 이른바 `중국근대불교의 아버지`라고 칭하는 楊文會로부터 시작된다. 楊文會는 太平天國의 난으로 소실된 경전의 복원을 위하여 `金陵刻經處` 를 설립하고, 불교의 근대적 교육을 위하여 `祇園精舍`를 창립한다. 그러나 경제적인 원인으로 2년 만에 문을 닫고, 그의 遺志를 받든 歐陽竟無에 의하여 1922년 支那內學院이 설립되었다. 지나내학원은 전체적으로 學科와 事科로 나뉘어 있으며, 學制로는 현재의 중·고등학교과정인 中學部와 大學部, 그리고 대학원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硏究部의 3部로 구성되고 있고, 다시 大學部에는 현재의 학과인 法相大學·法性大學·眞言大學의 3개 대학으로 나누며, 3개 대학에는 補習科·豫科·本科·特科의 단계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事科에서는 行持處·閱經社·講演場·傳敎團등을 두고 있다. 이러한 學·事2科의 구분은 바로 대학을 교육·연구의 학술활동과 행정을 비롯하여 포교의 실무까지 겨냥한 二元的인 구조로 기획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지나내학원의 교육사상은 楊文會의 佛學사상과 그를 계승한 설립자의 歐陽竟無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하겠다. 즉, 전체적인 불교학의 교육과 연구를 통하여 佛法을 널리 펴고, 衆生들에게 이로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참다운 인격을 지닌 人間完成에 있다고 하겠다. 1922년에 창립되어 정부의 정식교육기관으로 인가를 받은 불교전문대학인 지나내학원은 1953년 閉院에 이르기까지 30여 년 동안 교육을 통한 인재의 배출, 학술지인內學및 여러 가지 연구서들의 출판, 그리고 大藏經의 板刻등의 학술적인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중국 근대 불교학의 전체적인 부흥을 이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그곳에서 배출한 학자들의 후예들이 현재에도 중국불교학을 이끌고 있으므로 지나내학원은 중국 근대불교학의 産室이라고 할 수 있다. Modern Buddhist studies in China was originated with Yang Wenhui who is called `the founder of modern Buddhism in China.` Yang Wenhui established the place for publishing Buddhist scripture(金陵刻經處) to collect the scattered Buddhist scripture lost at the revolt of Taipingtianguo. He also established Qiyuanjingshe for the modern education, but it was closed with financial difficulties. Zhinaneixueyuan was established in 1922 by Ouyangjingwu who accepted Yang`s wishes. The Zhinaneixueyuan was divided into departments for studies and divisions for adminstration. Its academic system consists of 3 parts, secondary school,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e graduate school was divided into 3 parts such as research division etc. and the college was divided into 3 departments such as department of maintaining study, preliminary department, regular department and special department. And the department for administration was divided into various offices such as administraion office, proofreading office, lecturing auditorium and the body for propagating Buddhism. The dual system was designed for academic activities and administration in a university. The educational thought of Zhinaneixueyuan was based on the thoughts of Yang Wenhui and Ouyangjingwu. The Zhinaneixueyuan is aimed at the propagation of Buddhism, benefit for human beings through general education and research and achievement of perfection of humanities. The Zhinaneixueyuan as the specialized Buddhist education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in 1922 and permit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pursu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eminent educating for students for 30 years, publishing academic books, magazine called Neixuesi and Tripitaka. These activities served for emerging of modern Buddhism in China and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the institute lead Buddhist studies in China.

      • KCI등재

        조선후기 佛敎小話集의 수용과 유통

        최연식(Choe, Yeon-Shi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0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에 수용, 유통된 불교 소화집(小話集)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불교계에는 짧은 분량의 불교 일화들을 모아 놓은 불교 소화집이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었다. 15세기에 명나라에서 편찬된 『석씨원류』는 17세기와 18세기에 각기 서울과 전라도 지역에서 간행되어 불교계에 널리 유통되었으며, 조선후기의 팔상도와 석가여래 전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종래 13세기에 한국에서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석가여래십지수행기』는 실제로는 15세기 명나라에서 편찬된 것으로 17세기 중엽 충청도 지역에서 번각, 간행되어 불교계에 유통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 책은 간본은 많지 않지만 필사되어 널리 읽힌 것으로 보이며 〈적성의전〉이나 〈금송아지전〉 등의 한글 소설 출현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남북조시대 후기에 편찬된『금장요집경』은 일찍이 고려시대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는데, 조선후기에 들어와 새롭게 유통된 모습이 보이고 있다. 18~19세기에 고려시대 목판을 이용한 간본이 보이고, 그 내용을 일부 발췌한 필사본들도 확인되고 있다. 이 중에는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던 권5의 앞부분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조선후기에는 중국의 불교 소화집들이 새로 수용되거나 새롭게 유통되고 있는데, 이는 조선후기 불교계의 대중화와 관련하여 주목할 모습이라고 생각된다. 정부의 억불정책으로 위축되어 있던 조선의 불교계는 日本과 後金의 잇단 침략을 방어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7세기부터 다시 그 세력을 회복하게 되었다. 정부는 기존의 억불정책에서 벗어나 불교계의 발전을 지원하는 대신 그들을 국가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바꾸었다. 이에 따라 불교계는 체제를 재정비하고 사회의 주요 세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롭게 발전하는 조선후기 불교계의 모습 중 하나로 불교의 대중화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불교 소화집의 유통은 이러한 불교 대중화의 구체적 모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시기에 수용된 불교 소화집들은 일반인들에게 불교의 기본적 가르침을 전파하는데 유효하게 활용되었을 뿐 아니라 일반 서민문화에 불교적 요소가 침투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기능하였다. This paper surveyed the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circulated in the Joseon dynasty. The Seoksi Wonryu (Ch. Shishi yuanliu) compiled in Ming China in the 15th century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17<SUP>th</SUP> century and reprinted by woodbolcok both at the Bulam-sa temple near Seoul and at the Seonun-sa temple in Jeolla-do province. The woodblcoks of both temple were used frequently and read by many people. The paintings of 8 great events of Buddha and the biography of Buddha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veals not a little influence of the book. The Seokgayeorae shipji suhaeng-gi (Ch. Shijia rulai shidi xiuxing ji) known as a Korean compilation in the late 13<SUP>th</SUP> century was in fact compiled at the Chinese palace in the 15<SUP>th</SUP> century and reprinted at the Degkju-sa temple in Chungcheong-do province in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hough there remain very few copies of it, the influence of this work cannot be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famous novels written in Korean characters such as the Jeokseong’ui jeon and the Geumsong’aji jeon were made as the adaptations of some stories of it hints the wide circulation of the wor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woodblocks of the Geumjang yojip-gyeong (Ch. Jinchang yaoji jing), a 6<SUP>th</SUP> Century Chinese compilation, were made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re remain some prints of them. But not all the prints were made in the Goryeo dynasty. One of the woodblock copy of it was founded to be prin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some hand writing copies made in the same period. One of the hand copy of it includes the first part of the 5<SUP>th</SUP> volume which has not been recognized before. It means that this work was read by many people in the time. Like this, the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were newly introduced or re-discovered among the old books and circulated wide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circulation of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can be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of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Korean Buddhism revived after the Japanese and Manchurian invasion through the contribution of Buddhist monks to the protection of the country. The reorganized Buddhist society tried to accomplish good support not only from the government but also from the common people. The Buddhist short story collections might have been the useful media for the popularization of the Buddhism among the commo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