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과 안전통제감이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DiSC Behavioral patterns and Safety Control of Clinical Nurses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구은영 고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임상간호사의DiSC 행동유형과 안전통제감이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구 은 영 고신대학교 대학원간 호 학 과 지도교수 손 수 경 국 문 요 약 간호사는 24시간 환자를 돌보는 현장에 있으며, 마지막 의료 전달자의 입장에 있기 때문에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주는 간호사의 행동유형이나 개인적인 요인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은 환자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개인적인 행동유형과 안전통제감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임상간호사들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B 광역시와 U 광역시 소재 3개의 대학 병원에 근무 중인 임상간호사 207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8월 1일부터 동년 9월 30일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B 광역시 소재의 K 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해당 병원을 방문하여 간호부와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그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대상자에게 배부하여 서면 동의를 받고 작성 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측정도구는 박소정(2012)이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원에서 개발한 안전평가 항목(한국보건산업 진흥원, 2007) 총 119 항목 중 간호 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개발한 도구를, DiSC 행동유형 도구는 DiSC PPS(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Personal Profile System)의 국내 독점 보급원인 한국교육컨설팅연구소가 번역한 한국어판 DiSC 프로파일 시스템을, 안전통제감 도구는 Anderson 등(2004)이 개발하고 정수경(2009)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DiSC 행동유형은 사교형이 81명(39.1%), 안정형이 53명(25.6%), 신중형이 44명(21.3%), 주도형이 29명(14%)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안전통제감 정도는 평균 26.08±3.70(도구범위: 16-35), 평균평점 3.72±.52(척도범위: 1-5)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평균 324.76±21.26(도구범위: 259-360), 평균평점 4.51±.30(척도범위: 1-5)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결혼상태(t=-3.06, p=.002), 직위(t=-3.54, p<.001), 근무형태(t=2.34, p=.020), 연령(F=3.21, p=.024), 임상 총 경력(F=3.21, p=.042), 근무부서(F=6.7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본 연구 대상자의 DiSC 행동유형 중 신중형(C형)의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간호활동정도의 관계는 중등도의 정적 상관관계(r=.540, p<.001)를 보였다. 신중형의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9개 하위영역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투약(r=.519, p<.001), 의사소통(r=.387 p=.009), 낙상(r=.386, p=.010), 시설물 점검(r=.353, p=.019), 감염(r=.344, p=.022), 소방(r=.313, p=.039) 영역 순이었다. 안정형(S형)의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의 관계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r=.364, p=.007)를 보였고, 사교형(I형)의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의 관계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r=.285, p=.010)로 나타났다. 대상자 중 주도형(D형)의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5.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안전통제감과 근무부서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15.8% 이었다. 이 중 가장 큰 영향요인은 안전통제감으로 10.3%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 임상 총 경력, 직위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고, 상근 근무자가 교대근무자보다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급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하기 위해서 밤 근무 후에 충분한 휴식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임상간호사의 행동유형 중 신중형(C형), 안정형(S형), 사교형(I형)이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간호활동과 관련성이 있었으므로 신중형, 안정형, 사교형에게 안전통제감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주도형(D형)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찾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통제감과 근무부서로 확인되었으므로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안전통제감을 향상시키고, 부서별 특성과 상황을 반영한 체계적인 맞춤형 안전간호활동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직무스트레스 및 전문직 자아개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 고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환자의 안전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수술실에서의 의료사고는 의료분쟁 중 가장 많은 신고건수를 보였으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수술실의 환자안전사고는 대부분 치명적으로 이는 반드시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으로 예방해야 하며, 따라서 수술실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다각적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최근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위한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등의 중요성이 함께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직무스트레스 및 전문직 자아개념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 및 그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B광역시 소재 7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전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2020년 7월 23일부터 동년 8월 14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해당 병원의 간호부서를 방문하여 간호과장과 수술실 수간호사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 설문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서면동의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밀봉하고 즉시 회수 또는 수거함에 넣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이금옥(2009)이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를 황산민(2015)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은 The University of Texas Houston Health Science Center에서 개발한 안전태도설문지(Safety Attitudes Questionnaire: SAQ)와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측정도구(Hospital Survey of Patient Safety Culture: HSPSC)를 재구성한 오유미(2016)의 안전문화인지요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개발한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한 홍복화(1996)의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요인 측정 도구를 김영옥(2006)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 (1990)가 개발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도구(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PSCNI)를 서보경(1994)이 수정, 보완하고 임세영(2009)이 수술실 간호사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고,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댓값과 최솟값, independent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는 평균 49.20±6.74점(도구범위: 21-60), 평균평점 4.10±0.56(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의 평균은 256.96±33.77(도구범위: 66-330), 평균평점 3.89±0.51(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의 평균은 90.14±12.83(도구범위: 27-135), 평균평점 3.34±0.48(척도범위: 1-5)로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평균 99.93±8.44점(도구범위: 21-110), 평균평점 4.54±0.38(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주당 연장 근무 시간(r=-.232, p=.007), 수술실 근무만족도(r=.329, p<.001), 신체적 부담(r= -.193,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r=.744, p<.00 1),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r=.394, p<.001)와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 간에는 상관관계 (r=.036, p=.678)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문 화인식(β=.733, p<.001)이었고, 그다음으로 신체적 부담(β=-.131, p=.025)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전체 설명력 은 56.3% 이었다. 결론적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높을수록, 신체적 부담이 적을수록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가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연장근무, 근무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이었고, 그 다음으로 신체적 부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인식을 향상시키고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병원 차원에서의 다각적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주요용어 : 수술실 간호사, 환자안전문화인식, 직무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 념, 환자안전관리활동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