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

        정보영,최지연,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Josef Pieper's concept of ‘Leisur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y focusing on related literature.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existing discourse or traditional discourse on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J. Pieper's ‘Leisure’?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J. Pieper's "Leisure"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eisure(scholar),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uld be viewed as ‘the whole person’, ‘the way of life’ or ‘the artificial world’, and ‘laborious works’. Second, the implications of J. Pieper's ‘Leisure’ on Practical Arts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in two terms: the establishment of inquiry objects and inquiry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meta-prax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quiry objects and inquiry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identified together.In addition, when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teach the whole person as a state of mind as a whole,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seek to develop an eye to look at the world as a whole by understanding and internalizing the nature of the way of life or the artificial world as a practice through laborious works. Second, the value of laborious work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needs to be emphasized. Laborious works has true educational value when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praxis) which understands the world based on physical activity. Third, Practical Arts’ instructions reflect the teacher's life and experience. Since the teacher's life reflected in the instructions is passed on to the students, the Practical Arts’ instructions can be said to exemplify the teacher's internalized way of life. In addition to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perform follow-up studies focusing on the methodological aspects of clarifying this in the instructions and enabling the inclusion of the intrinsic value of laborious works in the Practical Arts instruc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Josef Pieper의 ‘여가’의 개념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첫째, 실과교육학에 대한 기존의 담론, 또는 전통적 담론은 무엇인가?’, ‘둘째, J. Pieper의 ‘여가’의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문헌 고찰을 위해 J. Pieper의 ‘여가’와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문헌연구의 관점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두 가지로 요약하면 첫째, 여가(스콜라)의 관점에서 실과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은 각각 전인, 생활양식 또는 인공세계, 노작으로 볼 수 있었다..둘째,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로는 실과교육학의 탐구 대상과 탐구 방법의 정립, 실과교육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얻은 결론으로는 첫째, 실과의 탐구 대상과 실천 방법은 함께 파악되어야 한다. 즉, 실과의 탐구 대상인 생활양식 또는 인공세계에 대한 이해와 노작으로서의 실천 방법은 하나의 통합적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둘째, 실과교육에서 노작의 가치가 강조될 필요가 있다. 노작은 신체적 활동을 바탕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실천(praxis)의 관점에서 이해될 때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셋째, 실과 수업에는 교사의 삶과 경험이 반영된다. 수업 속에 반영된 교사의 삶은 학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므로, 실과 수업은 교사가 내면화한 삶의 방식을 모범(시범)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 덧붙여 연구자는 이를 실과 수업 속에서 구체화하고 실과 수업에서 노작의 본질적 가치를 담아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적 측면의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 방안 연구

        권석정,이상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하고 효율적인 실과 교육을 구현하는데 기 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반영한 5∼6학 년(군) 실과 교과서의 생명과학 영역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사례기반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수업 목 표와 교수·학습 절차를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 의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기반학습에 적합 한 내용을 추출하기 위하여 2009 개정교육과정의 검정교과서와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생명과 학교육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실과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둘째,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 교수·학습 설계 절차는 생명과학 관련 사례 이해하기, 사례 분석하기(개별탐구), 해 결방안 탐색하기(팀별탐구), 해결방안 결정하기, 해결방안 평가하기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셋째,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의 실행방안으로 생명과학교육 사례, 사례 분석틀을 활용한 교수 도움 자 료, 학습자용 사례분석 활동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은 생 명과학교육 관련 주제에 따라 구조화된 사례를 기초로 학생들이 의사소통하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서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고등사고 능력과 미래역량을 기른다는 점에서 교 육적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diverse and efficient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school field by develop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hat utilizes case-based learning with the focus on life science area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related contents of the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that reflects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for case-based learning are develop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tract the content suitable for case-based learning,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education field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n the topics linked to the practical arts were selected. Second, the procedures for case-based learning for life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consisted of 5 steps which were about understanding cases related to life science, analyzing cases(individual exploration), exploring solution(team exploration), deciding solution, and evaluating solution. Third, for implementation plans of life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a life science education cases, teaching aids using case analysis framework, case analysis activity paper for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life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using case-based learning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at students can develop high-level thinking ability and future competence such as problem-solving cap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solving problems based on case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life sci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2015 실과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운영 실태 및 지원 요구에 관한 인식

        임윤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실과의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실태를 분석하고 실과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 여 문헌 고찰을 통해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주요 이슈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실과를 지도해본 초등교사에게 실과 교육과정 적용의 실태와 문제점 및 지원 방안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자료는 실과를 실제 지도한 초 등 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 결과에 대한 타당성과 분석 결과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 내용 수준 및 학습량은 전반적으로 현장에 적용 하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 진행의 어려움으로 가장 큰 것은 실과 수업을 위 한 환경조성 미흡이며, 관련 실습실 미확보와 예산 편성과 기자재 확보의 부족 등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하여 필요한 지원은 새롭게 도입된 내용(로봇 및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수이며, 실과 전담교사 제도의 도입과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매우 필요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proposes support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Subject Curriculum(below PASC). For this study, major issues about the 2015 PASC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ased on this, a questionnaire on the actual status of application of PASC problems, and support plans for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taught As for the analysis data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ause of the analysis results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teachers who taught actual practical arts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competency, content level, and amount of learning of the 2015 Revised PASC were generally suitable to be applied to the field. Second, the biggest difficulty in conducting classe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PASC was the inadequate creation of the environment for practical arts lessons, and the lack of securing related practice rooms, budgeting, and securing equipment was the most urgent. Third, the support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2015 Revised PASC is training to foster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newly introduced content (robot and software education), introduction of a dedicated teacher system for PA, an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is turned out to be a very necessary situation.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실과 안전교육 방향 연구 -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

        이윤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각 교과별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안전 관련 성취기준을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실과 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기준으로 각 교과별 안전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생활안전’은 6개 교과, ‘재난안전’은 4개 교과, ‘교통안전’과 ‘약물 및 사이버 중독 예방’은 3개 교과, ‘폭력 및 신변안전’과 ‘응급처치’는 1개 교과에, ‘직업안전’은 누락되어 있었다. 즉,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안전교육은 ‘생활안전’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모든 영역에서 골고루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실과에서의 안전교육내용은 ‘생활안전’에서는 가정생활과 연계된 안전관련 내용이 중심이 되었으며, ‘교통안전’에서는 자전거 안전, ‘약물 및 사이버중독 예방’에서는 사이버중독에 관한 내용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과에서의 안전교육방향을 제시하면,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실과안전교육의 목표와 핵심개념을 반영하고, 타 교과와의 중복을 피하며, 5~6학년의 아동 발달단계에 맞는 내용으로 구성하고, 실습 시 사용되는 도구의 안전수칙을 제시하여야 한다. 즉, 실과의 안전 핵심개념은 ‘가정생활 안전’이므로 의생활과 식생활, 가정생활에서의 안전을 구체화하여 체험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실과의 특성을 반영하고, 타교과와 차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으므로, 교과서 분석을 통한 안전교육내용의 분석이 이루어지면 교과에서의 안전교육내용을 더 구체화될 수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는 위탁교육, 각 교육청 자료를 활용한 안전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교과이외에 이루어지는 안전교육의 내용을 연구하여 교과와 중복이 되지 않게 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를 제언한다. Based on the seven standards of safety educ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safety-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2015 revised curriculum in each subject,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education construction for its research outcome as follows. First of all, each relevant safety education topic, from the newest curriculum in primary school curriculum, is found to be not so well-balanced enough to meet all the seven standards of safety education areas. That is, safety for daily living is not covered in six subjects, disaster safety in four subjects, traffic safety in three subjects, drug or cyber addiction in three subjects, violence or physical safety in one subjects, emergency treatment in one subjects respectively, and job safety in no subject at all. That means, safet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mainly focuses on safety for daily life, while leaving the other areas untouched. Second, family life safety appears to be highlighted in safety for daily life, while traffic safety is covered a bit with bicycle safety as well as drug or cyber addiction safety concentrating on cyber addiction. Those results imply the following direction for future safety education. Above all, key concept and main goal of the new curriculum should be maintained, and any conflict with other course materials should be avoided, and children's development stage of the 5th or 6th grade should be considered, and safety rules and safe usage of tools should be kept in the exercise rooms. In other words, as core concept of safety education in practical art is the family life education, clothing life and dietary life should also reflect the safety concept in family life enough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urses's safety education. This research, having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 in curriculum, could become more detailed or complete with content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later. Last but not the least, as creative practice and the third party education is a major mode of current education, we may look for ways to extracurricular safety education in order to show a new direction for better safety education that does not overlap other subject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실태및 실과 평가 연구 동향 분석

        강대중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onstructive measures for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at, investigated 144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and 465 articles. The results were as below: First, the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were evenly distributed by area and major unit. Second, descriptive written assessmen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respect of the method for assessment of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llowed by practical arts evaluation and observational evaluation. Third, there extremely few schools that plagiarized the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plan. Although it was not an obligation, some plans did not incorporate the key achievement criteria which could help improve the quality manage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reduce the burden of studying. Fourth, there were very few these that analyzed current status of evaluation includ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among the theses published by academic associations researching into practical arts pedagogy. Based on aforesaid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specify the essence and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clearly. The two academic associations which are committed to research in the field of practical arts pedagogy should cooperate in mapping out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substance of practical arts performance assessment.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와 실과 교육학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한국실과교육학회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에서 발행한 학회지의 논문 가운데 실과 수행평가와 관련한 연구를 분석하여 실과 수행평가의 발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학년도 G광역시 초등학교 30개 학교의 5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144개와 논문 465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의 영역별 대단원의 비율은 고르게 분포되었다. 둘째,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의 평가 방법으로는 서술형 지필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실기평가와 관찰평가가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를 표절하여 사용하고 있는 학교는 극히 일부 학교가 있었다.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도모할 수 있고 학습 부감을 줄일 수 있는 핵심 성취기준을 반영하지 안흔 계획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 교육학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학회에서 발행한 논문 중 수행평가를 포함한 평가 실태를 분석한 논문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실과 수행평가의 본질, 목적을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성이 있고 실과 교육학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두 학회는 실과 수행평가 내실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협력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의생활영역의 연구 분석을 통한 교육적 의의 고찰

        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의생활교육은 1차 교육과정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그 가치에 대한 인식 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의생활교육의 의의를 제시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실과교육연구에 게재된 의생활영역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실험 연구, 조사 연구, 문헌 연구로 유형화하여 내용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의생활영역의 교육적 의의와 관련된 연구는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실험 연구, 학생의 뜨개질 경험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분석한 조사 연구, 특정 능력의 향 상을 목적으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문헌 연구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의생활영역의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의생활 태도, 창의성, 다문화 인식/태도, 환경 인식/행동, 진로 인식 능력의 함양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의생활영역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대부분은 다문화 인식/태도, 창의성 (발명 포함), 인성, 환경 인식, 소비자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실험 연구의 목적 과도 유사한 것으로 의생활교육이 가지고 있는 가치나 중요성을 드러낸다. 즉 의생활교육은 일상생 활에 필요한 기본 기능으로서의 바느질 능력과 아울러 창의·인성, 다문화 인식, 환경 인식, 진로 인식 함양 등 국가와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인간을 양성하는 중요한 교육 소재임을 알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의생활교육의 의의에 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창의성 에 대해서는 실험 처치(의생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가 있으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n Practical Art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KPAE, SKPA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led the studies, followed by documentary study and survey study. Second, educational program in Clothing and Textiles influenced positively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othing attitude, crea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environment perception, career awareness. Third, the develop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program followed in three steps: preparation, development, and enhancement. The programs were aimed to develop clothing attitude, crea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environment perception, healthy consumer. The studies suggested follow-up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s.

      • KCI등재후보

        전국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김현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4

        이 연구는 실과 심화가정 가정영역 중 식생활 영역에 대한 분석과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11개 교육대학교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에 대한 교육과정과 강의내용을 분석하였다. 식생활 영역의 교수, 학습 내용은 식사, 영양, 식품, 조리, 테이블 셋팅, 식문화, 테이블 매너 및 영양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현재의 교육과정에서는 영양이나 건강 보다는 조리와 조리실습에 대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15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으며, 식생활 영역의 강의표준안을 개발하였다. 강의주제의 내용으로는 제 1주제 “초등학생의 영양문제 및 진단”, 제 2주제 “전략적 영양관리”, 제 3주제 “21세기 식생활 관리”, 제 4주제 “식사구성안”, 제 5주제 “안전한 식생활”, 제 6주제 “영양판정”, 제 7주제 “영양교육”, 제 8주제 “세계음식문화 및 현대 식문화”, 제 9주제 “조리과학 원리”, 제 10-11주제 “한국조리실습”, 제 12-13주제 “서양조리실습”, 제 14주제 “간식 만들기”, 제 15주제 “자유주제에 의한 발표 및 세미나”로 구성한다.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을 위하여 영양교육, 균형 있는 식생활관리, 성장영양, 영양기사, 식문화 및 식품 위생 등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ishes to offer basic data for analysis and improvement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s on the field food and nutri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curriculum and syllabus from 11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dietary life division were diet, nutrition, food, cooking, table setting, food culture, table manner and nutrition education, etc.. Current curriculum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rather focused on cookery and how to handle cooking methods and tools than nutrition and health. Education contents of 15 weeks that is reorganized adaptively to the second major's education contents. Thus, Standard of lecture about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subjects of lecture and education contents were developed. Lecture standard about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s subjects of lecture and education contents are 1 subjects Food problems and diagnosis of elementary students, 2 subjects Food management strategy, 3 subjects Dietary life management, 4 subjects Diet Composition, 5 subjects Dietary management safety, 6 subjects Nutrition assessment, 7 subjects Nutrition education, 8 subjects Food culture, 9 subjects Cooking Principles, 10 subjects(10-11 lecture) Korean food cooking, 11 subjects(12-13 lecture) Western food cooking, 12 subjects Snack cooking, 13 subjects Seminar for food and nutrition. Lecture standard about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were to be adjusted to include of nutrition education, balanced dietary management, growth nutrition, nutrition topics, food culture and food hygiene in order to execute professional and systematical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 영역 내용의 세계시민교육 연관성과 초등 실과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김남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3

        이 연구는 UNESCO의 교육 2030에서 공동 지표로 채택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이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실과 교과서에 어떻게 내용으로 제시되 고 있는지 알아보고 실과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요소를 분류하여 정리한 후 이를 분석 준거로 하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였고, Romey의 탐구성 분석법으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30개의 성취기준 중 10개의 성취기준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요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관련 내용요소는 다양성, 정체성, 환경에 대한 관심, 차이와 다양성 존중, 협력과 문제 해결, 적극적 참여와 실천이다. 분석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는 5학년 6권, 6학년 6권으로 총 12권이다. 나의 성장과 발달 단원은 다양성, 자아정체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인간과 공동체의 영향과 가정생활문화와 안전 단 원은 다양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환경에 대한 관심, 인간과 공동체와의 연결과 영향, 적극적 참 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해결과 관련이 있다. 자립과 생활관리 단원은 지속가능발전, 환경에 대한 관심, 비판적 사고, 윤리적 책임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다. 탐구성 분석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영역은 0.23으로 나타나 비 탐구적인 성 향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판적 사고, 윤리적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등의 역량을 함 양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교과서 서술 방식이기에 차기 교과서 개발에는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가 실과교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이 되길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실천적 교육 방법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adopted as a joint indicator in UNESCO's Education 2030, i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extbooks. To this end, the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an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and 2015 textbooks were analyzed by Romey's Inquiry Analysis Method. As a result, 10 out of 30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elated content elements were diversity, identity, concern for the environment,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The research subjects are 12 textbooks in 5th grade in 6 volumes and 6th grade in 6 volumes. Growth and development unit was related to diversity, self-ident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the influence of people and communities. Family life culture and safety unit was associated with divers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concern for the environment, connections and impacts between humans and communities,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The self-reliance and life management units were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rn for the environment, critical thinking, ethical responsibility,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the family life field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0.23 as a whole, showing a non-exploratory tendency. Since this is a textbook narrative method that is not suitable for cultivating competency such as critical thinking, ethical responsibilit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because the next textbook narrative development will require a discussion on th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subsequent studies on education methods that can provi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ctical subjects will continue.

      • KCI등재후보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에 관한 연구

        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3

        이 연구는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 설정을 통해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실과 교육의 정당성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은 크게 3가지 과정을 거쳐 설정되었다. 먼저 새로운 교육 사태로서 역량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의미와 역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최종 결론으로 도출 된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은 참여적 시민성, 건강한 주체성, 창조적 혁신, 지속 가능의 실천이었다. 각각의 지향성은 다음과 같은 설정 근거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참여적 시민성은 민주 사회에서 시민이 가져야할 기초적 소양으로 생활의 필요한 기초적 기능, 문제 사태 해결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둘째, 건강한 주체성은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관계의 건강성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민주시민사회에 필요한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을 기르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셋째, 지속 가능의 실천은 생활 속에서 지속 가능한 삶을 실천하기 위한 실질적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넷째, 창조적 혁신은 문제해결능력, 설계능력, 발명사고, 창의성 같은 사고 능력을 기반으로 사회의 창조적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o clarify the validit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rom a pedagogical point of view.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in this study was largely developed through three processes. First, It was analyzed the meaning of competency as a new educational situa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praxiological knowledge and competence in practical education. Third, It was set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derived from the final conclusions of this study was participative citizenship, strong subjectivity, sustainable practice and creative innovation. Each value orientation has the following meanings. Participative citizenship: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the basic functions of life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have been set up and understood as basic skill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democratic society. Strong subjectivity: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the health of the relationship based on rational communication is formed and the voluntary and subjective person needed for democratic civil society is educated. Sustainable practice: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emphasized the meaning of knowledge as a practical act to practice sustainable life in daily life. Creative innovation: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the creative innovation of society based on thinking ability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design ability, invention thinking, and creativity.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비교 분석 :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3 實科敎育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문서 구성 체제와 구성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문서, 미국의 STEL과 관련 자 료를 연구 대상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여 내용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은 STEL의 핵심 교과 표준, 실천 및 내용 영역과 연 계되어 있었다. 둘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STEL의 벤치마크는 3차원 또는 3영역의 내용을 적 절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실과 교육과정과 STEL은 모두 교과에 대한 소양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실과의 교과 역량은 STEL의 역량에 비해 포괄적이었다. 다섯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과 정 ․ 기능 차원의 내용 요소 반영이 미흡하였다. 여섯째, STEL은 실과 교육과정에 비해 구성 요소의 개 요와 사례 제시에 충실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으로 교과 역 량의 구체성과 명확성, STEL의 핵심 교과 표준의 일부 반영, 성취기준의 구체화 및 적용을 위한 가이 드,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공유, 공학에 대한 관심 확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PA) curriculum and STEL.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PA curriculum and STEL based on structure and components of documen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were similar to core standards, practice and contexts of STEL. Second, three levels or domains of contents was relfected properly in both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and benchmark of STEL. Third, it was shown that both PA curriculum and STEL emphasized literacy towards subject matters. Fourth, the competencies of PA were more comprehensive than those of STEL. Fifth, it was revealed that content components in ‘the process and skill level’ were not included sufficiently in achievement standards. Sixth, STEL provided more sufficient descriptions of the content, course sample and so on than PA curriculum.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PA education were suggested such as clar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subject matter, consideration of including STEL’s core standards, embodi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development and sharing of curriculum materials, enhancement of interest on Engine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