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로팅 간호사와 일반 간호사의 간호역량, 자아존중감, 직무 스트레스 비교 연구

        주원진,김미영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플로팅 간호사와 일반 간호사의 간호역량,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이었고, 서울시 소재 3차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43명의 플로팅 간호사와 57명의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및 t-test, chi-square test, Ancova, Anova, Scheff-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 간호사의 간호역량은 플로팅 간호사의 간호역량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4.370, p=.039). 플로팅 간호사와 일반 간호사 모두 간호역량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플로팅 간호사, β=0.45, p=.001; 일반 간호사, β=0.60, p<.001). 결론: 플로팅 시스템과 간호 업무 환경의 개선 및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플로팅 간호사의 간호 역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간호역량의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플로팅 간호사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nursing competency, self-esteem, and job stress between floating nurses and clinical nurs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st and December 31st, 2015, from 43 floating nurses and 57 clinical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3.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t-test, x2 test, ANCOVA, ANOVA, Scheff 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loating nurses (F=4.370, p=.039). For both floating and clinical nurses, nursing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floating nurses, r=.47, p=.002; clinical nurses, r=.62, p<.001). Also, For both floating and clinical nurse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nursi ng competency was self-esteem(floating nurses, β=0.45, p=.001; clinical nurses, β=0.60, p<.001). Conclusi on: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nursing competency of the floating nurs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floating system,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continuous education. Also, as self- esteem is the most effective predictor of nursing competence,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self-esteem of the floating nurse.

      • KCI등재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간호사의 표준 교대근무 지표(Standard Shiftwork Index) 차이

        김정희,김명숙,김연희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orking status and Standard Shiftwork Index (SSI) between night shift-fixed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367 nurses working as registered nurses at 7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8, 2016 to September 30, 2016. Results: Night shift fixed nurses were more satisfied with work schedule than rotating shift nurses. Rotating shift nurses reported higher SSI scores, such as chronic fatigue, musculoskeletal problems, than night shift fixed nurses. In SSI‘s sub-items, rotating shift nurses reported higher scores, such as the amount of sleep, feeling well after sleep, heartburn or stomach-ache and heartbeat irregularities, than night shift fixed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night shift fixed system might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nurses’ work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any suitable night shift fixed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ursing organization. The SSImight be an useful tool tomeasure the nurses’ satisfaction in reference to their work shift. 목적: 본 연구는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근무간호사의 근무 현황을 파악하고, 표준교대근무지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방법: 2016년 8월 8일부터 9월 30일까지 야간전담제도가 있는 7개 의료기관의 36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야간전담간호사가 3교대간호사보다 근무만족도가 높았다.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간호사의 표준교대근무지표의 비교에서 만성피로와 근골격계 문제가 3교대간호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SSI의 세부 항목 중 수면 양, 수면 후 잘 쉰 느낌, 속쓰림, 심장박동이 불규칙 증상이 3교대간호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야간전담간호제도는 교대근무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야간전담근무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교대근무와 야간근무의 단점을 보완한 조직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표준교대근무지표(SSI)는 3교대간호사와 야간전담간호사의 차이를 비교하기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겠다.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김현진,박호란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post-traumatic stress (PT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pi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nurses who worked at general hospitals since the first reported MERS outbreak. The IES-R-K assessed P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The mean PTS level was 7.80 points (range: 0~88); 7.1% of the participants were at a high risk. Nurses who had been in contact with patients suspected or diagnosed with MERS had high post-traumatic levels; those who had been quarantined during the MERS outbreak had relatively higher PTS levels. Shift-work nurses had higher PTS levels than those with fixed working hours. Above charge’ nurses stress levels were higher than staff nurses’ stress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cluding contact with an MERS-suspected or diagnosed patient, position at work, and working status of MERS-affected nurses explained 16% of the PTS. Among the main variables, nurses’ above charge position was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PT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studies and programs considering these variables. Furthermo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programs should be done considering the position of above charge nurses. 목적: 본 연구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메르스 첫 발견일 이후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IES-R-K 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7.80점 (범위 0~88점)이었고, 고위험군이 7.1 %이었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메르스 의심 또는 확진 환자를 만난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높았으며, 메르스 발생시 병원격리를 경험한 간호사가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다. 근무형태가 교대근무인 경우 전일제 근무보다 높았으며, 책임간호사 이상이 일반간호사 보다 높았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르스 의심 또는 확진 환자를 만난 경험, 직위, 근무형태이며 외상 후 스트레스를 16.0% 설명하였다. 주요 요인중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가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이었다. 논의: 그러므로 이들 변인을 고려한 중재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또한,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를 고려한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권혜경,김신향,박시현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목적: 한국 간호사들은 근무 환경 내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많은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호사의 회복력은 이러한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많은 요인들이 간호사의 회복력 정도에 영향을 준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회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방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리뷰하고 양적으로 합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를 통해 간호사의 회복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관련 문헌의 검색을 위하여 외국 및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검색하였고, 이 결과 총 33개의 문헌들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결과적으로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변인은 큰 효과크기, 위험변인은 중간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보호변인의 직무변인군은 조직변인군보다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보호변인 중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위험변인의 개인변인군은 조직변인군 및 직무변인군과 비교할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그 중 개인의 스트레스 반응이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가장 크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에게 적용가능한 중재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Nurses’ resil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that nurses often encounter at clinic, and many factors have been examined which influence on nurses' resilience levels. Through this study, those factor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and quantitatively synthesized. Methods: In order to find relevant studies, both English and Korean academic databases were searched, and, finally, a total of 33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included in this analysis. Results: The effect size on the protective variables was large and that of the risk variables was medium. In the protective variable group, the job variable group showed a larger effect size compared to the organizational variable group. Among the protective variables, compassion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on enhancing the resilience level of nurses. In the risk variable group, the personal variable group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which was followed by the organizational and job variables. Among the risk variables, the personal stress response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decreasing the level of resilience of nurse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data for future studies in terms of develop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levels of resilience among Korean nurse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실태와 신체적 증상, 소진, 우울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염영희,손희숙,이현숙,김명애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status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and the relationship with physical discomfort, burnout,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Methods: A thousand three hundred sixteen clinical nurses from 42 hospita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reality and status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nurses after interviewing focus groups and reviewing literatu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Ninety eight percent of nurses had answered having emotional labor and they experienced 82 times per year, 9.6 times during last a month which means they experience it every other day. The one who provoke emotional labor were patients, guardians, physicians, supervisor, and colleagues in sequence. Eighty percent of nurses had intention to leave their jobs after experiencing emotional labor. They were doing more surface acting tha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Conclusion: Clinical nurses in Korea experienced excessively high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delayed responding to clients' requests due to lack of time for caring each patient was reveal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emotional labo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실태와 형황 그리고 감정노동과 신체적 불편감, 소진, 우울 그리고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국 42개의 병원에서 총 1,316명의 간호사가 참여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실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거친 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자료는 t-test, 일원분산분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98%의 간호사가 감정노동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연간 82회, 지난한달 동안 9.6회, 즉 이틀에 한번 정도 감정노동을 경험한다고 응답하였다. 감정노동을 유발하는 대상자는 환자, 보호자, 의사, 상사 그리고 동료순으로 나타났다. 80%의 간호사는 감정노동을 경험 한 후 이직의도가 있다고 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화를 참는 것과 잘못이 없지만 상황을 무마하기 위해서 대상자에게 사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감정노동 표면행위를 진심행위보다 더 많이 하였다. 결론: 한국의 임상간호사는 매우 높은 정도의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으며, 대상자 간호에 필요한 시간부족으로 대상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는 것이 감정노동의 주요원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간호사의 폭력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조직 내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강채은,은영 병원간호사회 2022 임상간호연구 Vol.28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work on the relationship in tertiary hospital nurse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work on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r nurse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A total of 146 registered nurses were recruited from a tertiary hospital from March to July 2020. The Participants who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and experienced violence at work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esilience, social support at work,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nurses experienced verbal abuse an average of 3.70±2.06 times a week, physical threat an average of 2.30±1.71 times a month, and physical assault an average of 0.76±0.82 times a year.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esult also showed that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hospital nurs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clusion: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influenc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nurses and were moderated by resilience. Therefore, hospital administrators need to develop and provide a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and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to redu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nurses. In addition, we suggest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a workplace on the experiences of violenc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폭력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 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폭력 경험을 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서 회복탄력성과 조직 내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근무 기간이 1년 이상이며, 폭력 경험이 있는 일반간호사로 일반적 특성, 폭력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 조직 내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는 t-검증과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들은 언어적 폭력을 1주에 평균 3.70±2.06회 경험하였고, 신체적 위협은 1달에 평균 2.30±1.71회 경험하였으며, 신체적 폭력은 1년에 0.76±0.82회 경험하였다. 폭력 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상당히 관련이 있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언어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조직 내 사회적 지지는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관계에서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폭력 경험은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영향을 미치고 회복탄력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병원에서는 간호사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해 폭력 예방 프로그램과 회복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조직 내 사회적 지지가 폭력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 KCI등재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현숙,이호선,염영희,이정민,정원선,박현정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서 회자되고 있는 구, 절, 문장에서 “간호”, “간호사”와 연관된 단어들을 통해 간호사에 대한 대중들의 생각과 태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구글, 다음, 네이버, 트위터, 페이스북에서 나타나는 대화나 문서에서 간호사와 연관된 단어들의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간호사의 주요 연관어를 미디어 유형별로 파악하고, 시간변화에 따른 연관어의 변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범주별로 연관어를 분류하고 각 범주의 특징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된 연관어의 총 빈도수는 17,399,711개였고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연관어는 병원, 업무, 사람이었다. 사람과 관련된 범주의 단어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감정, 전문직, 장소 순이었다. 결론: 연도별로 연관어 변화와 특성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간호사에 대한 대중의 생각과 느낌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호사와 함께 가장 빈번하게 표현되는 연관어는 “병원”,“일”, “사람”, “근무”와 같은 업무와 관련된 것이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nking words of nurse which were presented together with nurse on phrase, clauses or sentence of documents or conversations in the Internet portals and social media. Methods: The linking words with nurse were calculated by the number of presentation on conversations or documents, in Google, Daum, Naver, Twitter and Facebook.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 of yearly changes of major linking words of nurse were investigated by the type of media. In order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words, clustering of the collected linking words by categories was analy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classified. Results: A total number of reviewed linking words was 17,399,711 and the most frequently presenting words were hospital, work and person. The words related to people were the most highly presented and the next were those of emotion, professional and place respectively. Conclusion: With analysing the trends of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words by yearly base and clusters,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mage of nurse that the public think and feel about nurse.

      • KCI등재

        종합병원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 유형과 대처방식

        강미정,박인숙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의 유형과 대처방식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방법 : 2014년 3월 17일부터 24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44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들의 대부분이 환자, 보호자, 의사, 간호사 등으로부터 폭력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언어적 폭력 경험이 신체적 위협이나 신체적 폭력보다 많았다.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가장 많이 폭력을 경험하였으며 외과계 병동, 중환자실 순이었다.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들의 반응으로는 정서적 반응이 가장 높았으며 그중에서 ‘분노’가 가장 많았다. 일반적 특성 중 임상경력과 근무부서 영역이 폭력 후 반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폭력경험 후 대처방식은 ‘아무 일 없었다는 듯 그냥 업무를 수행함’이 가장 많았다. 결론 :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업무 중 심각한 수준의 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나 대부분 무방비 상태로 근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폭력 예방을 위한 병원 차원에서의 조직문화 개선 및 홍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폭력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간호사들이 적극적으로 폭력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동료들과 상사들의 충분한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며 병원 차원에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및 전문적인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7 to 24, 2014,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ponses from 449 nurses were analyzed. Result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violence from patients, visitors, doctors, and other nurses. Verbal violence was more frequent than physical threats and physical violence. Most violence happened in ERs, followed by surgical units, and ICUs. The most frequent response by nurses after violence was an emotional response, especially ‘anger’ (4.01±1.059).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ponses were significant for professional experience (F=2.935, p=.013) and work areas (F=2.290, p=.021). The most frequent coping method for nurses after violence had occurred was to ‘just complete their duties as if nothing happened’. Conclusion: Most nurses are exposed to frequent violence, but they feel defensel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spital should improve the respective organizational cultures and develop promotional programs and administrative policies to prevent violence. In addition,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nurses to improve their attitudes and abilities to cope with violence. Also, hospitals should offer sufficient support, stress reduction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for nurses.

      • KCI등재

        간호사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 개발 : 상급종합병원 중심

        조명숙,조용애,김경희,권인각,김미순,이정림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inical Ladder System (CLS) mode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inpatient units of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2 steps. First, a nursing competence evaluation scale was developed. Second, evaluation of the nursing competences, qualifications, and professional activities of 230 nurses from five tertiary care hospitals was done by 49 head nurses between Feb. and Dec., 2014. Nurses were selected by head nurses according to their clinical experience and expec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t each level of the ladder. Results: A nursing competence scale was developed consisting of 5 subcategories (clinical practice, ethical practice, education, leadership,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11 elements, and 5 levels of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element. Cronbach's alphas for the entire tool and subcategories were over .853 and stability of the scale was confirm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competence according to the 5 levels of the ladder.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posed CLS model with a standard score for nursing competence, recommended or obligatory criteria for qualifications and professional activities provides a good tool for developing nurses' competences and retaining excell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목적: 이 연구는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의 입원병동 간호사를 위한 임상경력관리체계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첫째 간호역량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2단계로 2014년 2월에서 12월에 걸쳐 5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31명의 간호역량과 자격요건, 전문성 활동을 수간호사 49명에 의해 평가하였다. 대상자는 임상경력과 각 등급의 기대되는 행동특성에 따라 선정되였다. 결과: 간호역량평가도구는 5개 하위영역과 11개 세부역량 및 5개의 행동수준을 가지며,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853이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5개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각 등급별로 간호사의 자격요건과 전문성 활동정도를 고려하여 권장 또는 필수 항목을 선정하였다. 결론: 제안된 임상경력관리체계는 5개 임상등급을 가진다. 각 임상등급은 간호역량의 표준점수와 자격요건, 전문성 활동의 권장 또는 필수 수준을 가진다. 간호역량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은 간호사의 역량발전과 우수한 간호사를 보유하기 위한 좋은 도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다차원적 요인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세라,전미경,황진희,최애란,김인숙,편미경,문경은,김문희,신나라,이순행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ultidimensional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during February 2016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22 tertiary hospital ICU nurs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urnout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mpassion fatigue (CF)(r=.37, p<.001), and negatively with compassion satisfaction (CS)(r=-.66, p<.001).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57% of the variance in burnout.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model, perceived health status (β=-.27, p<.001) and gender (β=.14, p=.028)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ICU nurses’ burnout. In the model with adde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nursing environment (β=-.22,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β= -.20, p=.001), and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β=-.19, p=.007)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inally, for the model wi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dded, CS (β=-.56, p<.001) and CF (β=.35, p<.001)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Conclusion: Results reveal that most ICU nurses have a moderate level of CF and a moderate to high level of CS and burnout, and that individual, work-related and psychological factors are relevant in ICU nurses’ burnout. Programs or interventions to reduce burnout should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se multidimensional factors.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직무관련, 심리적 요인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자료는 2016년 2월동안 3차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인 222명의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은 공감피로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r=.37, p<.001), 공감만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66, p<.001). 개인적 특성을 분석한 회귀모형은 건강상태(ß=-.27, p<.001)와 성별(ß=.14, p=.028)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유의한 요인이었다. 직무관련 요인을 추가한 회귀모형에서는 간호근무환경(ß=-.22, p=.001), 건강상태(ß=-.20, p=.001), 부서 만족여부(ß=-.19, p=.007)가 소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최종적으로 심리적 특성을 추가한 회귀모형 분석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만족(ß=-.56, p<.001)과 공감피로(ß=.35, p<.001)였다. 이들 변인의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57%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는 중등도 이상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소진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중재는 다차원적 요인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