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홍경래와 "항우"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비교연구

        정영문 ( Young Mun J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0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가 18세기 이후 활발하게 나타났고 있다. 이는 민란과 당쟁 등의 사회적 혼란이 원인이 되어 조선 사회가 변혁하고 있었기 때문이 다. 그리고 기존의 사회질서가 붕괴되고 새로운 질서가 자리하지 못하는 혼란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역사의 주체로 등장한 민중들이 자신의 의견을 대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영웅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영웅으로 제시되는 인물이나 역사적 사건, 관련고사는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역사의 승리자이거나, 후대의 추앙을 받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새로운 사회구조로 전환하는 과정에 생존당시에는 강한 힘을 발휘하였지만 결국에는 패배한 인물들도 문학으로 형상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대표할만한 인물로 ``홍경래``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경래``가 문학에서 형상화해 가는 양상을 ``항우``와비교해 보았다. 홍경래는 세상에 대한 열망으로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이런 시도가 반체제적이었기에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었지만, 그의 도전은 그가 살았던 시대와 평안도에 서 한양에 이르는 공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신미민란도 유학적 세계질서를 붕괴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기에 실패하였고, 민란을 이끌었던 홍경래만 문학으로 형상화될 수 있었다. 이때 홍경래는 유학적 가치가 배제된 상태에서 ``장사``의 이미지만 덧입고 등장하고 있다. 이는 항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항우와 홍경래는 ``장사``의 이미지로 남았기에 비록 다양한 장르에서 소재적인 측면이나 전기형태로 구성되었지만, 그 대부분은 ``슬픔``, ``이별``, ``죽음`` 등의 부정적인 감성과 결합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영웅이 주는 ``숭고``함보다는 ``비장``함이 강조되었다. 이미지가 고정된 항우와는 달리, 홍경래는 유교적 질서가 붕괴된 근대이후에 들어와서 ``민중영웅``으로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After the 18th century, literary configuration of historical facts or characters appeared actively. The reason was because Joseon society was under revolution because of social disruption such as riots and party strife. It was also because the general people, who appeared as new subjects of history in the course of overcoming chaos where the existing social order was collapsed and new order couldn`t take place, presented new heroes as methods of representing their opinions. Characters being presented as heroes or historical facts or relevant old history were winners in history dominated by the logic of power or people who were held in high esteem in future generation. But characters who exercised strong power during their life time in the course of conversion to new social structure but failed after all also started to become objects of literary configuration. As the character who can represent these changes, there is ``Hong Kyung Ra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compare the literary configuration course of ``Hong Kyung Rae`` comparatively with ``Hang Woo``. Hong Kyung Rae tried to overcome realistic limits as aspiration of the world and because such attempt was antiestablishment, it couldn`t but end in failure. But his challenge gave much influence on the days when he lived and to places from Pyungando to Hanyang. Riot in the year of Shinmi also failed because it revealed the attempt of disrupting Confucian world order and only its leader Hong Kyung Rae could be configured in literature. At that time, Hong Kyung Rae appeared with only the image of ``man of great strength`` without Confucian value. It was also the same in case of Hang Woo. As Hang Woo and Hong Kyung Rae remained as the image of ``men of great strength``, they were composed as sources of various genres or biographical styles. But most of them were combined with negative emotion of ``sadness``, ``separation``, ``death`` and etc. During such courses, rather than ``sublimity`` of a hero, ``resoluteness`` was more emphasized. Unlikely as Hang Woo whose image was fixed, Hong Kyung Rae became to take place as ``hero of the people`` after modern times when Confucian order was disrupted.

      • KCI등재

        최명익 소설 삼각구도의 모색과 리얼리즘

        김효주 한민족어문학회 2023 韓民族語文學 Vol.- No.99

        This study examined triangular aspects of character relationships in Choi Myeong-ik’s modernist novels. This study examined the relevance of Choi Myeong-ik’s realism novels. This perspective will help us recognize Choi Myung-ik’s novels continuously and holistically. This article sees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a realist writer is inherent in modernism novels based on triangular composition before liberation. Choi Myung-ik was interested in socialist ideology. He was also deeply interested in materialist dialectic, the basis of the triangular structure. He maintained a critical distance from modern capitalism and emphasized the will of the subject. Choi Myung-ik’s critical mind was embodied in the search and establishment of the triangular structure in the novel.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triangular composition of character relationships in Choi Myeong-ik’s modernism novels revealed the writer’s critical mind and efforts to overcome the modern era. Next, this study looked at the significance of the search for a triangular composition and its relevance to realism novels. Choi Myung-ik paid attention to alternative figures, alternative times, and alternative spaces to overcome the bleak reality of colonial rule. This was to seek a clear perception of objective reality and an alternative to negative reality. These efforts and search for alternatives are seen as the basis for Choi Myeong-ik’s creation of socialist realism novels after liberation. 이 논문은 최명익 모더니즘 소설의 인물 삼각구도 양상에 대해 고찰하고, 해방 후 최명익 리얼리즘 소설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관점은 최명익 소설을 연속적이고 총체적으로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최명익은 사회주의 이념에 관심이 있었고, 삼각구도의 기반이 되는 유물론적 변증법에 대해서도 조예가 깊었다. 그는 자본주의 근대적 시간에 대해서는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며, 그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최명익의 문제의식은 소설 속 인물 삼각구도의 모색과 확립으로 구체화 되었다. 최명익의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삼각구도 모색 과정에는 작가의 구체적인 문제의식과 근대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이 담겨 있다. 최명익은 식민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3의 인물, 제3의 시간, 제3의 공간에 주목하였다. 삼각구도의 확립과 제3의 인물형 설정, 시간의 유보, 문지방 공간의 설정 등은 객관적 현실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고 부정적 현실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 작가의 노력이 반영된 것이다. 이는 ‘새로운 대안 제시’라는 점에서 리얼리즘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그리고 새로운 대안 모색은 해방 후 최명익이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설을 창작하는 데에 근간이 되었다.

      • KCI등재

        자전적 소재로 본 윤후명 여행판타지의 함의 - 《가장 멀리 있는 나》, <강릉/모래의 시>, <강릉/너울>을 중심으로-

        이미림 ( Mi Rim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69

        여행판타지가 특징인 윤후명 소설은 모더니즘기법, 환상성, 자아 인식, 의식의 흐름, 현실인식의 결여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비유기적이고 몽환적인 그의 문학은 작품 자체의 상징과 은유에 치우치다보니 일관 되게 나타나는 존재의 불안과 방황의 실체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본고는 자아반영적.메타픽션적 요소를 지닌 작품세계에 주목하여 작가의 개인적 이력이 작품 속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1946년생인 작가가 유소년기에 겪은 전쟁체험은 그의 삶과 문학을 지배하는 트라우마로 자리 잡는다. 전쟁은 부친과 옆집소녀의 상실, 청상이 된 어머니의 재혼, 양부와의 가족형성 속에서 일생동안 정착하지 못하고 떠도는 디아스포라적 운명과 형벌을 갖게 하였다.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비밀은 ‘변소구멍의 남자’, ‘하얀길’로 상징되며 여행은 이러한 의문을 푸는 여정이 된다. 전쟁과 피난 때 고향에 ‘덩그러니’ 남게 된 모자는 공포와 두려움으로 부친과 남편없는 외로움을 겪어야 했고 재혼한 모친에 대한 콤플렉스로 남는다. 《가장 멀리 있는 나》와 <강릉/모래의 시>, <강릉/너울>은 부모와 진정으로 결별하여 정신적인 상징계에 진입하는 주인공의 여행을 그린 소설들이다. 윤후명 소설에서 방황하고 여행했던 의문들은 가족사를 배경으로 할 때 실마리를 풀 수 있다. 자신의 존재의미와 뿌리 찾기에서 제대로 설 수 없었던 주인공은 개인의 문제에서 끝나지 않고 여행 중 만난 한민족 이주자와의 조우를 통해 자아 정체성에서 민족 정체성으로 확대됨으로써 탈국경 다문화 시대에 공감을 얻고 있다. 여행자는 여러 여성들과 만나 일탈하는데 그녀들은 주체가 되지 못한 타자인 자기 자신이다. 주인공은 탈북자, 조선족, 고려인, 하와이 노동자와 같은 한민족 이주자의 떠돎을 목도하며 자신과 동일시하고 정체성을 회복한다. 현실도피 혹은 현실인식의 결여라는 그의 문학에 대한 기존평가는 재고되어야 하는바, 그의 기나긴 오디세이는 ‘고향’으로 가고자 했던 현실적인 문제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One of the recent trends in novels is the travel and diaspora motif. Yun Hu-myeong is a writer whose travel narrative is characteristic along with Yun Dae-nyeong,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1990s. His literature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modernism technique, fantasy, self-awareness, and stream of consciousness techniques in the aspects of escape from reality and lack of reality perception. This study set out to demonstrate that the Korean War trauma-based reality was revealed in his works through hi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Experiencing the war at the age of five, the writer was not able to settle down and led a floating life owing to the death of his innocent father and next-door girl, remarriage of his mother, formation of a family with his stepfather, leaving his hometown, difficulty with livelihood, and giving up his dream of becoming a botanist. His life thus took a place in his literature. Living through the early modern and modern history of Korea in his life, he went through April 19 Revolution, May 16 Military Coup, Democratic Movement of Gwangju, the end of the century, and a new millennium. Caught in those turmoils, he either escaped to such psychological states as anxiety, suppression, horror, fear, and solitude or traveled through the paths of somnambulance full of nightmares. His literature, however, put those historical events in a distant view and featured travel fantasy without depicting the violence and trauma of war realistically, thus acquiring unique and original characteristics to him unlike his contemporary writers. Me in the Greatest Distance offers some ideas to disclose the hidden significance of his novels by pushing hi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to the surface, but it has not attracted attention so far. The protagonist, Traveler, makes a repetitive trip to Sri Lanka, Mexico, Cuba, Boriam in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Gangreung, Turkey, and Kalmykia, having an encounter with many different people, who are other egos of his and others in him. The female others he meets are anonymous beings with no name and are like “rooms like women” and “women like rooms” to men being chased. Those abstract and mysterious women those identity cannot be figured out have a long tradition of female metaphors are individuals divided from the Traveler in search of his vacant space and emptiness due to war. He also meets Korean diaspora such as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Goryeo peop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Hawaiian workers in addition to the female others and identifies himself with them since they have a diaspora fate as him, being deported, living as a minority in the country of current residence, and being treated as aliens in South Korea where they remain in the margin. He resolves the suspicion around the disgraceful death of his father and tries to put an end to his wandering by making a final visit to his grave. His travel is his journey along the path to his hometown represented by the “White Road.”

      • KCI등재

        재일조선인시의 "이야기 정체성"(narrative-identity) 연구 - "낙원 모티프"를 중심으로-

        최종환 ( Jong Hwan Choi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총련계 재일조선인은 1959년 공화국 측의 1차 귀국 사업에 부응하면서 ‘민족 이야기’에 더욱 집착한다. ‘민족’에 집착해 온 그들이 민족 ‘이야기’에 몰입하게 된 것이다. 그 이야기의 대부분은 공화국으로부터 건네진 것이고, 재일본조선인문학예술가동맹 측 시의 분명한 창작 동력이 되어주었다. 그때부터 문예동 시인들은 수령이나 공화국에 대한 이야기를 ‘반복’하는 행위에 돌입한다. 지상 낙원인 공화국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고향의 기억이 선명해졌고, 민족적 정체성도 분명히 감지됐기 때문이다. 이 순간 쓰이는 그들 시에서 고향 강원도나 제주도 등에서 노닐던 유년기의 노스탤지어도 강하게 일어났던 것이다. 동포 집단 이데올로기의 외부에 존재할 것이라 생각된 ‘민족’, 그래서 민족적 정체성의 원본이 되어줄 것이라 믿어진 민족은 공화국 이야기가 선재(先在)해줄 때만 나타나는 민족의 시뮬라크르였던 것이다. 본 연구는 이 맥락을 신형기가 ‘북한문학론’에서 언급한‘이야기론’을 참조하고 데리다의 에크리튀르 이론을 간접 원용하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를 분석할 수 있는 틀로서 ‘이야기정체성’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총련계 류인성과 고봉전의 시에 주목하였다. 류인성의 시에서는 공화국 측이야기를 반복할 때 유년의 장소가 강하게 환기된다. 그가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 강원도는, 공화국의 이야기나 수령의 항일혁명 등의 이야기 속에서만 ‘순수한’ 민족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가령 류인성 시에 나타난 “제비” 모티프와 “귀로”의 상상력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있던 유년의 강원도로 회귀하려는 시인의 발걸음이 공화국의 낙원으로 돌아가는 발걸음과 다른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고봉전 또한 공화국 이야기를 반복하면서 어린 시절의 눈부신 제주 바다 속으로 들어간다. 그 순수의 자리에서 그가 본 것은 제주도의 푸른바다처럼 일어나는 공화국의 건설현장이었다. 그는 공화국의 속도전 사업에 헌신할 때열리게 될 주체조선의 이야기와 수령의 교육전사로 활동하는 동포들의 이야기까지도 반복한다. 이야기가 순환하는 이 순간에 경험되는 그의 ‘민족적 정체성’ 또한 궁극적으로 상기 ‘이야기 정체성’과 다르지 않은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1959, Korean Japanese of Consolidated Alliance of Koreans in Japan begin to focus more and more on the ‘story of minjok’ to support North Korea’s first project to return Korean Japanese to Korea. They had been obsessed with the idea of ‘minjok’ and now there were immersed in it ‘story’. Most of the stories were handed down from North Korea, which was supported by creative force of poetry of Alliance of Korean Artists and Writers in Japan. Since then, the poets of the ‘Alliance’ began to reiterate the story of Kim Il-seong and North Korea. It was because talking about North Korea as a paradise on earth made their memories of home clearer and more powerful nationality identity could be experienced. That is, at least at that moment, it was possible to invoke powerful nostalgia about the period of youth in Gangwon-do or Jeju-do. Minjok was an idea that had been thought outside the ideologically oriented Koreans in Japan and therefore expected to provide a prototype national identity. Therefore, it was a simulacre of minjok that would appear only when discussing the story of North Korea, its carbon copy. The research uses as analytical method Shin Hyung Ki’s ‘Theory o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Derrida’s supplement theory and approached the problem in the framework of ‘story identit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tory identity, the poetry of Ryu In-seong and Go Bong-jeon, who were not studied extensively in previous literatures, were selected for re-examination. The place of youth is powerfully reminded in Ryu In-seong’s poetry when the story of North Korea is told repeatedly. His hometown he wished to return to was Gangwon-do and it reveals its pure national identity only in the story of anti-Japanese revolutions against Kim Il-seong. Likewise, Go Bong-jeon also drives into the sparkling sea of Jeju-do island in his youth only when he reiterates the story of North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to prove that ‘national identity’ in such experiences is not different from ““story identity””suggested above.

      • KCI등재

        대학 수학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경제 분야 외래어 학술 전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김주연 ( Kim Joo-youn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본고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남한 대학에서 수학할 때 필수적으로 익혀야할 경제분야의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문 목적 북한이탈주민이 대학 수학 중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 중의 하나인 전공 관련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우선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문 목적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전공 분야의 학술전문어휘 학습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제 분야의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주요 외래어 목록을 선정하여 선정된 어휘목록에 대한 북한 대응어와 뜻풀이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어휘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제 분야의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 목록을 구성하고 고빈도 어휘목록을 선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북한 대응어를 살펴보았다. 북한이탈주민의 대학 수학에 필요한 경제 분야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 목록과 북한 대응어 제공이 대학 수학 능력 향상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tudy loanwords used in the academic vocabulary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major in economic field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academic loan words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feel are th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ir fields of study. Through questionnaires, we considered the status of learning loan words that are used for academic purposes by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defines words that are part of academic vocabularies and also constructs vocabulary lists that are relevant to the economic and academic fields in order to determine which words are used most frequently. We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effective vocabulary education by examining both the North Korean vocabulary and the meaning of the words on the selected vocabulary list. The list includes important loan words used in academics, focusing on words used within academics, and particularly within the economic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ill help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 in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providing a list of essential academic loan words.

      • KCI등재

        박인로의 <노계가>에 나타난 강호 인식의 양상과 그 의미

        최현재 ( Hyun Jai Choi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본고는 박인로의 <노계가>가 17세기 강호가사의 흐름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적절히 파악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된 것이다. 지금까지 <노계가>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실상에 부합하지 못하였으며 그 성과 역시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그 이유로는 무엇보다도 ‘몰락 향반’이라는 작가 박인로를 향한 예외적이고 차별적인 시선이온전한 작품 이해의 걸림돌로 작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걸림돌을 제거하고 <노계가>를 올바르게 조명하고 해석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먼저 강호시가에 대한 선행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시대별 강호가사의 특징적 면모를 간추려서 소개하였다. 이에 바탕을 두고서 강호 인식의 측면에서 <노계가>를17세기 강호가사 작품들과 비교하여 그 동질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노계가>를 포함한 17세기 강호가사 작품들은 강호를 생활의 터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리학적도와 심신수양을 표상하는 이념적 공간의 16세기 강호가사와는 변별된다. 또한 강호 인식의 근저에 남다른 자부심과 성취감이 자리잡고 있으며, 취흥과 풍류, 힘차고 역동적 기운, 호기로운 목소리 등 감정의 자유로운 표출이 이러한 자부심과 성취감에 촉발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공통점도 확인하였다. 이처럼 <노계가>가 17세기의 다른 강호가사 작품들과 차별적이지 않은 것은, 박인로역시 당시 일반적인 재지사족들처럼 가문의 위상과 정체성 강화를 위해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박인로의 경제적 처지를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뿐만 아니라 시대에 대응하는 그의 행적들을 통해서도 충분히 입증된다. 그러므로 17세기재지사족의 현실적 대응이라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동향 안에 박인로의 행적과 작품들도 위치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status and significance which Park In-Ro`s Nogyega occupied in the flow of nature gasa in the 17th century. Until now, most researchers were not interested in the work and did not properly interpret it. So in this paper, I carried out investigations into examining properly and interpreting it correctly. First, I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of nature gasa works and presented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them briefly. Then I compared Nogyega with the other nature gasa works of its contemporaries. Consequently I have verified that the aspect of natural awareness appearing in Park In-Ro`s Nogyega is similar to the other nature gasa works. This fact signifies that Park In-Ro, the writer of Nogyega, was not the downfall local Yangban but the Jaejisajok in his own right. Like the other Jaejisajok, he was also trying to bring honor to his own family and strengthen its position. This point is proven enough through his acts and new material that we could judge his circumstances from. Thus, this shows that his life and his works were also following the general tendency of the Jaejisajok in the 17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