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정철영(Chul-Young Jung),정진철(Jinchul Jeong),이종범(Jongbum Lee),정동열(Dongyul Jeong),임효신(Hyoshin Lim),이서정(Seojung Lee),임정훈(Junghoon L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은 「① 진로교육 환경 및 정책 분석, ② 우리나라 초·중등 단계진로교육 실태 분석, ③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으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종합·분석, 전문가 검토를 거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진로교육 환경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회 환경 변화의 영역별로 직업세계와 고용·취업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진로교육 정책변화의 흐름과 국외 진로교육 정책 추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 · 중등 단계 진로교육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교육의 제도적 기반(담당인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주요 운영 방식(정규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진로심리검사 및 진로상담, 진로체험, 대상별진로교육 프로그램),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향과 세부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의 영역은 크게 4개 영역 「① 제도적 지원 장치 마련, ②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 지원 강화, ③ 학교-현장 연계 진로교육 활성화, ④ 진로교육 내실화 관리 지원」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세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We diagnosed the conditions of current career education systems in South Korea to reconstruct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curriculum initiatives. We reviewed literatures of ① environment and policies of career education, ② K-12 career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③ strategies of Korean career education with following comprehensive analysis and SME review. First, to identify existing career education system, we approached through the multiple layers of social environment which are occupations and employment related settings as well as the flow of Korean career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compared with foreign policy trends. Second, we structured the pros and cons of career education at K-12 school as policies (human resources and modules), programmes (career education in course, career inventory and counseling, heuristic method, and customized program) and career education evalu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and policies on career education and its details are ① to creat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career education, ② to emphasize the customized career education, ③ to activate school-work integration on career education, and ④ to facilitate the career education stability.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진로교육연구」 연구동향 분석: 진로교육정책 주요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조영아(Youngah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진로교육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시기별 「진로교육연구」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난 10년간「진로교육연구」에 게재된 총 40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도출된 총 1,647개의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진로교육정책의 주요 시기별 「진로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기별 구분의 준거를 2015년 진로교육법 제정이라는 진로교육 분야의 큰 정책적 변화와 함께 진로교육정책의 종합계획 적용 연도를 반영하여 2010년~2015년을 1기로 2016년~2020년을 2기로 구분하고, 시기별 키워드 빈도분석, 네트워크 속성 분석, 키워드별 중심성 분석 그리고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와 2기가 매우 유사한 네트워크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2기 네트워크가 ‘대학생’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보다 응집력과 중심화 경향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진로교육’ 키워드들은 시기에 상관없이 출현빈도와 중심성이 높게 나타나 「진로교육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는 주제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교육정책 주요 시기에 따른 연구주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1기에는 ‘중학생’, ‘진로성숙’, ‘진로결정수준’이, 2기에는 ‘진로정체감’, ‘진로적응성’, ‘진로개발역량’ 등이 출현빈도와 중심성이 높은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진로상담’, ‘사회적배려대상자’, ‘부모진로지지’ 등의 핵심 키워드들은 진로교육정책이 강조한 것과 잘 매치되는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체험’ 등은 진로교육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되지 못하는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학 분야와 진로교육정책 분야의 발전방향 및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reer education research trends by perio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areer education policy environment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647 keyword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403 papers published in「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major period of career education policy wa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 from 2010 to 2015 and the second period from 2016 to 2020, and keyword frequency, network, centrality,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by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twork structure i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s very similar, but the second-period network has higher cohesiveness and centralization tendency centering on the keyword ‘college student’. Second, the keyword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ollege stud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education’ are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regardless of period, and were continuously studied with interest i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Third, differences in research topics by period were also confirmed. In the first perio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in the second period, ‘career identity’,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ppeared as the main keyword. Fourth, major keywords such as ‘college studen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counseling’,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and ‘parent career support’ were identified as subject areas that are well-matched with career education policy. Fif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subject areas that were not closel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policy.

      • KCI등재

        사범계 교육학과의 진로 문제와 진로별 교과교육과정

        김철주,고병철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epartment of education’s career problems, cause of career problems, demands of academic circles for field of career and find way to suggest solutions for career problems.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find feasible way to overcome unclear situation of career path of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students. In this study, we pointed out the origins of career problems that originated from the October, 1983 act. Securing diverse career related curriculum and characterization of curriculum was pointed out as demands from academic circles for the career field. The problems of career guidance from the department of education were the followings; improper career guidance for acquiring certification, limited scope of obtaining certification such as teacher, life-long educator and counselor and not enough guidance for uncertified career path. We suggested six following solutions for the career problems for department of education; 1. for the certification related case, needs of presenting concrete road-map for career path and developing field related program was proposed (this is for life-long educator and counselor course), use of double major or linked major (for teaching certification course), and needs of expanding scope of certification acquisition. 2. for the non-certified case, diver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ach career path and needs of feedback system was introduced. 3. in case that formal curriculum can not take the career field, activation of extra curriculum program was suggested. 4. needs of road-map for each career path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extra curriculum program. 5. sharing career guidance curriculum and road-map information. 6. creating department based community culture for career development was proposed. As the unclear situation of continues for education major students’ career path, guiding diverse career field, providing curriculum for each career path and road-map will be necessary.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for creating community culture for searching career.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 for contribution of the education major students’ career problem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학과의 당면 과제 가운데 진로 문제에 주목해 진로 문제가 발생한 역사적 계기, 진로 분야에 대한 학계의 요구, 진로 안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진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몇 가지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사범계 교육학과 전공생의 진로 방향이 구체적이지 않은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학과의 진로 문제가 발생한 계기로 83년 10월 조치를 지적하였다. 진로 분야에 대한 학계의 요구로는 주로 진로 교육과정의 다양성 확보와 특성화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육학과 진로 안내의 문제점으로 자격증 취득 관련 진로 안내가 불충분하고, 자격증 취득 범위가 교사․평생교육사․전문상담교사에 국한되어 있고, 자격증이 없는 진로의 교과교육과정을 제시한 경우가 많지 않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어, 진로 문제의 해소 방향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격증이 있는 경우, 로드맵의 제시와 현장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평생교육사나 전문상담교사의 경우), 복수전공제나 연계전공제의 적극적 활용(교사의 경우), 자격증 취득 범위의 확대 필요성이다. 둘째, 자격증이 없는 경우, 진로별 교육과정의 다양화와 특성화와 피드백 시스템의 필요성이다. 셋째, 교과교육과정에 진로 분야를 담을 수 없는 경우, 진로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성화이다. 넷째, 진로별 교육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른 로드맵의 필요성이다. 다섯째, 진로 교육과정과 로드맵의 정보의 공유이다. 정보 공유 시점으로는 2학년 전후 학기가 적절하다고 지적하였다. 여섯째, 진로 개척을 위한 공동체 문화의 조성이다. 앞으로 교육학과 전공생의 진로가 불투명한 상황이 지속될수록 학과 차원에서 다양한 진로 분야를 안내하고, 주요 진로별 교육과정과 로드맵의 마련해 학생과 공유하고, 나아가 진로 탐색을 위한 공동체 문화를 조성해야 하는 상황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가 교육학과 전공생의 진로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진로전담교사 지각에 의한 학교관리자의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과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관계에서 진로교육 지원의 매개효과

        형찬주(Chan-Ju, Hyeong),박주호(Joo-Ho, Park)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진로교육에서 학교관리자(교장 및 교감)의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과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서 진로교육 지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실시한 <2020 진로교육 현황조사>에 참여한 진로전담교사 40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우선, 학교관리자의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은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진로교육 지원 정도에도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관리자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변인 통제 하에 학교관리자 진로교육 지원이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가진다는 사실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Sobel Test 와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학교관리자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은 진로교육 지원을 통해서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완전 매개효과)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에서 학교관리자가 진로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교사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수록, 진로전담교사들은 원활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ministrators’(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support for career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In this current study, we used the data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in 2020’ which is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0 career teachers of high school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the career education positively predicted the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Second,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the career educ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upport for career education. Finally, based on the Sobel Test, this study showed that school administrators’ support for career education plays a complete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career education and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mplicates that the more school administrators put importance into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it, the better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is improved.

      • KCI등재

        경계분석을 활용한진로교육 인프라 구축 정책과제 도출에 관한 연구

        정철영,정진철,남중수,정성지,이영광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olicy task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frastructure by operating boundary analysis. a content analysis and a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42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published on the expans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frastructure from 2007 to 2017. Policy tasks for the expans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frastructure were as follows. At the national level, actualizing career education laws and school career education objectives, building a solid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institution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school career education contents, expansion of career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 were needed. At the local level, building a solid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 community agencies, expanding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pecialized industries in the area,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with schools were derived. At the school level, strengthening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to career education program, enlarging the number of school career teachers and enhancing their expertise, implement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expanding space for career education were drawn 본 연구는 경계분석을 통해 학교 진로교육 인프라 확충에 관한 정책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학교 진로교육 인프라 확충과 관련하여 발행된 학술지 및 연구보고서 42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 진로교육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 ‘국가’ 수준에서는 진로교육 법 및 학교 진로교육 목표 상세화, 학교 진로교육 유관기관과 협력체계 구축, 학교 진로교육 콘텐츠 개발 보급, 진로교육 정보 서비스 강화 등의 정책과제가 도출되었고, ‘지역’ 수준에서는 지역사회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지역 특화 산업 진로체험 확대, 학교간 진로교육 협력 강화 등의 정책과제가 도출되었다.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 구성원의 진로교육 참여 강화, 진로전담교사 양적 확대/질적 강화, 학부모 진로교육 운영 강화, 진로교육 공간 확보 등의 정책과제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사교육을 중심으로

        노경란(Roh, Kyungran),허선주(Hur, Sunj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형태를 학교교육과 사교육으로 구분하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고등학생용)’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 특성, 재학 중인 학교의 규모와 소재지가 진로개발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진로교육에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에서 제공되는 진로교육에 추가로 외부 기관을 활용하여 진로사교육에 참여하면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사교육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ocusing on school education sector and private education s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KRIVET’s The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Panel in 2019(for high school students) was us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gender, school size, location of school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regardless o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Secondly,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in school education sector. Thirdly, the participation in private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o school career education enhances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Lastly, in private education sector also,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경험에 의한 진로교육 개입 유형 탐색 및 유형별 성과 차이

        최윤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career education outcomes across types of career education(career curriculum, career guidance, career lecture, career test, job shadowing, career counseling) is provided in junior high school.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junior high school data was analyzed that was collected in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in 2010 and 2011. To identify the types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the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Anova and Ancova was employed to test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outcomes across latent classes. Findings as followed: 1) four types of career education were extracted, which were active type, text type, experiences type, and poor type. 2)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outcomes(goals commitment,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self-concept, career maturity) were founded among the four types of career education. Active type of career educa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all outcom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poor type of career education was the most ineffective in all outcom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outcomes research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practic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경험에 따라 진로교육 개입 유형을 탐색하고 분류된 유형에 따라 개입의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 연구 1, 2차년도 자료 중 중학교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답하고자 하였다. 중학생들의 진로교육(교과, 강연, 학과안내, 진로검사, 직업체험, 진로상담) 경험에 대한여부를 잠재유형 분석을 실시하여 유사한 경험을 지닌 집단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진로교육개입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목표의식, 자기주도 학습태도, 자아개념, 진로성숙도에서 차이가있는지 일원분산분석과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2차년도 모두 중학생들이학교에서 경험한 진로교육에 따라 적극적 진로교육형, 텍스트 위주형, 체험 위주형, 진로교육부진형의 네 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네 개의 개입 유형별 목표의식, 자기주도 학습태도, 목표의식, 진로성숙도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성과 변인들에서 적극적 진로교육형이 가장 높았으며 차례로 텍스트 위주형, 체험 위주형, 진로교육 부진형의순서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개입의 성과에 관한 연구와 진로 개입 실제에 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 해외 주요국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지연(Ji-Yeon Lee),권효원(Hyo-won Kw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진로교육의 4대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노르웨이·스웨덴·영국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지향가치(철학), 정책 방안과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4대 핵심영역이란 ①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진로교육·진로지도 콘텐츠, ② 진로담당인력의 전문성·역량 함양, ③ 진로교육 전달방식, ④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지원하는 진로교육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역별 해외사례의 정책과 실제를 분석하여 각 영역을 아우르며 관통하는 지향가치(철학) 12개를 추출하고 우리나라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가치(철학) 7개를 선별하고 4대 영역별 정책 방안과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하여 지향가치(철학)에 대한 중요도와 시급성은 전문가 FGI 및 온라인 설문조사, 콜로키움 및 국내 세미나 개최를 통하여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4대 핵심 영역별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들은 전통적인 초·중등단계 학생 대상의 진로교육으로부터 혁신적인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 실패 가능성을 조기에 예방하는 전제조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진로교육의 혁신이 단순한 내부적 변화뿐 아니라 다양한 부처와의 협업과 진로개발 지원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 등과 같이 진로교육의 외부 환경 변화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야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모든 국민의 생애 진로개발을 지원하는 확장된 진로교육의 순기능을 활성화한다는 관점과 모든 교육(훈련)·고용·평생학습의 중심에 진로교육의 철학이 반영되어야 하는 진로교육 본위론(本位論的) 철학의 공감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such innovative models by finding best practices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hrough reviewing overseas cases that can be adapted for career-educational contexts in Korea. Not only will this help prevent failures of future career development policies but also present in-depth recommendations for inno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four particular areas: 1) School curricula and contents, 2)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3) Delivery methods, 4) Career education for disadvantaged groups. Furthermore, we consider values (i.e. philosophies) extrapol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that were discussed via meetings, in-depth interviews, FGIs, colloquiums, and a seminar with career education experts. Finally, the results were further validated by an online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the political agenda reflecting those values. The core valu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most significant and necessary for innovativ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Korea turned out national obligation, compulsory curriculum, professionalization(expertise), collaboration & cooperation, social integration, accessibility, and endogenous principles of career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re values (philosophies) are found to be serving as the primary direction for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over the entire lifespan and lay the foundation for key strategies that shall be put forward for innovativ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Korea.

      • KCI등재

        우리나라 국가 진로교육 정책 동향

        정철영(Chyul young Jyung),이영광(Yeong gwang Lee),이승엽(Seung yeop Lee),김동주(Dong joo Kim),김기민(Gi min Kim),이진규(Jin gyu Yi),김도현(Do hyun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가 진로교육 정책 동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Elo & Kyngas(2007)이 제안한 질적 내용분석 단계(준비 단계-조직화 단계-보고 단계)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교육은 1982년을 시작으로 진로교육 도입기, 성장기, 발전기, 성숙기의 네 단계로 발전하였다. 진로활동으로서 진로교육과정 및 진로수업관련 정책은 진로교육 발전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확대 및 활성화되었고 진로상담 및 진로심리검사는 확대, 다양화 및 개별화되었으며 진로체험은 확대 및 사회변화를 반영하여 고도화되었다. 진로교육 인프라 관련 정책 중 진로교육 정보 및 자료는 진로교육 발전단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급되었고 진로정보망은 다양화 및 연계, 기술 변화를 반영하여 고도화되었으며 진로교육 공간은 양적 · 질적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진로교육 거버넌스와 진로교육 문화 및 기타 제도는 진로교육 발전단계마다 지속적으로 강조되었다. 정책 내 진로교육 대상 관련하여 진로전담교사는 진로교육 발전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양적으로 확충되었고 질적으로 강화되었으며 관리자 및 일반교원의 진로교육 전문성 강화는 지속적으로 강조되었다. 예비교원의 진로교육 전문성 함양은 진로교육 발달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그 외, 진로교육 전문인력을 위한 정책,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정책이 마련되었으며 진로교육 발전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정책 내 진로교육 수요자가 세분화 및 확대되었다. 우리나라 국가 진로교육 정책 동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 시사점과 영역별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ional career education policy trend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age (Preparation-Organization-Report) proposed by Elo & Kyngas(2007). As a result of the study, career education has began in 1982 and developed into four stages: Career education introduction, Growth, Development, and Maturity. First, in terms of career activities, as the development stage of career education progresses, the policies related in career curriculum and career class have gradually expanded and activated. And policies related i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psychological test have expanded, diversified, and individualized. Reflecting social changes, career experience has advanced and expanded. Second, in terms of career Infrastructure, the policies of the information and data of career education have continuously developed and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areer education. As technology changes, the policies about career information network has advanced and diversified and the space for career education has expand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addition, the policies of the governance and culture of career education and other policies of career education have continuously emphasized at each development stage of career education. Third, Regarding the subject of career education, as the development stage of career education progresses, the policies of career teacher have expanded in quantity and strengthened in quality, and Reinforcement of career education expertise of administrators and general teachers has been constantly emphasized and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 has continued to expand. In addition, policies for career education professionals and career education policies for parents have been set. The learners for career education within the policy have subdivid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conclusions,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전문계 고교 교사의 진로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나라,정진철,최수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bstantial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rough narrative inquiry of three teachers. Overall career education narratives and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were explore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the difficulties in career education, and exemplary practices were presented in the career education narrative section. Four topics were analyzed in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 section: 1)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2)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in subjects-integr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3) the importance of class teachers as a person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and 4) the trinity of parents, students, and teachers in career education. The conclusions and the implications to career education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이 연구는 전문계 고교 교사 세 명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실질적인 진로교육 경험을 탐구하였다. 크게 전문계 고교 교사의 진로교육 전반에 걸친 내러티브와 진로교육 경험 분석으로 논의를 이끌어갔다. 진로교육 내러티브에서는 전문계 고교에서 진로교육의 필요성, 진로교육의 어려움, 진로교육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진로교육에의 시사점에서는 교사들의 내러티브 중에서 전문계 고교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 부분을 중학교 단계 진로교육의 중요성, 교과통합 및 교과 외 활동을 통한 진로교육의 효과성, 진로교육 담당인력으로서 담임교사의 중요성, 학부모-학생-교사의 삼위일체의 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진로교육에의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