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이 ‘간도협약의 무효’를 중국에 통보하지 않은 이유 분석

        이일걸 간도학회 2020 간도학보 Vol.3 No.1

        중국이 2002년 공식적으로 추진한‘동북공정’의 한국고대사 왜곡 문제에 대해, 양국은 2004년 한ㆍ중간 5개항 구두양해 각서’에 합의하였으며,‘학술적 해결’이라는 미봉책으로 잠시 봉합되었다. 그러나 중국은 백두산공정 - 장백산문화론 - 요하문명론 - 만리장성 연장론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후속 정책을 추진하였다. 중국은 만리장성의 동단은 압록강변의 호산장성에서 시작한다면서 종전보다 2500㎞ 늘어난 8851.8㎞로 발표하였다. 호산장성 역시 고구려의 박작성을 허물고 세운 가짜 만리장성이다. 이와 같은 ‘만리장성 연장론’같은 ‘일련의 정책들의 목적은‘간도영유권’의 확보 문제와 직결된다. 왜냐하면 1909년에 체결된 ‘간도협약’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미ㆍ일 강화조약에서 국제법상 무효임이 선언되었기 때문에 중국의 간도지역 점유는 국제법상 불법점유이다. 이와 같은 미해결된‘간도영유권 분쟁’의 재발 가능성은 중국으로서는 매우 불안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현재 중국 영토 안에서 일어났던 모든 민족과 역사는 모두 중국 민족이며 중국의 역사’라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이미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다민족통합론’에 근거하여,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의 역사가 중국의 역사이고 중국의 영토라고 우기기 위한 것이다. 이는 중국이 간도협약 이후 불법 점유하고 있는 간도지역을 자신들의 영토로 공고히 하려는 전략이다. 이와 같은 중국의 간도지역의 영유권을 강탈하려는 전략에 대응하는 최적의 전략은 바로 ‘간도협약’의 무효를 중국 정부에 통보하고, 국제법상 ‘간도지역’이 분쟁지임을 선언하는 것이다. 그러나‘간도협약의 무효 통보’라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있으면서도 역대 정부가 실행에 옮기지 못했던 것은, 한국의 통치자들이 강자에 약한 이소사대(以小事大)의 유풍에 따라 강대국 중국의 눈치를 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이 ‘간도협약의 무효 통보’를 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대외적인 정치 환경에 따른 이소사대(以小事大)라는 강자에 약한 ‘외교전략’과 정치인, 관료 등의 위정자들의 ‘무지몽매(無知蒙昧)’함 때문이다. 역대 정부의 간도문제에 관련된 정책 유형을 분석해보면, 대부분의 정부가 이소사대(以小事大)와 무지몽매(無知蒙昧)라는 두 요소를 공통적인 성향으로 나타난다. 다만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만이 ‘민족주체의식’이 분명한‘유비무한 및 자주형’으로 구분되어 진다. 시뇨다 지사꾸(篠田治策)는 이미 1세기 전에 갈파하였듯이 만주의 봉금지역은 무인의 중립지대로 규정하였다. 이 중립지대를 먼저 선점한 것도 우리 한민족이며. 동ㆍ서 간도지역에 간도관리사를 파견하여 통치했던 역사기록이 있다. 그리고 백두산정계비의 설치 과정이 강희제와 목극등의 조작임이 입증되었다. 디른 지역에 위치했던 토문강과 압록강의 실체가 드러났으며, 강희제의 지도상의 지명의 변조도 밝혀졌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치과정이 조작된 백두산정계비는 더 이상 국경의 경계를 결정하는 정계비가 아니다. 그리고 간도지역에는 180만 명의 우리 동포들이 살고 있다. 장래 우리 민족의 생존전략상 간도지역을 회복하지 않고서는 민족주체의식을 가지고 당당히 살아가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간도지역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간도를 불법 점유하고 있는 중국의 점유시효를 중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하루 빨리 중국에 ‘간도협약의 무효’를 통보하여, 간도지역이 역사상 분쟁지역이었음을 홍보해야 한다. 그 길이야말로 중국의 ‘간도영유권 확보’라는 영토적 야욕을 중지시키고 간도지역을 다시 회복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Concerning the distortion of Korea’s ancient history in China’s ‘Northeast Project’ officially promoted in 2002, South Korea and China agreed upon ‘the Verbal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Five Claus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2004, and it was momentarily sealed through a temporary remedy, ‘academic solution.’ However, China has promoted subsequent policies from Baekdu Mountain Project through Jangbaek (Changbai) Mountain Culture Theory and the Yoha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to the Discussion on the Extension of Mallijangseong (the Great Wall). Arguing that the East end of the Great Wall begins from Hosan Jangseong (Tiger Mountain Great Wall) on Amnok River, China announced its length 8,851.8㎞, increased by 2,500㎞. Tiger Mountain Great Wall, too, is a fake great wall established after demolishing Goguryeo’s Bakjak Fortress. The purpose of a series of policies like ‘the discussion on the extension of the Great Wal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ssue of securing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Gando (Jiandao).’ Since the ‘Gando Convention’ concluded in 1909 was declared null in San Francisco Peace Treaty between the U.S. and Japan in 1951, China’s occupation of the Gando region is an illegal occupation on international law. China is very uneasy about the recurrence of the unresolved ‘dispute over sovereignty over Gando’ like this. Thus, China already insisted on ‘a Theory on a Unified Multinational State’ that ‘all nations and histories in China’s present territory are Chinese nation and Chinese history.’ This is to insist that the histories of Gojoseon, Buyeo, Goguryeo, and Balhae are Chinese histories and their territories are Chinese based on this ‘Theory on a Unified Nations.’ This is China’s strategy to solidify the Gando region as their territory, which has been illegally occupied since the Gando Convention. The optimum strategy to cope with China’s strategy for taking sovereignty over the Gando region is to notify the Chinese government of ‘the nullity of the Gando Convention’ and declare that ‘the Gando region’ is a troubled region on international law. However, even if there is the best way, ‘the notification of the nullity of Gando Convention,’ the governments of all time could not execute that because the rulers of South Korea have studied China, a powerful nation according to the old custom of ‘service to the great by the small ((以小事大).)’ weak to the strong. Like th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not ‘notifying of the nullity of the Gando Convention’ is ‘the diplomatic strategy’ weak to the strong and ‘the lack of enlightenment’ among administrators, like politicians and bureaucrats. To analyze the type of the policies related to Gando by the governments of all time, most governments have the two elements, ‘service to the great by the small and the lack of enlightenment’ as common tendencies. And yet, Rhee Syngman Administration and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only are classified as ‘preparedness and independence types’ with a clear ‘sense of national sovereignty.’ As Jisaku Shinoda already saw through that one century before, the unmanned region banned from migration (Bonggeum) in Manchuria was defined as a manless neutral zone. It was the Korean nation that preoccupied this neutral zone. There is a historical record that Gando Managers were dispatched to the East and West Gando regions to rule the people there. Also, the process of the installation of the Baekdu Mountain Border Monument was proven to be a fabrication by Emperor Kangxi and Fuca Mukdeng. The truth of the Tomun River and Amnok River that were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was revealed, and Kangxi’s fabrication of place name on the map was also unfolded. Thus, the Baekdu Mountain Border Monument of which the installation process is fabricated like this is not a border monument that determines the national border any longer. Also, 1.8 million Koreans are living in the Gando region. For our nation’s survival strategy for the future, it will be difficult to live proudly with a sense of national sovereignty without recovering the Gando region. Thus, to recover the Gando region, it is first necessary to stop the prescription of the occupation of Gando by China that illegally occupies it.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notify China of ‘the nullity of Gando Convention’ as quickly as possible and promote the fact that the Gando region has been a troubled region in history. That is the best way to stop China’s territorial ambition for ‘securing sovereignty over Gando’ and recover the Gando region.

      • 731부대와 간도 한민족의 희생에 관한 고찰

        신용우 간도학회 2020 간도학보 Vol.3 No.2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은 간도 하얼빈에 731부대를 설립하고 살아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자행한다. 지금까지 731부대에서 통나무라는 뜻인 마루타라고 불리면서 생체실험에 희생당한 사람의 수는 약 10,000여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신원이 밝혀진 사람은 1,500여명으로 중국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희생자들에 대한 민족구성을 속단하기에 앞서 731부대의 위치가 간도 하얼빈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 일본의 위성국가로 알려진 만주국에 속해 있던 간도 거주민의 약 80%는 대한제국의 백성인 한민족이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일본이 실험 대상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무작위로 납치하였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한민족이 가장 많이 희생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한민족 중에는 중국으로 귀화하여 중국 국적을 가진 사람도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중국인이 가장 많은 희생자라고 설정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현재 간도를 중국이 강점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기인한 것이 더 큰 원인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731부대의 진실과 그 희생자들에 대해 소상하게 밝히기 위해서 먼저 만주국의 건국과 731부대의 설립을 기술했다. 이어서 간도에 대해 기술한 후 731부대의 만행을 폭로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 간도의 인구구성을 통해서 731부대의 가장 큰 희생 민족은 바로 한민족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당연히 전범 처리되어야 했던 731부대의 주요 구성원들이 사면된 미국의 파렴치한 행위를 폭로함으로써, 우리 한민족의 희생에 대해서 미국과 일본이 사과는 물론 배상해야 하는 당위성을 밝혔다. During World War II, Japan established Unit 731 in Harbin, Gando, and conducts medical experiments on humans. Until now, the number of victims in the biological experiment called Maruta, which means a log in Unit 731, is estimated to be about 10,000,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been identified is 1,500, with the largest number of Chinese. However, before deciding on the national composition of the victims, it is worth noting that Unit 731 is located in Harbin Gando. About 80% of the residents of Gando, Manchuria, known as the satellite state of Japan at the time, were Koreans - the people of the Korean Empire -. Considering the fact that Japan randomly kidnapped victims for the test, the Korean people were the most victims. Of course, it is true that some Koreans were naturalized to China and had Chinese nationality. However, the biggest reason why the Chinese are the most victim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Gando is currently occupied by China. In this paper, in order to uncover the truth of Unit 731 and its victims, first of all, the founding of Manchuria and the establishment of Unit 731 were described. Subsequently, after describing Gando, the atrocities of Unit 731 were exposed. Then, through the population composition of Gando at that time, it was identified that the biggest victim of Unit 731 was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by exposing the unscrupulous act of the United States that pardoned major members of Unit 731, which had to be dealt with as war crimes after World War II, this research revealed the justification that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hould apologize and compensate for the sacrifices of the Korean people.

      • 우리 영토의 축소과정과 왜곡된 국경선 문제 연구

        이일걸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1

        The curren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an original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a distorted border line from the Amnok River to the Duman River under Article 1 of the 1909 Gando Convention that was illegally entered into by Japan and the Qing. Thereafter, the Korea-China border has been drawn as such in maps showing Korea. At the time, Japan illegally assigned the sovereignty over Gando to the Qing in order to acquire railroad extension/construction concessions and coal mining concessions needed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Those who are unaware of the afore-said execution process of the Gando Convention understand that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was demarcated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is border line decided at Japan’s discretion was an illegal act committed by the country for its own interests, ignoring historical facts that the Joseon Dynasty dispatched gwanrisas to East and West Gando and put the opposite area from the Amnok River under jurisdiction of Pyongan Province. Furthermore,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disregarded the Korea-China demarcation shown in numerous Western ancient maps. After Japan annexed Korea, Japan started to compile History of Joseon Peninsula from the Japanes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represented by shared Japan-Joseon origins, stagnancy and heteronomy, for its colonial rule in Korea. And then Japan set up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Association” in 1925 and started to publish Joseon History in 37 volumes from 1932. Naturally, Joseon History, with many distortions and inaccuracies to justify Japanese colonial rule, put a huge influence on Korean historical developments thereafter.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claimed that all of Korean historical facts occurr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y decided that Wanggeom-seong, i.e. the capital city of Gojoseon, and Lelang Commandery were located in Pyeongyang near the Daedong River and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were establish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y even claimed that the 9 fortresses built by General Yun Gwan to the northeast of the Goryeo-Jurchen border were located around currently Hamgyeong Province in North Korea, misrepresenting Gongheomjin in Seonchunryeong about 700 li north of the Duman River. Furthermore, they diminished the territory of Goguryeo by asserting that Goguryeo’s new capital established by King Jansgu was Pyeongya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y even curtailed the territory of Goryeo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Goryeo’s border reached the Liao-ho River to the West and Gongheomjin to the North. These distorted historical claims based on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y started from Lee Byeong-do, a successor to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and then have been ceaselessly advocated by his disciples in accord with his views. Eventually, the maps based on such distorted historical theory misrepresent the territory of Korea, thereby causing huge damage to the country in the future. Above all, historical circles should reflect on the past in order to rectify the incorrec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on maps as well as Korea’s history that was largely distorted by the colonial historians. Moreover, such rectification should be made through cr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with mutual candor for the self-purification of historical circles.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의 국경선은 본래 형성된 국경선이 아니다. 즉, 일본이 청과 불법 체결한 1909년 ‘간도협약’ 제1조에 근거하여 압록강ㆍ두만강선으로 왜곡된 국경선이다. 이후 제작된 모든 한국지도의 한ㆍ중국경선은 이와 같이 그려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간도협약의 체결과정을 모르는 대부분은 압록강ㆍ두만강선이 한말(韓末)에 획정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일본이 임의대로 정한 압록강ㆍ두만강선은, 그동안 조선정부가 행한 동ㆍ서 간도지역의 관리사 파견이나 압록강 대안지역을 평안도에 배속시킨 역사적 사실을 무시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한 불법적인 행위였다. 이와 같은 식민사관에 젖은 우리 학자들도 이를 계승하여 간도에 대한 한말의 역사적 통치행위와 무수한 서양고지도의 표기마저 무시 하였다. 이후 일본은 구한국을 병합한 후 그들이 식민지 통치상 필요에 의거하여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정체성론(停滯性論), 타율성론(他律性論)의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반도사’의 편찬에 착수하였으며, 1925년 ‘조선사편수회’로 확대 개편하여 1932년부터 ‘조선사’ 37권을 간행하였다. 식민지 통치를 위해 왜곡 간행된 ‘조선사’가 이후한국사 전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은 당연하였다. 이들 일본식민사학자들은 모든 한국의 역사를 반도 내에 비정하였다.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과 낙랑군의 위치를 대동강 부근 평양으로, 한사군의 위치를 한반도 북부에, 윤관의 동북 9성은 함경도 일대에 비정하였다. 장수왕이 천도한 도읍지조차 평양에 왜곡 비정하였으며, 국경선이 요하(遼河)에서 공험진에 이르렀던 고려의 영토마저 반도 내로 축소시켰다. 또한 일본은 긴도협약으로 서간도지역을 제외시키고 동간도 동부로 축소시켰다. 이와 같이 우리의 역사와 영토를 축소시킨 일제식민사관을 계승한 이병도 일파에 의해 이들의 이론이 더 극성을 부리고 있다. 결국 이들의 왜곡된 역사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지도 역시 잘못된 우리 영토의 강역을 표시하고 있으며 장래 국가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줄 것이다. 이제 이들 일제식민사학에 의해 크게 왜곡된 우리 역사와 잘못 표시된 지도상의 국경선과 실상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또한 스스로 자정(自淨)할 수 있도록 상호 기탄없는 학문적인 비판적 토론의 장을 거쳐 바로잡아야 한다.

      • 명(明)의 만주지역 영토인식에 관한 연구

        남의현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1

        본 연구는 명대 조선과 명의 국경선을 연구한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명대 조선과의 국경선을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설정하고 있다. 1480년대 이전은 압록강에서 180여 리 지점인 연산관, 이후는 100여 리 지점인 봉황성이 되어야 한다. 이것은 압록강~연산관(1480년대 이전), 압록강~봉황성(1480년대 이후~청대)이 국경지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압록강을 국경선으로 그린 지도는 재고되어야 한다. 압록강이 조선과 명의 국경선이 될 수 없음은 명대 요동변장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명나라는 1368년 건국 후 요동에서 몽골을 축출하면서 군정기관 요동도사를 설치하였다. 명나라는 요동도사를 방어하기 위해 25개의 衛를 설치하고 이를 지키기 위해 요동변장을 수축하였다. 요동변장은 요서의 산해관과 요동 북부의 개원을 연결하면서 동쪽 압록강 방면으로 향한다. 하지만 압록강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명대 길림과 흑룡강 지역에 분포하던 여진부락 역시 명의 판도가 될 수 없다. 두만강 유역은 명의 행정구역에 편입되지 않았으며 명이 형식적으로 여진부락을 여진위소로 편입했을 뿐이다. 흑룡강 하류 유역에 설치한 노아간도사 역시 요동도사와는 달리 상설기구가 아니라 임시초무기구이며 명 전기에 이미 요도동사 흡수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흑룡강 유역 역시 명이 ‘版圖外’ 지역이었다. This study aims at the Liaodong border area in Ming Dynasty. As discussed, the Liaodongbazhan(遼東八站) located between Choseon and Ming experienced a lot of change. In the early days of the Ming dynasty, Ming applied the drastic measure of shutting off Liaodong to secure a path for moving into Liaodong and discontinuing the alliance of North-Yuan(北元) and Korea. The background for Ming shutting of the area as such was that they had no specialized army to protect the Liaodongbazhan area. Alliance with Mongolia was attempted over 5 times in the Yong-le(永樂) period, and approximately 180 wei-suo(衛所) were installed in the Jurchen area. However, in spite of this expansion of wei-suo(衛所) during the Yong-le period, Ming failed in including the Jurchen and Liaodongbazhan area into their territory. Afterwards, Ming attempted to implement a strategy consisting of military occupation of the Liaodongbazhan area between Liaodongdusi and the Yalu River and reinforcing this area with forts etc., to build a strong defensive front around Liaodongdusi. As a part of this strategy, they rebuilt forts in various locations in the Liaodongbazhan including the Fenghuang mountains(鳳凰山) which was not far from the Yalu River. Through this strategy Ming came to take over the Liaodongbazhan area from Liaoyang(遼陽) to Fenghuangcheng(鳳凰城). The border transgression problem between Choseon and Ming could not be fundamentally solved. An important reason for this was that Ming did not regulate the problem of border transgression in the Liaodongbazhan region strongly. This situation in which the Liaodongbazhan region was not under the control of Ming after Youngle's death(1403~1424) as no more active foreign policy was available, they changed their strategy to defend Liaodong based on Liaodongdusi which was leading to founding a solid Liaodong Defense Line in middle and late Ming dynasty. Soon, Liaodongdusi became a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Far eastern area to defend Liaodong in the beginning of the 15th century. Although there was some time to seek expansion like Young-le's regime, they had a defensive role in general in the relation with Northern territory tribes. Along with this background, Liaodong Defense Line was cut back and they began to establish an outpost at Amnok river. Nuergandusi(奴兒干都司) was established in the form of dusi(都司) but it could not maintain it's form with stability all the time during Ming dynasty. It was set up by Yong-le emperor(永樂帝) during his term of office in order to stablize the rear region through Meng-gu subjugation and subjugate or appease Jurchen that settled around Song-hua and Hei-long river. But Nuergandusi failed to enlarge the function and control over Jurchen after Yong-le. It was impossible for Nuergandusi to govern the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all the regions except the extent of jurisdiction of Liaodongdusi(遼東都司, Rigional Military Command), because it was set up on the extreme outskirt in Liadong. Rather it is reasonable that Nuergandusi managed the officials of Jurchen Wei-suo(衛所) around Song-hua(松花) and Hei-long river(黑龍江). The important duty of Nuergandusi is to guide and protect a envoy who was sent to Jianzhou Jurchens(建州女眞)or deliver a document. We can judge these facts from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Nuergandusi. There are no traces that many troops stayed there, rather about two hundreds of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from Liadong treated most of military affairs. In other words, there are no independ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Nuergandusi, and it's function had the power of influence during Yong-le's period, when foreign activity was flourishing. Reaching Xuan-de's(宣德) period, the control power over Jurchen became weak and also there was no more restraining influence and control power over Meng-gu. Yong-le emperor tried to subjugate Meng-gu and gave them a blow. But he could not extinguish them. Both the growth of Jurchen and the advance of Meng-gu in Nuergandusi region made Nuegandusi difficult to peform the function more. Ming's frontier policy was changed from positive subjugation to negative defence. As a result, Ming dynasty could not restore Nuergandusi any more.

      • 국사교과서에 남은 일제 식민사관의 잔재 연구 - ‘반도사관’을 중심으로

        박정학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2

        All nations make sure their citizens learn the history of their own nation. It helps citizens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their country and people who live within and build a social consensus that eventually becomes the driving force of the future. ‘Building up identity’ is the goal of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The Korean people survived Japan’s brutal colonial rule, the Korean war, and military conflict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nd, only in 50 years of time after being liberated from Japan, Korea became a part of the leadership in the Global communities as a member of OECD and APEC, and became one of the 10 biggest economic giants. National history textbooks, however, that are used from the 5th grade of the primary schools through Junior-high schools and to High schools, do not cover the driving force of such achievements. The Korean people, and also global citizens, do not understand well Korea and the Korean people who have made K-wave. This is what remains as a part of the colonial view of the history. In the previous century, Japanese colonial rule violated Korea’s national sovereignty and extorted territory, and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anipulated Korean history, during the 1920s and 1930s, to align it with the colonial view in order to annihilate the Korean people. The current education of Korean history is not free from the frame. There are many types of colonial views of history including Dangun mythology, ‘identity theory’ that claims the inherited inferiority of the Korean people, distrust in early historical records of Samguk Saki, and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that claims the Korean people have made their lives only within the small Korean peninsula. This study, however, focuses on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that remains in national history textbook (including Society, history and national history). The current national history books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people in pre-history era as Old stone and New stone age, but do not properly describe their human society according to the global history of human society that is clan, tribe or tribal union, and treated pre-Gojoseon era as a mythological era. It results in exclusion of life of remote ancestors or limitation of their life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as if they lived only within the peninsula. Following up on this, the textbooks consider Goryeo’s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as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ople’ to cut out Balhae from the Korean people’s nations and regard descendants of Balhae as the alien or a northern race even though they had been a part of the Korean people for 33 million years from Gojoseon to Goguri and Balhae. The textbooks manipulate the history that the Korean people, from Goryeo, pursued to gain territorial power only over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Manchuria. No maps indicate Kando as Korean territory although the textbooks explain that ‘Kando has been transferred to Qing dynasty in return of Japan’s gaining railroading rights in Manchuria in 1909’ The constitutional law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the territory clause. The 50% of the Nations do not set the territorial boundary in the constitutional law because it can change over time. Korean constitutional law, however, voluntarily limits its territory by claiming that ‘our territory is the Korean peninsula and annexed islands’ and does not claim territoriality over Kando even though the 1909 Kando agreement is invalidated by the international law. When it comes to developing contents of textbooks, it follows official approval scheme that the government sets the editorial instruction, history scholars including professors and teachers write, and the deliberative body decides whether the completed textbooks can be used or not. The authorized history textbooks made by the government and history academia willingly stick to the colonial historical view 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is the reason Japanese look down on Korean and made them conduct economic retaliation against the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The rebound of Korea can only be assured when Korea manages to get out of the bridle. 세계 모든 나라는 자국의 역사를 모든 국민들에게 필수적으로 가르친다. 모든 국민들이 자기 자신과 자기 나라, 그리고 그 속에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알고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더 밝은 미래를 만들어갈 원동력으로 삼기 위함이다. ‘정체성 함양’이 국사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우리 겨레의 경우 지난 세기에 일제의 잔혹한 식민통치와 6.25전쟁, 남북 군사대치라는 엄청난 시련을 겪으면서도 광복 후 반세기만에 OECD와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할 정도로 세계의 지도국이 되었고, 10위권의 경제대국을 이루는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낸 저력을 발휘했다. 그런데도 현재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과목으로부터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까지 학교에서 필수로 가르치고 있는 국사교과서에는 그런 민족저력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알 수 있는 내용이 없다. 민족정체성을 함양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러니 한강의 기적과 확산되고 있는 한류에도 불구하고 우리 스스로나 세계인들이 우리나라와 겨레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일제 식민사관의 잔재다. 지난 세기 일제는 우리 국토와 국권을 강탈한 후 우리 민족을 말살시키고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해 1920년대부터 30년대 후기까지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를 통해 우리 역사를 원래의 역사와 다른 식민지 역사로 조작했었는데, 지금도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들이 조작한 식민사학은 단군의 고조선 건국은 역사가 아니라는 단군신화론, 우리 겨레가 원래부터 미개했다는 정체성론,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예부터 좁은 한반도에서만 살아왔다는 반도사관 등 많지만,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국사(사회, 역사, 한국사) 교과서에 남아 있는 반도사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의 각 급 학교 국사교과서를 보면, 선사시대를 구석기-신석기 시대라 하여 당시 사람들이 사용한 도구의 질로 시대이름을 붙임으로써 마을(씨족, 부족), 고을(부족연맹) 등 그 사람들이 구성했던 인류사회 공동체의 규모와 위치를 알 수 없게 하고 있다. 심지어 고조선과 그 이전을 신화시대로 만들어 실제로 살았던 우리의 먼 조상들의 삶의 현장을 내팽개치거나 한반도를 중심으로 그 흔적을 찾음으로써 그때부터 한반도 안에만 살았던 것처럼 만들어 놓았다. 고려의 후삼국 통일을 민족 재통일이라면서 우리 민족의 나라인 발해를 버리기 시작하여, 발해 멸망 후에는 고조선-고구리-발해 때까지 3,258년 간 우리 겨레로서 함께 살았던 발해의 후손들을 이민족 또는 북방민족이라 내팽개치고 있다. 그 이후에는 아예 만주지역 땅을 버리고 한반도 확보에 초점을 둔 것처럼 역사를 왜곡하고, 심지어 ‘1909년 간도협약에서 일본이 만주철도부설권을 얻는 조건으로 간도를 청나라에 넘겨주었다’면서도 간도 지역인 만주 땅을 우리 영토로 표기한 지도는 하나도 없다. 세계 50% 이상의 나라가 헌법에서 영토를 규정하지 않고 있다. 역사적으로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우리 영토를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고 스스로 축소시켜놓았으며, 1909년의 간도협약이 국제법적으로 무효가 되었다면서도 간도가 국제법적으로 우리 영토라는 선언조차 하지 않고 있다. 현재 국사교과서의 내용은 검인정 체제에 따라 그 내용에 대해 정부에서 편수 지침을 내리고 대학교수, 중ㆍ고등학교 교사 등 역사 분야의 학자들이 편찬을 하여, 완성된 교과서에 대해 나라의 검정 심의를 거쳐 교과서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우리 정부와 역사학계가 만든 우리 역사교과서인데도 일제가 식민통치 목적에 맞춰 조작했던 엉터리 식민사학 내용을 그대로 가르치고 있으니 일본인들이 우리를 얕잡아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 강제징용 관련된 우리 대법원 판결에 대한 경제보복도 이런 식민지로 얕잡아보는 인식이 작용했을 수도 있다. 이제는 우리 스스로 그 굴레를 벗어나야 미래의 대한민국 재도약이 보일 수 있다.

      • 21세기 미·중 신냉전 하의 간도수복(間島收復) 전략

        趙源弘 간도학회 2021 간도학보 Vol.4 No.1

        In the fiercely competitiv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Communist China in the 21st century, the current ruling party's president and other ruling classes of South Korea argue that Korea would better choose the intermediate route between two countries as a regional balancer or a coordinator or a strategic partner, and they also suggest that we Korean should select the pro-American policy in security fields and the pro-Chinese in economic affairs. They have recently argued for an end-of-war declaration and a peace agreement among South and North Korea, Communist China and the U.S.A.. Are these assertions most reliable proposals to solve the facing diplomatic and military problems of Korea? I don't agree with them. There are three reasons why I don't think so. The first is that because the world hegemonic power, the U.S.A. may fall into the Thucydides's Trap which induces US to wage a war with China on account of the worries of the United States that China might overtake the US in term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econd is that when a challenging country like China feels a limitation to cope with the hegemonic world power, America, then China's president Xi Jinping tries to make up for the failure and to establish his prestige by conquering Taiwan, and by accomplishing Chinese dream of single China. Unfortunately, however, Xi Jinping's conquer of Taiwan inevitably should cause a war with USA as it guaranteed Taiwan security under the Taiwan Relations Act in 1979 when it withdrew Taiwan. On the other hand, the U.S.-China war would likely to trigger other war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hina's military ally. Thirdly a war sometimes occurs due to the so-called Kindleberger Trap. As you can see, while the Communist China continues to pursue its own national interest ignoring the international law, and violating other countries's sovereignties, such China's misbehaviors certainly makes the United States upset and the irritated United States retailates against Chinese wrong doings, consequently it causes a war between two conflicting countries, US and China. We call that phenomenon Kinderberger Trap. For the three reasons described above, war must break out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e 21st centry. Accordingly, Korea, one of alley of the US, must be prepared for the US-China war in the near future. Moreover, in case of an emergency in North Korea, the three army groups(AGs) in the Northern Theater of People's Liberation Army (PLA) will quickly penetrate across the border between Communist China and North Korea due to its Xiaoji(=Chick) Plan that is scheduled to invade North Korea so as to acquire the North Korea's own WMD, along with occupying Yangangdo, Jagangdo and the coastal cities of Hamgyeongnamdo. During this invasion of North Korea by the Chinese 3 AGs in the Northern Theater, the ROK-U.S, Combined Forces must immediately strike back to defeat them completely according to the OPLAN 5015 focused on the operations of decapitation strike and pre-emptive attack.From 300,000 to 430,000 troops of the three AGs in the Northern Theater of PLA ought be crushed by the massive Korean Army's Hyeonmu hypersonic missile attacks and bombardments of fighter jets of the ROK-U.S. Coalitioned Forces. The North Korean ground forces guarding the Pyongyang Metropolitan City will be destroyed by the formidable tank shootings of Korean 7th Armored Corps, and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regime quickly collapses and North Korea is absorbed and unified by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ancient Korean territories and the lost Gando territory in Manchuria that was forced to lose by the Qing-Japan Convention on September 4, 1909, will be restored by the combined military operations of the ROK-U.S. Coalition, and Korea will consequently build a huge Korea Federation(or Union) that composes of the unified Korea, Manchuria, unified Mongolia and the Surin's Symbiosis country of Korea & Siberian Russia, with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al philosophy of Hongik Man as its universal governing idea. In the end, the great Korean Federation(or Union) will become the leading country in the Northeast Asia on behalf of the wicked totalitarian Communist China. 미·소 냉전이 1991년 1월 말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미국은 세계패권국이 되어 10년간 팍스 아메리카(Pax America) 시대를 구가할 수 있었지만, 2001년 9.11 테러 사태로 인해 미국은 또 다시 아랍테러리스트 국가들과 두 차례의 전쟁, 즉 이라크 전쟁과 아프카니스탄 전쟁을 치루었다. 그리고 2008년에 미국의 제4위 금융기관인 ‘리먼 브러더스(Lehman Brothers Holdings)’의 파산으로 초래한 세계 금융위기를 겪었다. 이에 반해 2013년 취임한 시진핑(習近平)은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책을 추진하여 21세기에 중화민족의 영광(Pax Sinica)을 상징하는 ‘중국몽’(中國夢)을 선포하였다. 미국은 ‘셰일혁명’을 통해 더 이상 중동산 석유 구입의 필요성이 없게 됨에 따라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의 전략적 중점을 아시아에 두겠다는 ‘아시아로의 회귀’, 또는 ‘아시아의 재균형 정책’을 선언하였다. 그리하여 미·중은 아시아 대륙과 태평양 상의 해양패권을 두고 서로 다투는 상황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세계 1, 2의 강대국 간의 충돌상황에 직면해서 미 하버드 대학 정치학 교수 그레이함 엘리슨(Graham Allison)은 『예정된 전쟁』(Predestined for War)에서 기존 강대국이 신흥국가의 부상을 견제하다가 ‘튜키디데스의 함정(Thucydi- des's Trap)에 빠져 전쟁을 일으키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미 존스 홉킨스대 국제정치학과 할 브렌즈(Hal Brands) 석좌교수와 터프츠대 정치학과 미카엘 베클리(Michael Beckley) 교수는 공동으로 외교논문집 『포린 폴리시』에 기고한 “쇠퇴하는 중국이 문제”(China is a Declining Power-and That's the Problem" )라는 논문에서 세계패권을 다투는 두 강대국 간의 전쟁은 도전국이 패권국의 국가역량과 전투력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정점(頂點)에 다달았을 때에 자신의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한편 일련의 국제정치가들은 ‘킨들버그 함정’(Kindleberger Trap)에 빠져 국가 간에 전쟁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고 하였다. 즉 유럽 정치상황의 개입을 회피한 1930년대 미국의 고립주의 정책은 러시아의 슬라브민족주의(Slavophilism) 팽창노선과 독일제국의 게르만민족주의(Pangermanismus)이 충돌로 인해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다. 또한 21세기에 중공이 남태평양 무인도에 군사시설 설치와 ‘일대일로’라는 정책 추진은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려는 중공의 제국주의적 확장정책이었다. 이와 같은 패권적인 중공에 대해 미 동맹국들이 예방전쟁적 성격을 띤 ‘응징전쟁’(膺懲戰爭)(Punishment war)을 벌일 경우가 그렇다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들로 21세기에 전쟁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 중 패권다툼 사이에 끼인 한국은 21세기에 어떻게 미래를 개척하고 대처해 나아가야 할 것인가? ‘균형자론’이나 ‘조정자론’, ‘한반도 운전자론’ 또는 ‘전략적 동반자론’을 들먹이며 ‘안미경중’(安美經中)하려는 ‘전략적 모호성’( strategic ambiguity)을 취하며, 미·중 양국 사이에서 전쟁에 말려들지 않고 무사하게 이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인지는 한국의 위정자들의 정책결정에 좌우될 것이다. 현재 한국은 자유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과 중공이라는 공산사회주의 국가 사이에서 충돌직전의 두 강대국의 국제환경 속에 있으면서 평화공존이란 틀 속에 안주하려고 하는 태도를 취해 매우 중요한 국가안보외교 전략과 군사전략의 대비를 소홀히 한 채 종전(終戰) 요구와 평화타령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심한 대응전략은 두 강대국 간에 실제 전쟁이 발발하게 되면 한국의 피해는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듯이 상상이상으로 극대화될 것이다. 이와 같은 한심하고 무책임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현 정부의 외교, 군사정책이다. 한국은 4세기 고대 로마 전략가 푸블리우스 베게티우스(Publius Flavius Vegetius Renatus) 장군이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si vis pacempara bellum!)는 명언을 명심해서 항시 유비무환의 태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특히 4대 강대국으로 둘러싸인 한국으로서는 국제정치 환경의 변수가 매우 중요하며, 국가안보상의 위기가 발생할 경우 이웃 동맹세력과 함께 전쟁을 하여 그 위기를 극복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 주사파 집권층은 ‘우리민족끼리’라는 낭만적 민족주의 사조에 빠져 친북한 정책과 ‘일대일로’의 ‘중국몽’ 실현을 목표를 삼는 중공에 대해 사대주의적 굴욕외교를 일삼고 있다. 중공은 2050년 초에는 미국의 패권을 꺾고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공산화 해 중공의 위성국---한국과 북한을 통털어 중공의 ‘조선성’(朝鮮省)으로 삼고, 일본열도는 ‘동해성’과 ‘일본자치주’로 삼는---으로 삼아 ‘세계제패’의 정치적 야심을 품고 있다. 따라서 현 정부는 종전의 친북, 친중, 반미노선의 외교정책에서 탈피하여야 한다. 현재의 친중, 반미노선의 전략으로는 한국의 자유통일과 민족의 숙원사업인 간도수복의 꿈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은 더욱 분명해진다.

      • 중국의 古代 文明 歷史工程에 대한 대응전략 -‘夏商周斷代공정’과 ‘中華文明探源공정’을 중심으로

        李日杰 간도학회 2022 간도학보 Vol.5 No.1

        20년 전 중국이 추진한 동북공정(東北工程)의 배경은 당시 남북한의 통일 후에 제기될 가능성이 있는 간도영토 분쟁으로 인한 만주영토 상실과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중국동포의 정체성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 우리 고대사의 역사적 연원과 족원(族源)을 왜곡할 수밖에 없었으며, 동북공정의 기본원리인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하여, 당시 강대국이었던 고구려와 발해를 중원의 소수민족 지방정권으로 왜곡시켰다. 또한 그들은 동북공정에 이어 백두산공정, 장백산문화론, 요하문명론, 만리장성 연장론으로 우리 역사침탈을 지속적으로 확장했다. 이미 ‘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은 끝난 상태이지만 ‘중화문명전파공정’은 계속 진행 중이다. 중국은 우리 역사·문명 침탈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자 이제는 고대국가 기원의 기년에 대한 침략을 시도하고 있다. 바로 단군조선(고조선)의 부정과 기자조선의 왜곡화를 서두르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 중국의 우리 역사 침탈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했다. 더구나 우리 정부는 중국의 이와 같은 집요한 역사 침탈의 목적조차 분석하지도 않았다. 2004년 내한했던 우다웨이가 우리 정부 각료들에게 행한 발언에는 중국의 동북공정 목적이 나타난다. 즉 “한국에서 간도가 조선 땅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고구려가 중국의 소수민족 국가라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동북공정 목적이 양국 간에 미해결된 간도영유권의 확보에 있음을 분명히 밝혔다. 이미 중국은 ‘청사(靑史)공정을 끝냈으며, 왕외(王巍)가 2015년에 제안한 ‘중화문명선전공정’이 ‘중화문명전파공정’으로 다듬어서 이듬해 전국인민대표회의에 재차 제시했다. 그리고 중국이 20년간 동북공정을 추진한 결과 내린 결론은 이 지역에 존재했던 고조선, 고구려, 발해가 중국의 소수민족 지방정권이며 이들이 남긴 유적, 문화 등이 모두 중국에 속하며, 중국의 문화라는 것이다. 중국이 우리 고대사를 왜곡시킨 근거는 사마천의 『사기』의 ‘오제본기’에 기인하다. 따라서 ‘오제본기’에 왜곡된 역사적 인물과 사건부터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기』‘본기’ 및 다른 역사서에 기록된 인물과 청동기에 새겨진 인물과의 비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중국이 추진했던 동북공정의 목적은 단순한 역사공정이 아닌 미해결된 만주의 ‘간도지역’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영토공정이다. 특히 ‘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으로 이어지는 문화공정은 고조선 문명인 홍산 문명을 ‘요하문명’으로 변질시킨 문화전쟁이다. 이와 같은 중국의 역사공정은 왜곡된 『사기』와 조작된 고고학적 유물에 근거하여, 韓民族 문화를 말살하려는 전략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국의 우리 역사·문명 침탈 후 완성하려는 대중화주의 건설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도 수립해야 할 것이며, 더불어 ‘단군조선’의 불확실한 기년(紀年)도 분명히 검증하고, 교과서에 표기하여 교육시켜야 한다. 또한 고힐강(顧頡剛)의 ‘고사부정론’에 물든 이학근(李學勤) 등의 ‘의고파’ 중국학자들의 왜곡된 학설 유입을 단절해야 한다. 그리고 왜곡된 서적인『사기』등의 25史와『서경』을 비롯한 왜곡된 경서(經書)에 대한 국가차원의 검토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동북아 최고의 홍산 문명이 우리 민족의 문명임을 분명히 증명하는 동시에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background of the Northeast Project carried out by China since 20 years ago is their fear about the loss of Manchuria due to the Gando territorial dispute which may arise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ir anxiety about the identity of Chinese compatriots living in this area. Therefore, China had no choice but to distort the historical origin and ancestral origin of ancient Korea, and falsely transformed Goguryeo and Balhae, great powers at the time, into local governments of minority ethnic groups in the edge of the midland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Northeast Project, “Theory of a Unified Multi-ethnic State”. After the Northeast Project, they also continued to expand their historical invasion of Korean history through the Baekdu Mountain Project, the Changbai Mountain Culture Theory, the Yoha (Liao-ho) Civilization Theory and the Great Wall Extension Theory. Even though the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had already been completed, the ‘Chinese Civilization Exploration Project’ was in progress, but we did not feel the seriousness of China’s invasion of our history. Moreover,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even analyze the purpose of China's tenacious invasion of Korean history. Wu Dawei's remarks to South Korean government officials during his visit to Korea in 2004 revealed the purpose of China's Northeast Project. He said “If Korea does not claim that Gando is Korean territory, China will not claim that Goguryeo was a minority ethnic country of China.” China has already completed the ‘Cheongsa (Clean History) Project’ and Wang Oe (王巍) trimmed and refined the ‘Propag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Project’, which was proposed in 2015, into ‘Chinese Civilization Propagation Project’ and presented to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gain the following year. And as a result of China's 20 years of promoting the Northeast Project, the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Gojoseon, Goguryeo, and Balhae that existed in this region were local governments of minority ethnic groups in China, and the historic remains and culture they left behind belong to China and become a part of Chinese culture. The ground that China distorted our ancient history was based on the 'Ojebongi (Record of Five Emperors)' in Sima Qian's 『Shig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historical persons and events that were distorted in the ‘Ojebongi’.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sons recorded in 『Sagi』 ‘Bonki’ including other historical books and those persons engraved on the Bronze Age. The purpose of the Northeast Project conducted by China is not merely a historical project but a territorial project at the national level to secure the unresolved ‘Gando region’ in Manchuria. In particular, the cultural project from the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to the ‘Chinese Civilization Exploration Project’ is a cultural war that transformed the Hongsan civilization, which was the Gojoseon civilization, into the ‘Yoha civilization’. Such Chinese historical projects reveal their strategy to erase the Korean people's culture with the distorted 『Shigi』 and manipulated archaeological remains. Also a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to cop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sinocentrism (Great-chunghwaism) that China is trying to complete after the invasion of Korean history and civilization. In addition, uncertain years according to the new year numbering system of ‘Dangun Joseon’era should be clearly verified and marked in the textbooks for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block the inflow of distorted theories of Chinese scholars, such as ‘Euigopa’ Lee Hak-geun, who was tainted by the 'Ancient History Negation Theory' of Gohilgang (顧頡剛). In addition, there must be a review at national level on the 25 historic books distorted such as 『Sagi』 and the Confucian classics distorted such as including 『Seogyeong』. We also intend to prove clearly that the Hongsan civilization, the best civilization in Northeast Asia, is absolutely the civiliza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at the same time, seek for counteracting strategy.

      • 『황여전람도』와 일본고지도에 나타난 장백산과 토문강

        李燉帥 간도학회 2021 간도학보 Vol.4 No.1

        고지도를 보면서 우리 한국의 북방의 국경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시노다 지사쿠(篠田 治策)의 간도 관련 저서를 읽은 후는 그 의아심이 더 증폭되었다. 그래서 고지도와 사료를 검토한 후에야 백두산과 장백산이 다른 산이며, 토문강과 두만강은 다른 강이라는 가정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필자가 세운 이 가정은 이제는 고지도는 물론 사료에서도 백두산과 장백산이 다른 산임을 확신시켜 주었다.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와 일본고지도에 나타나는 백두산과 장백산의 기술의 형태를 통해 청·일의 지도제작 속에 숨겨진 의도를 파악해 보았다. 청·일 양국은 지도를 제국의 권력의 확산을 위한 도구로 사용했다는 점이 강하다. 역사적으로 우리는 이웃의 두 국가에 대해서는 항상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다. 사실 우리 스스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우리의 국경으로 규정짓고, 이 국경선을 의심을 하지 않은 나라는 세계에서 우리 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최소한 서양과 외국고지도에 나타난 실제 국경선으로 볼 때 20세기 초까지의 외국고지도에 표기된 우리 국경선은 압록강과 두만강 북쪽 대안 공간을 포함하였다. 일본과 서양의 지도와 청의 사료도 모두 그렇게 인식하였다. 청인(淸人)이 인식했던 장백산의 진짜 위치는 계림합달령이었고, 휘발하 상류의 토문하를 백두산 지역으로 옮겨 토문강으로 불렀다. 이 같은 지명의 위치가 황여전람도와 서양고지도에서 입증이 되었기에, 장백산을 백두산으로, 토문강을 두만강으로 보는 현재의 인식은 잘못된 것이다. 어쩌면 역사는 지도의 전쟁이라 할 수 있다. 고지도 연구를 통한 장백산 위치의 파악은 간도의 영토를 회복하기 위한 영역을 지정하기 보다는 오랫동안 지속된 역사적 사실의 왜곡을 바로 잡기 위함이었다. Looking at ancient maps, the researcher came to have a question about Korea’s northern national border. After reading Jisaku Shinoda’s book on Gando, the suspicion further increased. Thus, only after reviewing ancient maps and historical materials, the researcher conducted research under the presumption that Mt. Baekdu and Mt. Changbai were different mountains and that the Tumen River and the Duman River were different rivers. This presumption established by the author has now convinced that Mt. Baekdu and Mt. Changbai were different mountains in the historical materials as well as on the ancient maps. The mountain Manchurians called Mount Changbai is referred to as Jilin Hada Ridge(鷄林哈達嶺) in the upper area of Huifa He (輝勃河). This is evidenced by western ancient maps where Huifa He is written as Tumen He. This study would understand the intentions hidden in the production of maps by Qing and Japan through the forms of descriptions of Mt. Baekdu and Mt. Changbai in Hwangyeojeollamdo and ancient maps of Japan. Both Qing and Japan strongly used maps as tools to spread their imperial power. Historically, Koreans have always shown passive attitudes towards the two neighboring countries. In fact, Koreans are the only people who defined the Amnok River and the Duman River as national borders in the world. At least viewed from the actual borders in the Western and foreign ancient maps, the Korean borders marked in the foreign ancient maps by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cluded the opposite shore space north of the Amnok River and the Duman River. The Japanese and Western maps and historical materials of Qing all recognized in this way. Probably, history can be the war of maps. Locating Mt. Changbai through the studies of ancient maps aimed to correct the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s that have long continued rather than specifying the area to recover the territory of Gando.

      • 한국 병탄(倂呑) 이후 35년 동안의 올바른 시대구분 명칭에 관한 연구

        이일걸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2

        오늘날 우리는 1910년 ‘한국병탄’ 이후 35년 동안의 시대명칭을 학계에서 올바르게 검증하지 않고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하여 왔다. 현재 유행되고 있는 ‘일제강점기’라는 용어에 함축된 의미에 대해서도 비판의식 없이 사용하고 있다, 광복 후 초기부터 ‘민족의 수난기’, ‘국권회복운동시기’, ‘일제시기’등으로 불렀으며, 1980년대 이후 ‘국권침탈기’ 또는 ‘민족의 저항기’로 나타났으며, 2000년대부터는 ‘일제강점기’가 빠르게 유포되었다. 그렇다면 ‘일제강점기’의 용어에는 어떤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지 고찰해보자. 첫째, ‘일제강점기’는 비주체적인 용어다. 즉 우리 한국인의 역사 틀 안에서 제3자인 ‘일제’가 한국을 강점했다는 의미이다. 둘째, 일제식민사학자들이 주장하는 여러 개의 식민사관 이론 중 ‘일제강점기’에는 ‘타율성론’이라는 식민사관이 은연중 드려난다. 한국사는 고대시기부터 기자ㆍ위만 등의 외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왜곡시켰다. 1910년 한국병탄후 일제에 의해 한국이 타율적인 지배를 받았음을 나타내었다. 셋째,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사관 이론인 ‘임나일본부설’의 연장선상이라는 점이다. 즉, 신공후(神功后)ㆍ대화(大和) 남선침략(南鮮侵略) - 임나일본부 - 일제강점기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즉 20세기 초에는 ‘일제강점기’로 ‘일제’가 한국인을 지배했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넷째, ‘일제강점기’에는 ‘정체성론’이라는 식민사관의 의도가 숨어있다. 즉, 한국을 정체되고 전근대적인 사회로 규정함으로써 일제의 한국침략을 정당화시키고 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라고 부르는 것은 국제법상 무효인 ‘한국병탄조약’을 유효조약으로 둔갑시키려는 의도가 보인다. 1910년 ‘한국병탄조약’은 국가대표에 대한 강박에 의하여 체결되었으며, 또한 조약체결의 형식과 절차상의 하자(瑕疵)로 인해 불법ㆍ무효조약이다. 따라서 한국은 일본에 ‘한국병탄조약’의 무효를 외교절차에 따라 문서로 통보하지 않았다. 더구나 현재 국사편찬위원회가 이 시기의 명칭을 ‘일제강점기’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 놀라울 뿐이다. 그 결과 우리는 역사적 정체성의 혼란을 초래하였으며, 일인들은 이 시기를 ‘일본 통치하의 조선’ 또는 ‘식민지 조선’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빠른 시기에 한국병탄조약의 무효를 서면으로 일본에 통고해야 한다. 우리 정부가 일본에 대해 ‘한국병탄조약’의 무효 및 폐기를 통보함으로써 35년 일제의 병탄이 불법행위임이 만천하에 입증되어 진다. ‘한국병탄조약’의 무효 통보로 인해 우리 한국인은 식민사관의 질곡을 벗어나는 근거와 계기를 마련해준다. 그러므로 국제법상 우리 민족의 법통성이 ‘대한제국’ ⟶ ‘대한임시정부’ ⟶ ‘대한민국’으로 계승되어진다. 또한 세칭 문제된 1920년, 1948년의 건국론의 시비문제도 해결된다. 그렇다면 비주체적이고 타율적인 ‘일제강점기’라는 용어를 대신할 가장 합당한 용어는 ‘항일투쟁시기’가 가장 타당하다. 따라서 짧은 35년의 시기를 비주체적이고 식민사관의 타율성론이 내재된 ‘일제강점기’ 용어를 퇴출시키고 주체적인 ‘항일투쟁시기’로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Up until this day, we have not been clearly used the name of the 35-year period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of 1910 as it has not been properly proved by the academia. Even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that we prevalently use, we use it without criticism. Following the Independence, this period was called the ‘National Suffering Period’, ‘Period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Campaign’, ‘Japanese Imperial Period’, ‘Japanese Colonial Era’, and ‘Period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after 1980s, it was represented as the period of ‘Deprivation of Korean Sovereignty’ or ‘National Resistance Movement’; and after 2000 to present, use of ‘Japanese Occupation’ has rapidly spread. Then, let us think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First,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is a non-autonomous term. That is, it is hardly possible that the name of the period indicating the third country Japan has occupied Korea be present in our national history. It reveals that we were under Japanese rule for a short period of 35 years and that this historical period was not under our control. Although the Japanese occupation was illegal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aw, we do not need to disclose it. Second, there are several theories of the colonial history that Japanese historians of colonialism insist. Among them, a ‘theory of heteronomy’ of our history, which is the colonial history, is implicit in the ‘Japanese Occupation.’ It implies that Koreans were not the main agent, were uncivilized, and were not able to be autonomous during this period and therefore, Japan occupied Korea and Koreans were under the heteronomous rule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ird, the ‘Japanese Occupation’ is an extension of ‘Theory of Imna Prefectural Government.’ That is, it indicates that it was continued from Sin Gong HuㆍDae Hwa Invasion of Korea and Imna Prefectural Government to Japanese Occupation, meaning that there was the Imna Prefectural Government in the ancient South Korea and then Korea was under Japanese ru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Fourth,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also implies the "stagnation theory", which defines Korea as a static and premodern society, justify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disguising its mission to modernize Korea. Fifth, there is a strategy of turning the invalid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aw into the valid one by calling it the ‘Japanese Occupation.’ Not only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of 1910 was coerced into signing by the Japanese representative but also the signing form and process were flawed, and thus made the treaty null and void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aw. Therefore, it should be an abrogated treaty; however, Korea did not declare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of 1910 null and void by letter according to the diplomatic procedures. Moreover, it is surprising th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defines this period as the ‘Japanese Occupation.’ Most elder historians have proclaimed that we should get rid of the colonial history, but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was formalized at some unknown point. As a consequence, it caused our historical identity crisis and Japanese scholars still define this period as the ‘Joseon under Japanese rule’ or ‘Colonial Joseon.’ Therefore, we should declare invalidity o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by letter soon. I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is abrogated, the Korean liberation armies- and independent armies-participated-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for reclaiming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for 35 years will be the legal revolution, but not illegal. Also, it would be revealed that the Japanese rule was certainly the illegal occupation. By declaring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was null and void, the illegality of the 35-year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ould be proved to the whole world. This would also be an opportunity to make free ourselves from the fetters of colonial history. Therefore, our legitimacy would be the Korean Empire –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The Republic of Korea. The so-called problems of Theory of National Foundation whether it was in 1920 or 1948 would also be solved. If so, the most appropriate term to replace the dependent and heteronomous term ‘Japanese Occupation’ would be ‘Period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Therefore, we should throw out the term ‘Japanese Imperial Period’ in which dependency and theory of heteronomy are implied to describe the short 35-year period and establish the autonomous term ‘Period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 실학자와 대일항쟁기 일본학자의 철령위 인식

        정태상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2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first Emperor of the Ming Dynasty, informed that the Ming Dynasty should be bordered with the Cheolyeong in December 1387. In March of the following year, Cheolyeong-Wi, army camp was established, the Cheolyeong refers not to the name of northern part of Gangwon-do but to the name in Liaodong, China. Even according to studies by scholars such as Jin-seo Han and, Yag-yong Jeong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hey could not escape the framework of the perception that 'Cheolyeong, which had been an issue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was in Gangwon-do'. Modern research on the Cheolyeong-Wi issue was conducted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oukichi Tsuda and Hiroshi Ikeuchi produced research findings that Cheolyeong, which could be said to be the border between Goryeo and Ming Dynasty, was in Liaodong, north of the Abrock River not Gangwon-do.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claim was made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after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Iwakichi Inaba and Yasukazu Suematsu took the lead in presenting the results of study dragging the Cheolyeong from north of the Abrock River to the south. Even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Occupation, Korean scholars took over Suematsu's arguments of during the late Japanese occupation. Even in the textbooks of almost all middle and high schools, they are the following the claim that 'Cheolyeong, which had been an issue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was in Gangwon-do'. Some Chinese is arguing that the Ming Dynasty set up Cheolyeong-Wi at the northern end of Gangwon-do. Therefore, correcting the Cheolyeong issue is an important and urgent task. 고려말 1387년 12월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명나라와 고려간에 철령을 경계로 할 것을 통고해 오고, 이듬해 3월 철령위가 설치되었는데, 그 철령은 강원도 북단의 철령이 아니라 요동의 철령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조선후기 한진서, 정약용등 실학자의 연구에 의하여도 고려말에 분쟁의 대상이 된 철령은 강원도 철령이라는 인식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철령이 중국 요동에도 있었다는 사실은 분명히 했다. 철령위문제에 관한 근대적인 연구는 대일항쟁기 일본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쓰다 소우키치(津田左右吉),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대일항쟁기 초기 일본학자들은 『명실록』, 『명사』, 『요동지』 등 중국측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고려와 명나라와의 국경이었다고도 할 수 있는 철령이 강원도가 아닌 요동에 있었다는 연구성과를 내었다. 이러한 주장이 대일항쟁기에 일본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 후 조선사편수회가 발족되고 동 편수회의 수사관(修史官)인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스에마츠 야스카즈(末松保和)를 중심으로 압록강 이북의 철령을 압록강 이남으로 끌어내리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나바(稻葉)는 압록강 이남의 강계(江界)가 당시 문제가 된 철령이라고 주장하고, 조선사편수회 발간 『조선사』에서도 근거를 제시함이 없이 고려강역내(강계)이라고 기록하였으며, 스에마츠(末松)는 더 내려가서 강원도 북단의 철령이라고 주장했다. 광복후에도 대일항쟁기 초기의 ‘철령위 요동설’이 아닌 말기의 ‘철령위 강원도설’을 이어 받아 오늘날 까지 이르고 있다. 거의 모든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조차도 ‘철령위 강원도설’을 따르고 있다. 중국측에서는 당시 명나라가 철령위를 강원도 북단에 설치했고 강원도 철령 이북땅은 명나라땅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철령위문제를 바로 잡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