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양상

        박은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2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2000년 이후로 꾸준하게 이어져 오고 있으나 대개가 유학생 대상이며 실제 언어 사용을 분석하기보다 학습자 변인별로, 혹은 언어적 특성별로 나누어 살펴본 것들이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그들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한국어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고 본고는 주요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목적을 위해 주요 한국어 학습자라 할 수 있는 외국인 유학생과 결혼 여성이민자의 두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언어학적 혹은 언어사용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언어학적 측면에서는 어휘적, 문법적, 담화적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서, 언어사용적 측면은 사회언어학적, 전략적, 화행적 세 가지 측면에서 각각 사례를 들면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언어를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용 어휘적 측면에서 가장 상이함을 알 수 있었고 결혼 여성이민자들은 구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각 측면에서 사례별로 다소 유사점과 차이점이 드러났는데 두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학습 목적, 한국어 교재, 대화 상황, 성별, 언어 노출 정도 등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본고는 학습자의 학습 변인인 내적, 외적 요인보다는 학습자들의 언어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기에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을 볼 수 있는 기회였으며 학습 목적이 다른 두 집단의 한국어 사용을 동시에 살펴보면서 어느 정도 비교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Even though marriage-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have increased steadily, it is hard to find observation studies or experiment studies on their actual language use. This research examines spoken and writte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marriage-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with their interview and writing.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s after dividing it into linguistic aspect and language use aspect. Linguistic aspec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lexical, syntactic, conversational) kinds. Language use aspect is classified centering on the use of sociolinguistic, strategic, speech act kinds. As a result,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And Research shows some difference between marriage-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purpose(KFL, KSL), textbook, conversational setting etc. These comparison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use and suggest the efficient method of Korean education to prevent misuse in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학 Vol.15 No.2

        본 연구는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을 살펴보았고, 언어 접촉 양상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에서 1) 한국어 상호작용 시간은 1주일 수업 동안 한국어로 상호작용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2) 한국어 사용 시 대화상대로는 서비스 직원들과 가장 많은 말을 했다. 3) 한국어로 말하는 목적은 수업/일과 관련된 긴 대화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하루 동안 교실 밖에서 한국어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활동 중에서 한국어 듣기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다음으로,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언어 접촉 양상과 한국어 능력, 언 어 접촉 양상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마 지막으로, 언어 접촉 양상 중에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변 인으로는 1주일 동안 수업 밖에서 한국어로 상호작용한 빈도, 하루 동 안 교실 밖에서 한국어로 읽기, 하루 동안 교실 밖에서 한국어로 쓰기 임을 알 수 있었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anguage Contact Profile on Korean proficien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ents’ Language Contact Profile show that (1) duration of speaking Korean in classroom per week was the highest in the duration of Korean language interaction, (2) international students spoke the most Korean with service personnel as communication partners, (3)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purposes for long conversations were to clarify classroom or job–related work, (4) the most time the students spent listening to Korean outside of the classroom per da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Contact Profile and Korean proficiency, as well as between the Language Contact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duration of speaking Korean outside of the classroom per week and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outside of the classroom per day had an influence on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Kyung Hee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윤여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이 글은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내용과 실제는 주로 한국 사회・문화 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지지만, 다른 한국어교육의 영역에서도 유용 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즉 한국어교육에서 언어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한국어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교육, 문화교육의 통합 교육적 현상을 한국 언어문화 교육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세부적으 로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내용의 구체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법의 다양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연구의 심화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언어문화 교육 방법에서는 필자의 전공인 한국문학 작품을 활용하는 교육적 효용성에 중점을 두고 구체 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1-22. This study assumes that contents and practices of language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useful not only for social-cultur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for other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is insepar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that a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for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actualizing educational contents, diversifying educational methods and intensifying educational researches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educational usefulness, this study offers education methods that make use of Korean literatures that is my major study.(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언어문화학」의 연구 동향 -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 분석의 활용 -

        양길석,구민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학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학회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17-3호까지의 학술지에 게재된 4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과 내용 분석법을 병행,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키워드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 교육, 한국어,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 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시기별로 구분했을 때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한국어, 요구분석, 한국어 교재’ 등은 시기와 구분 없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나 등재지 이후 시기에는 보다 한국어교육에 초점화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 구조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한국어, 한국 문화/문화’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났고 이 키워드들은 전체 시기의 연구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초창기 언어문화를 포함한 문화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가 꽤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언어 관련 연구와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높고 시기별로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설문조사 연구 및 양적 연구방법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the journal should proceed.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parallel for 44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through 17-3.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found to be high. When categorized by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Needs analysis, and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period, but the frequency of keyword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eriod after registration. In terms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value of connection center was high in the order of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language culture, Korean textbooks/Korean, and Korean culture/culture’, and these keyword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 of the entire perio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ooking at each period, there were quite a lot of studies on the subject of culture itself, including language culture in the early day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verall,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urvey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ends to increase as they become more rec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