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Influence of Buddhism in Gandhi’s Concept of Satya

        Kim, Sun Keun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1994 佛敎大學院 論叢 Vol.2 No.-

        본문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간디의 사땨(Satya)사상은 불교의 다르마(dharma, 法)의 영향으로 보다 사상적으로 체계화되고 보편화되었다. 그래서 논자는 간디의 사땨사상에 영향을 준 불교의 'dharma'의 의의는 무엇이고, 불교가 발전하여 감에 따라 다르마의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어 그 영향은 무엇인지를 개괄적으로 요약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불교의 교학체계가 'dharma'를 중심으로 수립되었다. 'Dharma'는 어원 'dhr'에서 파생된 낱말이다. 'dhr'는 '지니다, 지탱하다, 유지하다' 등의 뜻을 가진 어근이다. 'Dharma'는 모든 존재를 존재하게 끔 지탱해 주는 '法'이다. 모든 존재는 변화하지만 불변의 법을 다르마라고 했다. '다르마(法)'이라는 말은 원래 宇宙의 운행을 설명해 준 理致라는 뜻에서 파생되어 인간의 행위를 규제하는 규범이라는 의미까지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래서 '理致'라는 뜻에서 진리 또는 도리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발전하였다. 불교의 용어 다르마(dharma)는 여러가지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 다르마는 첫째, 윤리 또는 법, 곧 인간의 행위의 규범, 둘째, 사고작용의 준거, 곧 가르침을 뜻한다. 다르마는 더 나아가 사물의 독특한 특색, 범주, 사고 대상으로서의 모든 사물 그리고 그러한 모든 사물을 지탱하고 있는 것 즉 모든 사물의 地盤, 진리, 궁극적 실재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교가 발전하여 감에 따라 다르마의 개념은 여러 가지로 전개되었다. 석가모니 부처님도 "나는 이 dharma에 의하여 깨달음을 이룰 수 있었다. 나는 dharma를 존중하고 이 dharma에 師社한다."^54)고 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친 것은 dharma이고 그 내용은 연기이었다. 그래서 초기불교의 다르마는 錄起이었고, 대승불교의 교리의 최초 해석가인 馬鳴(As'vaghosa)은 그의 《大乘起信論》에서 그의 다르마의 개념을 眞如(tathata ̄, suchness)라고 표현했다. 대승불교의 최고 論師로 추앙되는 龍樹는 그의《中論, Mu ̄la-ma ̄dhamika-Ka ̄rika ̄》에서 그의 다르마의 개념을 공(s'u ̄nyata ̄)이라고 했다. 그의 空은 사람의 마음이 낳은 實在에 관한 모든 개념이 궁극적으로 空虛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주관과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에 그 고유 불변의 실체(svabha ̄va)가 없다(無自性)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존재의 참된 존재방식, 즉 연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존재의 부정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眞如 ; 法性)을 아는 것이 '반야바라밀(Prajnˇa ̄ramita ̄)'이다. 그래서 空은 연기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라고 한다. 實在 즉 空虛 자체는 단순한 無의 상태가 아니라 모든 생명의 바로 근원이요, 모든 형태의 본질이다. 唯識派에서는 이 세계는 오로지 識(Vijnˇa ̄na ̄) 뿐이라는 사상을 주장하여 三界는 오로지 識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학파를 體系化하여 크게 발전시킨 사람은 彌勒(Maitreya, 270∼350?), 無着(Asanga, 310∼390) 그리고 世親(Vasubandhu, 320∼400)이다. 유식파에서는 존재를 인식으로 還元하는 철학을 전개했다. 유식설의 공로는 우리의 현실의 존재양식이 유래하는 이유와 그 실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그 요체로서 식의 구조를 분석한 점에 있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불교의 다르마는 현실의 존재로 하여금 그와 같이 존재하게끔 하는 법칙 또는 존재방식을 말한다. 참된 自我實現의 길은 자기와 자기를 둘러싼 환경의 일체, 즉 우리의 현실존재를 있는 그대로 지혜로 통찰하는 것이 전제된다. 불교의 다르마는 본래의 자기를 실현해 가는 근본 진리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출신이나 가문을 묻지 마라. 다만 그의 몸가짐이 어떠한가를 물어라. 사람은 출생이나 가문에 의하여 브라호만이 되는 것이 아니고 진리와 다르마에 의하여 브라호만이 된다."^55)고 설파하였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메시지인 다르마는 카스트제도의 병폐로 인도사회의 신분의 우위와 하위의 차이를 철폐시켜 인류역사상 최초로 '휴머니티'라는 개념과 모든 인류를 위한 종교라는 개념이 구체화 되었다. 다르마의 메시지는 누구나 다르마 앞에서는 카스트, 인종, 국가, 종파, 남녀, 노소 모두가 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내어 주었다. 석존은 다만 우리의 마음가짐과 몸가짐에 의하여 인생에 질서를 주는 다르마를 결택하였다. 그리하여 불교는 '印度'라는 한 국가의 좁은 테두리를 벗어나 보편적 세계종교가 될 수 있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불교의 dharma는 간디의 형이상학의 개념인 Satya 즉 "神은 궁극적 진리이고 또한 法과 입법자는 하나이다."^56)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가 궁극적 실재를 다르마(dharma)로 통일하여 해석한 것처럼 간디도 그의 궁극적 실재를 사땨(Satya)로 표현한 것은 불교와 동일한 패러다임이다. 둘째, 불교가 다르마를 존중히 하여 다르마 앞에서는 어느 누구도 평등하다고 주장하여 '인도'라는 좁은 테두리를 벗어나 보편적 세계종교가 될 수 있었던 것처럼 간디도 그의 Satya의 해석을 'God is Truth'에서 'Truth is God'으로 전환 해석하여 無神論者들까지도 포용할 수 있는 보편종교로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셋째, 석가모니 부처님이 dharma를 깨닫고 dharma를 실천에 옮긴 Buddha로서 임종이 가까웠을 때 꾸시나가르에서 "자신은 곧 入滅하지만 자기가 설한 dharma는 不滅하므로 自身이 入滅한 후 dharma에 의지할 것"^57)을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당부하셨다. 그는 "너희들은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고, 너희 자신을 귀의처로 하라. 다른 사람을 등불로 삼거나 귀의처로 하지 말라. 다르마를 등불로 삼고 수도의 길을 걸어라. 그리고 그 다르마를 귀의처로 하라."^58)고 설교하셨다. 부처님의 패러다임과 같이 간디도 그의 자서전에서 "세상에서 확실성을 기대하는 것은 잘못이다. 진리((Satya) 이외에는 모두가 불확실하다. 진리에다 제 수레를 붙들어 매는 자는 축복받은 자다. 그 진리를 탐구함이 인생의 초고선임을 확신한다."^59)고 주장했다. 넷째,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불교의 수행자는 '다르마에 따라서 사는 者이며',^60) '다르마를 즐거워하고, 다르마를 마시는 자'^61)라고 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간디가 眞理把特(Satya ̄graha)운동을 하기 전과 할 당시 印度는 영국으로부터 정치적으로 예속당하여 말할 수 없는 가난과 무지와 타락으로 인도민중은 생기와 활력을 잃어버린 상태였다. 이런 시체와 같은 상태에 있는 인도민중속에 간디는 파고 들어가 인도 민중들의 가슴 속에 내재하고 있는 종교심 '진리는 영원히 승리한다.'^62)에 호소하여 민중의 잠자는 영혼을 자각시켜 민중의 마음을 한 마음 한 뜻으로 묶어 통일하여 순전히 '진리의 힘'으로 인도를 영국으로부터 해방시킨 것이 간디다. 그래서 로망롤랑은 그이 《간디傳》에서 지난 2천년 이래 인류사에 있어서 '진리의 힘'을 가장 강력히 입증시킨 인물이 간디라고 했다. 다섯째, 석가모니 부처님은 '나는 이 dharma에 의하여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나는 이 dharma를 존중하고 이 dharma에 師事한다.'고 하였다. 이와 유사한 패러다임으로 간디도 그의 자서전에서 "내게 있어서는 진리가 최고의 원리이며, 이 원리에 다른 수 많은 원리가 종속한다. 이 진리는 말의 진실 뿐만 아니라 생각의 진실이며, 우리가 아는 相對的 眞理일 뿐 아니라, 絶對的 眞理, 영원한 원리 곧 神이기도 한다. … 나는 神을 眞理로서만 숭배한다. 나는 아직도 神을 발견하지 못했고 그를 찾고 있는 중이다. 이것을 찾아 나가는 도상에서 나는 아직도 神을 발견하지 못했고 그를 찾고 있는 중이다. 이것을 찾아 나가는 도상에서 나는 나에게 가장 귀한 것이라고 기꺼이 희생할 각오다. 그 필요한 희생이 설혹 생명이라도 나는 즐겨했으면 한다. … 이 길이 비록 가파르고 좁고 면도날처럼 날카로울지라도 이날까지 내게는 가장 빠르고 가장 완전한 길이었다."^63)고 했다. 인도가 독립(1947)된 이후 인도 국가의 문장(紋章)에 새겨진 모토(motto)가 '진리(Satya)는 영원히 승리한다'이다.

      • 初期佛敎의 敎化方法論 硏究

        金永憲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1998 佛敎大學院 論叢 Vol.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educational method of Buddha centering around the A ̄gama(阿含). For this purpose present writer have considerd of both the task and attitude of teacher and the preach in accordance with udience(對機說) and preach in by stages(次第漸敎說). According to A ̄gama the final aim of preach is to make audience realizing arhattva-phala(阿羅漠果), or go into the inrva ̄na by destroying greed. In A ̄gama the preacher called dharma-des'ana ̄(法師). He who achieve nirva ̄na apart from evil passions explain ultimate truth that is far away off all desires and evil passions. Preacher in today too will mean both the man 'who explain truth' and 'who accomplish that work'. Buddha originated a important method of preach to descrive the contents of his enlightenment objecively through the form of preach. It is the method of the preach in accordance with audiance(對機說) and preach in by stages(次第漸敎說) which is main feature of Buddha's preaning method. The basic character of the preach in accordance with audience(對機說) is grasping situations of problem, then preach the solution of problem in acordance with time(時), place(處), ability of man(人). Saying once more, it is preach of unrestricted without regard to whom in what time, in what situation, in what method. This feature of Buddha's preach is called the preach in accordance with audience(對機說) which can prescribe medicine according to sickness. While the basic feature of the preach in by stages(次第漸敎說) is both to systemize the thought of audience and teach him in by stages. The successive gradual forming of enlightenment have the character of advancing from the stage of gradual practice(漱修) to the stage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 So the educational method of Buddha is the preach of gradual making that make all living beings gradually realizing ultimate truth through teaching lower stage shich he can apprehend. We hace observed over and over the feature of the preach in accordance with audience(對機說) and preach in by stages(次第漸敎說) in quotation from A ̄gama. Therefore present writer would make conclude that these two features are the basic educational methods of Agama.

      • 佛敎布敎에 있어서의 大衆媒體 活用 硏究 : 新聞과 放送을 중심으로新聞과 放送을 중심으로 Concentrating on the roles of Newspapers and Broadcasting

        崔承天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1998 佛敎大學院 論叢 Vol.5 No.-

        Buddhism has been recognized as the (major spiritual force, leading ideology, leading philosophy) that will guide the future civilization of its morality by the intellectuals around the world today. Korean Buddhism, since the liberation of the Japanese occupational period, has lost its direction and been consumed by its domestic discord. This thesis deals with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today in its particular setting, then tries to provide a possible resolution to overcome its problems through the work of missions. It is often said that the lives of all religions depend on their missionary work. Buddhist communities, however, have lacked their effort to sustain the life of their religion. Therefore, it is of the utmost important mission for all Buddhists to create an effective method of spreading the Buddha's teaching for those who have to encounter the dharma(佛法). With this object in mind, a strong attempt is made in this thesis by suggesting the mass media as the key in spreading Buddhism. In my research of the work of missions for spreading modern Buddhism and the direction of mass media, I analyzed various statistical figures in order to examine the shifting numbers of the Buddhist devotees. I was able to conclude that the number of Buddhist devotees has been relatively decreasing in comparison to other religious groups. Also, a clo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hanging policies of missionary work by 'Chogae Order since 1994, and made a brief summary of 'propagation through media' in the last 85 years in korea. According to my resources the number of Buddhist devotees has declined, since the work of missions has been neglected which should have been the 'absolute fundamental mission on earth.' Fortunately Chogae Order, which has undergone its structural reformation since 1994, has improved its propagation-policy that gives us more hope. The subject, "understanding mass media,' has been studied in order to raise general understanding of "media-propagation, " which is gradually being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method of spreading religious today. By looking further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itics of mass media, especially th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which are the most effective areas of mass media, we seek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After examining various methods of mass media as the tools for propagating religions, different suggestions have been made such as establishing organizations for promoting Buddhism (弘報調整委員會)and creating support for educating Buddhist journalis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false and partial reports on various Buddhist groups, I strongly urged to start a movement for all buddhists to exchange more dialogue (through media). Explicit descriptions of methods are given for holding interviews during press conferences by ways of revealing resources and informations. Also, by reviewing various groups of Catholicism in Korea and in overseas who use mass media as their means to spread the religion, we are able to have better insights on other religious groups who are much more involved in 'media-propagation.' Korean Buddhism must realize that the propagation of its religion is the 'absolute fundamental mission on earth.' We must not spare our time in actively utilizing mass media, which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spreading the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