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을 중심으로

        이건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1980년 3월 차인현 신부가 주축이 되어 62명의 가톨릭 교회음악인들이 명동 사도회관 1층, 7평의 사무실에 모여 「가톨릭 음악인 협의회」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곧바로 이듬해(1981년 1월 1일) 종교음악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교회음악가 양성에 들어갔다. 이후 10여 년의 활동과정을 거쳐 1993년 11월 14일, 마침내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전문연주홀을 갖춘 가톨릭음악원으로 거듭났다. 이로부터 정확히 10년 뒤 2003년 3월 교육부 인가를 받아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으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 논문은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기 시작한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것이다. 특별히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발전을 위해서 견인차 역할을 해온 교회음악가의 여러 대내외적 학술, 교육, 연주 활동들을 토착화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이들 교회음악가의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알아보고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정체성 발현의 과정인 토착화는 결국 서로 다른 두 문화의 깊이 있는 연구와 이를 통한 상호 간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서 이행되는 것이다. 때로는 한발 물러서서 양보하고 때로는 한발 앞서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이상적인 융합과정은 성음악을 한층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교회음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In march 1980, 62 Catholic musicians gathered at the small office (only 23㎡) in Myeong-dong. The following year, they established the religious music institute (January 1, 1981) to foster Catholic musicians. After more than a decade of activities, the Catholic music institute has finally become the first Catholic Music Center in Korea to have a concert hall. Ten years la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pproved the Center and it opened as the curr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chool of Music. This paper is about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that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1965. In particular,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composing activities of church musicians wh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Graduate School of Church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We will also discuss church musicians' opinions and claim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Discuss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urch music inculturation. Church musicians have made many musical attempts to make Korean Gregorian chants, and For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it performed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composed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Five church musicians gave different opinion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Korea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vergence methodology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cultura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identity, i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wo different cultures,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e ideal inculturation process of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will not only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but als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가톨릭 전례와 개신교 예배 안에서의 오르간 역할 비교 연구 : 개신교 예배 안에서 오르간 역할의 활성화 방안

        유은정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기독교에서 예식이란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한 인간의 응답으로,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섭리와 뜻을 발견하고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공동체 행위로서의 공식적인 의식이다. 그런 행위를 가톨릭에서는 전례라고 정의하고 개신교에서는 예배라 정의한다. 전례와 예배를 거룩하고 엄숙하게 만드는 음악의 중심에는 오랜 역사와 함께 오르간이 존재했다. 기원전 246년에 알렉산드리아의 크테시비우스가 오르간을 발명한 이후 세월을 거치면서 개량되고 발전되다가 로마에 전해져 부유층의 향유품으로 자리잡았고, 8세기에 서방세계에 소개되었다.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이 직접 오르간 제작에 참여함으로 11세기 수도원의 교회로 도입되어 13세기에 이르러서 유럽의 각 교회에 도입되고 대형화 되었다. 오르간이 서서히 전례 악기로 인정되면서 15세기에는 오르간의 발전과 보급으로 오르간 황금시대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6세기 종교개혁으로 인한 개신교의 탄생으로 위기를 맞기도 했던 오르간은 종교개혁 지도자들 사이에서도 오르간 사용에 대한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종교개혁 이후 가톨릭교회는 전례음악과 악기에 대한 재정비와 정리를 통한 반종교개혁을 전개함으로 오르간도 세속악기와 구별된 전례악기로서 여러 문헌을 통해 존중받고 장려 받으며 전례 안에서 발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가톨릭의 파리에 뮈텔 신부가 보내준 오르간이 1890년에 최초로 들어왔고, 개신교는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1882년에 들어왔다. 그리고 개신교에서는 최초로 1918년 정동제일교회에, 가톨릭에서는 최초로 1924년 명동성당에 각각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00여개의 파이프 오르간이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사용되고 있고, 그 수는 개신교가 가톨릭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개신교에서는 소위 열린 예배와 같이 시대와 문화 및 상황에 맞게 예배를 새롭게 재구성하려는 움직임으로 인하여 교회의 전통적인 예배 악기인 오르간의 영역이 전자악기와 타악기 등에 밀려 축소되고 있다. 이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공식적인 교회의 문헌을 통하여 오르간을 존중하고 오르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면서 사제와 성음악 관계자들을 교육시키는 바, 정형화된 전례 안에서 전례악기로서의 임무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로 인한 결과 중 하나로 매주일 전례 안에서 성찬이 행해지는 동안 그날 전례의 성격과 색채를 드러내는 오르간 역할로 성찬에 합당한 적절한 선곡이 있었다. 개신교에서는 여러 가지 신학적 이유로 자주 행해지지 않는 성찬식이 오르가니스트의 개인적 취향에 인한 선곡으로 성찬식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개신교 성찬식에 사용될 수 있는 바흐의 코랄 등과 같은 전례에 적합한 오르간 곡을 발굴하고 보급하여 개신교 교회력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오르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신교 예배 안에서 오르간의 활성화 방안으로 오르가니스트의 재교육과 오르간위원회의 구성, 오르간 연주회를 통한 교회내 오르간음악의 발전, 그리고 무엇보다 목회자의 오르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시급하다. 아울러 예배 안에서 그 날의 성경 본문과 설교에 맞는 오르간 독주를 장려함으로써 예배를 좀 더 거룩하게 하는데 오르간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간호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모형에 기반한-

        김효정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간호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모형에 기반한- 간호학과 김 효 정 지도교수 이 지 원 진로적응성은 직업환경에 대해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도이며, 이는 장 기적으로는 직업정체감이나 직업만족도를 증가시킨다.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역 량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본 연 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의 개발은 진로구성주의 이론(Savickas, 1997)의 진로 적응모형(Savickas et al., 2012)에서 적응준비와 적응자원의 구성요소에 대한 주제로 핵심자기평가와 성격특성은 자기탐색, 관심은 진로방향학습, 통제는 의 사결정훈련, 호기심은 정보탐색활동, 자신감은 자아존중감확립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문헌분석과 요구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 문가 내용타당도검증과 예비실행 후 프로그램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B광역시 2개 대학교의 2학년 간호대학생 45명(실 험군 23명,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6일부터 8월 11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실행은 실험군에게는 총 6주간 주 2회로 총 12회기로 적용하였고, 대조군에게는 대학교에서 개설되어있는 진로프로그램에 자율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고, 추후조사 종료 후 프로그램 워크북을 제공하였다. 효과검증 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사전조사, 사후조사 및 추후조사로 총 3회이였으 며, 효과변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이었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질성검증은 χ2-test, independent t-test, 정규 성검증은 Shapiro-Wilk test, 가설검증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 다. 본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인 ‘간호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 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용 (F=6.92, p=.002)이 있어 가설 1은 지지되었다. Ÿ 부가설 1-1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평가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용 (F=6.74, p<.001)이 있어 부가설 1-1은 지지되었다. Ÿ 부가설 1-2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직업정보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용 (F=6.74, p<.001)이 있어 부가설 1-2는 지지되었다. Ÿ 부가설 1-3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목표선택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용 (F=7.35, p=.001)이 있어 부가설 1-3은 지지되었다. Ÿ 부가설 1-4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미래계획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용 (F=3.15, p=.048)이 있어 부가설 1-4는 지지되었다. Ÿ 부가설 1-5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문제해결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용 (F=3.48, p=.035)이 있어 부가설 1-5는 지지되었다. (2) 가설 2인 ‘간호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 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진로준비행동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용(F=3.48, p=.035)이 있어 가설 2는 지지되었다. Ÿ 부가설 2-1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정보수집활동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작 용(F=3.38, p=.038)이 있어 부가설 2-1은 지지되었다. Ÿ 부가설 2-2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구구비활동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 작용(F=2.12, p=.127)이 없어 부가설 2-2는 기각되었다. Ÿ 부가설 2-3인 ‘실험군과 대조군의 목표달성활동의 정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 집단과 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호 작용(F=6.51, p=.002)이 있어 부가설 2-3은 지지되었다. 이상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간호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인 적응 준비(자기평가)와 적응자원(진로방향학습, 의사결정훈련, 정보탐색활동, 자아존 중감확립)에 대한 실행을 통해 적응반응(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 모형을 기반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으로 간호대학생의 체계적인 진로준비를 통하 여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 다.

      • 4년제 대학의 조리외식경영학과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 및 교육기관 학과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개 요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의 조리외식 관련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을 어떻게 운영하여야 대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가 조리외식경영학과의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리외식 경영 관련 인재를 양성하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4년제 대학에서는 보다 우수한 수업 경영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알아보고 양질의 조리교육과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을 도입하였다. 학과의 지속적 발전을 지향하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수업 전략을 논리적 근거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에서 수강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54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프로그램 . 교수전문성 · 교육시설· 행정서비스 등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영향관계에서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다.’,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이 학과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등을 다중회귀 분석을 통하여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첫째,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둘째, 대학생들과의 원활한 조리교육의 소통에 관한 자료를 제시한다. 셋째, 조리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학습만족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한 후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활용한다면 본 연구가 추후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한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교육프로그램과 교육시설에 대한 영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교육프로그램을 좀 더 신중하게 구성하고 교육시설을 개선할 필요성이 확인 되었다.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행정서비스와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과 행정서비스의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만족의 요인은 모두 중요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시에 대학생이 느끼는 학습만족이 중요하다는 것이 다시 한 번 검증되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2년제 대학과 조리 관련 학원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로 제시할 수 있는 폭 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대학생과 청소년의 혼합정서 경험과 의미 만들기에 따른 심리적응

        이유진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icient ways to deal with mixed emotions through exploring variables related to mixed emotion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primary aim was to verify the mixed emotional situations. The study also focused on how meaning-making predicts psychological adjustment when feeling mixed emotions. Lastly, the study compared mixed emotional experiences and meaning-making between undergraduates and adolescents. This study was comprised of three parts. The first study included comparison of mixed emotions and single emotions to examine whether meaning-making was observed in mixed emotional situations. In the first study, eight people were interviewed and using the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ponses were analyzed and grouped into 6 categories and then sub-divided into 32 categories. In detail, situations were identified in which interviewees experienced mixed emotions,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ingle and mixed emotions, meaning-making was observed after feeling mixed emotions, and mixed emotional experiences and meaning-making became more frequent among the higher age group. The second of the study looked at positive emotions (happiness, relief, hope and pride) and negative emotions (sadness, uncertainty, anger, guilt and regret) felt by 1,074 people (teenagers: 608, college students: 463) in four different situations: 1) I got accepted by scoring higher than my frien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ii) I did not do well in the mathematics competition but my sister/brother won first place; iii) My grandmother passed away after a long illness; and iv) I got accepted by an American college and to move there next month to fulfill my dream. Positive emotions were observed in all situations except for the third situation. Also, emotional groups were divided by situation and found that mixed emotions were frequently felt in the second and fourth situations. In addition, mixed emotions were more frequently felt among undergraduates than adolescents. The aim of third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eaning-making when experiencing mixed emotions could predict psychological adjustment. centering on situation ii) and iv). Firstly, it was exlo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ixed emotion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study predicte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hen experiencing negative and mixed emotions as it increases psychological symptoms and problematic behaviors(v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However, hostility, fear and anxiety or delinquency and somatization were significantly observed specially when feeling negative emotions. The meaning-making process when experiencing positive and mixed emotions predicted chang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but not as much when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cond of the study looked at positive emotions (happiness, relief, hope and pride) and negative emotions (sadness, uncertainty, anger, guilt and regret) felt by 1,074 people (teenagers: 608, college students: 463) in four different situations: 1) I got accepted by scoring higher than my frien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ii) I did not do well in the mathematics competition but my sister/brother won first place; iii) My grandmother passed away after a long illness; and iv) I got accepted by an American college and to move there next month to fulfill my dream. Positive emotions were observed in all situations except for the third situation. Also, emotional groups were divided by situation and found that mixed emotions were frequently felt in the second and fourth situations. In addition, mixed emotions were more frequently felt among undergraduates than adolescents. The aim of third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eaning-making when experiencing mixed emotions could predict psychological adjustment.centering on situation ii) and iv). Firstly, it was exlo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ixed emotion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study predicte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hen experiencing negative and mixed emotions as it increases psychological symptoms and problematic behaviors(v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However, hostility, fear and anxiety or delinquency and somatization were significantly observed specially when feeling negative emotions. The meaning-making process when experiencing positive and mixed emotions predicted chang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but not as much when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정서 경험과 심리적응에 관련되는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해, 혼합정서 효과를 확인할 뿐 아니라고 혼합정서를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식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 번째, 혼합정서가 경험되는 상황을 탐색하고, 상황에 따라 혼합정서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혼합정서 경험을 할 때 의미 만들기가 심리적응을 예언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과 대학생의 혼합정서 경험 및 의미 만들기 등을 비교해, 발달적 시기에 따른 변화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모두 세 개로 구성되어 있고, 첫 번째 연구에서는 면접조사 방식으로 단일정서와 혼합정서의 차이점 및 혼합정서 경험 후 의미 만들기 과정이 활성화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부터는 설문조사 방식으로 혼합정서가 경험되는 상황을 검증하였고, 세 번째 연구에서는 혼합정서를 경험할 때 그 효과를 증진하는 인지적 기제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I에서는 8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CQR(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영역과 3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 혼합정서가 경험되는 상황 및 단일정서와 혼합정서의 차이점, 혼합정서를 경험한 후 의미 만들기 과정이 나타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혼합정서 경험과 의미 만들기의 빈도 및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II에서는 1074명(청소년 608명, 대학생 463명)을 대상으로 4가지 상황에서 경험하는 긍정(기쁨, 안도, 희망, 자부심)과 부정(슬픔, 불안, 분노, 죄책감, 후회)정서를 확인해 혼합정서가 경험되는 상황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상황2 ‘나는 수학경시에서 순위에 들지 못했지만 동생은 1등한 상황’과 상황4 ‘다음 달 꿈을 위해 유학을 떠나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다른 정서보다 혼합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III의 목적은 혼합정서 상황으로 확인된 상황2와 상황4를 중심으로 혼합정서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증진하는 방식을 확인하는데 있다. 먼저 혼합정서 경험과 심리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혼합정서를 경험할 때 의미 만들기가 심리적응을 예언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때 대학생의 심리적응은 간이심리증상 척도(The Brief Symptom Inventory)로 청소년의 심리적응은 한국판 자기문제행동 척도(Korean Youth Self Report)로 측정하였고, 의미 만들기는 의미 만들기 척도(Meaning Making Scale)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정과 혼합정서를 경험할 때는 전반적인 심리증상 및 문제행동들이 증가해 혼합정서 경험과 심리부적응 간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혼합정서 경험은 의미 만들기를 거칠 때 그 효과가 매우 달라졌는데, 혼합과 긍정정서를 경험할 때는 의미 만들기가 심리적응을 잘 예언하지만 부정정서를 경험할 때는 의미 만들기가 심리적응을 거의 예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라 혼합정서를 경험할 때 의미 만들기가 심리적응을 예언하는 정도가 달랐으며, 대학생들은 혼합과 긍정정서를 경험할 때 동일하게 의미 만들기가 심리적응을 예언하였으나, 청소년들이 혼합정서를 경험할 때 의미 만들기가 심리적응을 더 많이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상담 누적시간, 수퍼비전 누적시간이 진로걱정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정미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umulative counseling hours and cumulative supervision hours on career worries, and identify the role of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counseling hours or the cumulative supervision hours and career worries among graduate students majored in counseling. For thi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hrough visit, post and on-line targeting 250 students in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majored in counseling, and 232 copies among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material analysis. The analytic results of conducting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mulative counseling hour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career worries. Second, the cumulative supervision hour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career worrie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which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has up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mulative counseling hours and career worries was significan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which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has up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mulative supervision hours and career worries was not in all significant, but in the 'counseling challenges self-efficacy'(perceived coping capabilities in challenges or threats) among its 3 subordinated factors. This study was the significance as it focused on examining career worries applying to students in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majored in counseling.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added to the counseling and supervision experience to lesson career worries.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을 전공으로 하는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상담 누적시간과 수퍼비전 누적시간이 진로걱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상담 누적시간과 진로걱정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인가? 둘째,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수퍼비전 누적시간과 진로걱정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상담 전공 특수대학원 재학생 232명의 설문 자료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 누적시간과 수퍼비전 누적시간은 진로걱정에 각각의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 세 요인 각각은 상담 누적시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걱정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상담난제 자기효능감 만이 수퍼비전 누적시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걱정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을 전공하는 특수대학원 재학생들의 진로걱정을 연구했다는 점과 상담과 수퍼비전의 경험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걱정을 낮추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언급하였다. 주요어: 상담, 수퍼비전,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 진로걱정

      • 음성음향학에 근거한 성악 발성 교수법에 관한 연구 : 가톨릭교회 합창 음악에 대한 적용

        류성룡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ABSTRACT A good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vocal pedagogy is essential not only for singers and vocal teachers, but also for choral music conductor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ocal part of the choir and apply the appropriate vocal strategy to the choral music. Compared to experience-based teaching methods, studies of vocal acoustics present a new systematic perspective on vocal resonance strategies for men and women.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how resonance strategies for men and women should vary according to vowels and pitches using the latest research in vocal acoustics and absolute spectral tone color (ASTC) theory and present appropriate training methods. In register-mixing theory, the transition of the vocal register is mainly due to changes in the vocal folds vibration mode, therefore the vocal folds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itch to facilitate the smooth register transition. On the other hand, in acoustic vocal register theory based on vocal acoustics, appropriate resonance strategies are main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formant of the vocal track resonance of given vowel and the harmonics of vocal folds vibration, and depend on the vowel, pitch, and male or female voices. Therefore, for the efficient resonance of the singing voice, the adjustment of the vocal track resonance, which systematically vary with pitch and vowel,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control of the vibration mode of the vocal folds. Acoustic resonance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both solo singers and choir singers. The blending of voices is very important in choir. We have discussed resonance strategies and the unification of vowels and tone colors, and described various other strategies to blend voices. Beginning from a motet of Catholic church in Renaissance period to a modern mass, we have suggested appropriate resonance strategies to each voice part for the give choral music as examples. In most vocal pedagogy literature, the concept of acoustic vocal register based on vocal acoustics introduced in this thesis and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active vowel modification and passive vowel migration for each vowel and pitch are often not considered. We believe that combining the results of vocal acoustics research with existing vocal practice methods will give better achievements in choral music in church choirs. Keywords: Choral music in Catholic Church, Vocal acoustics, Vocal pedagogy, Vocal register transition, Acoustic vocal register, Vowel turn over, Formant tuning, Vocal track resonance 논문개요(초록) 성악 발성법을 잘 이해하는 것은 독창자나 성악 교사에게 뿐만 아니라 성가대 지휘자를 포함한 합창 지휘자에게도 필수적이다. 합창을 구성하는 남성과 여성의 각 성부의 특성을 이해하고 부르는 노래에 맞는 발성을 합창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경험에 근거한 교육법에 비하여 성악 공명에 대한 음성음향학적인 연구는 남성과 여성의 공명 전략에 대하여 새로운 체계적인 관점을 제시해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음향학과 소리 스펙트럼의 절대 색상 이론의 최신의 연구 성과를 이용하여 모음에 따라 그리고 음높이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공명 전략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를 조사하고 적절한 연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혼합성구 이론에서 성구의 전이는 주로 성대의 진동 모드의 변화에 기인하므로 성구 전이를 원만하게 하려면 음높이에 따라 성대를 잘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음성음향학에 기초한 음향성구 이론에서 적절한 공명 전략은 주로 모음의 첫 번째 포먼트와 성대 진동의 배음 사이의 상호 작용에 관련되며 모음과 음높이 그리고 남성과 여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목소리의 효율적인 공명을 위해서는 성대의 진동 모드의 조절보다는 음높이와 모음에 따라 체계적으로 변화하는 성도(소리길)의 조절이 훨씬 중요하다. 음향학적인 공명 전략은 독창이나 합창을 가리지 않고 모두 적용이 가능하지만 합창에서 특별히 필요한 요소는 합창에서 목소리의 혼합(blending)일 것이다. 먼저 공명 전략과 모음과 음색의 통일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목소리의 혼합을 위한 그 밖의 다양한 전략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시대적으로 르네상스 시대의 가톨릭 교회음악인 무반주 합창곡부터 시작하여 현대의 미사곡까지 각 성부에 따른 공명 전략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여러 성악 발성 문헌들의 경우에는 이 논문에서 소개한 음성음향학적인 원리에 근거한 음향 성구의 개념과 모음과 음높이에 따른 모음 변형에 대한 최신의 연구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기존의 발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연습 방법에 음성 음향학적인 연구 성과를 접목하면 성가대에서 전례음악을 연주하는 데에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한국 가톨릭성가집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이은진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천주교회는 2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985년 통일 성가집을 발간하였으며, 큰 수정 없이 20여년이 넘는 긴 시간동안 미사전례 및 기타 신심행위에 이 성가집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톨릭성가」가 갖는 의미만큼이나 비판과 수정에 대한 요구를 받아온 것이 사실이며, 실제로도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미사통상문의 개정과 시편의 수정 및 ‘야훼’라는 표현을 금하라는 사도좌의 지침 등으로 인해 가사수정이 요구되고, 그 동안 작곡된 새로운 성가에 대한 첨부와 부족한 전례 성가의 필요성 등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2006년 성음악분과위원회가 출범하여 사실상 이 문제를 인정하고 ‘새 회중용 전례 성가집(가칭)’ 발간을 위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톨릭성가」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하여 성가의 ‘제목(한글, 라틴어), 성경 색인, 시기, 출처(역사, 작사, 작곡, 편곡자명 및 국적), 조성(장․단조), 박자, 빠르기, 마디형식, 절수, 음역(최고음, 최저음), 마디 수, 기타(낭송음, 후렴구 등의 여부) 등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 化) 하여 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록곡 선정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는 성가의 재분류와 부족한 미사전례 성가의 확보 및 작․편곡의 편중화를 방지하기 위한 작․편곡가의 후원과 양성, 토착화된 성가의 작곡 및 대중화 등이 필요하다. 둘째, 악보 편집상에 나타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출처 및 저작권의 명확한 표기가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의 차례(목차)의 수정을 통해 신자들의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기타 악보 상에 나타난 문제에 대해서는 올바른 번역과 우리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사와 곡조의 조화로운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사 철자나 코드(chord)표기 등 소소한 부분들 까지도 세밀히 살펴 오류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추후 ‘새 회중용 전례 성가집(가칭)’간행된다 하더라도 그때까지는 현재 보급되어 있는 「가톨릭성가」를 사용해야 하므로, 계속해서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하기 위한 집단을 구성하고 이 모임을 정기적으로 마련하여 새로 발견된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새 회중용 전례 성가집’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철저한 검증작업을 거쳐 탄생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성가집 간행을 위한 기준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Korean Catholic Church published unified hymnal in 1985 as part of its 200th anniversary commemorative project, and this hymnal has been used for Mass and other pious deeds for a long period of time over 20 years without major revision. However the ‘Catholic Hymnal’ has received as much criticism and demand for revision as it is meaningful, and actually its problems are being revealed. The revision of the lyrics has been demanded due to the revision of Mass ordinary and the Psalm and the guidelines of the Vatican Palace prohibiting the expression of ‘Yahweh’, and the need to add newly composed hymn and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Liturgical hymn has been demanded.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a sacred song subcommittee was established in 2006 and these problems were virtually recognized, and full-fledged activities to publish ‘New Mass hymnal for Church Members (tentatively named)’ began. In order to analyze current conditions of ‘Catholic Hymn’ and identify problems, the data such as hymn titles (Korean, Latin), the Bible index, age, sources (history, the lyrics, names of composers and arrangers and their nationalities), key (major, minor), rhythm, tempo, measure, verses, range (highest note, lowest note), number of bars, and others (recitation sound, refrain) have been held on a databa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solve the problems in selecting the songs to be included, reclassification of hymns, securing inadequate Mass hymns, fostering composers and arrangers to preven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nd expansion and popularization of indigenized hymns are needed. Second, to solve the problems with editing musical books, sources and copyrights should be clearly specified, and the current contents should be revised for the convenience of regular churchgoers. Third, with regard to the problems of the scores, the lyrics and melodies should be harmoniously connected through proper transl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errors in such minor things as spelling of the lyrics and chord need to be corrected. Until the ‘New Mass hymnal for Church Members’ has been published, the currently propagated ‘Catholic Hymnal’ has to be used, therefore an organization to continuously identify and revise these problems should be established, and regular meetings should be held to fix the newly identified problems. Accordingly, the ‘New Mass hymnal for Church Members’ should be born after going through thorough verification work so that the same mistakes should not be repeated. I hope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preparing the criteria to publish a new hymnal.

      • 그리스도인 정체성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 제2차 바티칸 공의회「교회헌장」2장과 공의회 이후 교회문헌을 중심으로

        조한규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무신론의 위협, 종교 다원주의의 혼란, 신앙에 대한 무관심이 팽배해 있는 오늘날에 그리스도교의 가치관에 따라 살아가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다. 과학과 인간이성이 중심이 된 현대 산업사회에서 교회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복음 선포는 더욱 어려워졌다. 그러나 한편으로 현대인의 종교에 대한 갈망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과학과 문명이 발달하면 인간은 행복해질 것이라고 믿었는데, 사회가 산업화되고 대형화되어 갈수록 개인은 더욱 소외되고 있다. 인간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인들은 뉴에이지 운동이나 일부 정신세계운동(명상, 요가 등)에 심취해 보지만, 이 운동들은 패스트푸드처럼 일순간의 편리함과 쾌락을 가져다줄 뿐 근원적인 갈증을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과학과 문명이 발달한 오늘날의 사람들 역시 근원적인 물음에 목말라하고 있고, 참된 진리를 간절하게 찾고 있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의 참된 구원을 바라시는 하느님의 뜻을 제대로 전할 수 만 있다면, 오히려 지금 이 시대가 가장 복음적인 시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간단해 보이지 않는다. 현대세계의 이 위기상황을 복음선포의 좋은 기회로 전환시키기에는 우리 그리스도인의 역량이 부족한 듯 보인다. 그리스도교의 진리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조차 분명하게 다가오지 않고 있으며,‘대조사회’로서의 교회 모습이나 복음의 가치를 세상에 증거해야 할 그리스도인들도 복잡하고 혼란한 세상의 영향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실 가장 절실한 문제는 교회 외부의 도전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올바르게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감을 갖는 것이다. 성서와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그리스도인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따르는 삶을 사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늘날‘믿는다’는 것과‘따른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 개념과 실천은 모호하게 느껴지고 있고, 그리스도인들에게 조차 교회의 가르침보다는 세속사회의 변화와 흐름이 더 깊게 영향을 주고 있다. 지금 절실한 것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그리스도인을 그리스도인답게 해주는 기준과 조건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출 수 있는가? 우선‘그리스도인’이라는 말은 신약성서에 3번 밖에 나오지 않고(사도 11,26;26,28;1베드 4,16), 이 단어가 2세기 초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에 의해 교회에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전까지는 비슷한 의미로‘제자들’,‘하느님의 자녀’,‘하느님 백성’등의 단어가 사용되었다. 초기 교회 공동체의 신자들은 세례를 통해 공동체에 속하여‘서로 함께’사도들의 가르침을 듣고 친교를 나누며 빵을 떼고 공동으로 재산을 소유하였는데(참조: 사도 2,42~47), 이는 그리스도인들이 교회 공동체 안에서 공동으로 신앙을 고백하고, 교회의 성사를 통해 은총을 전달 받으며, 공동으로 신앙을 증거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단과의 투쟁, 계속되는 박해 과정을 거치면서 초기 교회 공동체는 교회일치와 정통 신앙을 존속시키기 위해 교계제도를 강화하고 정통신앙을 정립해가면서 스스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그리고 하느님 말씀을 따르고자 세속의 사람들과는 분명히 대조되는 철저한 삶을 살며 자신들의 신앙과 정체성을 지켜가고자 힘썼다. 그러나 대규모 박해가 지나간 후 그리스도교는 국가의 공인을 받게 되었고, 이후 많은 특권을 누리게 되었으며,‘대조사회’로서 교회의 모습도 희미해져 갔다. 그리스도교가 급속히 확산되어 신자들이 늘어나고, 교회 안에는 세례의 유효성이나 성사의 사효성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체적으로 정체성이 해이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회는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교의 교의를 분명하게 정립하려고 노력했고,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세속화된 교회에 대한 회의감을 극복하고, 그리스도교의 완덕을 추구하고자 성인공경과 수도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중세시대에는 거의 모든 사람이 그리스도인이었기 때문에, 세례를 받고 교회에 속해 있다는 단순한 사실로 자신이 지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교회는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교 신앙을 좀 더 개념적으로 분명히 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생활적인 측면에서 신자들은 본격적으로 수도생활에 참여하여 그리스도 신앙을 증거하고자 하였다.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으로 그리스도교 전체는 극심한 혼란을 겪게 되어 신앙의 기반이 흔들렸고, 그리스도교는 분열되었다. 교회의 분열 이후 서로에 대한 반감으로 적대시하였고, 가톨릭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통해 가톨릭교회의 신앙교리를 재정비하였다. 특히 벨라르미노는 종교개혁가들이 반대하던 가톨릭교회의 제도와 신학을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참된 그리스도인의 기준은 첫째 그리스도 신앙교리를 고백하고, 둘째 합당한 성사를 받으며, 셋째 합법적으로 위임된 목자들과 결합된 사람들이기에, 그는 로마 가톨릭 신자들만이 '참으로' 교회 신비체의 지체라고 하였다. 벨라르미노가 제시한 그리스도인의 기준은 종교개혁이라는 혼란의 와중에서 개신교의 논리를 배격하고, 무엇보다도 가톨릭 신자들에게 분명한 정체성을 제공하기위해 주장된 것이다. 이 기준에 따라 가톨릭교회 안에서 개신교 신자들은 참된 그리스도인의 기준에서 제외되었고, 이후 가톨릭교회의 공식 입장이 되었으며, 이 기준은 1943년 교황 비오 12세의 회칙「그리스도의 신비체」(Mystici Corporis)에도 반영되었다. 이처럼 참된 그리스도인을 가톨릭 신자들로 규정한 교회의 입장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계속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회를 성서적 개념인‘하느님 백성’으로 이해하였고, 이 하느님 백성을 그리스도인이라고 규정하였다. 공의회는「교회헌장」에서 신앙고백과 성사, 교회조직과 일치된 가톨릭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교회와 온전히 결합되어 있다고 하였고, 동시에 내적인 자세, 즉 교회 안에‘마음’으로도 머물러서 그리스도와 일치해야 됨을 강조하고 있다.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교회가 제시한 기준을 갖추고, 예수 그리스도를 온전히 믿고 따르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공의회는 비가톨릭 그리스도인들도 하느님 백성에 포함시키면서 이들 역시 포괄적인 의미의 그리스도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신앙인과 세례 받은 모든 사람을‘영적 인간’이라고 일컫는(1베드 2,5) 신약성서의 본래 의미를 되살려내어 비가톨릭 그리스도인들도‘완전한 신앙을 고백하지 않거나 베드로의 후계자 안에서 친교의 일치를 보존하지는 못하지만’, 그리스도의 교회는‘여러 가지 이유로’이들과도‘결합되어’있다고 말한다. 더 나아가 공의회는 아직 세례를 받지 않은 비그리스도인들까지도 예비적 그리스도인 내지 넓은 의미의 하느님 백성으로 이해하면서, 이들도 역시 하느님 백성과‘관련되어’있다고 천명하였다. 그리스도인의 조건과 기준에 관한 공의회의 규정은 공의회 이후에도 교회의 공식적인 문헌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공의회가 천명한 바와 같이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교회가 규정하는 외적 기준과 조건을 갖추는 것은 물론이고, 예수 그리스도를 온전히 믿고 따라야 한다. 예수께서는 당신을 믿고 따르고자 하는 제자들에게“자신을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마르 8,34) 따를 것을 요구하였다. 십자가는 죽음을 상징하는 것이므로, 예수를 따른다는 것은 자기의 목숨을 내놓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므로 예수의 제자가 된다는 것은 수난과 죽음까지도 감내하며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가는 고난의 삶, 숭고한 삶을 의미한다. 예수의 제자가 된다는 것은 예수를 대신해서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는 것이기에, 예수를 믿고 따르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처럼 고난과 죽음을 각오하는 철저한 삶의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처럼 예수를 믿고 따른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리스도인의 존재이유가 바로 그리스도 때문이고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예수의 부름을 받은 것이기에,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제자가 되어 하느님 나라 선포에 나름대로 참여해야 한다. 그리스도인이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 즉 그리스도인의 참된 정체성은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사람이 되는 것이고, 예수 그리스도처럼 자기의 십자가를 지고 하느님과 인간을 사랑하며 사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형성과 유지를 위해서 중요한 또 한 가지 사실은 예수를 믿고 따르는 것은 한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언제나 공동체적인 특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예수는 열 두 제자들을 불러서 하느님의 새 백성을 구성했고, 최후의 만찬에서는 이 제자 공동체의 일치를 위해 기도하였다(요한 17,22). 또한 초기 교회 공동체의 신자들이‘서로 함께’기도하고 생활하면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했던 것처럼, 그리스도인은 교회 공동체 안에서 공동으로 신앙을 고백하고, 교회의 성사를 통해 은총을 전달 받으며, 공동으로 신앙을 증거함으로써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은 하느님 백성인 교회 공동체를 통해 분명해지는 것이기에 그리스도인다운 그리스도인은 항상 교회적인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한다. 동시에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인 교회 공동체 역시 세속사회와는 다른‘대조사회’로서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고 유일한 구세주인 그리스도를 증거하며 구원을 위한 보편적인 성사가 되어야 한다. 세상 안에서 하느님을 증거하고 만인에게 구원을 전달하기 위해서, 대조사회로서의 교회는 세상을 따라 변해서는 안 되고, 언제나 교회 본연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 Today, it gets too hard to live with christianism, in the context of overflowing threats of atheism, confusion owing to the Religious-Pluralism and the indifference toward belief. Influence of the church on the secular society is relatively on the decrease, and preaching the Gospel gets more difficult in this modern industrial society which is concentrating on the science and the human-rationality. But on the other hand, a thirst for religion of modern people seems to increase more and more. They believed that man could be happy if the science and the civilization were advanced, but in fact an individual person isolated more and more in the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society. To overcome that isolation, they tend to admire New-Age movement or some spiritual life(ex. meditation, yoga etc.), but these movements, resulting in an instant convenience or pleasure just like a fast food, cannot resolve a fundamental thirst. Radically modern people long for fundamental questions, seek after faithfully truth. Therefore, if we can deliver the God's will which is the salvation of all mankind to modern people successfully, these days are the best time for evangelization. But the real world seems not so simple. The power of our christians doesn't seem to be sufficient enough for converting this crisis into the opportunity of evangelization. Truth of christianism seems to be ambiguous even for christians themselves, and a identity of church as 'Contra-Society' or christian-life, for being evidence of the worth of gospel to the world, doesn't ye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secularization. Surely, the most important matter is not the challenges or difficulties from outside, but how to settle our christian identity. According to the Bible and the teaching of the church, "christian" means a man who believe and follow Jesus as Christ. But it seems to be so ambiguous what 'Believe' and 'Follow' really means in these days, and even to the christians the social changes and the secularism gets more and more powerful effect than the teaching of church. So we christians need nothing but becoming faithfully christian. Then, we have to ask ourselves this question; What are the criteria and conditions which make christiana real christian, or how can a man get the identity as a christian. Who on earth is a christian? “christian" has been used only 3-times in the new testament(Act 11,26;26,28;1Pet 4,16). This expression has been used meaning "Disciples", "Children of God" or "People of God", before publicly accepted by Ignatius of Antioch to the church in the beginning of 2nd century. The christian in the new testament means people who believe and follow Christ in a community sharing the same baptism. People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ies devoted themselves to the teaching of the apostles and to the communal life, to the breaking of the bread and to the prayers. This shows that they confirmed their identity through confessing their faith together in the church community, receiving the grace through the sacraments of the church, and testimonying their faith together. They formed their identities as christians to keep the traditional faith and to unite the church in the strife with the heresies and the successive persecutions. They tried to keep their faith and identity by living severe lives which are contrasted to those earthly lives of secular people. The christian church has been authorized by the Roman-Empire after the grand-scale persecution time. On account of that authorization the church enjoyed an exclusive prerogative, and it resulted in an ambiguous attitude toward "Contra-Society". Christians could not simply confirm their identity from the baptism, for almost all people in the middle-age were christians. That's why the church tried to define their faith conceptually through the Councils, and to testimony christian faith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religious life. With the Reformation of Lurthur, the whole church come to be split into different communities being plunged into the chaos. Those different communities became hostile to each other, and catholic church rearranged their faith through the council of Trent. Especially Bellarmin defended the system and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against the Reformists. According to Bellarmin, the criteria to be the true christian are confessing the christianity first of all, and receiving proper sacrament secondly, and thirdly, being united with the pastors who got a lawful commission. That's why, he emphasized that the Roman catholic is "truly" the only community which contains true members of the mystical body of Christ. The real intention of his presenting those criteria is rejecting the logic of the Reformists, and offering catholic christians. Following these criteria, Protestants were excluded from the boundary of "the true christians". These criteria were also accepted by the Pope Pius 12th in his encyclical "Mystici Corporis"(1943). Similar tendencies were kept until the Vatican council Ⅱ. The Vatican council Ⅱ understands "christians" as "People of God", which is the biblical notion. The council says that the catholic christian are united with the church of Christ by confessing the same faith, by participating in the sacraments, and by accepting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This council emphasizes that they have to be united with Christ within their hearts through the church life. Those who want to be true christians should fulfill the criteria which the catholic church presents, and believe and follow the Jesus Christ. At the same time, the Council defines the non-christians as christians in the comprehensively meaning, including in the community of the "People of God". Even people who do not yet receive the baptism are included in the "People of God". The regulations of the council on the qualifications of the christian are continuously confirmed through the public documents of the church after that Council. To be a christian, one should fulfill the conditions and qualifications in the regulations of the church and should believe and follow Jesus Christ. Jesus said to his disciples that "forget yourself, carry your cross and follow me"(Mk 8,34). The meaning of the cross is death, and that's why the meaning of the following Jesus is offering one's life. To be the disciple of Jesus is to proclaim the gospel, to request attitude of life which can offer to suffer and likewise. It's not easy to follow Jesus, however, the reason of the existence of the christian is because of Jesus, to be a christian is to receive the vocation from Jesus. That's why all christians have to proclaim the gospel as disciples of Jesus. The true identity of the christian is to be like Jesus Christ who loved God and human-beings all together. The other very important point of being a christian is that following Jesus Christ has not only individual dimensions but also social dimensions. Jesus consisted new People of God by calling 12 disciples, and prayed for the unity of Disciples in the last suffer(Jh 17,22). And just like the early church community who confirmed her identity as "the christian" by living and praying together, the modern christians confirm their identity by confessing the same faith together, by receiving the grace through the sacraments of the church, and by testimonying their faith together.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s completely fulfilled through the community life in the church who is the "People of God", and that's why christians have to be the ecclesial christians. At the same time, the christian community have to be the universal sacrament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testimony the Christ and proclaim the gospel, as a "Contra-Society" which always keeps the original state of the church. And she should not be changed depending the secular society to actualize the salvation of the mankind and to testimony Jesus to the world.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이정연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및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은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신뢰감이 각 변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이 진로적응력의 모든 하위요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은 높은 수준으로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 수행태도, 운명신념이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만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 관계에 성장마인드셋은 부분적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마인드셋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수행태도, 운명신념이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와 교육자를 포함한 기성세대는 자녀세대의 성장가능성을 제한하지 않아야 하며, 타고난 지능이나 재능을 우선시하기보다는 노력과 과정을 칭찬하는 방향으로의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진로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성장마인드셋 및 유능성 함양 프로그램과 부모수용 프로그램을 접목시킨 교육·상담·코칭프로그램의 연구개발 및 보급 활용을 위한 보다 활발한 논의와 실천적 방안이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