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자인을 활용한 중소기업 해외직접투자 전략 : 레인콤 및 오로라월드 사례를 중심으로

        송정만 한국외국어대학교 세계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55

        원화 환율 절상, 수출 및 내수부진, 원유가격 급등으로 우리 경제 성장은 둔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기업 환경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고비용의 충격이 기업들의 채산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늘어나고 있는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증가현상을 비판적인 시각에서만 바라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더욱이 대기업에 비해 기업경쟁력이 약한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증가는 기업을 살리기 위한 마지막 보루일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 중에서 종사자 5인 이상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99.4%(2002년 기준)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성공은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 등으로 생산 공장을 이전하면서도 여전히 OEM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 중소기업의 노(NO) 브랜드 수출비중이 60.9%를 차지하는 상황에서도 미루어 싶게 짐작할 수 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자체 디자인 개발 및 해외 마케팅 능력 등의 부족 및 기존 바이어들의 방해 등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논문은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전까지 해외직접투자와 관련한 논문들이 다루지 않은 디자인 분야를 접목함으로서 선진국과 중국사이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우리 중소기업에게 한 번쯤 심도 있게 디자인을 고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직접투자의 동향을 보면 선진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주로 국내외 금리 차를 이용하거나 여러 국가의 금융시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자본시장 접근'과 인도의 IT 기술의 습득을 위해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등의 '기술 습득' 위주로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들은 저임 노동력을 활용한 해외직접투자가 주요 근간을 이루고 있다. 다양한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의견이 있음에도 그것을 하나로 종합한다면 '세계시장에서 자국의 이익을 실현'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성향을 살펴보면 대기업 및 중소기업(개인 및 개인사업자 포함)이 각각 55.9%, 44.1%로 대기업 비중이 여전히 높으나, 2001년 80.6%, 2002년 60.1%로 대기업의 감소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투자건수 또한 대기업이 3.2%, 중소기업이 96.8%로 중소기업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전년 대비 투자액은 대기업 및 중소기업이 각각 5.8%, 25.9%의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기업 전반적으로 볼 때 해외직접투자의 양상이 선진기술 도입을 위한 적극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여전히 저임활용에 의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2003년 중 우리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수출촉진이 894건(30.9%), 15억 6,800만 달러(28.8), 저임활용이 741건(25.6%), 6억 5,3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보다는 경영환경, 디자인 능력 등이 취약하므로 어떻게 중소기업들이 해외직접 투자 시 좀 더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가를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디자인을 통한 중소기업 성공사례인 레인콤 및 오로라월드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높이고자 한다. 그렇다면 디자인이 해외직접투자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 왜 필요한지를 살펴보면 첫째, 세계적인 우위를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 제품은 섬유, 신발, 기계 등으로 대기업에 비해 여전히 저효율 상품에 집중되어 있어 디자인을 통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중소기업의 중국현지법인이 매출증대 또는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방안으로 디자인의 중시비중을 판매망 구축강화, AS 강화 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둘째로, 최근 영국 디자인카운슬이 발표한 디자인과 주식가치의 연관관계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디자인이 기업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2가지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고 해외직접투자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디자인의 활용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향후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의 양상은 더 이상 저임금 등을 활용한 저 원가 전략차원에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점점 중국의 공세가 거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살길은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이며, 디자인이라는 요소는 차별화된 핵심 전략의 활용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떨어지고 있는 국가 경쟁력를 제고하고 및 빠른 시일 내에 우리나라 국민소득이 2만 달러에 진입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관건은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유지되느냐 아니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There are signs of slow down in Korea’s economy due to the fluctuating won-dollar exchange rate, weak exports and domestic demands, and hiked oil prices; consequently, these factors weaken corporate environment. It is unreasonable to be so pessimistic about the increa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FDI) in Korea’s enterprises in a situation where high-cost shocks are lowering their profitability. All the more, this is essential to the survival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whose competitiveness is weaker than that of large enterprises. As up of 2002, SMEs with more than five employees accounted for 99.4%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Taking this figure into consideration, the success of FDI in SMEs would ultimately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in order to secur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SMEs, it seems that the majority of SMEs would most likely be relocating their manufacturing plants to countries like China while still utilizing the OEM. This is apparent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export proportion of NO brand products of SMEs account for 60.9%. Most SMEs experience limits to producing high value-added products due to the lack of ability in product development, product design, foreign marketing, and also due to the interferences from existing buyers. Therefore, this paper places grea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design. Unlike other FDI-related papers, by focusing on an area of design, this paper purports to provide SMEs -- which cannot seem to break free from a hard-fought game with advanced countries and China -- a chance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design. Looking at the trend of FDIs, FDIs in advanced countries are ‘capital market approach’ oriented (where interest margins can be acquired and information on financial markets of numerous countries can be collected) and ‘technology acquirement’ oriented (where research centers are built to acquire IT-related technology). However, FDIs that utilize low-wages form the keynote of developing countrie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FDIs, if one were to summarize those opinions, it would be that ‘FDIs help one’s nation to realize its interests within the world market.’ For Korea, FDIs in large enterprises and SMEs were 55.9% and 44.1% respectively. However, FDIs in large enterprises are falling, marking 80.6% in 2001 and 60.1% in 2002. Number of investment for large enterprises and SMEs are 3.2% and 96.8% respectively, and thus SMEs accounts for a great number of FDIs. Moreove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amount of investment for large enterprises and SMEs are 5.8% and 25.9% respectively. However, since FDIs have gone beyond the purpose of actively adopting advanced technology and only rely on low-wages,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immediately. FDIs of Korean industry in 2003 indicated 894 cases (30.9%; over 1.5 billion dollars) of export promotion and 741 (25.6%; over 600 million dollars) cases of low-wage utilization. In case of SMEs, since there management environment and product design capabilities are weaker than large enterprises, they really have to look for ways to add value to their products and services with FDIs. By taking the success stories of Reigncom and Aurora World as examples, this paper purports to raise the interests and investment in product designs.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why design is so important in raising the value of products. First, compared to large enterprises, products of SMEs that are in the dominant position worldwide are concentrated within low-efficient products such as fiber, shoes, and machines; thus improvement in SMEs’product design is an urgent matter. Moreover, local subsidiaries of SMEs in foreign countries also place greater importance to product design than improving sales network and after services. Second, it is also evident from ‘design-stock value relations’study recently conducted by the UK Design Council that product designs greatl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With these two objective bases, this paper points out why product designs are important in utilizing FDIs well. Therefore, future FDIs should no longer rely on the low-wage utilization. The only way for Korea’s SMEs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world is to seek for constant changes and innovations. In addition, it is safe to say that the survival of SMEs depend on utilizing differentiated core strategy in product designs. Lif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aching $20,000 per-capita income depend on whether competitiveness of SMEs can be maintained or not.

      • 中國經濟의 成長에 따른 韓國經濟의 對應戰略

        유현진 韓國外國語大學校 世界經營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55

        중국경제의 고도성장에 따라 많은 산업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 수준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산업의 발전에 따라 한국 주력산업과의 경쟁이 보다 심화되어지는 경쟁 구도가 형성되어가고 있다. 현재 한국경제를 선도하고 있는 주요 산업에서 중국의 산업경쟁력 수준이 크게 개선됨으로써 3~5년의 기술격차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국 산업의 발전은 한국의 주요 산업에서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은 가장 많은 FDI가 이루어지고 있고,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으며 부가가치가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 거대시장으로 간주되고 있음을 인식할 때 한국과 중국의 산업경쟁력 격차는 앞으로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구와 자원, 다양한 산업에 있어서 잠재력이 저임금을 바탕으로 생산성 향상을 기할 경우 중국의 산업경쟁력은 보다 강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여기에다 지속적인 외국인투자의 유치와 외국기업의 진출에 따른 기술이전, 정부의 산업육성을 위한 강력한 의지들이 효과를 나타낼 경우 중국의 산업경쟁력 향상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성장에 따른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가장 바람직한 대응 전략은 첫째, 對중국 분업구조의 고도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중국의 고성장을 우리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경제가 끊임없는 기술·경영·제품의 혁신노력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중국경제와의 상당한 차별성과 비교우위를 계속 유지 또는 확대해 나감으로써 우리의 수출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중국의 13억 명의 인구를 바탕으로 한 시장잠재력, 소비의 고급화․다양화, WTO 가입에 따른 시장경제화와 개방화의 확대, 우리와 인접한 동북3성 진흥정책 실시 등을 우리의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삼고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서도, 그리고 부품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완성품에서도 중국시장을 파고들어서 우리의 수출 및 투자기회를 넓히는 것이다. 셋째로, 對중국 투자가 국내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고 모기업 생산의 전문화 및 고부가가치화로 이어져서 국내산업의 고도화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기업의 경우,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모기업에 의해 국내에서는 R&D, 핵심소재 등 고부가가치부문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해외투자는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구축 목적의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겠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는 중국경제의 거대한 크기, 경제적 부상의 빠른 속도 및 한국과의 지리적 인접성에 비추어봤을 때, 중국변수가 중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것도 사실이다. 중국경제의 빠른 성장 속에 한국의 대중의존도가 심화되면서 한국의 제조업공동화 가속과 고용부진이 이어지고, 부메랑효과에 의한 국내시장 잠식, 제3국 시장에서의 한·중간 수출경쟁의 심화 등으로 한국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다. 수출주력제품에 있어 중국 등 후발국에 경쟁력을 상실해가는 반면, 일본 등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이지 못해 고도기술제품으로의 생산전환을 하지 못하면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을 상실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한·중 경제관계를 한국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만들어나가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산업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약점을 보완하여 중국의 고도성장이 주는 기회를 이용하면서 성장 동력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Competitiveness of Chinese industries is rapidly increasing in numerous areas along with the high speed growth of its economy. At the same time, advances in China's industries are causing increasing competition with major industries of Korea. China's competitive level in major industries, which are leading the Korean economy currently, has improved significantly so that there exists only three to five years of technology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Thus, the progress in China's industries has become a threat element to major industries of Korea. China is receiving the greatest amou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and has a huge market for consumption as well as a production base, where added values are enlarged and reproduced. Thus, the gap in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and China is expected to continue to close.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potential elements of large population, rich resources and low wage levels in the Chinese economy, when productivity improvements are added in numerous industries, the industrial competitive posture of China is only to become stronger. Furthermore, this growth in its industrial competitiveness will be accelerated through continued foreign investments, technology transfer from foreign businesses in China, and the strong government will for industrial growth. The most desirable strategy for the Korean economic growth in response to such a growth pattern in Chin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 should utilize the rapid growth of China as the growth dynamism for Korea through continued expansion of role sharing against China. For this strategy it is critical that the Korean economy maintain its industrial superiority through renovations in technology, management and products while expanding differentiated merits and relative superiority over China, thus maintaining our export competitiveness. Secondly, Korea should consider as highly favorable opportunities China's huge market potential from the 1.3 billion population, escalation and diversification of its consumption, expansion of the market economy and liberalization following China's entry to WTO, and the government growth policy of the Northeast three provinces that are adjacent to Korea. Korea should penetrate into the Chinese market not only in manufacturing but also in service industries, moving from parts manufacturing to high added value finished products, and thus expand our opportunities for exports and investments. Thirdly, we should promote the positive feedback structure where the Korean investments in China promote renovation of domestic industries and lead to professionalization and high value production of the home businesses, thus bringing advances in the domestic industries. In the case of large corporations, the home business, which possesses core technical expertise, should make investmen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s well as in high value areas including critical materials, while their investments abroad shall be targeted to a global production network through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However, considering the immense dimension of the Chinese economy, its rapid growth rate and the geographic proximity to Korea, the China factor has the potential to play a negative role to Korean economy in the mid to long term. As our dependence on China deepens while the Chinese economy grows rapidly, there continues the accelerated manufacturing vacancy and unemployment level in Korea, Chinese penetration into the Korean market through a boomerang effect, and increasing export competi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global markets. Thus, the Chinese economy could weaken the growth potential of the Korean economy. If Korea loses its competitiveness edge to developing nations such as China in our major export items and yet fails to close the technology gap with advanced nations such as Japan, and thus fails to transition its production economy to high technology products, we could lose the growth dynamism of our economy. If we are to turn the Korean-Chinese economic relation to a desirable direction from the Korean perspective, we should maximize the potential benefits of our industries while augmenting their weaknesses and making the most of the opportunities derived from the rapid growth of China to continue developing our growth dynamism.

      • 美國의 通商政策에 관한 韓國의 對應方案 硏究

        최승현 韓國外國語大學校 世界經營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재의 세계는 냉전체제의 종식과 우루과이라운드협상 타결에 따른 세계무역기구(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이하 ‘WTO’라고 한다)의 출범으로 교역장벽의 완화 및 철폐는 물론 교통 및 정보통신기술의 혁신 등으로 경제의 범세계화를 넘어 하나의 글로벌한 세계로 나아가고 있다. 한국이 미국의 주요한 교역상대국으로 부상한지는 벌써 오래전의 일이다. 미국은 한국의 전체 수출 상품의 상당량을 구매하는 교역상대국으로 한국 상품의 최대 수출시장이며,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나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한․미 양국은 안보․경제상으로 상호의존성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요성에 못지않게 통상현안 문제를 중심으로 마찰 또는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마찰적 상황에 바람직한 해결방안의 모색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미국의 통상정책은 기본적으로 다자간자유무역화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나 다자간 무역규범이 적용되지 않는 분야에 대해서는 보완적인 수단으로 지역주의와 쌍무주의․일방주의적 접근방식을 병행하고 있다. 그 동안 자유무역체제의 수호자로 자처해왔던 미국은 시간이 갈수록 성과가 확실치 않는 다자간 협상보다는 WTO의 기본정신에 위배되는 지역 내 이해당사자간 일방적 조치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1993년 3월 미무역대표부 USTR의 무역통상보고서에서 외교 혹은 안보적 고려에 경제적 이익을 자동적으로 귀속시키지 않는 다고 하는 통상정책의 기본원칙을 표명하였으며 경제성장과 고용증대라는 자국의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 중국, EU, 동남아 등 전 세계를 향해 강력한 통상법을 활용한 통상대공세를 가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국내법인 통상법 301조, 슈퍼 301조, 스폐셜 301조 등을 활용하여 미국이 행사할 수 있는 최대의 압력과 보복의 일환으로 무차별 공세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무차별 통상대공세가 갖는 중요한 의의는 어디까지나 미국의 이익에 침해가 되는 경우, 불공정무역국으로 취급되어 미국법의 자의적 적용에 따라 보복조치를 당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에 대하여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다. 이와 같이 보복의 위협을 배경으로 일방적 시장개방 압력을 강화하는 미국의 행위는 원칙적으로 자국의 통상정책 이념인 자유무역주의와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한 공정무역 구현과는 다소 거리가 먼 통상법 301조를 활용한 일종의 공격적인 일방주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미국의 공격적 일방주의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미국의 통상정책 방향과 각종 통상관련법 및 제도의 개혁, 미국시장의 환경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대미 통상협상에서의 적절한 대응과 더불어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이며 교역상대국인 미국과 상호주의의 바탕 위에서 전반적인 경제관계, 즉 통상관계를 원만하게 관리해 나감은 물론 이를 한 차원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인 미국의 통상정책에 대한 체계적 조망과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주요 대미 통상현안 및 마찰 가능성의 실상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미간 통상관계의 새로운 정립과 발전방안 제시에 일조가 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본 논문에서는 한․미 통상마찰에 있어서 통상정책의 이론적 부문과 기본구조 부문을 비교․분석하여 고찰함은 물론이거니와, 한․미 양국간 통상관계의 실상을 분석하려고 한다. 이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과 미국의 통상정책의 본질적인 규명과 함께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한․미 양국간의 통상관계에서 마찰의 현안과 대응방안, 당면한 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수출의존도가 높게 차지하고 그에 따른 통상압력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미국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고려하여 한․미 통상관계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함을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본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논문의 구성 및 연구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한․미 통상 마찰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상정책의 기본구조를 비교하였다. 제3장은 한국과 미국의 통상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려고 한다. 본 장에서는 우리나라의 통상정책의 변화추이와 통상정책의 기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국의 통상정책에 있어서는 미국의 통상정책이 추구하는 목표, 특징, 통상의 변화추이와 요인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통상의 제 수단들을 고찰하였다. 제4장은 이러한 통상마찰을 해소하기 위한 근본 원인과 구체적 대응방안에 대해 통상적․제도적․기업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에 해당하는 내용을 요약․정리 하였다.

      • 한국 중소기업의 대 말레이시아 직접투자 사례연구 : 카타딘아시아(주) 현지판매 법인을 중심으로

        김성용 韓國外國語大學校 世界經營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resent study is a case study on direct investment in Malaysia by Korean small and medium companies, taking the case of Katadyn Asia Co. Ltd, one of Korea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e are liv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se days it is difficult to attain success in business activities only with the domestic market. To be successful, companies should move toward the world market. Overseas direct investment, which is one of efforts to keep pace with the age of globalization, will be another opportunity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It is because they have had difficulties in competing with large companies in the domestic market due to inadequate environmental elements, but they can compete on an equal footing in the race targeting the world market. Considering this, direct investment in Malaysia by Korean small and medium company Katadyn Asia Co. Ltd. is an important case. In this study, we reviewed literature on domestic companies related to overseas direct investment and investigated their current state, and examined localization and domestic companies' overseas direct investment particularly in the East Asian area. Second, we examined Malaysia, the target country of investment in this case. The general situation, politics and economy of Malaysia were reviewed, and the country's investment environment was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because Katadyn Asia Co. Ltd engages in water purifier business, we analyzed the water purifier market in Malaysia. Next, we conducted a case study, the core of this thesis. Katadyn Asia Co. Ltd. is winning fame in the field of filters for water purifiers not only in Korea but throughout the world. As an evidence, the company is supplying its products to many spring water suppliers, drink manufacturers, high-quality apartments, government organizations, etc. It also received an award titled "One of the Top Ceramic Innovations in the Last 100 Year from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in 1988. The case study was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direct investment in Malaysia by Katadyn Asia Co. Ltd.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ompany's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localization, distribution and sales, and consolidation of reliability. Lastly, this study discussed the company's current performance, position, future directions and problems. The thesis was concluded with general summary and conclusions. The case examined in this research is the first direct investment in Malaysia by a water purifier manufacturer, one of Korean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us this thesis may provide guidelines for overseas direct investment to domestic companies that are going to expand their business to Malay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