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99ㆍ2000년 교육대학원 교과과정 분석 연구 :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신현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4303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the course for giving the teachers the opportunities of studying, and it has been designed mainly for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exactly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well as for those who have taken main parts in Korean educational field. It is also the institute of cultivating men of 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looking for better and promising way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al field by analyzing the curriculums of Graduate Course of Education from 1999 to 2000.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de and concerning materials of education were gathered, and the laws related to the Graduate School were searched for and studied. Besides, there were studies on the following materials: the prospectus, history(chronology), the capacity of each course, of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5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re was also the study on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courses for majoring in music education by comparing the obligatory courses versus non-obligatory courses. And, as a result, through the method of analyzing the curriculums from 1997 to 1998 and from 1999 to 2000, the development image of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is presented. To sum up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s like this; First, to focus on the number of universities which established the music courses, the number is 102 out of 160(63.75%), and the number of graduate school which has music education is 37 out of 102(36.27%). Looking from the regional criterion, in case of Kangwon province, there is 3 universities which established graduate school out of 4 universities(75%), which reveals the highest rate among the nationwide. And in Incheon and Kyunggi province, there is 1 out of 15 universities(6.67%), which shows the lowest rate in the whole country. Second, to analyze the music education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Hanyang University, from 1997 to 1998 and from 1999 to 2000, the number of course which contains the term 'education' is 3 in case of Kyung Hee University, and grows to 8. And in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number of course was the same as the previous year. In Yonsei University, 4 courses grew up to 6, and 6 grow up to 8 in Ewha Women's University, 6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in Hanyang University, which was the same. Third, the number of courses of 6 universities from 1997 to 1998, and from 1999 to 2000, 15 subjects grew up to 20 in Kyung Hee University. And the unique difference of the university is that; there established three new courses such as :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Textbook, and the analysi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 which make it possible to link with the actual course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Considering 6 subjec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was as same as the previous year, and the unique point is; unlike the other universities, their courses aren't too much on the practical teaching and theory of education like the general M.A and B.A course. In Yonsei University, 24 subjects grew up to 28 in education course, and Musical Acoustics, Directed Research, Kodaly Methods, Sight-Singing, are the unique subjects. However, in case of Ewha Women's University, the subjects decreases from 25 to 20, and practical teaching courses such as playing Piano Pedagogy, Voice Lesson, Composition Lesson, Orchestra Lesson are disappeared.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bjects grew up from 33 to 62, and the number of non-obligatory subjects is the greatest among 6 universities. And in Hanyang University, there are 16 subjects, which was the same as the previous year, and there are 2 unique subjects : Materials and Structure of Music, Aesthetical and Philosophical Experiences in Music. As a result, the whole curriculum of music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the main institute of taking the important part in educational field, has to establish more special and systematic committee of making practical curriculum, which fit for current music education in Korea. Here the study focuses on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5 universities in Seoul area, and the study has to be broaden to various universities all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local universities and their curriculums of music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환경교육전공에 관한 교육대학원의 역할

        구은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는 국내 교육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환경교육전공의 역사, 목표, 교과과정 등에 대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에서의 환경교육전공에 관한 역사적 배경 둘째, 환경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고찰 셋째, 국외사례연구(호주) 넷째, 문제점 및 개선방향 본 연구의 대상은 환경교육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국내의 5개 교육대학원과 호주의 그리피스대학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성을 지닌 환경교육전공을 갖추기 위해서는, 환경교사로서 지녀야 할 사명감과 도덕심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둘째, 예능 및 취미활동 등 인간성 함양과 관련된 교양 교과과정이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기초학문에 대하여 깊고 풍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반대학교의 학부 교과과정과 차별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전문적인 교과교육학을 개발하는 일이다. 이것은 환경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전문화하려는 노력이다. 다섯째, 국가의 환경정책에 부응하여 교과목을 구성하며,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 밀접한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대학원에 재정과 시설을 충분히 지원하여 보다 발전적인 교육대학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 해주어야 한다. 일곱째, 교육대학원은 상업적이고 경영적인 측면에서 벗어나야 한다. 현행 교육대학원의 환경전공에 관한 심층 연구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교과과정의 기준이 모호하다. 둘째, 교과과목의 내용이 전문성을 강조하기보다는 복잡하며 산만하게 열거 되어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으로서의 특징이 없으며 학부 교과과정과의 차별화가 부족하다. 또한, 호주의 그리피스대학교 대학원 내 환경교육전공 교과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교과과정이 상당히 체계적이며 개방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환경교육전공에 관한 교육대학원의 역할을 올바르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교과과정 편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환경과목의 특성에 맞게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습득, 사명감, 도덕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환경교육전공만이 가지는 교육대학원의 역할일 것이다. 끝으로, 환경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는 환경과목을 가르치는 학교가 없어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휘 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생각해볼 때, 환경과목이 더 이상 선택과목이 아닌 전공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우리나라 환경교육이 세계 여러 나라보다 발전된 교육적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rol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environment education major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historical and curriculum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major provided is in background a few domestic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research approached as follows; first,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majo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the peer review of the curriculum of environment education major, third, survey of overseas cases (Australia), lastly, the problems and suggestion of the proposed restruture.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five domestic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Girifith university of Australi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ollowing conclusious more obtained; first, educational spirit and morality for a teacher must be considered in estalish want of the curriculum. second, general culture courses and major subjects must be appropriately combined. third, more systematic curriculum must be established based or distirctive subjects differing from general bachelor courses. fourth, development of particular subjects is essential to up-grade the environment education. fifth, the curriculum had better be subject to the national policy. sixth, financial support and national concern must be followed. finall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escape early from the commerce and management.

      • 중학교 합창 지도 교사의 전문적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이상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287

        합창은 여러 사람이 함께 노래하며 개인의 개성보다는 전체의 조화로운 음악을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와 단체의 일원으로서의 개인표현이라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특히 질풍노도의 시기라 불리는 중학교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합창은 정서적 안정을 위한 단체 문화 활동으로, 더욱 더 세심하고 전문적인 합창지도의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교원양성 대학의 합창지도 관련 교육과정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실제 현장의 투입된 교사에게도 합창단의 지도 및 유지를 필요한 지원체계가 부족하여 합창지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 직무 합창 지도 연수에 참여한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합창 지도 교사와 현직 합창 지도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지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본 논문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았다. 이어 중등 음악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범대학과 비 사범대학의 교직과정, 교육 대학원의 합창 관련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연수와 일반 지휘자를 대상으로 한 연수 및 세미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음악교사 합창단과 본 연구자가 선정한 합창 선임 지도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합창단 지도 및 운영을 위한 제언을 듣고, 합창의 전문적 지도 능력 향상과 중학교 합창 음악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 하였다. 첫째, 합창 예비 교사들의 합창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교원양성대학의 합창 관련 교직과정에 현직 합창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합창과 지휘법 수업 이외에 합창 발성법, 합창곡 분석법, 합창곡 레퍼토리, 합창 편곡 법, 합창 연구, 합창 리허설 테크닉 등의 수업 개발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자문 교수제, 정기적 세미나를 통한 교수-교사의 공동 연구 등의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둘째, 실제 현장의 합창 교사들의 합창 지도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과 지속적인 합창 지도 교사의 교육, 학교 내 합창단 운영 및 유지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질 높은 수준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활발한 홍보를 통한 직무 연수와 세미나에 대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학교 내 합창단 운영 및 유지를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음악 교과와 합창 본래의 가치를 보다 발전적, 건설적으로 재창조하기 위해 음악계와 현직교사, 합창 교육계, 교원양성대학의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맞는 교육과정의 개발,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계획과 유지, 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합창 지도 교사의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해 현직교사, 합창 교육계, 교원양성대학의 밀접한 연계가 요구된다. The chorus is process making harmonious music with the whole than individual personality singing a song together. It has educational value in individual expression as members of a group and society. Especially, the chorus is group culture activity for emotional stability to th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adolescence called a stormy period and needs prudent and specialized teaching process. But the present curriculum about the chorus teaching in teacher training university doesn’t have a systematic and special education. And it has difficulty in teaching a chorus because the support system for teaching and maintain of a choir to teacher at the coalface isn’t enough. On this, the study analyzes a course in teacher training of college of music and a curriculum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ter it analyzes advice for a choir teaching and management, measure for improvement of practical teaching ability of a choir teaching and consultation fo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chorus music through a survey and in depth face to face talk with chorus teacher of middle school at the coalface, the study suggested an alternative like this. First, it needs a systematic and special education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orus reserve teacher. It reflects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chorus teacher in the curriculum regarding the chorus of teacher training university, needs specialized curriculum to develop the chorus teaching ability of teacher through the education by a chorus teaching expert. By reflecting requests of current teachers to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classes of not only chorus and conduction technique but also chorus vocalization method, chorus analyzing method, chorus repertory, chorus arrangement, chorus studying, chorus rehearsal technique, etc. must be developed. And, new alternatives such as consultative professor system through online network and professor-teacher joint research by periodical seminar, etc. are necessary. Second, it is needed to development of variety training program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orus reserve teacher, continuous education for chorus teaching teacher and support for management or maintain of the choir in school. To achieve them, high-quality training program must be developed, teachers must be induced to participate in in-service training and seminar through the active publicity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re requested to operate and maintain choir in school. Third, the untiring attention and effort of the musical circles, teacher, the chorus educational world and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s required to recreate constructively and developmentally the original value of music subject and chorus. Educational process suitable for the changes of new era must be developed and actual and effective long-time training must be planned, maintained and managed. Through them, hands-in teachers, world of chorus education and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be related closely so as to improve continuously teaching ability of choir teacher.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결합 변이 연구

        한윤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287

        이 연구는 한국어 조사의 복합적 결합 양상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들의 중간언어 변이 형태를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여 조사 결합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조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관심을 받아왔다. 한국어의 조사는 한국어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문장 구성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사의 교착적 성격으로 인해 여러 가지 규칙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사 습득 시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한국어의 조사는 다른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는 중요한 특징을 가지는데, 조사의 결합 양상이 다양하여 조사 결합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조사 결합 산출 시 전략적으로 사용을 회피하는 문법 요소 중의 하나이다. 또한 조사가 존재하지 않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더욱 조사 결합 항목 산출이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밝히기 위해 먼저 세종 계획 말뭉치와 현재 한국 내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3종을 분석하여 조사 결합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실험을 구성하여 한국어 학습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에 대한 변이 형태를 살펴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조사 결합에 대한 인식보다 산출을 더 어려워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조사 결합의 효과적인 산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세종 계획 문어 구문 말뭉치에서 조사 결합의 노출 빈도는 전체 어절 수 853,153개 중 8,942회로 약 1.048%정도였고, 구어 말뭉치의 경우 805,646개의 어절 중 조사 결합이 5,739개로 조사 결합이 차지하는 빈도수는 전체 어절수의 0.712% 정도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재는 경희대학교 『한국어 초급1~고급2』, 연세대학교 『연세 한국어 1~6』, 이화여자대학교 『말이 트이는 한국어 Ⅰ~Ⅴ』 총 3종 14권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조사 결합 항목을 교재 내에서 하나도 배우지 않거나 한 두 항목으로만 그치는 현실에서 한 교재 내 60개 이상의 조사 결합 항목이 노출되고 있는 것은 적은 수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한국어교육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교수, 학습할 수 있을지를 알기 위해 중국인을 대상으로 조사 결합 변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조사 결합에 대한 인식이 조사 결합 항목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으로, <가설 1-1>에서는 조사들을 단일 항목으로 각각 학습한 학습자들이 조사 결합 항목을 산출할 때에는 각각의 조사들을 의미적으로 접근한 다음 형태적인 접근을 할 것임을 검증하였다. 조사 결합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산출을 잘 할 것이라는 <가설 1-2>는 문항 범주 1과 문항 범주 2, 3이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검증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조사 결합에 대한 인식이 산출과 큰 관련성이 없거나 상관관계가 있어도 매우 낮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조사 결합 항목에도 적절한 습득 단계가 있을 것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이 연구 문제에 대한 <가설 2-1>을 검증하기 위해 함축적 평가의 함축도표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는, 도’와 같은 첨사가 후행하는 ‘의미격 조사+첨사’, ‘후치사+첨사’의 순으로 가장 먼저 습득되며, 그 다음으로 ‘의미격 조사+후치사’가, 그 다음으로 문법격 조사가 후행하는 ‘의미격 조사+문법격 조사’, ‘후치사+문법격 조사’가 습득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예외 항목들이 습득되는데, 대표적인 예외 항목으로는 ‘후치사+후치사’ 항목이었다. 조사 결합의 말뭉치 분석과 ‘문법 시험’ 실험 과제를 통해 4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조사 결합 교육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는 한국어 교실에서 조사 두 개가 결합하여 사용되는 사실을 먼저 교육하여야 한다. 학습자들이 조사 결합을 유의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단일 조사들의 의미와 기능을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둘째, 조사 결합 시 위치에 대한 규칙을 교육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조사 분류에 대한 지식이나 직관이 전혀 없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교육용으로 조사를 위치별로 재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용 조사 결합 원리를 밝히고 그것들을 단계별로 교육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에게 조사 결합의 기본적인 구성 원리를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조사가 결합할 때 의미적인 기능을 가진 조사가 먼저 결합하고 문법적인 기능을 가진 조사가 뒤에 오는 큰 원리를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상으로 본고는 수많은 단일 조사 교육에 뒤이어 조사 결합 교육이 한국어교육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이 한국어교육의 효과적인 문법 교육에 미미하지만 의미 있는 일조가 되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tions in Korean learning students affected by the aspects of particle combination in Korean, to have them analyzed, and thus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particle combin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on particles combination have been of constant interest. This is mainly because particles are the key element to complete a sentence structure in Korean. Yet acquisition of particle use is often viewed difficult due to the agglutinative nature of particles that resulted in multiple rules. The very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Korean particles is that one can be combined with another particle, and with various forms of particle combination it has become one of the grammatic elements that many foreign students, unable to grasp the sense of it, strategically avoid to use as they produce particle combination. Such would be especially challenging for Chinese speaking student because in their native language there is no particle.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nitiated with analyzing Sejong corpus, as well as three se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used in universities in Korea, to review the aspects of particle combination. An experimental test was then designed based on the analyses, targeting Chinese student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Korean learning students, regarding their use of particles and variation in search of an effective educational measure. Likewise, the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producing, rather than recognizing, of particle combination was the main problem for students: hence it attempted to locate assisting method that would effectively help with this matter. Firstly for the Sejong corpus, the exposure frequency of particle combination was 8,942 times from total of 853,153 units in written construction (approximately 1.048%), and 5,739 times from total of 805,646 units in spoken construction (approximately 0.712%). Next for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ree sets consisted of fourteen volumes in total were examined, "Korean Elementary 1 - Advanced 2" (Kyung Hee University), "Korean 1-6" (Yonsei University), and "Pathfinder in Korean Ⅰ-Ⅴ" (Ewha Woman's University), respectab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over 60 units of particle combination appearing in a textbook, considerably an excessive amount given that the book may include lessons for only a couple of units or none at all.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ceeded to the variations in particle combination as to how could the subject matter be taught and learned efficient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study matter was whether the recognition of particle combination influences the production of them. <Hypothesis 1-1> states that in producing particle combination after learning particles separately, students assess each unit semantically at first and then by morphological approach. <Hypothesis 1-2>, which states the higher level of recognition of particle combination leads to the effective production, was set to test the correlation of Category 1 question with Category 2 and 3 questions. The results indicated almost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and the production: even for some cases reported with certain correlation, the significance level was very low. The second study matter was whether there are appropriate phases of learning for the units of particle combination. <Hypothesis 2-1> was tested by analyzing using the implicational table for implicational sca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syntagmas with particles(첨사) such as '는 or 도' are most easily acquired in the order of 'semantic case markers + particle(첨사)' and 'postposition + particle(첨사)' followed by 'semantic case markers + postposition,' and the next are syntagmas with grammatical case markers in the order of 'semantic case markers +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postposition + grammatical case markers.' Lastly acquired are the exceptional units, most common example of this type was 'postposition + postposition.' Based on the corpus analysis for particle combination and experimental test assignment, 'grammar test,' the teaching method for particle combin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4. First, the instructor in Korean language class should teach that, prior to further lessons, two particles are combined in use. It requires to arrange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each particles for students to learn the sense of particle combination. Second, students need to be taught for the correct positions in combining particles. Particles are rearranged by their positions in use as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this stud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peaking students who have no knowledge or sense to categorize particles. The suggested is to clarify the compounding mechanism of particles with it, and to provide phased teaching appropriately. Third, the education can be more effective by teaching students a structural rule of particle combination. It helps students to know the basic principle that the particles of semantic function come first and those of grammatical function follows later. The present study implies the need for an organize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particle combination upon the lessons on various individual particles. This study alone does not mean immediate delivery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yet it is meaningful step towards the ultimate objective and this would serve to call for further studies in the subject matter.

      • 박물관에서의 STEAM 교육을 통한 미적경험 함양 : 경희대학교자연사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홍수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287

        현대 사회는 과학적 기술이나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가 국가 경쟁력을 끌어올리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국력과 직결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교육과학기술부(2011)는 새로운 과학교육 정책으로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 그리고 수학(Math)의 첫 글자를 딴 융합인재교육 (STEAM)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이는 어렵고 딱딱한 방식의 학습이라 생각되는 과학, 수학 등 과 같은 비예술교과에 예술(Art)을 추가하여 쉽고 재미있게 학습 할 수 있는 것에 정책의 목표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의 흐름에서 볼 때, 교육에서 예술(Art)의 중요성은 다양한 과목과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다. 최근 예술은 여러 교과와 활동에서 다양하게 융합 되고 있으며 그 범위가 넓어지며 기존의 전통적 교육 환경인 학교를 벗어나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진행 되어지는 추세이다. 그 중 박물관은 다른 교육기관과 차별화 되는 특징인 실물을 접할 수 있다는 점과 오감을 이용한‘Hand-On' 기법을 교육에 활용하여 학습자가 직접 보고 체험하고 제작해보는 활동을 통하여 교실 수업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안한다. 또한 각 기관의 소장품과 전시내용을 중심으로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 할 수 있고, 문화예술적 소양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박물관은 예술이 포함된 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가 발현되는 최적의 장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STEAM 교육 정책 목표인 과학, 기술 등 어려운 학습 방식의 과목에 예술(Art)을 추가하여 쉽고 재미있는 학습을 통해 학습의 이해력, 해결력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목표에서 더 나아가 예술의 추가를 통하여 예술 활동이 STEAM 교육에서 학습효과 증진 위한 보조적인 역할이 아닌 교육적 효과에서도 예술적 학습 효과로 즉, 미적경험(Art)으로 발현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경희대학교 자연사박물관에서 진행되는 초등과학 교과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에 미술활동(Art)이 융합된 STEAM 교육사례를 개발, 적용 하였다. 연구는 2012년 1월 10일부터 2월 3일 까지 유치부, 초등 1-3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총 160명의 학생이 참여하고 총 14회 진행되었다. 적용 후,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미적경험 함양에 대한 측면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적경험의 교육적 효과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설연경, 2012)을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생물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도, 문제 해결력 증진 뿐 만 아니라, Dewey(1980)의‘미적경험’세가지 측면(지적&#8228;정서적&#8228;실천적)에 대한 미적경험 함양이 교육적 효과로 발현 될 수 있음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박물관을 포함한 여러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연령과 계층을 대상으로 한, 각 관의 특색에 맞는 융합교육 사례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용자들이 박물관이라는 교육기관을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영위 할 수 있도록 전시, 교육, 오락, 여가 등의 체험의 장을 제공 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회적 역할에 충실 할 것을 기대해 본다. In modern society, science technology or perception on education and its standards may aid in boos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have direct connections with national power. Basing on this idea,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in 2011 announced a plan that would focus in educating and training amalgamated individuals by vitalizing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 The idea is to apply ‘A (art)’ to the often regarded difficult, non-flexible subjects such as science or math, thus enabling the learners to be more attracted to them. Such policy changes indicate that art in education has become crucial, and is not limited to the sciences. Recently, art is being integrated into many different curriculum and activities, expanding its range from traditional classrooms and to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Museums, in particular,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fact that the learners are able to actually experience, as well as use their five sense through ‘hands-on’ experience, and therefore supplement the limitations that classroom teachings may have. Moreover, learning in museum would allow every learn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values of one’s community, and thus cultivate one’s own cultural and artistic knowledge through hands-on experiences with the exhibited materials; therefore placing itself at the top as the venue where integrated education with art can manifest at its best.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addition of art in STEAM system, namely, the manifestation of artistic experience, in that art doesn’t just serve as a supplement to enhance understanding or problem solving skills, the quintessential intention of the government’s STEAM policy. Case study for this paper was developed and carried out at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at Kyung Hee University, by incorporating STEAM into thei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gram. The trial was carried out for less than a month, from January 10th, 2012, to February 3rd, with 160 children of the kindergarten department, and first to third elementary schoolers as its subject. The trial was carried out 14 times over the course of the three-week period. After inception, Rubric (Seol, 2012) was used to analyze the obtained data,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artistic experience integration to education. As a result, not only the subjects’ abilities in understanding the varieties of organisms, as well as problem solving improved, but also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hree aspect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of what Dewey (1980) noted in his Art as Experience manifested. Basing on this study, I expect more examples of integrated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to respective organizations and ages be developed. Additionally, it is expected for museums to continue to be a place of experience by providing appropriate exhibitions, education, entertainment, and leisure, ultimately enhancing the standards of life, its quintessential du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