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금융의 과제와 대응전략

        신용상 ( Yong-sang Shyn ) 글로벌금융학회 2020 글로벌금융리뷰 Vol.1 No.1

        코로나19 팬테믹은 전 세계적인, 그리고 실물과 금융을 망라한 사회·경제 전 영역에 걸친 위기상황을 초래하였다. 잔존하는 여러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언젠가는 종식될 것이고 그 이후에 펼쳐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해 나가는 것은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역사적 과제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 경제와 금융의 최종 목표는 실물경제의 조속한 정상화를 통해 지속 성장 기반을 회복하는 것과 이를 지원할 미래형 금융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될 것이다. 또한 반복·재발할 수 있는 다양한 불확실성 및 위기 상황에 대비한 금융안정 시스템의 확립이 필요하다. 더불어 글로벌 산업 및 금융 패러다임을 통째로 바꾸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금융의 디지털혁명에 대한 대응체제 구축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과제 중 하나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금융은 4차산업 혁명 기반기술을 중심으로 한 중장기 산업정책을 정비하고 이를 지원하는 금융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구체적 실행방안으로 각 과제별 특화금융기업을 육성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형·투자형 인내자본 형성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빅테크기업 등 4차산업 혁명 기술기반 혁신기업의 금융업 진출이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금융기업과의 규제격차 문제 해소도 중요하다. ‘동일 기능, 동일 규제’의 원칙을 근간으로 한 양자 간 공정경쟁 환경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코로나19 극복 후속 대책 및 유사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비한 충분한 대응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고령화 및 양극화 추세에 대비하여 장기자산형성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지역 상권·소상공인·서민기반의 밀착형·관계형 금융시스템 구축 및 정책서민금융 재원 확보 방안을 구체화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급격한 고용시장의 변화에 대한 대응책도 필요하다. 기존 노동자들의 새로운 업무환경에 대한 적응력 제고를 위한 직업교육과 창의력를 갖춘 새로운 디지털 전문 금융인력 양성이 관련 핵심과제가 될 것이다.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about unprecedented upheaval to the entire world socially and economically in all areas from the real economy to finance. However, this will one day come to an end with aftermaths and uncertainties remaining, and it is now for the Korean economy to foresee the paradigm shift that is going to take place and be ready for the new normal. The ultimate goal of the Korean economy and finance in the post COVID-19 phase will be to restore the foundations for sustainable growth by accelerating recovery of the real economy. This progress could be backed by a newly introduced financial support system. In addition, a financial stability system must be established to prepare for various uncertainties and emergency situations that might emerge again and repeatedly. Apart from the crisis-related schemes, copi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gitalization of finance that are reshaping the financial landscape would also bean important post COVID-19 challenge. In a nutshell, Korea should formulate medium- and long-term industrial policies centered on innovative future technologies and shore these up with new financial support system. Giving each task to a specialized financial institution would be a good approach to raise long-term patient capital for technology and investment, and a well-functioning response system should be built to deal with the consequences of current and similar future crises. Meanwhile, programs to promote long-term assets against aging and polarizing society need to be thoroughly designed, as well as community-based financial system and policy loans for local economies, traditional markets, small business owners, and low income brackets. Moreover,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absorb employment market shock triggered both by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garding this, the main task would be to educate the existing work force to better adapt to a whole new working environment and to cultivate young and creative digital finance specialists.

      • 우리나라 금융허브 육성 전략에 대한 고찰

        정재웅 ( Jae Woong Jung ),안세륭 ( Seryoong Ahn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2

        우리나라 금융허브 육성 정책의 시초는 2003년 재정경제부의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후 20여 년간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기도 했으나, 금융허브의 핵심인 금융규제나 감독시스템 개혁 등에서는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렇게 지난 20여 년간 추진됐던 우리나라 정부 중심의 금융허브 육성 전략을 살펴보고, 이 전략의 성과 및 향후 필요한 정책 방향성에 대해 논한다. 2003년부터 정부가 추진한 글로벌 금융허브 육성 전략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침체, 2010년부터 2011년까지의 유럽국가부채 위기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급변으로 인해 금융시장 안정화에 중점을 둔 정책으로 변화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 산업 수준과 경제 수준은 발전했지만, 금융산업은 그에 상응하는 발전 정도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한국이 경제 규모에 상응하는 금융허브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에서 활발하게 다른 허브와 교류하는 동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정부, 금융공기업, 금융기업, 그리고 연기금 모두의 통합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The origins of South Korea's financial hub development policy can be traced back to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s Northeast Asia Financial Hub Promotion Strategy in 2003.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ve been some concrete achievements, but there have been no clear results in areas such as financial regulation and supervisory system reform, which are the core of financial hub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government-led financial hub development strategy that has been pursu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and discuss the achievements of this strategy and the policy directions that are needed in the future. The global financial hub development strategy that the government has pursued since 2003 has also changed to a policy that focuses on financial market stability due to the sudden changes in the global financial markets,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recession in 2008, and the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from 2010 to 2011. As a result, South Korea has developed in terms of industrial and economic levels, but the financial industry has not shown a corresponding level of development. In order for South Korea to grow into a financial hub that corresponds to its economic scal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rehensive and pension funds, while actively exchanging with other hubs in the global effort by the government, financial public enterprises, financial companies, financial network and playing a key role.

      • 한국금융의 선진화: 도전과 과제

        윤석헌 ( Suk Heun Yoon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1

        한국은 전통적으로 은행 중심의 간접금융시스템을 운영해왔고 최근 자본시장을 육성하여 시장중심 직접금융시스템으로의 발전을 추구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이를 한국금융의 선진화 방향으로 보기는 어렵다. 문제의 핵심은 기관은 기관대로 시장은 시장대로 가계와 기업을 금융적으로 도와 가계의 효용과 기업 가치를 늘이는 것일 것이다. 다시 말해 올바른 중개기능과 역할의 수행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 금융사와 시장이 각각 간접금융 및 직접금융의 방식으로 중개기능과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면 그게 바로 선진화된 금융의 모습일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이 글은 우선 금융선진화의 지향점이라 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금융의 역할을 논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할 수행이 부진한 것을 금융의 낙후성으로 인식하고 그간의 금융정책을 주요한 원인으로 지적한다. 이중 금융산업정책의 역할이 향후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민간부문이 요구하는 규제완화는 민간의 책임경영 확립을 담보하는 금융감독강화 및 감독체계 개편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배경하에 한국금융 선진화 과제를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우선필요조건으로 가계부채 연착륙, 생산적 금융 활성화, 디지털 전환 그리고 기후금융 역할 확대 등을 살펴보고, 충분조건으로 금융지주사와 은행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esired role of Korea’s financial services industry as a pivotal force in achieving its advancement. It argues that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and interference in the industry has been the primary reason why the industry has been incapable of fulfilling its financial intermediation function as needed by the Korean economy ranked as the 10th largest in the world. Under the circumstances, the paper discusses two thing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s financial services industry. First, a unified and independent supervisory structure should be in place which will provide strong disciplinary measures for financial firms and markets to ensure financial stability and financial consumers protection. Second. four necessary conditions and two sufficient conditions are identified and related tasks are discuss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advancement. The necessary conditions include ensuring the soft landing of household debt, strengthening entrepreneurial finance,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climate finance. The sufficient conditions include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financial holding companies as well as that of commercial banks.

      • 한국과 해외 빅테크의 금융산업 진입 정도 비교와 국내 규제 시사점

        김준산 ( Jun San Kim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1

        빅테크의 금융산업 진출이 확대 중으로, 이는 ICT의 발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빅테크 금융서비스는 빠르고 간편한 앱, 소비자의 금융 상품 탐색 비용을 감소시키는 등 긍정적 혜택을 제공하기도 하나, 시장 독점, 비용 증가,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야기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빅테크의 금융산업 영향력이 빠르게 증가 중으로, 이 연구에서는 주요국 간 빅테크의 금융산업 진출 정도를 비교하고, 국가 간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빅테크의 금융산업 진입과 관련한 규제시사점을 도출한다. 문헌 조사를 토대로 주요국 간 빅테크의 금융산업 진입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 한국 빅테크의 금융산업 진입 정도가 타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원인 중 하나로, 해외 주요국은 빅테크와 일반 금융기관 간 동일한 규제 체계를 적용하는 반면, 한국에서는 빅테크 및 핀테크 등에는 금융기관과 다른 규제 체계를 적용하고 있는 특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금융상품중개 플랫폼 등으로 한국에서 빅테크의 금융산업 내 영향력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해외 규제 사례를 토대로 국내 빅테크에 대한 규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Big Techs are entering into the financial industry more than ever in a worldwide fashion. Financial services provided by big techs may benefit consumers with their fast and innovative apps, reducing their efforts required to access financial services. However, they also result in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monopolization, increase in service fees, and privacy concerns. In Korea, big techs' presence in financial industry is gaining momentum in part due to financial intermediary services recently allowed by financial regime in Korea. In this research, we compare big techs' entrance into the financial industries among countries such as the US, Japan, and Korea. We also analyze the results and provide appropriate regulatory direction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and additional investigation, we found that in Korea, big techs are more deeply and vigorously entering into the financial industry compared to the US and Japan. Relatively less severe regulatory environment was suggested as one of factors that caused this phenomenon. As big techs' influence on the financial sector is expected to grow in Korea, regulatory directions that are necessary to protect consumers and the industry itself are proposed based on the foreign countries' regulatory environments, including the UK and Japan.

      • 금융강국 건설 방안

        김창기 ( Changki Kim ) 글로벌금융학회 2022 글로벌금융리뷰 Vol.3 No.1

        이 논문은 우리나라가 금융강국이 되기 위한 여러 가지 고려 사항들과 제도 및 정책 대안들을 제시한다. 2003년 이후 정부와 금융계가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왔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가 앞으로 금융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향후 어떠한 정책과 노력을 추구해야 할 것인지 논의한다. 그리고 금융 전문인력 양성과 유대인 금융교육의 시사점을 살펴보고 향후 금융제도와 인프라 개선 방향을 논하며, 우리나라에 글로벌 급 투자은행 설립방안을 고찰한다. 그리고 금융중심지와 더불어 지역특화 금융거점지를 개발하여 전국적인 금융산업 육성방안을 논한다. This paper presents various considerations and institutional and policy alternatives for Korea to become a financial powerhouse. It examines what efforts the government and the financial community have made to develop the financial industry since 2003, and discusses what policies and efforts Korea should pursue to become a financial powerhouse in the future. Moreover, it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nurturing finance professionals and Jewish financial education to discuss future financial systems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directions, and subsequently examines ways to establish global investment banks in Korea. Furthermore, a scheme to foster the nationwide financial industry is discussed by developing a regional specialized financial base along with the financial center.

      • 중소기업 ESG 경영과 금융의 역할

        서경란 ( Kyongran Seo ) 글로벌금융학회 2021 글로벌금융리뷰 Vol.2 No.2

        ESG경영의 중요성 확대에도, 중소기업의 ESG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국내외 ESG관련 규제 및 정책이 급박하게 추진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ESG경영 안착을 위한 정부 및 금융기관의 역할이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중소기업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환경분야(E)의 녹색전환을 위해서는 정책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한 원활한 금융지원이 필수적이며 이와 함께 다양한 제도개선과 상품개발,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먼저 ESG금융을 위한 측정 및 평가 인프라 제고를 통해 성과와 연계한 ESG금융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녹색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녹색 및 지속가능 금융프레임도입을 검토하고, 녹색금융 지원모델의 다양화가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중소기업금융의 구조적 한계로 지적되어온 담보 및 재무제표 중심의 대출구조를 신기술 중심의 경쟁력평가로 고도화하고, 미흡한 투자시장의 구조개편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ESG경영을 위해 금융기관은 금융지원을 넘어 비금융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중소기업과 지속가능한 성장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SMEs' awareness of ESG is still low. In a situation where domestic and foreign ESG-related regulations and policies are urgently pushed forward, it is an important time for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settle the ESG management of SMEs. In particular, active financial support centered on policy financial institutions is essential for green transition in the environmental sector (E), where SMEs are experiencing the most difficulties. Along with this, various institutional improvements, product development, and system construction should be made. First,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frastructure for ESG finance should be improved so that ESG finance linked to performance can be activated. In particular,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a green and sustainable finance frame and diversify the green finance support model to revitalize green finance. Above all, the loan structure centered on collateral and financial statements,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structural limitation of SME finance, should be converted to a new technology-oriented competitiveness evaluation, and structural restructuring of the insufficient investment market should be accompanied. Lastly, for ESG management,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establish a sustainable growth cooperation system with SMEs by providing non-financial services beyond financial support.

      • 한국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의 필요성 및 과제

        이효섭 ( Hyoseob Lee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2

        생성형 AI, 블록체인, 빅데이터 기술 혁신의 영향으로 금융산업은 디지털금융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할 것이다. 한국은 금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을 추진해왔으나 법인세율·소득세율 완화, 고용 및 금융규제 개선, 영어 사용 보편화 및 주거비 부담 완화 등 금융인프라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지 않고는 싱가포르, 홍콩, 상해 등과 비교하여 우수한 금융허브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 따라서 미래 금융산업 변화에 대응하고, 한국이 가진 장점을 살리기 위해 기존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 대신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으로 금융산업 발전 전략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의 세부과제로 다음 제안을 제시한다. 첫째, 국내 핀테크 기업 및 금융회사의 해외 진출을 돕고 디지털금융 관련 ICT 인프라의 수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둘째, 서울, 부산 등 주요 거점 도시에 디지털금융 특구를 선정하고, 세제 완화, 창업 및 보육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거점 도시에 디지털금융 창업 허브를 설립하고, 디지털금융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지정을 통해 디지털금융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금융환경 변화에 맞추어 기존 금융업 규제 체계를 네거티브(Negative) 방식과 원칙(Principle)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 The Financial Industry will rapidly shift toward digital finance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generative AI, Blockchain, and BigData. South Korea has been promoting the ‘Northeast Asia Financial Hub Strategy’ to improv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financial industry, but it is difficult to become an excellent financial hub compared to Singapore, Hong Kong, and Shanghai without easing corporate and income tax rates, improving employment and financial regulation, and universalizing the use of English.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inancial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to a ‘Digital Financial Hub Strategy’ instead of ‘Northeast Asia Financial Hub Strateg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asks for a digital financial hub strategy. First, South Korea government should actively support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fintech and financial companies and the export of ICT infrastructure related to digital finance. Second, we should nominate digital finance special zones with a lot of incentives such as tax benefits, startup and incubation support. Third, digital finance startup hubs should be established in major cities, and digital finance talent should be cultivated by designating digital finance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Fourth, the existing financial regulatory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a negative and principle-based manner in line with changes in the digital finance environment.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금융정책 방향

        이세훈 글로벌금융학회 2020 글로벌금융리뷰 Vol.1 No.1

        그간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여 경제·금융위기 대응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왔다. 그러나 코로나19는 단기적인 경제 충격에 그치지 않고 우리 경제·사회 전반을 근본적이고 구조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되는 바, 새로운 환경변화를 기회로 삼아 우리 금융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금융정책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금융환경 변화를 진단해본 결과, 첫째, 신성장산업 육성 및 GVC(Global Value Chain)변화, 둘째, 비대면경제 확산 및 디지털 가속화에 따른 금융산업 지각변동 가능성, 셋째, 양극화 심화 및 금융소외계층 확대 우려, 넷째 초저금리 기조 지속에 따른 금융불안요인 누적을 주요 특징으로 뽑을 수 있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향후 금융정책은 크게 다음의 네 가치 축을 바탕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첫째 실물경제의 장기·안정적 성장을 위한 금융지원, 둘째 금융산업의 지평확장 및 새로운 기회를 준비, 셋째 양극화 심화 가능성에 대한 촘촘한 대응, 넷째 경제위기로 내재된 금융위험 요인에 대한 철저한 대비이다. 물론, 코로나19 장기화 및 재확산 우려가 상존하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은 당면한 경제·금융위기 극복에 총력을 다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정책적 대응노력과 병행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예견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서 제시한 금융정책 방향을 바탕으로, 시장전문가, 업계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추진전략을 구체화·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특히 정책과제들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협의를 거쳐 종합적인 정책 추진방안을 ‘21년 금융위 업무계획에 반영하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선행될 필요가 있는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소통채널을 통한 충분한 논의를 거쳐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한 혁신금융 추진 방안

        조봉현 ( Bonghyun Cho ) 글로벌금융학회 2020 글로벌금융리뷰 Vol.1 No.1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변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혁신 벤처기업 육성은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혁신금융을 활성화시켜 나가야 한다. 스타트업과 혁신기업의 성장 동기를 진작하고 필요한 자금을 적시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투자자금을 공급할 수 있는 금융혁신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벤처 기업의 기술력과 미래 가치 등을 더 중시하는 금융으로 발전하고, 모험 자본 등 직접 금융도 점차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은행들은 대출과 모험자본의 균형성장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해 나가야 하며, 혁신기업의 니즈에 맞는 혁신투자 플랫폼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혁신기업의 자금 수요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금융 수단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은행-벤처캐피털-기업간의 유기적 연계와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모험자본시장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정보비대칭성이 갖는 높은 창업 초기 기업을 선별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전문투자자(informed capital)의 활발한 역할이 필요하다. 나아가 혁신적인 중소·벤처기업의 스케일 업(scale-up)도 촉진시켜 나가야 한다. 벤처 투자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투자방법으로 최근에 도입된 조건부 지분 인수계약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Fostering innovative venture companies is important to overcome the crisis and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To do this, innovation finance must be activated. We need to develop into finance that values the technology and future value of venture companies, and direct finance such as venture capital should also be gradually expanded. Banks should expand infrastructure for balanced growth of loans and venture capital, and build innovative investment platforms that meet the needs of innovative companies. The organic linkage and cooperation between banks, venture capital, and companie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venture capital market, an active role of informed capital is required to lower information asymmetry and support growth of companies of startups. In addition, conditional equity acquisition contracts must be activated in order to promote the scale-up of innovative SMEs and revitalize the venture investment ecosystem.

      • 금융회사의 ESG 경영전략 방향

        이효섭 ( Hyoseob Lee ) 글로벌금융학회 2021 글로벌금융리뷰 Vol.2 No.2

        이 연구는 기업의 ESG 경영 필요성과 한계를 살펴보고, 기업의 ESG 경영 촉진을 위한 금융회사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실현을 위해 기업이 지속적으로 ESG 경영을 추진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으나, ESG 경영의 유인체계가 부족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우며 ESG 양극화가 확대되는 등 ESG 경영의 한계점들이 존재한다. 글로벌 금융회사들은 ESG 경영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가능경영을 추진하기 위해 다각도로 ESG 경영전략을 펼치고 있다. 국내 금융회사들도 해외 금융회사의 ESG 경영전략을 참고하여 ESG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유인부합적 ESG 금융상품을 확대하는 한편 ESG 정보비대칭 해소를 위해 평가 및 공시 인프라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limitations of ESG management and provide the role of financial companies. For the realization of stakeholder capitalism,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companies should continuously promote ESG management. However, we have some limitations to promote ESG management such as the lack of incentives, the difficulty of objective evaluation, and the widening gap of ESG scores. Global financial companies are implementing various ESG management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try to create social values. Korean financial companies also should promote ESG management by establishing ESG governance, expanding incentive-compatible ESG financial products, and improving evaluation and disclosure infrastructures to solve the ESG information asymm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