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도시 정보 시리즈 :랴오닝성 단둥(遼寧省丹東)

        임민경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2 지역 기초자료 Vol.2012 No.-

        ▶ 동방을 붉게 물들이는 도시라는 뜻의 단둥(丹東)은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동부에 위치한 인구 약 240만명의 작은 도시로, 북한과 접경하고 있어 지정학적 중요성이 큼. - 단둥은 랴오닝성 연해지역 대외개방전략인 ‘5점 1선(五點一線)’의 구성 지역으로, 랴오닝성 대외개방을 담당할 창구로서 그 위상이 높아짐. - 단둥 대외무역의 약 50% 이상을 대(對)북한 무역이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단둥에서 북한과의 교역 활성화를 위해 건설되고 있는 압록강 신(新)철교 지역을 중심으로 행정기관 및 단둥시 상권이 이전하고 있음. ▶ 2006~10년 단둥의 주요경제지표로 볼 때 단둥은 점진적인 발전 추세에 있으나, 중국의 대도시와 비교할 때 발전이 낙후되어 있음. - 단둥의 경제규모는 중국에서 가장 발달한 도시인 상하이(上海)의 약 1/25 정도이며, 랴오닝성의 다른 도시와 비교할 때도 발전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 단둥의 대외 개방도는 꾸준히 상승 중이며, 특히 관광업의 발전이 가시적임. * 단둥의 대외 무역액에서 대북한 무역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음. ▶ 단둥의 4대 주요 산업은 설비제조업, 금속채굴업, 농산품 가공업 및 방직 의류업이며, 최근 단둥의 소비 시장 규모는 확대되는 추세임. - 12·5규획 기간 단둥은 각 개발구와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4대 산업 및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할 계획임. *주요개발구및산업단지로는단둥변경경제협력단지(丹東邊境經濟合作區), 임항산업단지(臨港産業園區), 둥강경제구(東港 經濟區), 쳰양경제구(前陽經濟區), 다구산경제구(大孤山經濟區) 등이 있음. - 단둥의 소비시장은 랴오닝성의 최대 소비시장인 선양(瀋陽), 상하이와 비교할 때 규모는 작지만,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발전 잠재력이 높음. - 단둥의 주요 상권은 압록강 구(舊)철교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향후 신도심(新城區)의 발전과 함께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상권이 발달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한국의 대중국 무역에서 단둥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으나 단둥을 방문하는 한국인 민간 관광객 수는 북한 관광객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음. - 단둥시의 관광업은 지역내총생산에서 약 1/3 이상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여기에는 한국 관광객의 증가가 큰 기여를 했음. - 단둥에 진출한 한국기업 중 대표적으로 SK네트웍스가 있음. - 단둥은 1995년 인천광역시와 우호도시를 체결한 이후 교류를 지속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인 2010년 7월에 류유익 전(前) 주중대사가 단둥을 방문한 바 있음.

      • 뉴노멀 시대 대응을 위한 2015년 중국 지역별 경제정책과 시사점

        노수연,오종혁,김홍원,이한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5 지역 기초자료 Vol.2015 No.-

        ▶ 중국의 각 지역은 뉴노멀 시대에 부합할 수 있도록 2015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조정하는 한편, 소비, 산업, 투자 분야에서 구체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함. - 중국정부는 2014년 12월 뉴노멀(新常态) 시대의 도래를 천명했으며, 실제로 각 지역도 저성장 추세가 두드러짐에 따라 2015년 1~2월에 개최된 지방 양회(两会)에서도 뉴노멀 시대에 대한 대응이 강조됨. - 이에 따라 지방정부도 △ 2015년도 경제성장 목표치를 현실에 맞게 소폭 조정하거나 △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경제정책의 최우선순위로 삼고 △ 일대일로(㊀带㊀路), 창장경제벨트, 자유무역시범구 등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향으로 정책목표를 조정하고 있음. - 또한 중국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3대 당면과제인 △ 소비촉진 △ 산업구조 조정 △ 투자촉진과 관련하여 지역마다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2015년도 시행계획을 발표함. ▶ 중국 각 지역은 경기둔화나 사회불안을 최소화하면서 뉴노멀 시대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2015년 정책 방향의 파격적인 전환보다는 기존의 정책 틀 내에서 일부 내용을 조정하는 점진적인 전략을 취하고 있음. - 중국 지방정부는 주요경제지표의 성장률 목표를 중앙정부의 목표치보다 높게 책정하던 과거 성향에서 탈피하여 2015년에는 목표치를 중앙정부와 비슷한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현지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중앙정부보다 더 낮게 책정함. - 지역경제 성장을 견인할 동력으로 소비와 투자를 동시에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로 목표성장률 책정에서는 소비보다 투자 분야에서 중앙정부 및 타 지역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 2015년 중국 모든 지역의 GRDP, 소비, 투자 성장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방정부는 사회보장제도 개선과 인프라 투자 확대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지역경제의 경기둔화를 최소화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위해 혁신이 강조되면서 각 지역에서 베이징 중관춘의 IT 창업 성공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민간이 주도하는 기술의 산업화와 혁신환경 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혁신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방법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인 것으로 평가됨. ▶ 우리나라는 중국의 지역별「정부업무보고」를 토대로 추후 발표될 후속 조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지역별 ‧ 분야별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지역 중에서는 특히 헤이룽장, 지린, 랴오닝, 네이멍구의 경제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에 2015년에도 경제성장의 둔화가 타 지역보다 두드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 - 지역별로 추진하는 전자상거래, 자동차 시장, 양로서비스 분야의 소비 진작책을 활용해야 함. - 최근 중국정부가 인프라투자 사업에서 민관협력을 강조함에 따라 외국기업에 대한 인프라시장 진입장벽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와 관련한 중앙·지방의 세부 조치와 지역별 투자 사례를 분석하여 진출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한국의 신산업 육성 분야와의 상호보완성, 협력가능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지역을 선별하고 전략적 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향후 일자리 창출에 유리한 서비스업 육성 지원이 지역마다 늘어날 전망이므로 이에 대한 활용방안도 검토해야 함.

      • 중국 13차 5개년 규획기간의 지역별 정책방향: 창장삼각주지역

        노수연,이한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6 지역 기초자료 Vol.2016 No.-

        ▶ 중국경제의 중심지인 창장삼각주지역은 13·5규획기간(2016~20년)에 서비스업 중심의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하면서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지역통합 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됨. - 창장삼각주지역은 상하이(上海)시, 장쑤(江苏)성, 저장(浙江)성으로 구성되며, 중국에서 경제가 가장 발달하고 대외개방도가 높은 지역으로서 2011~15년 중 지역총생산(GRDP)이 연평균 10.1% 성장하였으나, 최근 수출입과 외국인직접투자(FDI)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타개책이 필요한 상황임. - 13 ‧ 5규획기간에는 중국 평균 수준의 경제성장(6.5~7.5%)을 유지할 것이며, 높은 부동산가격과 인건비로 인한 제조업의 역외이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구축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됨. - 일대일로, 창장경제벨트 등 새로운 국가전략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창장삼각주지역 통합 발전에 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줄었으나,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지역통합은 지속될 것임. ▶ 상하이시는 금융과 해운을 중심으로 한 국제도시 건설에 집중할 계획이며, 소비재와 서비스 분야에서 우리의 진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됨. - 상하이시의 13 ‧ 5규획기간 정책방향은 경제 ‧ 금융 ‧ 해운 ‧ 무역의 국제적 허브건설의 완성으로 요약되며, 특히 2016년 중에는 위안화 해외지불시스템(2기) 구축, 보험거래소 개소, 국제결제청산협회 등 금융 유관기관 집결 등 국제금융센터 부상을 위한 금융 개혁 ‧ 개방 확대에 주력할 방침임. - 상하이는 대표적인 소비재 수입시장이므로 화장품, 의류, 소형가전 등의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로 확보로 한국의 소비재 수출 타깃지역으로 적극 활용해야 할 것임. - 또한 중국에서 가장 빨리 노령화시기에 접어든 도시이면서 시 정부의 양로서비스 육성의지가 강하므로 양로서비스 분야 협력을 적극 추진해볼 수 있음. ▶ 장쑤성은 쌍방향 대외개방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 ‧ 장쑤 간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 ‧ 중 FTA 산업 협력단지 조성, PPP 사업 참여 등을 추진할 수 있음. - 장쑤성의 13 ‧ 5규획기간 정책방향은 일대일로를 위시한 대외개방의 다변화로 요약되며, 일대일로는 장쑤성의 건설장비제조 및 건설업체의 해외진출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장쑤성은 한국의 대중국 수출 및 투자의 주요 대상지로서 긴밀한 협력관계가 구축되어 있으므로 △옌청시의 중한산업단지 조성 참여 △한 ‧ 장쑤 협력의 주요 의제에 PPP 사업을 포함시켜 환경보호, 교통, 관광, 의료분야 협력 강화 △한국이 경쟁우위를 확보한 내구소비재, 지리적 근접성을 활용할 수 있는 농식품,화장품 등의 수출 확대가 긴요함. - 투자유망지역으로는 북부지역인 옌청, 중앙아시아와 유럽 수출확대를 위한 물류기지 롄윈강 등이 부각됨. ▶ 저장성은 인터넷과 서비스 위주로의 산업구조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 패션 분야에서 우리와의 협력기회가 많은 것으로 평가됨. - 저장성의 13 ‧ 5규획기간 정책방향은 산업융합과 업그레이드로 요약되며, 저장성의 수입전략, 해외투자 및 외국인투자 유치전략 등을 예의주시하여 우리 기업의 사업기회를 포착할 필요가 있음. - 7대 중점산업 중 헬스케어 ‧ 패션 ‧ 첨단장비제조업 분야의 협력 및 진출을 추진하고, 항저우 ‧ 닝보 ‧ 저우산을 중심으로 주요 시범사업이 전개되는 만큼 이들 도시를 우선적인 협력파트너로 고려해볼 수 있음.

      •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 광둥(广东)성

        이상훈,김홍원,최지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5 지역 기초자료 Vol.2015 No.-

        ▶ [광둥성 내수용 수입] 광둥성의 내수용 수입은 2013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전자부품 ‧ 컴퓨터 ‧ 영상 ‧ 음향 ‧ 통신장비 제조 관련 자본재 부품 ‧ 부분품에 대한 수입 집중도가 높음. - 2013년 이후 광둥성 총수입 중 내수용의 비중이 가공무역을 상회하고 있으나, 중국 평균과 비교해볼 때 여전히 가공무역의 비중이 높은 지역임. - 광둥성은 가공단계별로 중간재, 특히 자본재 부품 ‧ 부분품 수입의 비중이 높음. 그 밖에 최종재 중 △ 가정용 식음료품 △ 운송장비를 제외한 자본재 △ 비내구소비재의 중국 내 수입 비중이 큰 것이 특징임. - 업종별로 전자부품 ‧ 컴퓨터 ‧ 영상 ‧ 음향 ‧ 통신장비 제조업에서의 수입 비중이 높으며, 휴대폰 제조에 쓰이는 집적회로, 반도체 부품 등에 대한 수입이 주를 이룸. ▶ [한국의 수출] 대광둥성 내수용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광둥성을 가공무역기지로 활용하고 있음. 주요 수출품은 전자부품 ‧ 컴퓨터 ‧ 영상 ‧ 음향 ‧ 통신장비 제조 관련 부품 ‧ 부분품임. - 한국의 대광둥성 내수용 수출은 내수용 특화 품목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메모리나 프로세서, 컨트롤러 등과 같은 집적회로 반도체 부품을 위주로 수출함. - 광둥성 총수입 중 한국의 시장점유율 상승세가 두드러지나, 내수용 시장 내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정체 상태를 보임. - 시장점유율과 시장비교우위지수(MCA)를 함께 고려하여 경쟁우위 품목 또는 업종을 도출한 결과, 한국은 광둥성 내수용 수입시장에서 가공단계별 ‧ 업종별 품목 모두 경쟁우위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 [정책적 시사점] 한국은 광둥성 수입시장의 변화에 맞춰 가공무역 중심의 수출패턴에서 내수용 수출 확대에 주력해야 하고, 수입수요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내수용 수출 품목의 다변화를 추진할 필요 - 광둥성 수입구조는 내수용 수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현지 내수용 수입시장을 겨냥한 수출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함. 특히 전자부품 ‧ 컴퓨터 ‧ 영상 ‧ 음향 ‧ 통신장비 제조업이나 기타 수입 비중이 높은 품목에서 확실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긴요 - 최종재 중 운송장비를 제외한 자본재와 가정용 식음료품, 비내구소비재 등 소비재의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관련 품목을 중심으로 확대되는 수입시장 내 점유율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특히 식음료품과 비내구소비재의 경우 중국 내에서도 광둥성을 통한 수입 비중이 크므로, 광둥성을 해당 품목 수출의 거점 지역으로 삼고 시장 개척 및 유통망 발굴에 주력해야 할 것임. ▶ 또한 가공식품 등 소비재의 수출 확대를 위해 통관 ‧ 물류 분야에서 정부지원을 강화하고, 광둥성의 국제전자상거래(해외직구) 시범사업과 같은 해당 지방정부의 소비 관련 육성정책을 적극 활용한 내수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것도 긴요 - 광둥성은 한국산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큰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통관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산둥성 등 다른 지역을 통해 수입한 뒤 중국 내 육상물류를 이용하여 광둥성에 공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비 증가나 유통기한 단축 등으로 시장점유율 확대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음. 따라서 양국 정부간 협상을 통한 통관 간소화 촉진, 중국 내 물류의 원활화를 위한 정부지원 강화 등의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광저우(广州)시 국제 전자상거래 시범사업과 같이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소비 육성 및 장려 정책을 활용함으로써 비용 절감, 통관 편의성 제고 등의 효과를 거두고, 현지 수요에 부합하는 수출 품목을 발굴하는 등 맞춤형 시장개척 전략의 모색이 긴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