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유의 법으로서의 사랑과 의에 대한 연구

        양진수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자유의 법으로서의 사랑과 의에 대한 연구

      •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을 통해서 본 한국교회의 사명

        문종수 개신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을 통하여 연구자는 19세기 말 네덜란드의 개혁자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 권사상을 통해 21세기를 맞이하는 한국교회가 어떤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인지에 대 한 물음에 답해보았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신앙과 실천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것은 교회와 세 상을 구분 짓는 이원론적 세계관 때문이다. 하나님의 주권은 교회와 종교를 넘어서 이 세상의 삶의 모든 영역을 아우른다. 한국교회의 성(聖)과 속(俗)을 나누는 이원론 적인 사고는 그리스도인들이 종교적인 울타리 안에서는 경건을 이야기하나 세상에서 의 삶에서는 영향력 없는 삶을 살게 하였다. 이러한 원인을 찾는다면 이 나라를 오랫 동안 지배했던 동양문화와 유교, 불교, 도교의 정신세계의 영향력이 있을 것이며, 개 신교 초기 선교사들의 근본적인 신학 노선의 영향력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문제는 이러한 이원론적 사고가 한국교회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극복되어야 한 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을 통해서 한국교회의 이원 론적 사고의 극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회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공적인 영역 에 참여해야 하는 것인지는 네덜란드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활동가였던 아브라함 카 이퍼의 고민이었다. 그는 영역주권사상을 통해서 인간 삶의 모든 영역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종교, 교육 등의 모든 분야에 하나님의 주권이 회복되어야 함을 주 장하였다. 아브라함 카이퍼의 연구는 국내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나, 그의 영역주권사상 에 대한 소개와 연구는 미진하다. 연구자는 그 이유에 대하여 남아공에서 흑인차별정 책(아파르트헤이트)가 이데올로기적으로 잘못 적용되었다는 주장을 펼치는 자들 때문 이며 그들에 의하여 영역주권사상은 폭넓게 연구, 전파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되 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오해를 극복하고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이 던지는 강력한 메시지는 한국 교회의 이원론적인 틀을 파쇄 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연구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교회가 공적인 영역인 정치, 사회, 문화, 예술의 영역에 어 떻게 참여하고 변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적 고찰과 함께, 양적 연구의 결과물들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영역주권사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네덜란드에서 처음 시도 되었던 영역주권사상이 한국교회의 상황에 맞춰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놓고 연구자는 고민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이해 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은 과거 한국교회의 역사 적인 부흥 사건을 경험한 이후, 이제는 성숙한 기독교 세계관적 변혁을 통한 그리스 도인들의 삶을 이끌어 내는 데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태체계적 요인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게렐토야 개신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태체계적 변인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변인들을 개인요인(거주기간, 경제활동상태,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배우자요인(배우자와의 대화시간, 배우자와의 관계만족, 문화차이, 부부갈등), 기타가족요인(시부모와의 관계만족, 자녀와의 관계만족, 다문화 지향성, 사회경제적 수준) 및 사회요인(가족외 사회적지지, 사회적 참여, 차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 며, 모든 문항에 대한 결측을 제거하여 총 675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SPSS 21.0 통계프로그램 패키지를 사용해 확인하였으며, 결혼이주여성 의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태체계적 변인들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Hayes(2013)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 였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건강상태와 배우자와의 대화시간은 PROCESS macro 모델 4 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외 생태체계적 변인들은 PROCESS macro 모델 1을 활용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에 대한 분석결과를 개인요인, 배우자요인, 기타가족요인 및 사회요인으로 구분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에서는 거주기간, 심리적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났으나, 경제활동상태와 신체적 건강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건강상태는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배우자요인에서는 대화시간, 배우자와의 관계만족, 문화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갈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화시간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배우자와의 관계만족은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 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문화차이 역시간 한국어 능력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 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기타가족요인에서는 시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 녀와의 관계만족, 다문화지향성 및 사회경제적 수준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시부모와의 관계만족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요인의 경우 사회적 참여와 차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으나 가족 외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참 여와 차별의 경우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거주기간에 따른 차별적 접근, 심리정서적 안정을 도 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지원체계 구축, 배우자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부부교육 강화, 멘토링 지원사업 확대, 다문화 이해 교육, 인식개선 교육 의무화 등의 방안 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upon the effect of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o do so, the ecological systemic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analyzed as individual factors (period of residenc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f physical health,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regarding their spouse (conversation time with spouse,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spouse, cultural differences, marital conflict), other family factors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children, multicultural orientation, socioeconomic level), and social factors (social support outside the family, social participation, discrimin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2018 National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data was used after removing all missing items and a total of 6759 people were analyzed from this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each variable was confirm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package. To verify the regulatory and mediating effects, the SPSS PROCESS macro developed by Hayes (2013) was used. In detail, PROCESS macro model 4 was utilized to conduct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regarding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and conversation time with the spouse. Other ecologic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1 to conduct analysis of regulatory effects.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spouse factors, other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as follows. First, period of residence and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individual factors while economic activity and physical healt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sidenc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skills had a moder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conversation tim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and cultural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spouse factor while marital confli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versation time, howev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Cultural differences also showed a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other family factors whil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multicultural orientation, and socioeconomic level were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parents-in-law, it was found that i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social factors, however social support outside the family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reflected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aried approaches following the period of residence, establishment of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for promo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reinforcement of marital education to build a positive husband wife relationship, expansion of mentoring support programs, education regard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troduction of mandatory education for awareness improvement, were presented as a solution.

      •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주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김정호 개신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주일성수의 의미가 혼동되고 퇴색되어져 가는 상황에 직면한 목회현장에 서 안식일과 주일의 개념이 혼동된 성도들에게 바르게 가르쳐야 할 필요성과 더불 어, 성경적 근거를 제대로 따지지도 않고 율법적으로 주일성수를 강조하는 현실의 돌파구로서 목회자의 관점에서 안식일의 개념을 찾아보았다. 또한 안식일의 정신을 잇는 주일의 의미를 찾아 성도들에게 바르게 가르침으로써 생동적인 신앙회복과 주 일에 담긴 영적 축복이 성도들의 삶에 계속 흐를 수 있기를 추구하였다. 안식일의 개념 안에는 단지 ‘휴식’이나 ‘쉼’의 의미만이 아니라 하나 님의 쉼을 통하여 천지만물의 존재 상태가 복과 안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뿐만 아 니라 천지 만물이 하나님의 다스림 안에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 곧 하나님의 안식에 동참하는 것이 된다. 또한 안식일은 ‘창조 사역의 기 념’으로서 지켜야 하는 날이다. 창조를 기념하는 날을 안식일로 지키는 것은 새 하늘과 새 땅을 소망하는 영원한 안식을 예표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주일의 의미는 안식일의 복음적 의미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리의 사 건이 함께 이뤄진 날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창조주 하나님과 구속주 예수 그리스도 를 기억하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예배하는 날, 주님의 승리를 기념하고 기뻐 하는 축제의 날, 재림의 주님과 미래에 이어질 영원한 안식을 소망하는 날이라는 종말론적인 의미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주일을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는 안식의 개념이다. 그러므로 주일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음을 이기고 부활하심으로써 안식일이 지향하던 영적 안식을 성취하신 날이다. 요컨대 안식일과 주일을 ‘안식’이라는 개념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은 구약의 안식일이 나타내는 것은 구원의 안식을 성취 하신 예수님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주일에 관해 종교개혁자들의 입장은 불연속 성을 강조했다는 사실이다. 대표적인 종교개혁자인 칼빈은 안식일 제도의 각종 규 정들은 의식법이라고 보고 폐지가 되었으며, 안식일 규례들이 나오는 것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인 정신은 계승하되 그 구체적인 규정사항은 의식법에 속한 것 이기에 지킬 필요가 없으며 예수 그리스도가 오심으로 성취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 러므로 종교개혁자들의 주장을 통해 의식법은 폐지 되어 불연속성을 가지지만 안식 일의 정신인 시민법과 도덕법은 주일에 계승했다는 종교개혁자들의 주장과 일치함 을 알게 되었다. 안식일과 주일의 연속성에 관해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보면 확실 히 알 수 있다. 그 곳에서는 주일과 안식일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용어를 따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격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주님이 부활하신 그 날을 기념하여 지키는 주일이 구약시대 안식일과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 라 그것의 성취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과 같다. 안식은 창세기에서 출발해서 온전한 안식인 요한계시록에서 마치고 있다. 그 만큼 안식은 이 세상 살아가는 우리에게 힘과 소망을 주고 있으며 하나님의 마 음을 가장 잘 담고 있는 단어이다. 비록 구약의 안식일 제도가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되었지만 그것이 담고 있 는 정신은 여전히 살아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안식일의 제도와 율법에 얽매이지 말고 안식일에 담겨져 있는 정신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시대적으로 안식 을 잃어가는 세상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우리다. 하지만 하나님이 주시는 참된 안식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하늘의 소망을 바라보며, 현재의 삶속에서 그 안식을 적 극적으로 실천하며 살아가야 할 것이다. 그럴 때 안식을 주신 하나님의 은혜가 풍 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need to teach rightly of the confusion of the concept of Sabbath and Sunday in relation to its meaning and the fading concept to keep Sunday holy when faced with the situation of pastoral ministry, among Christians. It also explores the minister’s concept of the Sabbath in terms of Sunday being holy in accordance to the commandments as a breakthrough for the reality that emphasizes without properly studying the biblical basis. This study seeks the meaning of Sunday that connects the spirit of Sabbath and the vibrant faith and blessings restored, contained in Sunday that continues to be pursued in the life of Christians by proper teachings. Within the concept of the Sabbath through God’s rest, it is not only just the meaning of 'relaxing' or 'pause' but also the existence of heaven and earth and that all things are connected to the blessing and rest. It also signifies that in all things on heaven and earth exists in the likeness of God and under the sovereignty of God which that is to participate in God’s rest. In addition, to observe the Sabbath is a day of "celebration of creative work.” Keeping the Sabbath as a day to celebrate the Crea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emphasizes the eternal rest and hope of the new heaven and earth.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unday is an evangelical denotation of the Sabbath and it was founded and based on Jesus Christ’s resurrection and victory. It is beheld as the day of worship of the resurrected Jesus Christ, remembering God as the creator and Jesus Christ the redeemer. It also recognizes as the day to celebrate the Lord’s victory and the day of the Lord’s second coming with hope for the eternal rest to continue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e eschatological meaning. The major notion that connects the Old Testament Sabbath and the New Testament Sunday is the concept of rest. Therefore Sunday is the fulfillment of the spiritual rest that was directed by the Sabbath through Jesus Christ’s resurrection, who has overcome death. In a simplified matter, it is perceived that the Sabbath and the Sunday is linked as the concept of ‘rest’ because of Jesus’ fulfillment of the rest in salvation which can be seen in the Old Testament Sabbath. The position of the Reformers views about the Old Testament Sabbath and the New Testament Sunday emphasizes the discontinuity of the Sabbath in the Bible. In representative of the Reformers, Calvin repealed various provisions of the Sabbath laws as it was understood as ritual law. Theological ideas of Sabbath laws are inherited, but the specific provisions are not required to keep continually because it belongs to the ritual law. It was accomplished when Jesus Christ came to the world. Therefore, through the claims of the reformers, the ritual law and the concept of discontinuity of the Sabbath was abolished. However the civil law and the moral of Sabbath spirit have been influenced on Sunday. It is certainly understood from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s for the continuity of the Sabbath and Sunday. When the terms Sabbath and Sunday are used, it is used as an equivalent meaning instead of using separate terms. Keeping Sunday as the day to commemorate the Lord’s Resurrection does not break the notion of the Old Testament Sabbath and but rather accomplished in Jesus Christ. The concept of rest begins in Genesis and finished in the perfect rest found in Revelation. The Sabbath is to give us the power and desire to live in this world and is the best term that conveys the mind of God. Although the Old Testament Sabbath system was completed through Christ, the essence is still active Therefore, now we need efforts to practice the Sabbath essence instead of being tied to the Sabbath system and the law. In this era, we live in a world where ‘rest’ is disappearing, but we realize what God gives is the true rest, overlooking the hope of heaven which we will actively practice the ‘rest’ in our current lives. Then God‘s grace with rest will increasingly be revealed.

      • 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사역 연구

        이희원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사역 연구

      • 구속언약의 성취와 능력있는 설교 : 오순절 베드로설교를 통하여

        허현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구속언약의 성취와 능력있는 설교 : 오순절 베드로설교를 통하여

      • 칼빈과 웨슬레의 구원론 비교

        박찬호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칼빈과 웨슬레의 구원론 비교

      • 칼빈 신학에 있어서 예수그리스도의 중보직에 대한 연구

        양희종 개신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최근 한국교계의 최대 이슈는정통 기독교의 정체성”의 문제이다. 과연예수 그 리스도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기독교 2000년 역사와 신학에서 항상 논의되어 왔었다. 이는 초대 교회에서는 삼위일체론과 구원을 중심으로 기독론이 전개되었지 만, 그 배후에는영원한 하나님이 어떻게 인간 예수님으로 있는가?”하는 문제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두 본성 곧 신성과 인성에 대한 문제였다. 이것은 오늘날의 현대 사회인의 특징인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종교다원주의의 파급으로 인하여 우리의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과 절 대성이 침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그 대안으로 다음과 같이 기술한 다. 첫째, 오늘날 기독교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살피고 그 대 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종교개혁자 칼빈의 신학을 통하여 성경적으로 기독교의 정체 성 정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둘째, 기독교 정체성의 핵심요소로서 우리의 영원한 중보자, 즉 칼빈이 강조한 바 예수 그리스도를 바르게 이해하고 가르칠 것을 요망했다. 예수 그리스도는 구원 과 성화를 이루는데 근본적인 주체이시기 때문이다. 만약 기독교 복음에서 예수 그 리스도의 중보직의 모습이 사라지면 인본적인 이해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고양된 윤리나 체계적인 철학 혹은 경건한 종교적인 교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 는 메시지를 대신할 수 없다. 셋째, 본 논문은 주로 두 가지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직의 중요성과 유익과 관련하여 그것의 탁월성에 대한 칼빈의 신학을 논의하였다. 그중 하나는 기 독교의 본질문제와 관련해서 칼빈의 신학을 세우려고 노력했고, 다른 하나는 그리 스도의 삼중직의 중보직 기능에 대한 교리를 통해 현대신학이 잃어버린 영적 차원 을 회복할 때만이 본래의 기독교가 되살아나면서 얻게 되는 “영적 유익”을 서술하 는데 초점을 두었다. 넷째, 세상 속에서 기독교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칼빈의 가르침대로 신앙과 삶의 일치를 요망했다. 특히 오늘날처럼 사회적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기독 교가 본질적인 모습을 회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생활 속에서 경건의 삶을 실천하는 것이다. 세상 속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할 때 기독교를 통 해서 사람들은 성경이 말씀하는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거 짓 교리와 이단들을 척결하는 방법 중 하나는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의 영원한 중보 자 되심을 바로 증거함에 있다. 곧 칼빈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는 참 하나님이시요 영생이시다”(요일 5:20)(Inst., Ⅰ. ⅹⅲ. 11)라고 증거한 말씀을 인식하고, 계승함으 로써 개혁적인 신학의 발전이 되리라 확신한다. 그러므로 로마 가톨릭의 왜곡된 중보자론이나 신정통주의의 칼 바르트가 약화 시킨 기독론과 현대 자유주의 신학의 모순된 오류들을 제거하고 하나님말씀(성경) 에 근거한 정통 기독사에 나온 진리의 말씀들을 숙지하고 보존하며 발전해 나감을 사명으로 기술했다. 따라서 칼빈 신학의 중보자론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 삼위 일체되신 참 하나님이시요 참 사람이시기에 우리의 영원한 중보자가 되시며 창조주 시요 구세주시요 심판자가 되시며 영생 복락의 주인 되심을 확신한다. 그래서 본 논문은 시대에 따른 역사적 관점에서 은혜로 맺어주신 예수 그리스 도의 중보직에 하나님의 구속의 사랑을 뼈저리게 느끼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칼빈의 신학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직의 유익들을 만끽하면서 영원하신 구원에 참 예하는 기쁨과 즐거움을 누리며, 맛보고, 경험하면서 내일의 소망이 가득 찬 오늘이 되기를 바라본다. In recent days the greatest issue of the churches in Korea is the identity of the orthodox Christianity. The question "Who is Jesus Christ?" has been always discussed in the Church history and theological studies for 2000 years. In the early Churches the doctrines of trinity and soteriological Christology were hot issues, in the background of which the questionHow can the eternal God be the human Jesus?was. In other words, two natures of Jesus Christ, namely, his divine and human natures were concerned.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on account of the postmodernism and its influences, the religious syncretism is widely spread, and the uniqueness and absoluteness of our mediator Jesus Christ comes to be damaged. Thus in my dissertation, I wrote and suggested some alternatives as follows : First, I observed some dangerous causes which threaten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today, and suggested a direction to establish the biblical identity of Christianity by way of the theology of John Calvin, the Reformer. Second, I understood the eternal mediatorship of Jesus Christ as the key element of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which Calvin greatly emphasized. And so I asked our contemporary Churches to understand and teach Jesus Christ and his mediatorship rightly and biblically. Jesus Christ is the original author of our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If in the Christian gospel the mediatorial office of Jesus Christ is discarded, Christianity must be degraded to a humanism. Any elevated humanistic ethics or systematic philosophy or pious religious teaching can be a alternative to the preaching of Jesus Christ our Lord and Savior. Third, in this dissertation I discussed Calvin's theology on two points concerning the significance of Jesus Christ's mediatorial office and its profits. One point is concerned with the basic matter of Christianity on which Calvin touched in his theology, and the other point is to describe spiritual profits which the original Christianity can restore through the doctrine of mediatorial office and function of Jesus Christ our Mediator. Practically speaking, our contemporary theology lost the Christian spirituality and its profits. Fourth, as Calvin taught, I suggested the agreement between faith and life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in our secular society, which speaks ill of our Churches. In order to restore the original image of our Christianity, it is necessary to practise the pious life in our daily Christian lives. In other words, we must play the role as the light and salt in our secular society, so that secular men can encounter our God whom the Bible tells. Furthermore, through the witnessing of our Mediator Jesus Christ we can drive out the false heresies. I am sure that Calvin's theology can develop the Reformed theology by way of recognizing and resting upon the scriptural passage, Jesus Christ is the true God and eternal life(Ⅰ John 5:20)(Inst.,Ⅰ.ⅹⅲ. 11). Therefore, I got rid of the wrong doctrine of Christ's Mediatorship of Roman Catholicism, the neo-orthodox weakened Christology of Karl Barth, and the contradictory errors of contemporary liberal theology. Instead, I wrote on the mission for the understanding, keeping, and developing of the true doctrines of the orthodox Christianity which is based upon the Word of God (the Bible). I am sure of Christ's mediatorship which Calvin taught correctly in his theology that only Jesus Christ is the true triune God and true man, our eternal Mediator, Creator, Redeemer, Judge, and Lord of eternal blessing. In result, this dissertation in which I worked on Jesus Christ's Mediatorship of Calvin's theology, enabled me to be deeply touched with God's redemptive love in the inward mind and to fully enjoy the profits of Christ's mediatorship. I really hope that God's beloved Christians can enjoy, taste, and experience the joy and pleasure to have the eternal salvation, which is assured by our Mediator Jesus Christ, in this present day full of tomorrow's hope.

      • 한국교회를 위한 공공신학의 해석학적 모델로서 두왕국론

        박승기 개신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iew and analyze a public theology model suitable for Korean churches that desperately require public participation and restoration of publicnes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two-kingdom theory actively discussed in the discourse of Reformed public theology, it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and modern reinterpretation to evaluate whether it is a public theology model suitable for Korean churches in a special socio-political situation, and makes the following arguments. First, the current discourse of publicness in the Korean church has not been in full swing, but as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religion emerges in the public sphere, public theology is gradually increasing its importance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Korean church. Public theolog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public theology as universality’ and ‘public theology as being church,’ and the two perspectives should be considered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rejecting and opposing each other. Public theology should be a discipline that urges the Korean church to maintain the essence of ecclesiastical nature and at the same time go out into a diversified world and take on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responsibilities. Second, from Augustine’s two cities theory, the two swords theory in 189 the Middle Ages and the two-kingdoms theory in the era of Reformation show the difficult history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cooperation and harmony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The two kingdoms theory was sought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which was confused during the Reformation. For this reason, the theory of two kingdoms deserves a review as a public theological model for the Korean church in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divis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n particular, Geneva’s Reformer Calvin’s theory of two kingdoms was intended to achieve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church reformation, while separating church and state. Third, in the early days of modern Korean history, Christianity fulfilled its responsibility and role as a public and social religion. However, after liberation,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the Korean society became intensified, and authoritarian, undemocratic governments were established, the Korean church has been hiding behind the mask of ‘segreg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nd has actually benefited from ‘the fusion of politics and religion.’ Behind the rapid quantitative growth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lies a shameful history in which the church has silenced or justified unjust and distorted political ideologies. The complex socio-cultural and political situation faced by the Korean church is similar in many ways to Calvin’s Geneva Reformation, and for that reason, Calvin’s political theology model, ‘revised two kingdoms theory’ is the most appropriate public theological model for Korean churches. The results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es is found in the loss of publicness and retreat from public responsibility, and the solution was sought. Second, as a suitable model for overcoming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the theory 190 of two kingdoms, a political theological model that extends from Augustine to Luther to Calvin was designated and analyzed. Third, the discourse and practice of public theology overcoming the privatization of the Korean churches were presented not as a choice of conservative churches but as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church. 이 논문은 공공성 회복과 공적 참여가 절실히 요구되는 한국교회에 적합한 공공신학 모델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특히 개혁주의 공공신학 담론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두왕국론에 주목하여 역사적 맥락과 현대적 재해석을 살펴봄으로 써 한국교회가 처한 사회 정치적 상황에 적합한 공공신학 모델인지 평가하며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친다. 첫째, 현재 한국교회의 공공성 담론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지 못한 상태이지만, 그럼에도 공론장에서 종교의 역할과 책임이 대두되면서 한국교회의 이론과 실천에 있 어서 공공신학은 점차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공공신학은 크게 ‘보편성으로서의 공공신학’과 ‘교회됨으로서의 공공신학’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두 관점은 서로 배척 하고 대립하기보다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고찰되어야 한다. 공공신학은 한국교회가 교회됨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다원화된 세상으로 나가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치적인 책임을 감당하도록 촉구하는 학문이어야 한다. 둘째, 아우구스티누스의 두도성론으로부터 중세의 양검론과 종교개혁시대의 두왕 국론은 교회와 국가가 맺는 다양한 방식, 즉 대립과 갈등, 협력과 조화의 난해한 역 사를 보여준다. 두왕국론은 종교개혁 당시 혼란해진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재정립하 기 위해 모색되었다. 이런 이유로 두왕국론은, 남한과 북한의 분단과 대치 및 정치와 종교 분리의 헌법적 원칙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를 위한 공공신학 모델 로 검토될 가치가 있다. 특히 제네바 종교개혁자 칼빈의 두왕국론은 교회와 국가를 구분하면서도 교회개혁을 통해 사회의 변혁을 이루고자 의도되었다. 셋째, 한국 근대사의 초기에 기독교는 공적이고 사회적인 종교로서의 책임과 역 할을 다했다. 하지만 해방 이후, 한국사회에서 이념적 대립이 격해지고 권위주의적이 ii 면서 비민주적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한국교회는 정교분리의 가면 뒤에 숨어 정작 정교유착으로 이득을 보았다. 한국개신교회의 급격한 양적 성장 이면에는 불의하고 왜곡된 정치 이념을 교회가 침묵하거나 정당화해준 부끄러운 역사가 도사리고 있다. 한국교회가 처한 복잡한 사회문화정치적 상황은 칼빈의 제네바 종교개혁과 많은 부분 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며, 그런 이유로 칼빈의 정치신학 모델인 ‘수정된 두왕국 론’은 한국교회에 가장 적합한 공공신학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성과 및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 가 처한 위기를 공공성의 상실과 공적 책임으로부터의 후퇴에서 찾고 그에 대한 해법 을 모색하였다. 둘째,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해 가는 데 있어 적합한 모델로 아우구 스티누스부터 루터를 거쳐 칼빈까지 이어진 정치신학 모델인 두왕국론을 지정하고 분 석하였다. 셋째, 한국교회의 사사화를 극복하는 공공신학 담론과 실천을 보수적인 교 회가 취하는 하나의 선택지가 아니라 교회의 교회됨을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로 제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