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中國 黑龍江省 群力 바위그림과 단군신화

        서영대(Suh, Young-Dae) 고조선단군학회 2016 고조선단군학 Vol.34 No.-

        이 글은 중국학자 李洪甫의 새로운 견해, 즉 중국 흑룡강성 海林市 柴河鎭에 위치한 군력 바위그림에 단군이 그려져 있다는 학설을 검토해 본 것이다. 검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는데, 첫째로는 문제의 군력 바위그림 자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군력 바위그림과 관련되는 기초적인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즉 군력 바위그림의 위치를 설명하고, 발견 경위와 조사 과정을 살펴본 다음, 그림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그림의 의미에 대한 기왕의 견해들을 살펴보고, 필자 나름대로의 해석도 제시해 보았다. 즉 군력 바위그림은 〈오른쪽 위〉에 있는 신령의 부부를 향한 의례의 여러 장면을 표현한 것이고, 의례의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서 인간의 소망이 항상 신령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했다. 또 제작 시기와 제작자 문제를 거론하여 신석기시대로 보는 설부터 당송시대로 보는 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견해들을 시대 순으로 정리해 보았다. 둘째로는 군력 바위그림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견해를 내놓은 李洪甫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李洪甫의 견해를 요약했는데, 그것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즉 먼저 李洪甫의 견해의 바탕을 이루는 논문을 살핌으로서 단군에 대한 그의 인식의 대강을 파악했고, 다음으로 군력 바위그림에 단군이 그려져 있다는 주장의 논거들을 추려 보았다. 그래서 李洪甫의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크게 6 가지로 정리하여 보았다. 즉 ①크고 중요한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논거 제시가 빈약한 점, ②군력 바위그림의 판독에 문제가 있는 점, ③단군이란 명칭을 단목 아래에 정좌하고 있는 군장이란 의미로 해석한 데 무리가 있다는 점, ④군력 바위그림이 있는 목단강 유역을 낙랑군 지역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점, ⑤군력 바위그림에 단군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단군상과 다른 그림과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하지 못하여, 그림의 전체적 의미를 드러내지 못한 점, ⑥군력 바위그림이 단군과 관련이 있다면, 단군신화와 시베리아와의 관련을 부정하는 자신의 설에 오히려 불리한 증거가 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그래서 李洪甫의 새로운 견해는 수긍하기 어렵다고 했고, 현재로서는 군력 바위그림과 단군을 연결시키는 것은 부정적이라고 결론을 맺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w theory of Li-Hong Fu, one of Chinese scholar, which insisted on one painting drawing on Qun-Li rock painting is portrayed Tangun, a founder of ancient Chosen. At first, I explained outlines of Qun-Li rock painting, for examples, the location of Qun-Li rock painting, process of discovery and investigation, contents of paintings, meanings of paintings, making time and painter. Most of my explanations are summary of existing achievements on Qun-Li rock painting, but I added one thing that a aim of this rock painting. As my opinion, man seated upper left are god and goddess like master of nature. And the aim of draw paintings where very difficult to access is for communication with these god and goddess ceaselessly and so accomplish their wishes, as success of hunting and fishing. Second, I summarize theories of Li-Hong Fu’s on identification of ichnography on Qun-Li rock painting. As his theory, drawing on upper left side of rock painting is Tangun, because not only his hat and mantle which he dressed represented he is king, but also his figure seated under the tree is significance of Tangun, which means king who seated under the sanders tree. All the more, he added another evidence, that the basin of Mudanjiang river valley(Qun-Li rock painting is located on this basin) was area of Tangun Chosen. But I think his theory had many problems. ①Ground of his argument is so obscure that it cannot verify his theory. ②Arbitrariness of his decipherment on Qun-Li rock painting. ③Meaning of Tangun is not the king seated under the tree. ④The basin of Mudanjiang river valley was not area of Tangun Chosen. ⑤He did not suggest relationships between paintings and did not interpretate the whole meaning of Qun-Li rock painting. ⑥If the man who portrayed on Qun-Li rock painting were Tangun, it deny his theory that Tangun Chosen was builded by Chinese in result. So I did not agree his theory, and did not accept the possibility that man who portrayed on Qun-Li rock painting is Tangun.

      • KCI등재

        북한의 단군민족주의에 대한 검토

        조원진(Cho, Won-Chin)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북한의 단군 인식과 단군민족주의는 시대에 따라 큰 변화를 보여왔다. 해방 후 북한에서는 고조선의 건국시조로서 단군의 역사성을 긍정적으로 파악한 견해와 부정적으로 인식한 견해가 한동안 공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1960년대에는 리상호에 의해 단군신화의 역사성에 대한 자세한 검토가 있었다. 그러나 단군의 역사성과 고조선의 건국시조로서 단군의 위치가 확고하게 자리잡은 것은 아니었다. 1970년대 이후 북한은 주체사상이 부각되며 민족주의가 강하게 표방된다. 나아가 ‘조선민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다. 단군에 대한 연구가 강인숙에 의해 본격적으로 다시 시작된다. 『조선전사』(1979, 1991)를 보면 단군은 고조선의 건국 시조로 확실히 자리잡는다. 그러나 아직 단군이 민족 전체의 시조로 부각되지는 못했다. 민족주의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면서 민족에 대한 상징적 구심점이 필요하게 되었고 평양지역을 강조할 필요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1993년 단군릉 발굴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은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부각시키고 전조선(단군조선) 시기에 조선민족이 형성되었다고 주장하게 된다. 그러나 오랫동안 민족의 시조로 인식되어온 단군의 존재는 남북한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통일을 이루어낼 수 있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북한의 단군 인식과 단군민족주의를 어떻게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견해 차이를 좁힐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남북의 공동연구와 관련 유적의 공동 조사 및 발굴 같은 지속적인 교류가 필요하다. North Korean perception of Dangun and Dangun nationalism has shown a huge change with the times.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it seems that a positive view and a negative view of the historicality of Dangun coexisted for a long time. In 1960s, there was a specific study on Dangun mythology by Lee Sang-ho. However, the historicality of Dangun and the position of Dangun as the founder of Old Joseon were not firmly established. Since 1970, North Korea"s Juche Idea has been highlighted and its nationalism has been professed. Further, the term "Joseon nation" began to be used. A study on Dangun was wholeheartedly resumed by Gang In-suk.『Joseon Jeonsa(조선전사)』 published in 1979 and 1991 shows that Dangun well established himself as the Founder of Old Joseon. However, Dangun did not yet emerge as the founder of the entire Korean nation. Later, as interest in nationalism was getting stronger, the center of the nation was needed, the need to emphasize the Pyeongyang area was presented as well. After all, it can be seen that this situation emerged due to the excavation of Dangun tomb. This made North Korea characterize Dangun as the founder of the nation, and claimed that Joseon nation was formed in the pre-Joseon era. However, the existence of Dangun who has been perceived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nation for long is still important in that it can be the center of recovering the homogeneity of South and North Koreans and achieving unifi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critically accept such North Korean perception of Dangun and Dangun-nationalism to narrow the differences of views. For this, continuos exchanges such as joint research, and a joint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of relevant remains by the two Koreas are required.

      • KCI등재

        조소앙의 단군민족주의와 삼균사상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18 고조선단군학 Vol.38 No.-

        이 논문에서는 조소앙의 생애와 활동 및 삼균사상을 단군민족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소앙이 단군민족주의자들과의 교류 속에 그 사상세계를 발전시켰다는 점과, 대종교의 역사인식을 공유한 점, 스스로 단군민족주의를 보급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한 점 등을 들어 소앙을 단군민족주의자로 규정하였다. 소앙이 전개한 삼균주의(삼균제도)에 대해서도 단군민족주의적 정치이론으로 규정하였다. 삼균주의는 단군민족주의운동이 찾아낸 홍익인간이나 균평흥방론 같은 고유의 명제로부터 그 균등사상의 출발점을 삼는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특히 삼균주의의 균권・균부・균지론은 단군민족주의 운동의 주역인 대종교가 제시하는 삼일신사상과 유사한 논리전개를 보인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단군민족주의에 동반된 정치사회적 지향을 이론적・정책적으로 구체화해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삼균주의가 중시하는 균등-평등은 단군의 자손론이 지향하는 공동운명체론이 전제로 삼고있는 기본원칙이었다. 삼균주의가 추구하는 국가는 ‘韓人의 韓’으로의 한민족의 국가이자 국민주권주의에 기초한 민주공화국인 바, 그것은 단군의 자손으로의 조선민족을 정치의 주체이자 목적으로 간주하는 단군민족주의적 정치관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계급을 초월하여 민족적 차원에서 공동운명체로 결속할 수 있다고 간주하고,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를 넘어 합작하고 통합하는 민족유일당과 통일민족국가를 추구하였던 소앙의 노선은, 민족을 초계급적 공동체로 보는 단군민족주의의 통일공동체관을 구체적으로 천명하고 실천한 것이었다. ‘족여족균등’의 기치하에 민족을 단위로 한 세계일가를 지향한 소앙의 노선 역시, 민족적 자주성과 독자성을 추구하되 홍익인간의 인본주의를 실현하고자 한 단군민족주의의 기본적 지향과 합치되는 것이었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좌우를 종합하는 제3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이자, 한국에서 출현한 독창적인 사회주의사상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같은 기왕의 논의에 한가지 더 중요한 의의를 추가하였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단군민족주의의 흐름과 유산속에 생산된 한국사상사상 가장 독창적인 정치이론의 하나였다는 것이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및 안호상의 일민주의와 함께 단군민족주의적 정치이론으로 묶어서 논의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JoSoang"s national movement and Samgyunism (三均主義) in the relationship with Dangun-nationalism. Dangunnationalism means the thoughts or movements which persued the ethnic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under the identity consciousness of Dangun"s decendants. Dangun-nationalism had worked as a power sourse for national identity, independency, integration, democracy, justice and welfare. Its origin went back to the 13th century when Dangun Myth was recorded in some history books. And it was generalized in the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at Hanmal(韓末) period and under Japanese rule period. Samgyunism is the political theory which JoSoang, the famous Korean independent movement leader, maped out. JoSoang proposed it as the main ideology to make the unifyed independent nation state. Samgyunism may be said as one of the political theory of Dangun-nationalism. First of all, JoSoang was a Dangun-nationalist who thought Korean people as the Dangun"s decendants. And Samgyunism started its theory on the bases of Korean native thoughts such as Hongikingan(弘益人間) idea which was mentioned in the Dangun Myth and Gyunpyungheungbang(均平興邦) idea which was mentioned in Sinzlbosa(神誌秘詞). Dangun myth and Sinzibisa were the texts which Dangun nationalism searched out in the cultural heritage of ancient Korea. And Samgyunism"s three main principles, such as Gyunkueon(均權), Kyunbu(均富), Kyunji(均智,) are presumed to be affected from the trinitarianism (三一神思想), which was the main doctrine of Daejonggyo(大倧敎), the religion which venerate Dangun. Samgyunism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Dangun-nationalism and we can say it as the embodyment of Dangun-nationalism.

      • KCI등재

        항일독립운동과 단군민족주의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20 고조선단군학 Vol.43 No.-

        이 논문은 특히 한말~일제강점기의 항일독립운동에 단군민족주의가 관여하고 기여한 내역을 살피고자 집필되었다. 단군민족주의는 단군의 건국으로부터 민족 공동의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단군의 자손의식에 기초하여 민족집단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민족적 통일과 자주독립 및 발전을 도모하는 일련의 사조와 운동을 가리킨다. 단군은 근대 한국의 저항민족주의를 지탱해온 정신적 지주의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와 맞서 싸우는 일은 자신의 목숨까지 내놓아야 하는 절박한 결단을 요구하고 있었다. 근대 한국 저항민족주의는 민족성원들을 분명한 민족정체성인식으로 무장시키고 자주독립을 위한 투쟁대열에 참여하여 헌신하는 의지를 형성하는 과제를 우선적으로 부여받았다. 긍지 높은 민족의식에 입각하여 민족성원들을 결속시키고 결집된 민족역량을 투쟁대열에로 동원하는 과제에 기능적으로 부응한 것이 바로 단군이었다. 일제침략기를 통하여 조국광복을 위한 민족적 투쟁에너지의 상당부분은 단군을 매개로 해서 단군민족주의의 주도하에 조성되었다. 논문에서는 한국사 속에서 단군민족주의가 전개된 과정을 더듬은 후에, 일제강점기에 전개된 단군민족주의 운동들이 가지는 의의를 항일독립운동과 관련하여 검토하고, 항일독립운동의 전개에 단군민족주의적 상징과 인식이 기여한 바를 분석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Dangun-nationalism contributed to Korean anti-Japan independent movements. Dangun-nationalism means the thoughts and movements which persued the ethnical integr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under the identity consciousness of Dangun’s decendants. Dangun-nationalism was one of the mental pillars which sustain the Korean resistance nationalism. The activities persuing national independent under Japanese rule were very tiring struggles which even demand individual’s precious life. The priority task of resistance nationalism was to arm the natioal identity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for the members of nation. It was Dangun who made up the national pride and unite the members of nation. Through the independent movement era the struggle energy for national liberation were made by the initiative and mediation of Dangun-nationalism. Dangun was understood as Korean’s ancestor god who protect Korean nation from foreign invasion. This paper searches the unfolding process of Dangun-nationalism in Korean history and analyzes how it contribute to Korean nationalistic movemen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근대 단군민족주의의 계승과 단군운동

        이숙화(Lee, Sook-Hwa) 고조선단군학회 2018 고조선단군학 Vol.39 No.-

        이글은 한말에서 임시정부수립에 이르기까지 단군민족주의 인식의 동향을 추적하면서 ‘단군 자손’의 주체적 의식이 근대적 민족의식의 성장을 주도하고 단군운동, 독립운동과 밀접하게 결합되어있음을 분석하였다. 단군은 한국사의 오랜 부침을 함께 했다. 특히 한국인이 ‘근대적 민족’으로 거듭날 때 핵심적 매개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단군과 단군사상은 항일민족운동 및 독립전쟁의 논리를 제공하고, 국내외 한민족의 결집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로서 기여하였다. 이 글에서는 근대 단군민족주의의 계승과 운동을 세 단계로 살펴보았다. 첫째, 한말 역사교과서 저술과 교육을 통한 국민계몽의 단계, 둘째, 민족적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단군문화운동으로 항일의식을 키워가는 단계, 셋째, ‘단군 자손’과 ‘배달민족’의 이름으로 재탄생한 근대적 한민족이 3・1운동의 주체가 되어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독립운동의 주역으로 성장하는 단계이다. 민족은 탈민족주의적 관점에서는 ‘상상의 공동체’로서 배척되지만, 이 글에서 한민족은 근대 민족국가 건설과 독립운동에 투신했던 ‘역사적 실체’로서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향후 단군의 문제가 평화운동의 원리로서, 통일운동의 이론으로 제시될 충분한 가능성과 연결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is about recognition tendency of Dangun Nationalism between late Korean Empire an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recognition of Dangun Nationalism led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and is related with independent movement. Dangun was a mediator when Korean people became a modern nation people. Moreover Dangun and Dangun’s thought offered a logic to the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and made an important role to gather Korean people together. The succession and movement of Modern Dangun Nationalism has four stages. Firstly, national enlightenment through writing and education of history books. Secondly, re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of anti-Japanese consciousness. Thirdly, the modern Korean people which had a rebirth as “Dangun’s descendant‘ and ’Baedal Nation‘ led 3・1 Independence Movement, establish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se all stages, they became a leading role of Independent Movement. A nation is rejected by Post-nationalism as an imaginative community, but Korean was analyzed in this article as a historical entity which went in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 state and independent movement. It means that Dangun’s thought could be used as a theory of peace-movement and unification-movement.

      • KCI등재

        북한지역의 단군 관련 유적과 전승

        조원진(Cho, Won-Chin) 고조선단군학회 2020 고조선단군학 Vol.43 No.-

        북한지역의 단군관련 유적 및 전승은 평양, 묘향산, 구월산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평양에는 단군의 무덤으로 전하는 ‘단군릉’과 단군에 제사 지내던 사당인 ‘숭령전’ 등의 유적이 있다. 북한학계는 단군릉 발굴 이후에 단군조선초기라고 주장하는 유적의 발굴성과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북한학계는 평양지역을 단군이 태어나고 도읍한 지역으로 보고 있다. 반면 남한학계에서는 고조선의 초기 도읍지를 요서지역 혹은 요동지역으로 보고 있으며 평양지역은 고조선의 후기 도읍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한편 북한학계는 단군릉 발굴 이후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단군에 대한 다양한 구전 자료를 발굴하였다. 특히 문헌자료에 거의 전하지 않는 단군이 평양일대의 여러 집단을 복속시키는 과정이나 단군의 왕후·아들·신하와 관련된 다양한 전승이 채록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구체적인 채록 시기나 과정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묘향산에는 단군이 태어난 ‘단군굴’ 등 대부분 단군의 출생과 그가 평양에 도읍하기 이전의 활동과 관련된 유적과 전승이 전한다. 이것은 태백산(묘향산)은 단군의 탄생지이며 단군이 도읍한 곳은 평양으로 구분하는 『三國遺事』의 『古記』 기록과도 유사한 부분이 있다. 또한 구월산에는 환인·환웅·단군을 모신 사당인 ‘삼성사’가 있으며 고조선 3번째 도읍인 ‘장당경(장장평, 당장경)’이라 전하는 유적 등이 있다. 구월산 지역은 단군의 마지막 모습을 전하는 유적과 전승이 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평양지역과 달리 묘향산과 구월산 지역은 실제 역사적으로 고조선 도읍과 직접 관련된 지역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다양한 유적과 전승이 전하고 있다. 향후 북한 지역에서 단군과 관련된 유적과 전승이 언제 등장하여 확산되었는지에 대해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남북학계가 공동으로 관련 유적과 전승을 조사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Dangun in the North Korea region are concentrated in the areas of Pyongyang, Myohyang Mountain and Kuwol Mountain. In Pyongyang, there are remains including the ‘Dangun Tomb’, which has been passed down as the tomb of Dangun, and the Sungryong Hall, which is a temple where ancestral rites were held for Dangun. Since the excavation of the Dangun Tomb, North Korean academia has released excavation results of the remains they claim to be a part of the Dangun era. Based on these materials, North Korean academia views the Pyongyang area to be the area where Dangun was born and where he set up as his capital.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n academia tends to view the Liaodong or Liaoxi area to be the early capital area of Old Joseon and the Pyongyang area as the later capital of Old Joseon. Meanwhile, North Korean academia excavated a variety of orally transmitted material about Dangun centering on the Pyongyang area after the excavation of the Dangun Tomb. What is noticeable in particular is the process of how Dangun subjugated several groups in the Pyongyang area, which is something the literary materials almost do not transmit at all. Also noticeable is the records of various traditions concerning the sons and courtiers of Dangun. However, a detailed period or process of the records has not been disclosed. Myohyang Mountain mostly offers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Dangun’s birth including the ‘Dangun Cave’ where he was born and his activities before moving the capital to Pyongyang. This corresponds to the records of Samgukyusa and Gogi which distinguish between the birthplace of Dangun namely Taebaek(Myohyang) Mountain, and the place he chose as his capital, Pyongyang. Furthermore, in Kuwol Moutain, there is ‘Samseong Temple’, which worships Hwanin, Hwanung, and Dangun, as well as remains that transmit the tradition that ‘Jangjangpyong(Jangdanggyeong)’ was the third capital of Old Joseon. The Kuwol Mountain area is characterized by its transmission of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the last appearance of Dangun. However, unlike the Pyongyang area, it is difficult to view the Myohyang Mountain and Kulwol Mountain area as being directly related historically to the capital of Old Joseon.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in detail when these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Dangun in the North Korea region first appeared and how they spread. To achieve this,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a must jointly investigate and research the relevant remains and tra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