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비판적 재구성 계급 무급 돌봄 : 가사 노동에 대한 보상 및 기본소득을 중심으로

        권정임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4

        This article studie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critical study of political economy. This problematic provides a perspective with which to research women’s oppression and liberation, in its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the multi-layered dimensions of capitalist society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class, gender, race, and ecology, all in an integrated and non-reductive manner. This article also attempts to reconstruct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part of a more systematic program First, it reconstructs the research method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political economy. Second, it critically transforms some of the claim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It emphasizes the ‘precariat’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the changed class dynamic of modern capitalism. It also highlights basic income to adequately address the issue of compensation for unpaid care and domestic work and to promote alternative social reproduction.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이 사조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에 기초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사회경제, 계급, 젠더, 인종, 생태 등 자본주의 사회의 다층적 차원과의 체계적인 연관 아래 통합적이면서도 비환원론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망과 단서를 제공함을 보인다. 또한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이러한 의의에 연계하여,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를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구성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연구결과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기초하여 보다 근본적·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둘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내·외부에서 제기되는 이견이나 쟁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주장들 일부를 비판적으로 변형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논의하는 쟁점은 계급 문제, 무급 돌봄·가사노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 문제 및 사회적 재생산의 대안적 전망의 실현을 위한 정책으로서의 기본소득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 비판

        장대업(Dae-Oup Chang)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6 No.4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의 현재의 노동조합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표면적이고 부분적이다. 기존의 노동운도의 제도화대한 실천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은 소위 전통적인 노동운동 부분과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사회적 노동의 반가치, 반자본 투쟁을 연결하는 매개가 되는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지 못하다. 무엇보다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가 시도하는 노동운동과 많은 ‘다른’ 사회운동들을 결합하는 전략은 1) 새롭게 부각되는 운동과 투쟁들, 그리고 2) 자본주의적 사회관계의 모순적 발전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동운동의 ‘전통적인’ 부분과 ‘새로운’ 부분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적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는 점에 있어서 명백한 한계를 지닌다. 우리는 노동이 자본주의의 사회적 총체성의 재생산에서 차지하는 중심적 역할의 고찰을 통해서 노동운동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였고 반가치 투쟁으로서의 노동운동이 취한 특정한 역사적 형태를 추적함으로써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의 이론과 실천에서 일반적으로 드러나는 자본주의적 사회관계의 낡은 모순과 새로운 모순 간의 관계에서의 ‘외연성’(externality), 그리고 그들을 각자 대변하는 전통적인 운동과 새로운 운동 간의 외연성을 극복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contribute to building a more ‘comprehensive’ theory of the alter-globalisation movement by engaging with theories and practices of social movement unionism (SMU). Arguing against the old labour movement’s industrial workerism, male-domination, bureaucratic nature, nationalism and isolation from other social movements, SMU suggests many strategies alternative to the union movement. Indeed, it seems true that as an alternative ‘strategy’ of the labour movement in the globalising and expanding circuit of capital, SMU has been increasingly influential to unionists and activists. However, in spite of ‘strategic’ achievements of SMU in creating a platform for actions and ideas, SMU theories remain to be developed a lot more. In particular, the attempt of SMU theories to connect the labour movement and ‘other’social movements without thoroughly addressing the relations between newly emerging forms of social movements/struggles and the contradictory development of capital relations prevents SMU from being an alternative and comprehensive theory with an inspiring perspective for the 21st century labour movement. This article tries to shed light on and overcome the ‘externality’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old contradictions and new contradictions as well as between the old movement and new movements that haunts SMU theories in general. It will be argued that breaking down the ‘otherness’ between different movements is an urgent task for critical academics and activists working to build a real unity among the diversified movements. I will argue that the expanding circuit of capital and the ‘real’ subsumpiton of our livelihood to it deepened, rather than removed, internal relations between immediate labour problems and so-called ‘other’ social contradictions. It does so by widening the central role of the social relations of capitalist labour, not as merely relations of labouring activities as presented in SMU theories, but as a particular social mediation that constitutes the social relations of the entire living and working space in a particular way. A presupposition of the real ‘articulation’ of the labour movement with ‘other’ movements is, we aregue, to realise multiple front lines of anti-value struggles emerging from the expanding circuit of capital and to resolve conceptually the ‘otherness’ between the movements against the up-side-down reality mediated by the social relations of abstract labour.

      • KCI등재
      • KCI등재

        가치(법칙)의 위기론 비판

        김원태(Won-Tae Kim)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1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8 No.3

        자본주의는 가치, 가치법칙을 경제적 규제원리로 하는 사회이다. 그러나 특히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의 노동자운동 중심주의와 자본주의의 공모성을 비판하는 비전통적 마르크스주의에서 가치, 가치법칙이 붕괴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으로 독일의 가치비판경향은 생산의 과학화가 노동을 소멸시키고 따라서 노동에 기반을 두는 가치, 가치법칙을 붕괴시킨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포스트-오페라이스모 혹은 인지자본주의론은 비물질적(인지적) 노동, 사회적 노동에서 노동시간 측정이 불가능해짐으로써 가치법칙이 붕괴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자는 가치와 실제적 부를 구분하지 못하고, 가치체계와 상품생산사회의 필연적 연관을 인식하지 못한다. 후자는 추상노동, 가치, 사회적 필요노동시간을 사회적 형태가 아니라 그것의 소재적 내용의 지평에서 이해하고, 상품생산사회를 가치법칙의 토대로 보지 못한다. 결국 양자 모두 사실 전통 마르크스주의와 동일한 지반, 즉 실체주의적 가치이론을 공유하면서 가치(법칙)의 위기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법칙)에 대한 실체주의적 이해를 넘어서면, 생산의 과학화는 가치와 실제적 부의 격차를 심화시키고, 비물질적 노동, 사회적 노동은 사회적 형태로서의 사회적 필요 노동시간과 그것의 소재적 내용으로서의 구체적 노동시간 사이의 근거관계가 사라지도록 하긴 하지만, 상품생산사회의 규제형태로서 가치와 가치법칙은 지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alue and the law of value are economic principles of a capitalistic society. However, nontraditional Marxism criticizes a conspiracy between labor movement centered traditional Marxism and capitalism and asserts the collapse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On the one hand, the German Current of value critique asserts that scientification of production makes labor disappear and, therefore, collapses value and the law of value based on labor. On the other hand, Post-Operaismo or Cognitive Capitalism Theory claims that the law of value collaps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labor time in immaterial or cognitive labor and social labor. However, the former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value and real wealth and does not recognize an inevitable connection between value system and the society of commodity production. The latter understands abstract labor, value, and socially necessary labor time not as a social form but as on the level of their material content. It does not also recognize the society of commodity production as a basis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In the end, while both theories share the same basis of traditional Marxism, which is a substantialist theory of value, they suggest the crisis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However, overcoming this substantialist understanding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makes it clear that value and the law of value continue to regulate the society of commodity production, although scientification of production deepens the polarization of value and real wealth and immaterial and social labors disintegrate a basic relation between socially necessary labor time as a social form and concrete labor time as its material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