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球溫暖化에 關한 靑少年의 認知度 分析

        임만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논 문 개 요 지구온난화에 관한 인지도와 교육환경 등을 조사하여 이를 지구온난화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설문을 통해 직접 실시하였으며 2008년 8월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주최로 실시된 생명환경과학캠프 참가자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851명이 그 대상이었다. 설문을 통해 (1)교육환경 (2)잘못된 인식 (3)편향된 인식 등의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주요한 결과와 그 분석은 다음과 같았다. 교육환경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TV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습득 기회 및 영향력을 받는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책이나 영화 그리고 인터넷도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학교교육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낮게 나타났으며 수련활동이나 캠프를 통한 정보습득의 기회는 매우 적었다. 다른 공부에 대한 부담 때문에 지구온난화 프로그램에 참여에 소극적인 학생이 다수 있었다. 잘못된 인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오존층파괴를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알고 있는 학생이 상당히 많았으며 대기오염 물질과 온실가스를 동일 시 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온실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많았으나 실제로 정확히 알고 있는 학생은 적었다. 원자력과 수소를 재생에너지라고 응답한 학생이 비교적 많았다. 편향된 인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실제로 경험하기 어려운 빙하감소, 해수면상승, 이상기후 등에 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서식지 변화, 생산량 감소, 생태계혼란 등에 관한 인지도는 낮았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개인이나 가정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국제적 협력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다. 지구온난화로 경제가 어려워진다는 점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높았으나 친환경 산업이나 재생에너지 산업이 발달한다는 점 즉, 긍정적인 면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다.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첫째, 학교에서의 지구온난화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자료, 전문성 등 여러 선행조건들이 해결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구온난화를 테마로 하는 수련활동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한다. 둘째, 성층권 오존과 대류권 오존의 서로 다른 역할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환경문제의 역사성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지구온난화 교육은 태양과 지구의 에너지 수지를 이해하는데서 출발해야 하며 실생활에서 접하거나 관찰할 수 있는 나무, 토양, 물, 대기를 소재로 하는 지구온난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모의 당사국총회 등 국제적 감각을 배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산업과 기술의 미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영향은 강하고 다양하다. 청소년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면 지구온난화를 어떻게 교육해야하는가에 대하여 신중한 판단을 해야 한다. 지구온난화는 단순히 지구과학만을 가르치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에너지 절약만을 강조하기위한 도구도 아니다. 지구온난화는 자연과 인간의 교감과 상생을 대변하는 현상이며 사회의 새로운 질서를 요청하는 자연과학적이면서 철학적이며 정치경제적인 문제이며 사회적 합의와 국제적 협력의 문제이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는 삶의 테마이며 청소년 전인교육을 위한 소재로서 심도 있게 재조명되어야한다.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환경교육 효과 분석

        이창국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간이수질판정법을 학습하는 체험활동을 통해서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환경교육 활동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활용하고 있는 실태를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중학생들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간이수질판정법을 학습하는 체험학습을 통하여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생물들이 하천생태계에서 먹이사슬의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저서대형무척추동물과 수질의 오염과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하천생태계의 존재가 생물다양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교육의 목표인 환경에 대한 인지, 지식면에서 의미 있는 활동임을 밝혔다. 하천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마음을 갖는데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환경에 대한 태도면에서 원하는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은 탐사활동 전에 비해서 탐사활동 후에 하천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마음이 더욱 많아졌으며,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탐사 활동을 한 후에 더욱 강화된다는 것이 연구결과 확인되었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하천 오염을 줄이기 위한 생활 실천을 위해서 노력할 것이라는 데에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하천 탐사 체험활동이 환경교육이 목표로 하는 참여를 위한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하겠다. 한편, 남, 여의 성별 차이에 의해서 하천 탐사의 경험이 태도나 지식, 실천 의지에 차이가 나타났는지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연구 대상 학생들이 성별 차이에 의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환경동아리를 지도하며 환경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73.3%의 교사들이 지표종을 이용하여 환경교육을 지도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우에 80%의 교사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지표종으로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지표종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환경교육에 유용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환경교육담당교사들이 단기간의 연수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동정할 수 있는 능력만 배양한다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간이수질판정법을 이용한 하천 탐사활동을 통해서 하천 환경교육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수계의 수질 조사를 통하여 하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activities about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ream and these activities can meet the go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t also contains the analysis on how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us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ir classes. The target students for this research are middle school students. They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classes about the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s a result, they got to understand the fact that benthic macro-invertebrates play an important role fresh-water ecosystem's food cha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water pollution. In addition,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that the variety of fresh-water creatures impact heavily on fresh-water ecosystem with this experiments. Therefore, such experiential studies could stimulat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which is one of the goal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awareness can lead to the change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fter thes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students' motivations to protect fresh-water ecosystem have been reinforced. Moreover, they have been proved to b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for keeping the fresh-water ecosystem after these activities. It also showed meaningful changes from students, who are willing to make efforts in their daily lives to reduce the water pollution. Thus, the experiential activities related to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macro-invertebrates are proved to stimulate significant participations for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it is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degrees on that each group have their attitudes, knowledge, or will to take actions for the environment indicated insignificant outcome. The survey on the teachers who are involv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eading the environmental club revealed that 73.3% of the teachers have taught using indicator species, and 80% among them have not only us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also agre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indicator species could be beneficia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whole. Therefore, if the teache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re trained to become more proficient in categorization of water creatures, the activities based on the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ream will help to achieve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argeting streams and to accelerate more structured water quality evaluations over diverse fresh water system.

      • 기후변화관련 국내 환경교육 인증 프로그램 분석

        유혜지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환경교육 중 환경부에서 인증을 받은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내용체계 기준을 수립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기후변화교육의 대안을 제시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적은 비중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어도 ‘기후변화 현상과 원리’와 ‘기후변화 대응’영역의 내용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기후변화 원인’과 ‘기후 변화 영향’ 에 대한 내용 요소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내용의 양적인 확대와, 내용 반영시 기후변화교육 내용요소 중 기후변화 현상과 원리, 기후변화 원인, 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 영향 네 가지 영역의 총체적인 반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대상만이 아닌 다양한 교육 대상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을 가질 수 있어야한다는 점들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 환경정의의 국내 제도화 가능성 및 발전 방안 연구

        하람 高麗大學校 生命環境科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양극화의 심화와 환경문제로 인한 피해가 계속되는 가운데, 사회적 균형과 환경적 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접근으로서 국내에서는 주로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되어 오던 환경정의를 실천적 지평에서 다루려는 제도적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정의의 국내 제도적 정착과 발전을 예비하고자 환경정의의 제도화를 이룬 미국의 사례를 검토하고 국내의 제도화 가능성을 진단함으로써 향후 제도화 구축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환경정의 개념이 가장 먼저 배태되어 실질적 정착과 발전을 이룩한 미국과 달리 국내에서의 환경정의 논의는 개념의 도입 이후 실천적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연구 결과 국내 헌법과 환경 개별법들에서 이미 환경정의성의 보장 근거가 제시되어 있었으며, 2012년 「환경정책기본법」의 개정을 계기로 제도권 내에서 환경정의가 다뤄지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최근 격화된 정치이념 갈등과 복지사회 구현에 대한 관심은 환경복지에 관한 정책적 논의를 불러옴으로써 환경정의의 제도적 정착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암시해주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도화 발전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첫째, 환경정의의 개념과 용어 사용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행정부처 내 전담부서를 마련하고 이해관계자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효율적인 정책 운영을 제고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도적 기반을 바탕으로 셋째, 환경정의에 관한 실질적인 법안을 제·개정하고 산만한 법률 체계를 정비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환경정의성의 평가를 통해 국내에 시급한 정책 과제로서 형평성과 절차적 정당성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우선적 정책 대응을 통해 궁극적인 환경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제도화를 이룩할 필요가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polarization of wealth and in damage from environmental events in Korea, institutional approach, dealing with Environmental Justice (EJ) in practical level, is required to recover the social balance and the environmental value. For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EJ policy in Korea, this study explored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J by reviewing the case of the U. S. and diagnosing th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EJ in Korea. Studies in the past have shown that EJ discussion in Korea, unlike the U. S., stayed at a theoretical level.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re have already been grounds to ensure EJ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some practical attempts are being made around amendment of the 「Korean Environmental Policy Law」. Moreover, political conflict and interest of environmental welfare shows directly the possibility of EJ institutionalization in Korea. Nevertheless, there is still institutional inadequacy, this study explores developmental strategies as follow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J in Korea. First, EJ concept and terminology should be chosen carefully based on the social institutional consensus. Second, EJ task force needs to be established in the administration to seek policy integration, and governance between the stakeholder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inadequacy of the law needs to be improved by enactment or amendment of the environmental law. Finally, distributional and procedural aspect of justice should be considered as a top priority in policy-making process.

      • 화성시민 환경의식 조사를 통한 대기오염 대응 정책 개선 방안

        김현아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화성시는 신도시 건설 등으로 인한 급속한 인구 증가와 교통 발전 등 비약적 발전을 이룩한 반면 건설 개발 사업 증가와 많은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등으로 인해 향후 대기질의 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성시민 환경의식 조사와 대기질 관련 정책 분석을 통해 향후 화성시의 대기오염 대응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화성시민 환경의식 조사의 환경여건에 대한 조사 결과, 화성시민의 환경여건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 47.6%로 가장 높았으나 불만족 22.5%, 만족 20.1% 등의 순으로 만족에 비해 불만족의 비율이 약간 더 높았다. 환경여건 만족도를 지역별로 분석해본 결과, 비교적 동부지역의 만족도가 높았고 남부지역의 주민들의 만족도가 다소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물론 각 읍․면․동 모든 지역 주민의 공통된 의견이 아니며 응답자의 특성 등 여러 변수들이 존재하지만 동부지역 주민 중 대체로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분야별 환경오염 인식(심각 정도)조사에서는 대기오염의 심각도가 가장 높았고 과거 2013년 환경 인식 변화와 비교해본 결과, 타 분야의 오염에 비해 대기오염의 인식 변화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산업체의 배출가스 44.5%, 공사장, 도로의 비산먼지 24.5%, 자동차 배기가스 21.0%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은 공장 등의 단속 강화 47.9%,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22.8%, 행정규제 강화 2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화성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요 정책 방향은 시민의 적극적 참여와 관심이라는 응답이 41.0%로 가장 높았고, 행정의 체계적 지원 및 협력 28.0%, 화성시 정책과 계획에 대한 모니터링, 피드백 2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화성시 대기환경정책 조사 결과, 상위 및 시․도의 정책과의 연계성 및 일관성을 따르고 있으나 세부적인 정책 사업은 다소 미흡함에 따라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 생활주변 배출원 관리 강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시민들에게 환경에 관한 정보 제공 및 홍보 등을 확대하고 시민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사업이나 활동 지원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성시에서는 이런 시책들을 보완하여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을 실현함으로써 향후 더욱 발전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공공개발사업 타당성조사제도 내에서의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 개선방안

        박찬용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aims to recommend more reasonable institutional measures to reflect environmental value when making benefit-cost analysis(BCA) on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current institution. To conduct research, environmental conflicts caused by controversial development project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studies in Korea for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value were considered to gauge necessity and possibilitie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asures to institutionalize BCA incorporating the environment value by looking at various current practices and problems which lay the legal foundation and decide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valuation. First, guidance should be put in place within possible level to realize environmental valuation and to minimize controversy over the process. The guide should include principles and categorizing system of valuation, required level of information, adoptability of valuation methods, and other factors to be attended to.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government agencies take the responsibility of enacting and operating the guide in order to promote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the recommended methods. With a view to institutionalizing BCA incorporating the environmental value,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taking the function of current institution and roles of competent authorities into consideration based on the four related ministries in Korea. Consequently, it is proposed that the Feasibility Study carried out by individual authorities be improved to implement BCA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value, and the consultation process of Pri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 System conducted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 the examination of the propriety of environmental value part. To prevent any chance that Feasibility Study results are distorted by the authority in charge of development projects, the Ministry of Planning & Budget is suggested to introduce 'feasibility verification process'. After the strict verification, decisions about whether or not working expenses should be reflected, or the project should be conducted, will be made. It is proposed that the existing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be streamlined to the extent of deciding if the cost of Feasibility Study need to be included rather than if the project needs to be implemented. 이 연구는 현행 제도를 바탕으로 개발사업에 대한 비용편익분석에 환경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을 통하여 그간 논란이 된 개발사업에서의 환경갈등 사례를 조사하고, 환경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국내 연구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제도화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법률적 기반과 개발사업의 추진을 결정하는 여러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환경가치평가 측면에서 고찰하여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을 제도화 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환경가치평가를 제도권 내에서 실현하고 평가과정에서의 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현재 가능한 수준에서 평가지침을 마련하도록 하되, 지침은 환경가치의 평가에 대한 원칙과 분류체계, 요구되는 환경정보의 수준, 평가방법에 대한 적용가능성과 유의사항 등을 구성요소로 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평가방법의 개발과 표준화의 촉진을 위하여 특정 부처에게 지침의 제정과 운영의 의무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 제도화 방안으로는 국내의 4개 관련 제도를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기능과 주관 부처의 역할 등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개별부처에서 수행하는 타당성조사에서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을 수행하도록 개선하되, 환경부와의 사전환경성검토 협의과정에서 환경가치 부분의 적정성을 함께 검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부처에 의하여 타당성조사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획예산처에서 ‘타당성검증’절차를 신설하여 타당성조사결과에 대하여 엄정한 검증을 거친 후 사업비의 반영여부, 즉 사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되, 현행 예비타당성조사는 사업의 추진여부가 아닌 타당성조사 비용의 반영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으로 간소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 대형마트의 친환경 탄소경영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 이마트 사례를 중심으로

        서성원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95

        기업의 궁극적 목적은 ‘이윤창출과 극대화’에 있다고 하겠으나 최근에는 환경경영을 통한 경쟁력 제고, 환경경영성과 개선과 아울러 지속 가능한 경영을 지향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새롭게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김성수, 2004) 이러한 기업환경의 변화는 유통업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1996년 유통시장의 전면개방 이후 대형마트가 괄목할 만한 성장을 통해 유통산업의 비중과 위상이 높아졌다. 산업자원부 자료에 의하면, 국내 유통산업의 실질규모가 2001년 40조에서 2010년 94조로 약 2배가 증가하였다. 산업발전이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환경문제가 인류의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제조업체는 오래 전부터 환경경영을 추진해왔지만, 상대적으로 환경적 영향이 덜한 유통업체의 경우 환경 경영에 대한 체계가 미흡한 상태이며,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유통업계에서 선진제도를 먼저 도입한 홈플러스(前삼성테스코)는 2000년에 친환경기업을 선포한 이후 2001년부터 2007년까지 Green Hexagon체제를 정립하였는데, 이는 Green store, Green process, Green customer, Green movement, Green objective management, Green network 등 총 6개 부문으로 구성돼 있으며 단순한 계획 단계를 넘어 이미 많은 부문에서 업무로 실천하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녹색물류, 2009) 홈플러스는 2020년까지 50% 탄소절감을 목표가 경영활동의 핵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비해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친환경 탄소경영을 경영이념으로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이마트는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과 함께 다양한 탄소저감 활동을 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2008년부터 환경경영을 선포하고 Smart Eco - LOTTE Mart 전략을 수립하여 Eco-Store(친환경 점포), Eco-Smile(친환경 상품), Eco-Members(고객참여 환경 캠페인), Eco-Life(에너지 절감 생활화)의 4대 핵심 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친환경 탄소경영을 전사적으로 확대하였다.(롯데마트, 2010) 기업의 친환경 탄소경영은 초기투자가 선행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효율증대에 따른 이익도 증가하는 측면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지고 있고, 탄소경영의 결과에 대한 평가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유통기업의 핵심 고객이 소비자이기 때문에 일종의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 볼 수 있는 탄소경영이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에 미친 영향에 대한 평가 역시 중요하다. 그러나 친환경 경영에 대한 선행연구는 존재하지만, 유통기업의 탄소경영에 대한 평가와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제조사를 중심으로 탄소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하이닉스, 웅진코웨이, 롯데쇼핑 등이 탄소경영보고서를 통해서 해당기업의 탄소배출 현황 및 감축을 위해 각각의 탄소감축활동 사례중심의 보고서가 발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탄소경영활동에 적극적인 대형마트 3社의 사례를 분석하고, 친환경 탄소경영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경험정도, 그리고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친환경 탄소경영 추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환경기능사 출제기준 개선

        이동훈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에서는 환경산업 직업능력표준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국가기술자격 종목 중 환경기능사의 출제기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업능력표준 개발에 참여할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풀을 확보하여 환경산업의 직종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산업의 주요기능은 컨설팅, 설계, 시공, 유지·보수, 관리, 평가, 측정·분석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직무분석과 표준화 작업을 통하여 직업능력표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직업능력표준은 환경기능사 종목의 출제기준을 개선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경산업 직업능력표준 능력단위들의 타당성은 5점 만점에 평균 4.2로 높게 나타났다. 2.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하여 개선된 환경기능사 출제기준(안)은 현장에서 수행되는 직무를 포함하고 세분화된 능력들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다. 3. 또한 개선된 출제기준(안)은 직업능력표준의 수행준거를 사용하여 수행성과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다. In this study, natioanl occupational standards for environmental industry wer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question making of "Craftsman Environmental"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this, specialist group was secured for analysis of service structure of environmental industry. As a result, main functions of environmental industry were classified into consulting, planning, construction, maintenance·repair, management, evaluation, measurement·analysis. After job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work,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were developed. These standards were successfully used to improve standard questions of a national examination for "Craftsman Environmental". Important findings obtained from this work are as follows: 1. The propriety of occupational standards units developed in this study appeares to be high with an average of 4.2 in 5 perfect score. 2. Standard for making questions of "Craftsman Environmental" that is developed by using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includes field duty and is able to evaluate subdivided abilities. 3. The improved standard questions are able to evaluate achievement clearly by adopting accomplishment conformity of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 親 環境 農産物의 消費者 認識 및 信賴度에 관한 硏究

        박종복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1695

        그동안 우리 농업은 양적 성장을 목표로 생산효율과 수익성을 과도하게 추구해 온 결과 농민의 농약중독 단 작화와 연 작화에 따른 지력저하, 농약, 화학비료, 고 투입에 따른 인체피해와 환경오염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켰다. 최근 각종 식품공해와 잔류농약 문제가 빈발하면서 안전하고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수입 농산물에 의한 식품 공급구조가 심화되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수입 농산물의 비안전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정세를 배경으로 하여 최근 관행 농업에서 친환경 농업으로 전환하는 농가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일반 농산물과 수입 농산물에 대한 불신을 가지면서 친환경 농산물의 사용가치를 인식하는 소비자들도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이처럼 사회적으로 친환경 농산물 생산이 빠르게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원료부족, 많은 노동력 투입, 높은 생산비 부담, 일정기간 생산량 감소, 친환경 농산물 생산기술의 미 정착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존해 있어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 확대를 적극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환경을 보존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생산방법, 사용자재 등에 따라 구분하는 친환경농산물의 실태를 살펴 농업과 환경의 조화 및 지속 가능한 농업의 한 측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농업과 먹을거리를 둘러 싼 여러 가지 불안요소가 팽배해지는 현실에서 농업과 환경을 유지하고 안전한 먹 거리를 제공하는 친환경 농업은 이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과제라는 문제 인식을 가지고 친환경 농산물 생산과 소비 및 신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 참가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한 자연환경해설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진현경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환경부는 생태 우수지역을 방문하는 탐방객에게 양질의 환경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시행해 오던 자연환경안내원 제도를 보완ㆍ강화하여 2012년부터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을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해설사제도의 성공적인 정착과 자연환경해설사의 처우개선에 이바지하고자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 수료생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고 국내외 환경해설 및 교육 분야 양성과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과 개선방안을 얻었다. 첫째, 국내 환경해설 및 교육 분야 양성과정의 교육과목이 서로 중복되는 과목이 많았다. 따라서 부처 간 협의를 통해 이수과목을 통합 관리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자연환경해설사 자격취득 후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교육방식을 인터넷강의 등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고 수업방법도 토론식 수업이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의 관련학과와 파트너십을 통해, 대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주니어 해설사 양성과정이나 성인학습자들의 교육 참여를 유도하여 폭넓은 연령층과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인재확보 및 저변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자격을 취득한 자연환경해설사가 전문 직업인으로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일자리 확보와 자격취득에 따른 수당 및 보수의 차등지급, 업무의 구분 등 제도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mplemented and enhanced ‘Environment Guider System’ that had been implemented since 2004, and changed into the environmental interpreter system in 2012 in order to provide a high-quality environmental service to visitors of ecological regions. This study surveye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environment interpreter training courses and investigated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al interpreter training programs for successfully settlement on the environment interpreter system.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First, environment interpret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are similar and curriculums are overlapped. Therefore, integrated management for training courses and curriculums is required through discussion among related parties. Second, new educational methods such as internet lectures, discussion classes, and team projects are needed. Third, more efforts are needed to educate junior interpreters and to utilize various human resources with wide range of age, background and experience. Fourth, more job opportunities and economic benefits should be given to environmental interpreters. Fifth, diverse education contents and programs for local environment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