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대한제국기 육군 부위(副尉) 오경근(吳景根) 유물 연구

        이경미,이지수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8 한국 복식 Vol.- No.40

        This study giv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on the army uniformartifacts of the Daehan Empire in the Seok Juseon Memorial Museum of DankookUniversity. This study outlined the modern military uniform system and its morphological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tifacts along with line drawing.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troduced andoutlined the army uniform artifacts in the Seok Juseon Memorial Museum, which had not yet been introduced to the academic society. The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a total of ten uniform pieces of seven types: a ceremonial army officer’s hat, two pieces of parade feather, an officer’s jacket, a pair of epaulets for grand ceremony, two pairs of epaulets for small ceremony, a pair of riding trousers, and two celebration medals. The wearer was Oh Gyeong-geun, a company grade officer. Second, each piece can be outlined as follows: A ceremonial army officer’s hat made of red flannel for the upper part and green flannel for the lower part is a cavalry 1st lieutenant hat under the 1902 regulations. In addition to the hat, two pieces of parade feather as ornaments were examined. The green flannel on the collar and the chevron of the red jacket indicated that they were for grand cavalry ceremonies of 1902. The collar and the chevron were also for 1st lieutenants. There were a pair of epaulets for small ceremonies and another pair of epaulets for grand ceremonies for 1st lieutenants along with a pair of epaulets for small ceremonies for 2nd lieutenants. The trousers were riding trousers, which failed to meet the regulations without any side line tape on the black flannel for cavalry. The army sash waist belt was for a company grade officer with yellow tassel on a red belt. Lastly, there were the medal for the 40th anniversary of the Empire Gojong’s accession to the thron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in 1901 and the medal for the anniversary of the prince’s wedding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in 1907.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the artifacts belonged to Oh Gyeong-geun promoted to the position of the 1st lieutenant of cavalry in 1906, who wore the epaulet for small ceremonies as a 2nd lieutenant, the ceremonial army officer’s hat, the officer’s jacket and the epaulet for grand ceremonies, the epaulet for small ceremonies, and the army sash waist belt, along with the awarded medals as the 1st lieutenant. This study summarized an example of the army uniform artifacts in the Seok Juseon Memorial Muse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cavalry niforms, as well as on military uniforms in the same period of time. 본 연구는 단국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중인 한제국기 육군 부위(副尉) 오경근(吳景根) 유물의 조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근 군복 제도와 형 태적 특징에 해 간단하게 정리하고, 다음으로, 본 연구의 상인 오경근 유물의 특징을 서술하며 이와 함께 도식화를 제시하였다. 본 유물은 아직까지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던 석주선기념박물관 소 장 한제국기 육군 복식 유물을 소개하고 정리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경근 유물은 정모(正帽)와 입전모(立前毛) 2점, 례의, 례견장 1쌍, 소례견장 2쌍, 바 지, 식, 기념장 2종의 총 8종 11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정모는 상반부는 홍색 융(絨), 하반부는 녹색 융으로, 기병 부위 계급의 모자이다. 모자와 함께 장식품으로 입전모 2점이 조사되었다. 상의의 바탕색은 홍색이고 칼라와 수장(袖章)에는 녹색 융이 달려 있다. 칼라와 수장의 색과 계급으로부터 기병 부위 계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견장은 부위 계급의 례견장 1쌍과 소례견장 1쌍이 있었고, 참위 계급의 소례견장 1쌍이 있었다. 바지는 승마용 단고(短 袴)인데 기병일 경우 흑색 융에 녹색 봉장(縫章)이 달려있어야 하지만 본 유물에서는 봉장이 없어서 규정에 맞지는 않다. 식(飾帶)는 붉은색 띠에 황색 술로 구성된 위관 계급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셋째, 함께 기증된 기념장으로 1901년에 제작, 배포된 고종황제 등극 40주년 기념장과 1907년에 제작, 배포된 황태자 가례기념장이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본 유물은 한제국기인 1906년에 기병 부위로 승진한 오경근이 참위 일 때 패용한 소례견장과 부위일 때 착용한 정모, 례의, 례견장, 소례견장, 식와 함께 수여받은 기념장들이 포함된 유물로 정리된다. 본 연구는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된 한제국기 육군 부위 유물의 한 예를 정리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이 시기 육군 복식, 더 나아가 기병의 복식을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휘항 재현품 제작을 위한 고증과 제작 방법 연구

        안인실 ( An In-sil ),이민정 ( Lee Minjung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1 한국 복식 Vol.- No.45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석주선박물관 소장 휘항 재현품 제작을 위한 이론적 고찰, 실증적 유물 조사, 재현과정에 관한 것이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휘항에 대한 다양한 문헌 및 회화 자료를 수집하고 고증하였으며, 유물 조사는 휘항의 구조, 소재, 부분별 바느질법, 구성 기법,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예비 재현품을 사전 제작하여 유물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실견하지 않고 유물을 재현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인지했으며, 예비 재현품을 제작하면서 생겼던 궁금증을 기반으로 더 세세한 부분까지 관찰 가능했다. 휘항 유물 조사 결과, 겉감에는 선염 공단이, 안감 털은 산토끼털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겉감은 풀기가 없고 부드러웠으며, 겉감 안쪽에는 심지 대신 풀솜이 두어져 있었다. 겉감을 겹으로 하여 그 사이에 솜을 두어 외피를 만든 후, 안감 털을 정수리에서 약 14cm 아래 부분부터 전체적으로 대어 준 형태였다. 테두리 부분의 털은 테모를 대어주지 않고 안감 털을 겉으로 접어 올려 고정하였다. 유물 재현은 정확한 형태, 소재, 바느질 기법 고증을 중요한 과제로 삼았으며, 봉술-매듭-끈목도 유물 형태와 색상을 최대한 살려서 재현하였다. 실증적 유물 조사와 재현 과정을 통해 단국대학교 석주선박물관 소장 휘항 제작 방법이 기존에 발표된 휘항 제작 방법과 다르다는 사실을 지적하여 휘항 제작 방법의 다양성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literary research, relic investigation, and the process of making a replica for the restoration of Hwihang in the collection of the Seokjusun Memorial Museum at Dankook University. In the literary research, various literature and painting materials on Hwihang were collected and verified, and the relic investigation was centered on the structure, materials, sewing methods for each part,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relics, preliminary replica was used. Through this process,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reproducing the relic without failing to see it were recognized. Also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relic in detail based on the curiosity arising from the production of the preliminary replica.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First, the outer fabric is a satin weaved with pre-dyed thread. Its gloss and softness remain the same though around 100 years of time has passed. Second, it is lined with hare’s hair. Third, the outer shell is not starched nor used stiff interlining. It is assumed to be filled with silk layers of mulberry silk fibers in that it is soft and light. The Hwihang relic is constructed with the outer shell in complete shape with the fur lining sewn to it with large stitches. The lining fur was attached about 7cm below the top. The fur on the rim is a fold-up of the lining fur to the outside, not the additional trimming fur. When reproducing the relic, the accurate form, material, and verification of sewing techniques were taken as important tasks, and the shape and color of the braid-knot-tassels were also reproduced as accurate as possible. Through the process of empirical relic investigation and reproduc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 method of making the Hwihang in the Seokjuseon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collection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known method, suggesting a possibility for the diversity of methods of making a Hwihang.

      • KCI등재

        신경유(申景裕:1581~1633년) 조복(朝服)의 후수(後綬) 연구

        장정윤,박윤미,최연우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2 한국 복식 Vol.- No.47

        This study examines the Husu(back decoration) of the 17th century military officer Shin Gyung-yoo’s Jobok (relics of the Ceremonial Attires) which is kept in Seokjusu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and compares the Husu system of ceremonial attires for government officials stipulated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Husu is worn on the back when wearing Jobok. The surface of the Husu of Shin Gyung-yoo was in a poor condition and only parts of the pattern could be examined. The Jobok system for government officials enacted in March of King Taejong’s 16th year combines the Hongmuyeje and system in place at the time. The system in Hongmuyeje was established in the 24th year of Hongmu. The Jobok system established in the 16th year of Taejong applied the principle of two-rank downgrading compared to the system of the Ming Dynasty. However, this principle did not apply to some detailed parts. The Jobok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xpress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officials rank such as clouds with cranes, eagles, mapgies and mergansers and this system continued on, in literature, to the Korean Empire without any change. However, only clouds with cranes were actually used on Husu for Job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ase of 17th century Kwon Woo’s ceremonial attire, white heron patterns were used. The Husu of Shin Gyung-yoo, who was a 2nd rank official, is made of polychrome woven silk mixed with five types of weaving techniques on the outside and the lining was a three-fold 2.1 twill. As for the patterns, a few patterns including horizontal lines were examined. A part of the main pattern could be assumed as cloud patterns. However not all the patterns could be identified. The patterns were woven with supplementary weft in a double weave. 본 연구는 조선과 명의 문헌에 규정된 관원의 후수 제도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된 17세기무관 신경유 조복 후수의 유물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두 차례의 유물 실견이 이루어졌다. 비록직물 표면의 상태가 좋지 않아 완전한 형태를 복원하는 데에까지 이르지는 못했지만, 선행연구보다 한 발더 진전된 연구성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종 16년(1416) 3월 제정된 조선의 조복제도는 홍무예제 와 당시 시행되고 있던 조선의 제복제도를 종합한 것이다. 홍무예제 에 수록된 제도는 홍무24년(1391) 제정된 것이다. 태종 16년(1416) 마련된 조복제도는 명의 제도에 비해 이등체강 원칙을 적용한 것이지만, 세부내용에서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은 면도 나타난다. 품급에 따라 운학, 반조, 연작, 계칙을 표현하는 조선전기의 이 제도는 문헌에서 대한제국까지 변화없이 이어지지만, 조선후기 실제 사용된 후수는 제도와 달리 운학을 표현했고, 17세기 권우 조복 후수의 경우는 노사(鷺鷥)문양이다. 신경유 후수는 정2품 관원의후수인데, 겉감은 총 5종의 조직이 혼합된 문직물이고, 안감은 3매 능직의 무문능이다. 무늬는 가로줄 등 몇가지가 있는데 주 무늬 부분에는 일부 구름으로 추정되는 무늬가 있으나 무늬 전체를 완전히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무늬는 지위사와 별도로 굵은 문위사(supplentary weft)를 넣어 이중직(double weave)으로 짰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이후 갖옷에 관한 연구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

        박양희,최연우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0 한국 복식 Vol.- No.43

        Animal skins and fur, the first clothing material for mankind, have long been used and are still used to date. Leather and fur have a long history, so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clothing, but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conducted by examining artifac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use of leather and fur, focusing on the clothing artifacts of the SeokjuSeon Memorial Museum Dankook University. In addition, the process of processing leather and fur was considered as a preemptive work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tanning and dyeing. Studies have shown that salt, mirabalite(朴硝), saltpetre(硝石) were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rather than tannin, which is commonly used during the tanning process. Comparing the actual work style of artisans with the literatur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Amur maple and Gunggeum (Yellow Oxide of Iron) as a dye was used as a dye,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moke-absorbing method (燻煙法) was a common method in literature and craftsmanship work. Through empirical study of relics, leather and fur-based clothes were compared to fabric-based clothe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that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way they were made. A typical feature is that the fur used as a lining for leather clothes is made by attaching several small pieces together. It seems to be a device to give the clothes flexibility and consequently to make them comfortable when wearing clothes. 인류 최초의 복식 재료인 동물의 가죽과 모피(毛皮)는 오랜 역사성을 지니며 현재까지 변함없이 사용되고 있다. 가죽과 모피가 오랜 역사성을 갖는 만큼, 복식사학계에서 이를 사용한 갖옷에 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유물을 조사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한 경우는 많지 않고, 이에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복식유물을 중심으로 유물조사를 진행하여 가죽과 모피의 실제 사용에 관해 분석하였다. 또 이를 위한 선제적인 작업으로 가죽과 모피의 가공 공정 중무두질과 염색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해, 무두질 공정 중 가죽을 부드럽게 할 때 조선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인 탄닌(tannin)이 아니라 소금, 박초, 초석 등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염색 공정에 관해서는 조선시대 문헌기록과 현재 장인의 실제 작업방식을 비교한 결과, 염재로 신목(신나무)을 쓰고 매염제로 겅금(황철)을 쓴 것을 확인하였고, 또 가죽에 황색을 낼 때 연기를 쬐는 것(훈연법)이 문헌과 장인의 작업에서 공통된 방식임을 확인하였다. 유물 실증 고찰을 통해 가죽과 모피를 사용한 옷이 직물을 사용한 옷과 비교해 복식 제작방식에서 차별화되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대표적인 특징은 갖옷의 안감으로 사용한 모피는 여러 개의 작은 조각을 이어 붙여 제작했다는 점이다. 이는 털방향을 고르게 하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옷에 신축성을 주고 결과적으로 착장 시 편안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궁중 인문보자기 연구

        권혜진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3 한국 복식 Vol.- No.49

        Bojagi, which was popular among the royal family and the private sector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not only used as a daily household item, but also as a ritual item used for ceremonies with courtesy or wrapping precious gifts. Inmoon-bojagi, decorated by a royal painter with a lucky pattern using colored pigments, is a beautiful cultural heritage that shows the high-quality packaging culture of the Joseon royal family as a ritual item prepared for royal weddings in the Joseon Dynasty. Research on the most formative and colorful Royal inmoon-bojagi among the Royal Bojagi is only a study of 14 Royal inmoon-boja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In this research, we will study the customs and formativeness of Royal Inmoon-bojagi in the Joseon Dynasty centered on the Duckon princess’ Inmoon-bojagi by comparing the traditional Royal Inmoon-boja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and the Inmoon-bojagi in the Seoul Craft Museum. Through literature studies on royal weddings, including National Wedding Ceremony , we want to find out the socio-cultural value of Royal Inmoon-bojagi in the royal packaging culture that reveals the production process, use, and size of the royal Inmoon-bojagi, which has limitation to reveal through the analyzing a small number of relics. Research on royal wedding records shows that Royal Inmoon-bojagi is a royal wedding product prepared through a careful production process by experts at a large cost to package precious gifts used in royal weddings. Royal Inmoon-bojagi, packed with various patterns symbolizing the couple’s love and happiness, the meaning of defeating ghosts or bringing good luck, has repeatedly used motifs such as phoenixes, flowers, fruits, treasures, and geometry, but all express various sculpture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and unique expressions. The formative beauty of Royal Inmoon-bojagi, which is beautifully designed with a certain format and content within a given canvas, can appreciate its design value from a modern perspective. 조선시대 왕실과 민간에서 애용되었던 보자기는 일상 생활용품으로 사용된 것뿐 아니라 예의를 갖추어의례를 행하거나 귀한 선물을 포장하는 일에 사용되었던 의례용품 이기도 하다. 궁중 화원이 채색 안료를사용해 길상무늬를 그려 넣어 장식한 인문보자기는 조선시대 왕실 혼례를 위해 마련된 의례용품으로써 조선왕실의 품격 높은 포장문화를 보여주는 아름다운 문화유산이다. 궁중보자기 중 가장 조형미가 뛰어나고 화려한 궁중인문보자기에 대한 연구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궁중인문보자기 14점에 대한 연구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덕온공주의 인문보자기를 중심으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창덕궁 전래 궁중인문보자기와 서울공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인문보자기 유물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궁중인문보자기의 풍속과 조형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국혼정례 를 비롯한 「궁중 발기」의 기록과 「가례 등록」 등의 왕실 혼례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적은 수량의 유물 분석으로 밝히기에 한계가 있는 궁중인문보자기의 제작과정과 쓰임새 그리고 그 규모를 밝혀 왕실의위엄과 품격을 드러내는 왕실 포장 문화에서 궁중인문보자기가 차지하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알아내고자 한다. 또한 국립고궁박물관 외에 국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인문보자기를 실견 연구하여 조형미와 조형적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왕실 혼례 관련 기록의 연구 결과 궁중인문보자기는 왕실 혼례에 사용되는 귀한 예물을 포장하기 위해 큰 규모의 비용을 들여 전문가들의 분업과 정성스러운 제작과정을 통해 마련하는 왕실 혼례용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부부의 사랑과 행복, 벽사와 길상을 상징하는 다양한 무늬로 꽉 찬 궁중인문보자기는 봉황무늬와 꽃무늬, 과일무늬, 보물무늬, 기하학무늬 등 같은 모티브를 반복해서 사용했지만 모두 다른 조합과 개성 있는 표현으로 다양한 조형미를 표출하고 있다. 주어진 화폭 안에 일정한 형식과 내용을 담아 아름답게 기획된 궁중인문보자기의 조형미는 현대의 시각에서도 그 디자인적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 필드 자연사 박물관 소장 한국 복식문화재 연구

        권혜진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5 한국 복식 Vol.0 No.34

        Researcher visited the Field Museum located in Chicago, the United States to investigate nearly 160 pieces of Korean costume properties among about 840 pieces of Korean collection housed in the Field Museum for 3 weeks starting from February 2008. This study selected three pieces of armoured garments and four pieces of Dangui (ceremonial jacket) among the Korean costume properties housed in the Field Museum eminently worthy of research in comparison with Korean collection at home and abroad to analyze their figurative characteristics and to conduct a research in comparison with the similar costume properties at home and abroad. Three pieces of armors housed in the Field Museum are all in Dugeong-gap shape. And a piece of armor for soldiers whose cotten is imprinted with pattern and two pieces of armors for generals which are wrapped with a fur on the red cotten flannel, and two pieces of helmets which match with the armors are housed there. All of these are kept in a very good condition compared to the remaining armoured garments housed in the domestic museums and their collected time is obvious, which provides the solid foundation of the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mors of Joseon dynasty in 19th century. Hyungbe (rank badge) for decoration are attached to three pieces out of the four pieces of Dangui housed in the Field Museum. It is very unusual that Hyungbe for decoration are attached to Dangui for adult women. In addition, it is interesting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representing some part of Husu, Hyungbe embroidered with Gubong figure, and Hyungbe with Geumjeonji embroidered with Su (壽) figure. Researches on Korean costume properties housed in overseas museums are considered invaluable as a cultural asset with which the creativity of our culture is studied and global cultures are interacted. 연구자는 2008년 2월 약 3주간에 걸쳐 미국 시카고에 자리한 필드 자연사 박물관을 방문 하여 필드 자연사 박물관 소장 약 840여점의 한국문화재 중 160여점에 이르는 복식문화재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필드 자연사 박물관 소장 한국 복식문화재 중 국내외 소장 한국 문화 재와 비교 연구 가치가 있는 3벌의 갑주와 4벌의 당의 유물을 선정하여 그 조형적 특징을 분 석하고 비슷한 유형의 국내외 복식문화재와 비교 연구한 것이다. 필드 자연사 박물관소장 3벌의 갑옷은 모두 두정갑 형태로, 무명 위에 무늬를 찍은 군사용 갑옷 1벌과 홍색 융 위에 모피를 두른 장수의 갑옷 2벌 그리고 갑옷과 한 벌을 이루는 투구 2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국내 박물관 소장 갑주유물에 비해 보관상태가 매우 좋고 소장 시기가 분명하여 19세기 조선의 갑옷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된다. 필드 자연사 박물관소장 4벌의 당의 중 3벌의 당의에는 장식용 흉배가 부착되어 있다. 성 인 여성의 당의에 장식용 흉배가 부착된 예는 매우 이례적이다. 또한 그 형태가 후수조각, 구 봉무늬 자수 흉배, 수(壽)자 무늬 금전지 흉배 등 각기 다른 형식으로 제작된 점이 흥미롭다. 해외 박물관 소장 한국 복식문화재 연구는 우리문화의 독창성을 연구하고 세계문화와 소 통하는 역할을 하는 문화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 KCI등재

        이기남(李箕南, 1533~1605) 묘와 이서용(李瑞龍, 1557~1619)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초 남자복식

        송미경 ( Song Mi Kyung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1 한국 복식 Vol.- No.46

        2006년 전라남도 장성군의 청안이씨 문중의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이기남(李箕南, 중종 28년 1533~선조38년 1605) 부부와 그들의 2남인 이서용(李瑞龍, 명종 12년 1557~광해군 11년 1619)의 묘에서 복식이 수습되었다. 이 복식은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기증되었고,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보존처리를 하였다. 부자(父子)인 이기남과 이서용은 몰년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각 묘에서 수습된 복식의 종류와 형태는 차이가 크다. 속옷 상의인 한삼(汗衫)은 목판깃에 겨드랑이 삼각무가 있는 형태에서 칼깃의 무가 없고, 옆트임이 있는 소형화되기 시작하는 변화를 보인다. 남자바지는 합당고(合襠袴)와 개당고(開襠袴)에서 사폭바지로 변화하였다. 이기남의 묘에서 액주름· 철릭· 답호· 단령이 수습되었고, 이서용 묘에서는 중치막과 단령이 수습되었다. 이는 임진왜란 이후 답호와 액주름은 점차 사라지고, 중치막이 등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기남 묘에서 수습된 단령과 답호는 전단후장형이나 이서용 묘에서 수습된 단령은 앞뒤길이가 같다. 이기남 묘와 이서용 묘에서 수습된 포류를 비교하면 깃너비가 좁아지고, 옷길이는 길이지고, 품은 길어지는 변화가 있다. 옷감은 이기남 묘에서는 견직물이 50% 이상 사용되었지만, 이서용 묘에서는 면직물이 60% 사용되어, 임진란 이후 변화를 알 수 있다. 이들 출토복식은 임진왜란을 전후한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의 남자복식 변화를 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In 2006, in the process of relocating the tombs of the Cheongan Lee clan in Jangseong-gun, JeollaNamdo, the costume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Lee Ki-nam and their second son, Lee Seo-yong. Changes in costumes can be seen through the excavated costumes of those tombs. A typical change in doubles can be found in the form of Hansam and men’s trousers. Men’s trousers have changed from Hapdanggo and Gaedanggo which place for to both to Sapok-trousers. Akjureum, Cheolik, Dapho, and Danryeong were collected from Lee Ki-nam’s tomb, and Jungchimak and Danryeong were collected from Lee Seo-yong’s tomb. It can be said tha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Dapho and Akjureum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Jungchimak began to be worn. As for the fabric, more than 50% of silk was used in the tomb of Lee Ki-nam, but 60% of cotton cloth was used in the tomb of Lee Seo-yong, indicating the difficult economic situa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se excavated costumes are very valuable data to see changes in men’s costumes in Jeolla-do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