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당사자 관점의 아동의 놀권리 실현을 위한 참여실행연구

        조정미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놀권리 보장에 관한 연구로 ‘아동권리의 주체’인 아동 당사자의 관점에서 아동 참여실행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놀권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정책결정에 당사자인 아동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는 상향식 방식의 정책제안을 방식을 통해 아동이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아동 놀권리의 당사자인 아동으로 아동권리에 관심이 있어 아동총회 대구․경북지역대회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대학생 봉사자로 총 85명이다. 연구방법은 참여실행연구로 대학생 봉사자를 퍼실리테이터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육 후 그룹별로 나누어 ‘행복한 아동, 존중받는 아동’이라는 주제 속에서 소주제로 ‘아동의 놀권리’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토론된 내용들을 발표를 통해 아동들이 질의응답을 거쳐 정책제안을 하였으며, 정책제안내용을 대표아동으로 선출된 5명의 아동 학교에서 아동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거리캠페인을 통해 일반 시민들의 의견을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제안의 내용을 뒷받침 할 수 있도록 3단계의 과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현실은 아동은 보호받아야 할 존재로 보고 있으며, 아동정책결정을 할 때 당사자인 아동의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는 하향식 방식의 정책결정을 하고 있어 공식적으로 정책이 발표 되었지만 아동 당사자에게 멀게만 느껴지고 있다. 이에 아동 당사자의 관점에서 아동의 놀권리 실현을 위한 참여실행연구를 통해 당사자의 관점에서 토론을 통한 아동의 목소리를 담은 정책제안을 직접 실행하고자 하였다. 참여실행연구에 참여한 아동들 대부분이 아동의 권리에 대하여 높은 인지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아동 당사자들도 아동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들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토론하고, 정책결정에 이바지 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그리고 외국에서도 아동정책에 아동들이 참여하는 사례들이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아동정책의 당사자인 아동들이 자신들을 위한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토론문화를 만들고 정책결정에 참여시킨다면 아동정책이 잘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동 당사자의 관점을 통한 정책결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아동복지현장의 전문가들과 아동정책 대변가들을 통해 아동정책 실현을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들을 활용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아동의 놀권리가 권리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아동이 정신적․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성장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동의 놀권리 보장에 관해서도 활발한 연구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한국 사회의 아동 당사자를 대상으로 한 상향식 방식의 정책제안을 위한 아동의 놀권리에 당사자인 아동들이 직접 토론과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아동의 목소리를 담은 참여실행연구로써 차후 아동의 놀권리와 아동정책결정방식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guarantee of Children’s Right to Play, investigates the elementary to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the Children’s Right to Play by using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seeks for the way of children’s direct participation in bottom up policy proposal process. For this research, 85 of elementary to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who have interests in Children’s Right, included some university student for volunteer of this research as a group leader for discussion. I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85 children were separated to few groups and they debated their opinions about Children’s Right to Play. Every group had well trained volunteer group leader (university students) and they helped the participants to clarify and summarize their opinions. Children announced each group’s opinion in public and they asked and answered their ideas with the whole group. The results of discussion was clarified and proposed as a policy to their school. Among the children, 5 of Child Right Leader was elected and monitored the changes after suggesting the policy proposal of the schools. Also, the children researched and summarized community residents’ opinion about the children’s policy suggestion and attached their voices of adults as a basis of the policy proposal. This study confirmed the following results: Our society still treats children only as a one that needed to be protected. Also, adults always play a role as a key person and their opinion strongly influence in the policy decisions process in a top down way without caring about children’s opinion.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and proposed the policy about Children’s Right to play which reflect children’s opinion well.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lready had understood well about the Children’s Right and they were very active to express their opinion, share, and summarize well about their thoughts. If the children have a chance to participate in policy making, they will carry out their role effectively just like the other countries starts to do. The experts of children’s law, just like a judge, lawyer, social worker, and school teacher need to study and research about this topic in various ways. Also, for children’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research and study about Children’s Right to Play need to be continuously. Finally, for policy proposal of Children’s Right to Play in bottom up way, this study which investigated by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ill awake and drive the interests and other studies about the Right to play for child and child-participated policy making.

      • 여성결혼이주자 지원정책에 관한연구

        홍소연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저개발국가로부터 한국으로의 결혼이주의 증가는 외국인 결혼이주 여성들이 사회의 새로운 소수집단으로 부상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그녀들이 국내에 살기 위해 필요한 언어교육과 문화적 차이에 관한 교육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국내로 들어오고 난 뒤에도 언어와 문화적 차이의 극복을 위한 지원정책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주여성들은 언어의 한계로 인하여 문화와 관습, 법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부족으로 적절한 대응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부족으로 가장 기본적인 의료혜택마저 제대로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주여성들의 가정, 사회 ·문화적·정책적 실태와 현황을 기존문헌들을 토대로 조사분석하고, 어떠한 문제점들을 내포하는지 알아보고, 지원정책의 적용이 어느 정도 되고 있는지와 그 한계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결혼이주자 분석을 위해 국내통계자료와 문헌 자료 및 미디어를 활용하였고,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면담조사로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성결혼이주자들에게 지원되어져야 할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이주의 증대는 사람만의 이동이 아닌 문화, 가치관 등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국인들을 위한 타문화의 이해, 다문화사회에서의 인종 간, 민족 간 공존할 수 있는 시민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는 사회·문화적 적응의 지원을 위하여·대중매체나 교육을 통한 사회성원들의 의식변화, 법률제정이 필요하다. 시민단체는 사회성원들의 의식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부는 다문화 공생을 휘한 이주자를 위한 법률, 문화관습 등에 대한 사회적응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무료 혹은 이주자들이 부담 없이 지불 할 수 있는 정도의 학비로 하여 그들의 노동시간과 생활시간을 고려하여 다언어-다문화 서비스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정부는 여성결혼이주자들의 한국에서의 정착이 용이하도록 영주권 취득의 완화와 여성 결혼이민자가 경제적?사회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결혼이민자를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 뿐 만이 아닌 기존 사회복지와 여성 관련 프로그램에 그들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자녀 양육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정책방안과 함께 혼혈아를 포함하고 있는 결혼이민자 가족, 그 가족 내에서의 사회관계의 지원을 정부차원에서 지원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여성의 실태를 살펴보고,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실태와 사회문화적 적응 및 정책유형을 고찰하여 다문화사회를 위한 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to marry Korean people brought about the emergence of another kind of minority group of foreign women in our society. However, there is few programs for them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at are required to live without difficulties in Korea, even after they arrive in Korea, they find themselves still out of their reach for governmental supports and policies to overcome language and cultural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language ability, they can't access to information on Korean culture and custom and other legal information, which in turn, many immigrant women are in a situation to which they cannot respond properly, worse still, they don't even get proper basic medical treatment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For gathering data for this study, domestic statistical documents, literature and media data were used. First,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eminization of immigration means, then tries to find out what problems can be implicated based on existing documents that show current condition of these immigrant women's domestic,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tatus and finally tries to identify to what extent current supporting policies are applied and limitation of those policies. Political proposals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that can b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reasing foreign immigration means not only human beings but also their culture and their sense of values are flowed into. Therefore, there should be public awareness education programs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to live toget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regardless of one's ethnic origin or nationality. Second, in order to provide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societal and cultural adaptation, the government needs to make its all out efforts to change people's consciousness by making use of mass media or eduction, to change related laws and to add its efforts to change the mind of people, as a civic group. The government should legislate laws for co-exis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ome up with programs that can help them adjust themselves to Korean culture and custom. These programs should be free of charge or reasonable for them to pay considering their working hours and living expenses and multi-language and multi-cultur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ird, in more practical terms, the government should simplify the process of issuing green card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make a solid foundation for them to stand their own feet economically and socially. It should not only develop new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s but also try to find out the way to include them to existing social welfare programs and other women-related programs. Furthermore, it also needs to provide supports for immigrant families that have mixed blood children along with policies to lessen the burden of child care at a societal level. In this study, current state immigrant women are experiencing was identified. The study tries to suggest possible supporting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to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fter examining immigrant-related policies, living condition that immigrant women are in, their sociocultural adjustment and type of policies.

      • 재가치매노인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중심으로

        장춘자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s recognition level regardi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the public's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related education, recognition of dementia and attitude toward preventing it, demand and supply of human resources for nursing support policies, the role of the nation and private organizations. Moreover, care-giving responsibilities were also analyzed in order to propose effective support policy measures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ed the literature on support policies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such as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their families' stress for support, and the use of facilities and services in order to study alternatives to current support policies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For the questionnaire's data collection, welfare-related policy direction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study on the selected population, 500 pieces of structuraliz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en and women and public officers who were over 20 years old and living in Dalseo-gu, Daegu where the largest number of the aged over 65 years old live, from May 20, 2007 to May 30 2007. Among the questionnaire surveyed and distributed, 486 pieces were collected, from which 59 were excluded due to omissions in content or unreliable answers, thereby leaving 427 pieces, which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urvey was performed by transmitting 15-25 pieces of questionnaires to each village in Dalseo-gu, Daegu and distributing them to residents and public officers who visited the village office.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for Windows (ver. 12.0). First, for the concrete data analysi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ata input,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performed after the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verify data validity, an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general features of the study. Second, to determine the actual status of support policies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t-test (verification) was performed for independent sampling and one-way ANOVA and then Scheffe test was performed for the post-verification. To find the ca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policies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and the actual participation status in related education, discriminant analysis was executed. Third, Gap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pose policy improvement points for favorable facilities and the importance of said facilities. Effective policy measures for the support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nsistent public relations campaign is required that utilize mass media, with a focus on home care service resources dispatch facilities, day care facilities and short-term care facilities, which have been receiving a relatively less societal recognition in terms of current support policies. Also to be included in the promotion i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facts about the disease, and to help the public allay their uneasiness toward dementia. Second, as a large number of people selected facilities like hospitals or professional dementia care hospitals to care for family members who have dementia, such facilities must be expanded to accommodate growing needs. Third, for the early treatment of dementia,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onsultation center in general hospitals, clinics, social welfare facilities, public healthcare center and Oriental medicine clinic, as well as set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aged who are dubious to have appropriate treatment or care at dementia hospitals, nursing homes, professional care hospitals or at home through the medical specialist's diagnosis. Fourth, as the nursing service supplier prefers recuperation facilities and professional care hospitals,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establish a nursing service resources support center and to ensure a smooth supply of human resources through consistent professional training in order to meet the needs for nursing service resources of related welfare facilities. Fifth, for the aged with senile dementia and their families, the expansion of professional dementia hospitals and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ementia care human resources are required, which should be spearheaded by the n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Sixth, to assist families whose family members have dementia,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its economic support, which currently is being issued basically only to those who need livelihood prot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n efficient social welfare system to make their families have a happy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치매노인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교육 참여도, 치매예방을 위한 인식 및 태도, 간병서비스를 위한 지원정책의 수요와 공급인력,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국가와 민간단체의 역할, 재가치매노인 발생 시 부양부담 및 책임소관 등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재가치매노인 지원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매노인 복지정책과 가족의 부양스트레스, 가족의 부양부담, 시설 및 서비스 이용 등의 재가 치매노인 지원정책에 대한 문헌 분석을 검토하여 재가치매노인 지원정책의 대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에 대한 자료 수집은 선행연구와 노인복지 관련 지침을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모집단에 대한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65세 이상 노인이 가장 많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거주자 20세 이상 남녀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2007년 5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500부를 배포하였다. 조사 및 배포된 설문지 중 486부를 회수하여 응답한 내용 중 누락되거나 미흡하게 응답한 59부를 제외한 유효응답 427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설문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동 사무소에 설문지를 15부에서 25부를 전달하여 동 사무소를 찾는 주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 12.0의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 분석방법으로 첫째, 데이터 입력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 조사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검증과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및 교차분석을 하였다. 둘째, 재가치매노인의 지원정책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검증)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한 후 사후 검정을 위해서 scheffe-test를 실시하였고 재가치매노인 지원정책과 관련된 교육 참여 실태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판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선호시설과 시설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해 Gap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바람직한 재가치매노인 지원정책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치매노인의 지원정책 중 인지도가 낮은 가정봉사원 파견시설, 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과 치매예방 및 치매에 대한 정보습득, 치매에 대한 불안감 등에 대해 대중매체를 통하여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본인 및 가족이 치매에 걸렸을 때 보호받고 싶은 대상으로는 다수가 병원 등의 시설 및 치매전문병원을 선택하므로 치매전문병원 등의 시설확충이 요구된다. 셋째, 치매의 초기치료를 위해 일반 병·의원과 사회복지기관, 보건소, 한의원등에서 치매상담센터 기능을 활성화 하여 치매의심노인은 전문의의 진단을 통해서 병원, 요양시설, 전문병원, 가정에서 적절한 치료 또는 보호를 받도록 하는 전달체계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간병서비스 공급자가 요양시설과 전문병원을 선호하므로 재가복지시설의 부족한 간병서비스 공급을 위하여 간병서비스 인력지원센터를 만들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한 원활한 인력 수급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가나 민간단체에서 치매노인과 그 가족을 위해서 치매노인 전문병원확충과 치매노인을 위한 전문 인력의 훈련과 개발을 요구하므로 전문병원확충과 전문 인력의 훈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재가치매노인의 발생 시 가족의 부양부담과 부양비용을 덜어드리기 위해 정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차상위자 위주로 지원되는 수급 대상자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재가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고 이들을 부양하는 가족이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사회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지방정부 보육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조윤득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보육정책을 보육시설, 보육시책, 보육재정으로 구분하여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직은 지방정부가 지역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보육정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보육환경을 둘러싸고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에 따른 정책내용도 다소 많이 변화되었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아직 초기단계라 할 수 있는 지방정부의 보육정책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앞으로의 보육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주로 대구광역시의 보육정책에 국한하고자 한다. 다만 보육정책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적인 자료도 일부 활용하였다. 정부가 보육정책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진 것이 2000년 이후로 보고, 본 논문에서는 주로 2000년 이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육정책의 개선방안은 아래와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충보다 이미 사회적으로 기반을 구축한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개선해야 한다. 지역별 보육수요 및 지역 실정에 맞는 보육시설의 수급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불균형을 해소해야한다. 다양한 보육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특수보육시설을 확대하여 수요자 중심의 보육정책이 필요하다. 보육정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의 질적인 관리와 지원체계가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보육시책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모든 아동에게 가정 내 양육과 보육, 보육시설이용, 방과 후 서비스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와 보육프로그램의 개선에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보육교사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 보육교사의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양성기관의 교육기관을 늘리며, 현직연수를 통해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전문직에 상응하는 경제적 처우를 보육교사들에게 해 주어야 한다. 셋째 이후자녀 아동은 연령 제한 없이 모든 아동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정책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보육재정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보육예산의 확보와 정부의 재정지원 대상자 영역의 확대가 필요하다. 총재정규모를 확대하기 위해서 세율의 상향조정이나 복지세와 같은 목적세의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보육예산 지원확대가 필요하다. 보육 사업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재정 지원 면에서 기여를 해야 만이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보육 사업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보육사업의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민간재원의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개발해야 한다. 아동수당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영유아의 복지권을 실현할 수 있고, 통합적인 차원에서 사회보장제도 체계를 구축하여 소득보장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고 사회적 연대감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actual condition of childcare policy in Daegu Metropolitan by dividing it into childcare facility, policy and finance, and to provide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The local government has not established its own childcare policy proper to the real state of region yet. Recently there were many changes regarding childcare circumstances so that the contents of policy on childcare were somewhat changed. As those points are considered, analyzing actual state of childcare policy of local government in an early stage, finding problems and providing the direction of polic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further childcare policy. This study was confined within childcare policy of Daegu Metropolitan City. Nationwide data, however, were partially used to figure out the general trends. It analyzed data of since 2000, considering that the government presented its concern on childcare policy since 2000. As results of analysis, improvement plans for childcare policy are as follow. First, improvement plans for childcare facility are as below. Childcare facilities needs to be improved in quality by providing realistic and positive supports to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already established their social foundation, rather than expanding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facilities. Plans of childcare facility proper to real state of region and childcare demands of region have to be set and imbalance among regions has to be settled. User based childcare policy is needed to provide various childcare services as well as expand special childcare facility. Quality management and supporting system for private or home childcare facility which play pivotal roles of childcare policy are urgently needed. Second, improvement plans for childcare policy are as below. Nursing at home, childcare, childcare facility use, and after school service shall be expanded to all children.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there must be financial supports for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and childcare programs. To raise th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strengthening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s, increasing the number of educating institution for cultivating teachers, promoting specialty by field training and providing economic treatment equivalent to workers in professional field to teachers shall be implemented. Policy needs to be changed to provide benefit to all children who are the third kid in their family regardless of age. Third, improvement plans for childcare finance are as below. Securing childcare budget and expanding people financially supported by government are needed. To increase total financial scale, upward tax rates adjustment or introducing object tax such as welfare tax have to be promoted. Expanding supports on childcare budget in the level of local autonomous entity is required. Childcare business in the local community can be promoted by financial supports from local autonomous entity.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method of utilizing private financial resources positively in various aspect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childcare business. By introducing child allowance, child’s welfare right can be realized. Also role and function of income security and feeling of social solidarity can be intensified by establishing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integrated level.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생활적응 역량강화방안

        고향선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써 이제는 다문화라는 단어도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다문화를 점점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1990년 이후 다문화가정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으며, 이들의 자녀들이 2006년 이후 6년 만에 5배가 증가해 현재는 약 5만명에 달하고 있고, 앞으로 더욱 더 증가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가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이들은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나갈 인재이기 때문에 이들이 바르고 건강한 성인이 될 수 있도록 국가·사회·가정은 노력을 해야 한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아이들은 한국어 이해 부족으로 수업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고, 다문화가정 자녀라는 이유만으로 놀림이나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다문화라는 큰 틀에만 집중이 되어 있고 정작 필요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사업이 부족한 실정이다. 물론 다문화가정 자녀 역시 다문화 큰 틀 속에 한 부분이긴 하지만 이들 자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앞으로 다문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먼저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익힐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둘째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자아정체감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국가가 나서서 노력을 해야 한다. 셋째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현재 문제가 되는 부분을 법적·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넷째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문화·복지 등에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적응해나갈 수 있도록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한다. 다문화와 관련해 우리사회는 많은 정책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미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중복되는 정책도 있고, 반대로 필요한 부분이지만 시행할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결혼이민자에 대해 포커스가 맞춰진 경향이 있다. 물론 결혼이민자에 대한 정책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자녀에 대한 정책도 꼭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를 각각 따로 따로 구분하여 정책을 시행할 것이 아니라 미래를 내다보는 정책이 필요하다. South Korea meets new era of multiculturalism. People are embracing this social phenomenon naturally. Surprisingl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in South Korea keeps increasing sharply since 1990, and the number of Korean children of mixed race had grown by five times in six years time since 2006, which counts about 50,000 at present. The number is expected to rise continuously. Hence, there is a need for proper measures to solve social issues arose by the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It is our responsibility to protect children of mixed race because they are also our precious assets of the nation. As the matter of the fact, they often meet languag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former Korean education and often experience harassment and discrimination at school. Therefore, some efforts must be applied to resolve this social problem. In fact, the government has been reviewing polices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but yet it does satisfy actual needs. Many people see mixed race children problem as a part of multiculturalism but they should be aware of that dealing with it primarily can be the key to mend the whole problems. First of all,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each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mixed-race children. An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children in finding their ethnic identities. Third, some rigid laws and policies should be enacted for mixed-race children, who wish to receive former Korean education. Forth, the government should seek great measures for the mixed teenagers to meet various needs such as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Finally, appropriate programs should be produced to support the children to adapt to the environment just like pure Korean children. The government has already exhibited enormous policies in regards to multiculturalism and they are in the process of being implemented. However, some are duplicated and some are rather unpractical. Many of them are targeted married immigrants, but it is necessary to have effective policies for Korean children of mixed race. Hence,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ome practical policies that can anticipate the future of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 농촌 노인 일자리 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 경남 합천군 중심으로

        박종규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앞으로 노인들의 안정된 생활을 위해 노인 일자리 사업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노인 일자리 사업 창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인일자리 창출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합천군에서 시행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였으며, 합천군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경제활동 실태를 살펴본 결과, 생활비는 본인의 근로수입에 의해 마련하는 노인이 가장 많았으며, 생활비 중에는 의료비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하였다. 자신의 생활수준에 대해서는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노인이 가장 많았으며, 한 달 평균 수입은 10~30만원 미만인 노인이 가장 많았고, 한달 생활비로는 10~30만 미만 지출하는 노인이 가장 많았으며, 주된 소득원으로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근로소득이 가장 많았다. 둘째, 노인들의 취업욕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노인들이 현재 일자리가 마련된다면 취업을 희망하였으며,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 취업을 하려고 하는 노인이 가장 많았다. 일자리 형태로는 시간제를 가장 원하였으며, 근무시간은 2시간이 가장 적당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사무 관리직이나 서비스업보다는 일자리 제공을 원하였다. 셋째, 노인들의 일자리 사업 참여 선택 및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많았으며, 일자리 사업 중에는 공공근로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일자리 사업을 통해서는 20만원을 받고 노인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소득으로 30~50만원을 희망하는 노인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노인들이 노인에게 알맞은 일자리 개발을 위해 소득에 도움이 되는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현재의 일자리 사업에는 친구와 이웃을 통해 참여하게 된 노인이 가장 많았으며, 보수 때문에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게 된 노인이 가장 많았다. 현재의 일자리는 건강에 좋은 것이 유익한 점이라고 인식하였으며, 보수 측면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노인 일자리 창출 정책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일자리 사업 중에는 공공근로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었으며, 노인 일자리 창출 위해서는 공공근로가 가장 확대 발전되어야 하고, 농촌 일손 돕기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노인 일자리 창출정책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는 노인이 알고 있는 노인보다 많았다. 이상과 같이 대부분의 노인들은 현재 일자리가 마련된다면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취업을 원하는 노인을 위하여 공공근로의 확대와 농촌 일손 돕기 알자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노인 일자리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정적·법적 제도가 동시에 강화되어야 하며, 노인들의 철저한 욕구조사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맞춤서비스형태의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analyzing the status and problems with providing aged people' work place for their well being, and finding a suitable method of providing aged people with jobs.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undamental basis for making jobs for aged people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and considered the status and problems with policies of aged people' well-being referring to Hapcheon's example,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aged people residing in Hapcheon-gun. The survey result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may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when the status of aged people' economic activities were examined, many of them were making their living expenses and the majority of their living expenses were spent at hospital. Many of them saw themselves in a position of middle class,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between 100,000 and 300,000 won and majority of them spent between 100,000 and 300,000 won for their living expense, and the main source of the income was the salary of him/herself and their spouse. Second, when aged people' desire for employment were examined, most of them desired to work if they were able to be employed, and most of them demanded to work to make living expense. Most of them desired to work on hourly basis, and most of them thought 2 hours is the ideal length of time for them, and they demanded administration or service work. Third, when the aged people' satisfaction of their work and their participation in job force were examined, there were more aged people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employment project conducted by the government than aged people who were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most of them were participating in the public service. Most of them were paid 200,000 won through the employment project, and most of them demanded the income between 300,000 and 500,000 won, and most aged people thought they were in need with the jobs that may help them making living expense. Most of them began participating in the current employment project through their friends and neighbors. They were positive about their job being good for their health, but they demanded increased salary. Fourth, when aged people' understanding of the policies of aged people' employment were examined, they were well informed about public service, and they thought the public service sector shall be developed for aged people' employment, and more labor is required in the agricultural area. More aged people were aware of the aged people' employment policy. Many aged people desired to work if they were given an opportunity, and they thought more opportunities in public service sector and agricultural sector shall be given. Thus, administrational and legal policies shall be reinforced, and the demand of aged people shall be analyzed to satisfy their needs and to provide suitable work for them.

      • 전통문화 자원화 정책에 대한 의식 연구 : 전통문화 자원화 정책에 대한 의식 연구

        원민정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전통문화를 자원화하여 부가가치 향상 및 농촌사회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전통문화 자원화 정책에 대한 인식과 농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식 조사를 통하여 보다 발전적인 정책이 수행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는 전통문화 자원화 정책에 대한 연구보고서, 단행본,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였으며 통계자료는 정부간행물과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설문조사는 전통문화 자원화 정책 수행자인 농촌거주자 134명과 도시거주자 8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도시 모두 전통문화를 “현시대에 맞게 개발 재창조하는 문화”로 인식하고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식생활 분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 수행자로서 농촌거주자들의 의식은 자주적·독립적이고 사업목적은 경제적 이익이 가장 우선이다. 또한 이들은 지역민의 인식 부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인식하는데 이는 정책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나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것으로 나타나 정부 기관 또는 자체적 교육·홍보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정책이 농촌의 경제·사회·문화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의식 조사에 있어 경제적으로 농촌·도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본다. 특히 농촌의 경우 가계소득보다는 지역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 학력과 소득이 낮을수록 , 30~40세 연령층에서 경제적 변화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이다. 사회적으로는 농촌보다 도시가 교통 혼잡과 소득 분배에 있어 이웃 간 불협화음이 생길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도시는 좀더 객관적 입장에서 농촌을 인식한다고 보았을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으로는 지역 문화행사 증가로 전통문화가 발전할 것으로 의식하며 전통문화를 노인에게서 전수 받고자 하는 의식은 희박하고 지역의 자연 파괴 우려성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나타낸다. 특히 농촌은 학력이 높을수록 도시는 연령이 높을수록 이러한 측면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 성매매집결지의 장소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 : 대구 '자갈마당'을 중심으로

        신진영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s to record and interpret the brothel ‘Jagalmadang’— a space and place in which the lives of women have existed across times— the concepts of “multi-scale” and “placeness” are created from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interactions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As people connect their lives with multiple layers of people and within such spaces, this forms placeness. In the past, a woman’s life was individualized and consumed in an isolated realm, a shadow in a male-centric narrative. Prostitutes were the lowest class of women; they were reduced to bodies that did not generate significance. The spaces and places that housed their lives were alway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but subjected to historical and documentative erasure nonetheless. “Jagalmadang” was an archetypal colonial that the Japanese forced upon Korea, a brothel that epitomized the exploitation of women under a military patriarchal system. Unrecorded history cannot become a text that can be verified or extrapolated. The historical and spatial position at which Jagalmadang becomes is the point at which the Japanese colonizers likened the land of Joseon to a woman’s body. Even post-liberation, Jagalmadang served as a colony under the regulation and control of another country that replaced Japan. In each period, the state controlled and regulated Jagalmadang with new and different justifications, while focusing solely on its primary concern—product value—by thoroughly checking f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The rationale behind the continuation of Jagalmadang was by brothel owners, neighboring executives, and prostitution agencies, including prostitution brokers. Men’s needs were the reason for its existence This is not exclusive to South Korea, and can be seen in Jagalmadang as a specific space is connected to a different world and space. It coexists with prostitution (or red light) districts i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serves the same functions, and Examining Jagalmadang from a multi-scalar perspective reveals its character as a place that male dominance and female isolation, not by itself, but in connection with a space, that. The prostitutes at Jagalmadang accept their and fulfil their duties every day. In order to maintain a boundary between themselves and a place that affects their identity, they try to protect in such environment. ‘Work’ is not simple sexual intercourse if prostitutes are viewed as the agents. A brothel, in which the spaces for sleeping, eating, and working are combined, resembles a concentration camp. Expending their time and bodies in the camp, women may struggle against their labels of machines, animals, or goods that are internalized by their buyers or prostitution agents; conversely, they may objectify themselves and truly become mirrors that reflect this sentiment. However, these strategies are but temporary measures against breaking down in such a space. The fact that their strategies are connected to the lives of women who experience daily misogyny could be identified through documenting and interpreting the placeness” of prostitut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not that Jagalmadang is a separate, isolated place, but that it reveals how prostitution, which is managed by patriarchal capitalist powers across spatiotemporal boundaries, exists. Through the prostitutes’ interpretation of work, this study identifies in detail the point of connection between prostitution and women with different identities and in different circumstances who are changed by their experience of accepting and adapting to their situation. Such women use coping strategies identical to the strategies used by women who have previously been under male dominance. This study of the space and place of Jagalmadang will expand the scope of theory and of prostitution, a perplexing subject in feminism, offering a clearer waypoint that guides. 본 연구는 근대와 현대를 이어 여성들의 삶이 실재했던 공간과 장소로서 성매매 집결지 ‘자갈마당’을 ‘다중 스케일’과 ‘장소성’이라는 개념에 근거해 기록하고 해석한 것이다. 공간은 사회적 관계 및 세력들 간의 사회·문화·정치적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된다. 그 안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다층적으로 구성된 사람 및 물질과 연결하며 이는 장소성으로 구현된다. 그동안 여성들의 삶은 분리된 영역에서 개별화 된 채 소비되는 존재로서 남성 서사의 그림자였다. 그 중에도 가장 낮은 위계에 속하는 성매매 여성들은 의미를 생산하지 않는 육체로 환원되어 그녀들의 삶이 담긴 공간과 장소는 늘 소란스러운 이야기를 만들어내지만 역사와 기록에서는 삭제되는 가장 대표적인 표상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대구 ‘자갈마당’은 일제식민지가 한국에 이식한 가장 대표적인 식민 정책이자 군사적 가부장제하에서 여성을 착취하는 대표적 장소로 만들어진 성매매 집결지이다. 거의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공간을 점유하고 여성들의 삶이 담긴 장소였지만 그 곳을 살았던 여성들의 이야기는 그저 불쌍하고 가련한 대상화된 감상을 위해서, 또는 수치스럽지만 어쩔 수 없는 필요를 해명하기 위해 느닷없이 등장해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내용으로만 수용되어왔다. 여성주의와 여성운동은 오랜 시간 ‘성매매’를 어떻게 보고, ‘성매매 여성’들의 삶의 행위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를 화두로 삼아왔다. 남성지배가 여성육체의 식민지화를 통해 완성된다고 할 때 성매매는 가장 극단적인 남성지배의 구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성매매’가 여성주의 의제로 본격화 된 것은 <성매매방지법>이 제정되던 전후 시기이다. 때문에 100년이 넘게 존재해온 일제에 의해 생긴 전국의 성매매 집결지는 그 역사에 비해 최근에 들어서야 여성주의 연구의 본격적 대상이 되었다. 더구나 현재 성매매 집결지들은 여성주의의 해석과 개입에 의해 방향성을 가진 해체나 전환이 아니라 개발과 발전이라는 경제적 이유로 어느날 홀연히 사라지는 상황이다. ‘자갈마당’도 그러한 흐름아래 놓여있다. 기록되지 않은 역사는 증명하고 성찰하고 미래를 배우는 텍스트가 될 수 없다. 한국의 성매매 집결지는 군사주의 식민지배라는 역사적 맥락과 더불어 식민지의 대표적 표상인 여성의 육체를 공창이라는 구획된 공간에 배제시킨 장소이다. 일본식민시대가 막을 내리고 이후 한국전쟁과 경제발전기를 거치면서 성매매 집결지는 군사적, 산업적 제국주의 국가였던 미국과 일본 남성을 위해 관광자원으로 포장되어 국가가 관리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풍요를 누리는 시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남성의 유흥을 위한 정책적 배려 속에 유지되었다. 국가와 남성이 공모해 확대하고 유지해온 성매매 집결지에서 정작 그 공간에서 삶을 이어온 성매매 여성은 가시화될 수 없었다. 그녀들은 그 공간에서 행해지는 모든 것들에 대해 묵묵히 견디었지만 상품가치의 상실과 함께 폐기되었다. ‘자갈마당’이 연결되는 역사와 공간적 위치는 일제의 식민지배가 여성의 육체와 조선이라는 공간을 동일시하며 식민지배를 실현시킨 자리이다. 일본의 남성들이 일본 여성을 착취했던 방식대로 일본은 군국주의적 가부장제를 조선에 실시했고, 그 대표적 공간이 유곽이라 불리우던 성매매 집결지이다. 해방이후에도 ‘자갈마당’은 일본을 대체한 국가의 통제와 관리하에 여전한 식민지의 역할을 하였다. 시대의 매 시기마다 국가 관리는 명분만 세탁하면서 '자갈마당‘을 관리 통제하였고, 성매매 여성들에 대한 정책은 가장 중요한 상품가치를 위해 성병검사를 철저히 하는 것에만 집중되었다. 자갈마당 생존의 당위는 성매매업주와 주변상인과 소개업자를 포함한 성매매 알선업자의 몫이었고 존재의 이유는 남성의 필요였다. 이러한 구성은 국가관리를 통해 당연한 권리로 확인되고 인정되었다. 이는 한국의 독자적 상황이 아니다. 전세계의 제국주의와 신자유주의를 통해 구현되는 가부장적 자본주의와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고 ’자갈마당‘이라는 특정 공간은 다른 세계, 다른 공간과 연결되어있다. 예컨대 독일과 네델란드의 성매매 집결지와 공존하며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주변 지역에 미치며 증폭시킨다. 다중 스케일이라는 분석틀로 보면 ’자갈마당‘은 결코 홀로 독단적으로 고립되어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이 아닌 동일한 가치를 구현하는 공간과 연결된 위치에서 남성지배와 여성고립을 실현하는 장소이다. ‘자갈마당’ 성매매 여성들은 자신들의 ‘일’을 수용하며 매일의 역할을 수행한다.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장소에서 스스로의 경계를 갖기 위해 동일 장소에서도 자신만의 ‘방’과 ‘시간’을 지키려 한다. ‘성구매자’와의 계약은 기본적으로 알선업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수동적 거래자의 위치에서 결정된 ‘일’을 수행해야 하지만 ‘성구매자’라는 ‘일’의 대상을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노력한다. 성매매 여성들이 주체가 되어 해석하는 ‘일’은 단순한 성행위가 아니다. 잠을 자고 먹는 장소와 ‘일’을 하는 공간이 섞여 있는 성매매 집결지 건물은 마치 수용소를 연상시킨다. 그 곳에서 시간과 육체를 소모시키며 여성들은 성구매자나 성매매 알선업자들이 자신들에게 내면화시키는 기계나 짐승이라는 또는 상품이라는 낙인과 끝없이 갈등하며 거친 싸움을 하기도 하고, 오히려 대상화하여 자신을 대하는 이들에게 진정한 거울이 되어 이를 반사시키기도 한다. 기계나 짐승으로 자신을 대하는 이들의 내면에 투사된 이미지를 깨닫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단지 그 공간 안에서 무너지지 않고 견디기 위한 한정적 전략일 뿐이다. 이들의 이러한 전략은 여성혐오의 일상을 견디는 대다수 여성들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이들의 장소성을 기록하고 해석하면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갈마당이 분리된 하나의 공간이자 장소가 아니라 시공간적 경계를 넘어 가부장적 자본주의 권력에 의해 관리되는 ‘성매매’의 변주로 존재하는지를 알게 됐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성매매 여성들의 ‘일’에 대한 해석을 통해, 기존 남성지배를 경험하는 여성들과 동일한 전략을 구사하며 수용과 적응을 넘어 살아온 지점에서, 정체성과 입장이 다른 여성들이 ‘성매매’를 중심으로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자갈마당 공간과 장소에 대한 연구가 여성주의가 헤매고 있는 ‘성매매’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지평을 확장시켜, 그를 통해 여성주의와 여성운동이 현실적 선택과 입장에 좀 더 분명한 지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