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혁신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부산․경남 공사립유치원교사를 중심으로

        김은주,연희정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The failure of previous educational reform polici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ed in the innovation school movement. These day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pecified and operated the innovation kindergarten. However, the basic research should be supported to identify its effects because it is still in an intial phase. In this research, therfore, we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of teachers who are referred as a main stream of the innovation school movement. In the result of study, almost everybody agreed to the demand of innovation kindergarten. And about the overall problem concern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operation of kindergarten, the classes, the teacher’s culture, study showed that they recognized it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lso, it was possible to contact to not only a budget, a work or a leadership but also to concern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used for the fundamental information in setting the realistic proposal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in order for the operation in innovation kindergarten. 수많은 교육개혁정책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한 혁신학교 운동은, 유아교육 현장에도 큰 영향을 주어 최근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혁신유치원을 지정․운영하고 있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혁신유치원은 아직 도입단계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혁신유치원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216명) 및 면담조사(21명)를 통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혁신유치원에 대한 현장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유치원의 필요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동의하였으며, 교육과정, 유치원운영, 수업, 교사문화 등과 관련하여 유아교육이 가지는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혁신유치원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예산, 업무, 관리자의 태도 등과 관련된 걱정 및 이에 대한 요구사항도 함께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유치원 운영을 위한 현실성 있는 제안과 운영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논문]보육교사교육원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정신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1 교육혁신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uggestions for the contributions and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plans of 76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hild educare teachers. 56 staffs from 76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First, the contributions of the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 are the providing child educare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s and training daycare teachers with various backgrounds-age, academic career and marriage. Second, limitations of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re a short-term curriculum and a financial deficiency. Third, development plans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hild educare teachers are a reform of educational system,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for training hours, and evaluative-certification system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육교사교육원 운영과 발전을 위한 정책수립 과정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기초 자료수집과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국의 76개 보육교사교육원의 전임교수와 행정실무자를 대상으로 보육교사교육원의 가능성과 한계, 보육교사교육원의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과 요구를 파악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범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보육교사교육원의 순기능으로서 다양한 배경, 학력, 양육경험을 가진 보육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둘째, 보육교사교육원의 한계는 단기교육과정과 열악한 재정적 토대를 들 수 있다. 셋째, 양질의 보육교사 양성을 위하여 학제개편이나 지원자격의 변화, 학점은행제, 교육원 평가인정제를 들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무엇을 위한 교육인가 : 교육목적관을 중심으로

        최관경,최두진,황시오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에 있어서 어떤 교육목적을 지향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교육은 행복을 지향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의 우리교육은 오로지 입시준비와 출세를 위한 성공지상주의를 지향하는 교육목적관의 기본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원주의 시대에 교사의 관점을 학생들에게 주입하기보다는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을 인정하고 이들의 성장을 도와주는 교사의 모습이 필요하고, 학생들에게 실존적 가치와 존엄성, 교육과 인생의 궁극적 목적과 의미를 심어주어야 한다. 그 역할을 행복한 교사가 이끌어가야 한다. 성공해야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해야 성공한다. 따라서 성공보다는 가치 있는 삶과 행복의 추구가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행복한 교사가 행복한 학생을 낳고, 행복한 사회를 만든다. 결국 교사 한 사람 한 사람이 행복지향적 교육목적관을 지향하고 몸소 실천함으로써 행복하고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and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ree educational teleologism respectively and to find valid paradigm-shift bases of the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into the happin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in Korea. Since all educational activities are a process of means of which the attainment of various specific aims are sought, educational teleologism has always been a subject of utmost interest in education. In fact, lots of educators are content with the short-term goals of conducting daily classes without making overall study of long-term educational goals. Such attitudes of educators remind us of a wind-blown skiff at sea without destination or compass. Three categories of educational teleologisms are logically inferred from the emphasis points between process and result of education, and manipulatively defined as 1) intrinsic teleologism of education, 2) instrumental teleologism of education, and 3) integrated teleologism of education. The success-oriented teleoligism of education is called as the model of instrum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During the past seventy years in Korea, the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has managed our education overwhelmingly. Therefore, its dysfunctions have been accumulated and have caused various destructive and fatal infections in Korean education. In conclusion, I suggest as follows: First of all, we should drastically transform the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into the happin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Secondly, we should incessantly do our best efforts to remodel our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all educators and students can always be happy. After al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as a stepping stone of some help to those educators and students in Korea who are interested in ‘happiness and happiness-education.’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환경에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전선옥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This study suggests that a successful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inclusive settings requires various efforts to devise instructional strategies. In terms of school-wide educational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applied to general student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concepts, an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understanding foreign custom and culture. In the classroom, moreover, teachers can use literary texts for more effective and authentic learning of English, and also facilitate students group activities for more dynamic and comprehensive language learning.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and amount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it is critical for Korean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arameters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instruction for an individual student, such as instructional adaptations. Accordingly, future priority research directions and topics with respect to teaching practices and instructional issues associated with effectiv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영어교과는 세계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일반교실에서 주요 과목 중의 하나로 분류되지만,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이 통합되기에는 어려운 교과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더욱이 특수교육 내부에서는 교육의 내용보다 교육의 방법이 중시되어온 전통에 따라,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에 대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수적 통합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측면이 있어왔다. 근래 통합교육이 일반적인 교육환경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에서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를 위한 통합교실에서의 교과교육 활성화 방안의 모색이 더욱 절실한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 모색한 방안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을 통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이다. 다문화교육에서는 먼저 장애인식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을 실천함으로써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실질적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도 나타나듯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는 영어과 교육의 목표이자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촉진하는 바탕이 된다. 둘째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문학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문학텍스트는 언어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 및 사회적 요소가 공존하는 교수자료로서, 학생수준에 맞는 교수자료의 재구성과 수업설계가 병행될 경우 통합교실에서의 역동적인 수업상황 조성에 매우 적합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TV 드라마에 나타난 교사의 교육관: 『학교』시리즈를 중심으로 : Teachers' Educational Perspectives in TV Drama: Focus on Seasons of TV Drama “School”

        박문범,김회용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대중매체 중 TV 드라마가 갖는 기능에 주목 하여, TV 드라마 속의 교사는 어떤 교육관을 가지고 있는지를 기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담고 있는 드라마『학교』시리즈를 질적 내용분석 방법에 의하여 분 석하였으며, 분석의 준거는 교사관과 학생관, 교육관, 지식관과 교육방법관, 윤리의식과 사명감의 네 가 지로 수립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관과 학생관의 측면에서 드라마 속의 교사들은 전통적 스승상이나 성직관에 입각한 교직관에서 강조하는 것에 부합하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육관의 측면에서 드라마 속의 교사들은 성적 중심의 교육관에 매몰되지 않고 교육에서의 인간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교육에서의 인간성 회복은 곧 학생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것이었다. 셋째, 지식관과 교육방법관의 측면에서 드라마 속 교사들도 제도 교육 속에 있으므로 객관적 지식관을 견지 하였지만,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다양한 교수활동을 시도하고 자신의 교수활동을 반성하는 모습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윤리의식과 사명감의 측면에서 교사로서의 책임 의식, 교직에 대한 사명감, 도덕적 가치관 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드라마 속의 교사들은 자신의 삶과 교육활동에 대해 끊임 없이 성찰하였으며, 특히 교육 현장에서 인간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로 그려졌다. We paid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V drama, which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Korean society. We researched teachers’ qualifications in TV drama.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chool” series, because they practically handled problems occurring at school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below; Teachers believed that the primary purpose of a school education is to recover or improve human nature of students instead of academic scores. Teachers’ qualifications in TV drama “School” were mostly concentrated in sense of teacher’s duty and educational philosophy. Based on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 teachers in the TV drama reflected the attitude of their life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 reality, however, teachers were not encouraged to build their sense of duty and educational philosophy. Second, these qualifications of teachers in the TV drama suggested that we should recover human nature in school. Lastly, changes are needed in a teacher education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teachers.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should focus on scientific teaching methods and human-centered education attitudes.

      • KCI등재후보

        ‘기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인성교육의 미학적 논의

        임부연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본 논문은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주요하게 거론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문제를 ‘기호’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감성적 미학과 연결시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인성이란 인간이 주변의 사물과 맞닥뜨림으로서 일어나는 모든 지각적 반응과 행위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됨의 성질을 말하는 것으로 볼 때, 모든 반응과 행위의 대상인 세계는 하나의 해석을 요청하는 기호학의 대상이 되며, 이를 기계적이고 실증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서 감응적이고 심미적으로 해석하는 미학적 관점이 주요한 인성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심미적 해석을 기다리는 모든 주변의 세계와 인간을 하나의 기호이자 외부자로 규정하는 타자철학에 기초하여 오늘날 인성교육에서 강조하는 인성적 요소인 친근감과 배려, 사랑과 생명의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sign based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aesthetic edu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a view of ‘sign’ system that is compounded with theory of hermeneutics. Human beings are naturally able to perceive the world from the aesthetic perspective, becoming very active to read the meaning from the objects which simultaneously project particularly code to him. From the aesthetic perspective this process of ‘coding and decoding’ between the humans and the world is naturally sensitive with feeling of beauty and moral. By being able to read this meaning with active manner, humans become eventually a real human being with the character of humans. Character of human beings are supposed to be originally friendly with the caring mind, but in these days, this characteristics needs to be educated because of too much rational based education which put great emphasis on logical thinking rather than ‘feel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aesthetics with emphasis on the ‘otherness theory’ would be the alternative way to support character education that promote the students’ inner sense which is ultimately seen to lead the moral behavior from the heart

      • KCI등재후보

        사교육 수요유발 요인과 대책의 논리

        김동석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핵심적 관심사는 사교육 수요가 유발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모형을 탐색하고, 정책적 대응논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교육 행위유출에 작용하는 개인적 차원, 제도․문화적 차원, 교육시스템 차원, 이해관련집단 차원, 사교육시장의 차원을 설정하고, 각 요인들 간의 역동적 상호관계 속에서 과외행위가 유출되는 기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설명모형에 의하면, 개인들은 교육제도․정책․법규체계 등과 같이 과외행위 주체들의 행동선택을 규제하는 행위 규제적 규칙의 영향을 받으며, 학력사회와 그 속에서 형성된 문화상징 체제의 영향을 받으며 과외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아울러 고교와 대학체제, 대학별 전형제도는 사교육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육체제 차원의 요인이 된다. 학생들은 입시와 관련된 다양한 이해집단간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사교육수요를 형성하며 특히, 사교육 시장은 다양한 방식과 독자적 생존전략으로 사교육 수요를 유발하고 확산시킨다. 이러한 행위모형에 기초한 과외수요 설명모형에 비추어 볼 때, 사교육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대응은 대증적 점증적 접근 전략을 탈피해서, 사교육 행위를 유출하는 복합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사교육수요를 유발하는 제 요인들 간의 역동적 관계를 고려하는 큰 틀 속에서 장기적 정책의 방향과 대책의 논리를 정립하고, 과열과외에 대한 행동변경 전략을 설정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of shadow education demand in Korea.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behavior model, I design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shadow eduction demand. Analytical explanation model consists of agent, educational system, shadow education market, stake holders, a series of regulative rules, perception, constitutive rule etc. I focus on some point of view, a) the reason why people needs shadow education demand, b) the factors involved to forming shadow education demand. c) a series of process of forming shadow education demand. If we find the answer of research question, we can govern effectively the shadow education problem. Shadow education is caused by corelation among personal traits, family back ground, social environment, school system, entrance examination system, group dynamics of stake holders, a series of regulative rules, social value system, and shadow education market factor. Policy logic for governing shadow education demand is a) to change of agent's perception, belief system, and frame of reference. b) to change of concept and behavior. c) to change of behavior constitutive rule. d) restructuring school system. e) to reform of higher education system and university operating system. f) to take improvement of entrance examination system. g) to change of regulative rules. h) to make renewal of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culture.

      • KCI등재후보

        슈타이너 사상에 기초한 발도르프 유아교육과정

        김유라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상에 기초한 발도르프 유아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슈타이너 교 육의 중심은 언제나 인간이며, 그의 교육은 교육과정 전체에서 사랑을 바탕으로 한 인간중심의 교육 을 강조한다. 슈타이너는 ‘인지학’이라는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을 정립하였고, 발도르프 유치원에서는 슈타이너의 사상인 인지학에 기초하여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인지학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은 발 달단계에 따른 교육, 아동중심교육, 통합적 교육이 중심이 된다. 발도르프 유치원 교육의 목적은 가장 먼저 ‘어린이’가 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강건한 신체와 지혜를 겸비한 전인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전체에서 유아들은 건강함과 강인함을 기르고 자유로운 영혼 과 명석한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도록 구성된다. 모든 교육과정 속에서 자유로운 선택과 능동 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슈타이너의 유아교육과정은 우리의 유치원 교육에서도 좋은 모델이 될 수 있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Rudolf Steiner’s anthroposophy. In Steiner’s educational philosophy, the human is the most empathized component. Thus, the whole Steiner curriculum emphasizes a human-centered education of love and care. Steiner established his own unique doctrine called anthroposophy and the Waldorf Kindergarten, also called as Steiner’s kindergarten, runs early childhood programs based on anthroposophy. This early childhood curriculums based on anthroposophy is centered on developmental stage-specific education, children-focused education, and integrative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Waldorf Kindergarten is to expect to ‘be a child’ and the organization seeks for education to make well-rounded individuals with healthy body and wisdom. Therefore, in the entire process of the education, younger children are educated to improve their health and strength while nurturing liberal spirit and smart intelligence. Every part of Stein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stresses choices and proactive participation. The educational model is expected to be a good model for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 as well.

      • KCI등재후보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J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홍성화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창의․인성교육의 교육효과성과 교육과정 품질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창의․인성교육은 창의교육과 인성교육을 결합시킨 새로운 교육모형으로, 주로 초․중등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생 대상 시행 사례는 찾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 소재 4년제 J대학교에서 교양필수 교과목으로 진행되는 창의․인성교육을 사례 연구하여 교육효과성과 교육과정 품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은 창의․인성교육이 인성 함양과 창의력 향상 모두에 기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은 창의․인성교육의 교육과정 품질과 관련하여,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법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시간의 적절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법에 비해서는 낮았다. 특히 창의․인성교육에 추가적인 노력을 투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시간의 적절성에 비해서 더욱 만족도가 떨어졌다. 이를 종합하면 학생들은 창의․인성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지만, 교육과정 품질에 대해서는 덜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영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창의․인성교육의 효과성과 확산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연구의 공헌도와 함께, 교육과정 품질을 제고하려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cess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nd search for improvement ideas.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s the new model combining creativity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t has been being implemented mainl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ase of being implemented to the whole freshmen at the university level.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case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being offered as a required general education course in J university located in Choong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found to perceiv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both character and creativity. Second, regard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cess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students were found to perceive the contents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positively but there were still room for improvement. Students were also found to perceive suitability of education time positively but comparatively less satisfying than the contents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Especially, students were found to perceive additional effort provision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even less satisfying than suitability of educational time. All in all,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perceived educ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but found some areas of educational process need to be improved. This study results represent positive contributio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by show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providing baseline data helping spread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results also suggest that further effort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cess.

      • KCI등재후보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이소현,이미숙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특성에 관한 문항, 통합교육의 인식에 관한 문항, 통합교육의 요구 에 관한 문항으로 어린이집 원장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원 장은 통합교육의 이해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통합교육의 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인식에 관한 하위 영역에서는 통합교육에 따른 학급 운영에 대한 인식과 어린이집 경영에 대한 인식 이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원장의 통합교육을 위한 요구에서는 경제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 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교사 지원에 대한 요구,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 학급당 원아 수 개선에 대한 요구 순서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원장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는 어린이집의 유형과 원 장 재직 중 통합교육 관련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ors' perception and need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hild care centers. The study surveyed with 118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by using survey question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ors, perceptions on inclusive education, and needs for inclusive education by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irectors showed high levels' perception on understanding and needs about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effects on inclusive education, class management on inclusive education, and management of day care center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Moreover, the directors believed that economical support, teacher support, physical environment, and improvement of number of children by class were needed for mor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the levels of directors' perception and needs on inclusive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 types of day care centers and experiences of training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