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NH TRA.NG NGHIE^N CU´U HA`N QUO^´C TA.I VIE^.T NAM VA` MO^.T VA`I D E^.NGHI.

        Kim, Ki Tae,Vie^.t, Khoa tie^.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1998 東南亞硏究 Vol.- No.7

        베트남에서의 한국연구의 현황과 제의란 제목으로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연구기관의 살펴보고 우리 나라 정부의 재정 지원 현황과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주의 공화국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는 19992년의 12월 양국간의 국교가 정상화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베트남에서 한국학연구가 시작된 것은 1993년부터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현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 문과이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내의 동방학부 내에 일본학, 중국학, 한국학 그리고 동남아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또한 남부의 국립 호찌민 종합대학 (현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에서 1994년부터 한국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베트남에서는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 내지 한국학 강좌가 정규과정으로 개설되었으나 수도 하노이에는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외국어대학 한국어과가 4년제로 학사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또한 남부의 호찌민시에서는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사립대학인 외국어 컴퓨터 대학내에 한국어과가 있다. 이들 4개 대학에서 배출하는 한국어 전공 학사는 매년 100여명 가량이다. 대학 이외에 한국학 연구 기관은 국립 사회인문과학원 내의 한국학 연구소가 일본 연구소 내에 1998년 설립되었으나, 아직 법인으로 베트남 정부에 등록되어있지 않으므로 활동이 매우 부진하다. 한국 정부를 대신하여 해외에 한국학과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과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이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1994년부터 1998년까지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약 139,580달러를 지원하였다. 이 이외에도 삼성문화재단에서 KF에 기탁한 100만불에 대한 기금에 대한 이자로 베트남 매에 한국을 이해시키는 프로그램을 1997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또한 KF는 베트남 내의 한국학 연구자와 한국어 전공자를 한국에 초청하여 연수 프로그램을 계속하고 있는 이외에 한국학에 대한 각종 서적을 1994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한편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은 ODA자금으로 1992년부터 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KOICA의 베트남 내의 한국어나 한국학 지원은 한국어 교육 봉사자 파견이나 단기 한국어교육을 위한 베트남인 국내 초청에 한정되었다. 한국어 교육 봉사자는 1994년부터 1997년까지 27명에 달하고 있다. 이밖에도 베트남내의 한국어 보급과 한국을 이해시키는 활동으로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공보관이 있다. 한국 문화부의 지원으로 베트남인들의 한국 이해 프로그램인 Korean essay contest, 한국 역사교재 출판과 한국 전래동화 번역 사업 등으로 매년 약 2만불 가량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베트남 투자 업체나 종교기관등 NGO에서도 베트남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베트남에서의 한국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나 한국학과가 개설된 대학과 국립 사회인문 연구소의 한국학 연구소에 대한 계속적인 재정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이와 동시에 한국학연구를 위한 우리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망된다.

      • KCI등재

        러시아 중등 한국어교육과정 분석과 과제 탐색

        김호정 ( Kim Hojung ),골로바노브키릴 ( Golovanov Kirill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러시아 중등학교 한국어교육과정 설계의 제도적이고 정치적인 상황·맥락을 살피고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과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헌법, 교육법, 언어법, 연방국가교육기준, 외국어교육과정 문서와 관련 연구 보고서, 논저 등의 문헌을 검토하고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러시아에서는 ‘다원주의’를 외국어교육의 대원칙으로 삼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외국어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이 미진하고 교사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등 ‘다원주의’ 가치 실현을 어렵게 하는 상황적 요인이 존재한다. 러시아 외국어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에서는 타 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 학습자의 자아실현 및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설정하며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의 A1+∼B1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10년 중학교 연방국가교육기준이 개정되면서 중학교 정규과목에 제2외국어가 추가되었고, 고등학교 정규과정에서는 제2외국어가 선택과목으로 편성되고 있다.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의사소통능력 즉, 담화능력, 언어능력, 사회문화적 능력, 보상전략 능력의 발전을 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연간 약 340∼350시수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A1+ 수준 도달을 목표로 5∼9학년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의사소통 활동 과제, 언어 지식 등의 교육 내용 체계와 요소를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과정이 러시아 내 중등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며 고등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학교-고등학교 간 연계를 위한 후속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교재-교수·학습-평가를 통한 환류 및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 for secondary schools in Russia, and to discuss the follow-up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iculum. To this end, documents such as the Russian Constitution, Education Act, Language Act,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es are reviewed, and then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are analyzed while surveying four curriculum-related experts in Russia. In Russia, 'pluralism' is a great principl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there are situation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lize the value of 'pluralism', such as insufficient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at the national level, and difficulties in supplying teachers. The curriculum, which is the basi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aims to reach CEFR level A1+~B1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tolerant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elf-actualization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s a communication tool. As the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middle schools were revised in 2010, a second foreign language was added to the regular middle school subject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discourse competence, language competence,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compensation strategic competence as the educational goal, and the curriculum consists of about 350 hours per year. To this end, with the goal of reaching the A1+ level,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nd elements such as topics, tasks, and language knowledge to be covered in grades 5-9 are presented in detai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of Russ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ollow-up curriculum to link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eedback through curriculum-textbooks-teaching·learning-evaluation.

      • KCI등재후보

        미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 동기 및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

        최호성 ( Hoh Sung Cho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3 외국어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세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알아보고, 미국 대학의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포 학생들과는 달리 한국어에 거의 노출되지 않았으며, 대학에 와서 처음으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었다. 자료는 한 학기 동안 다섯 번의 개 별 면담을 통해 수집 되있고 내러티브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전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때문이 있다. 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경험했던 한국 문화가 한국어 강좌 수강으로 연결된 것이었다. 이들은 한국어의 효용가치가 적고 배우기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미국 대학생들이 한국어를 기피한다고 말하였다. 한국어를 배워도 사용할 기회가 제공 되지 않아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지나친 문법 암기와 독해 위주 의 교육도 흥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이었으며,교포 학생위주의 교과 과정도 이들을 한국어 수업에서 배제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ee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terms of their motivation to learn Korean and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classes. Two research questions guide this study: (1)What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And (2) what barriers do they face learning Korean in a US tertiary context? The participants were sophomores who enrolled in a second-year Korean class in a Midwestern university, and they were the only KFL learners in the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narrative interviews over a semester.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participants interests in Korean culture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that is, their encounters with Korean culture before college led them to take Korean classes. They reported that Korean is difficult to learn but of little use in the US, which they believed explains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 Korean classes. They said that the lack of a Korean speaking community demotivated them to use Korean. Grammar/reading-based instruction also made them lose interest in learning Korea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ing mainly on heritage learners was another reason for KEL learners to avoid enrolling in Korean language classes.

      • KCI등재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와 번역의 정치성

        이상경(Lee Sang 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2

        This paper aims to retrace the processe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took place in Seoul, and thereby reveal the methods by which influence in the literary sphere of South Korea acted under the Cold War system and the results they produced, as a touchstone of the many issues and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by which a work of literature gains recognition in its linguistic sphere and is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It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was bid for and organized, through newspapers, magazines, official materials from the event, and the selection of works published post-congress, to discuss how the ‘classic’ status is conferred upon certain works in a nation’s literary sphere as well as the politics of globalization in translation.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held by the International PEN Korea Center in 1970 in Seoul was a major international event supported not just by the literary sphere but by the power of the state as well. The process by which the congress was bid for, prepared and held,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Asian Writers’ Translation Bureau for the publication of Asian Literature as a follow-up project, was the first time the Korean literary sphere gave earnest thought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congress, questions of how Korean literature should be introduced to international readers as well as which authors and works should be nominated for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were raised. In the discussion of such questions, serious and detailed consideration was given to which works should be translated and how, in order to transcend the borders of nation and language, in addition to whether Korean literature could become a part of global literature. 이 글은 문학작품이 자국어권에서 인정을 받고 외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와 고민을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시금석으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제 과정을 정리하면서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과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과 그 결과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신문, 잡지의 기사와 행사 자료집 등을 통해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유치 및 개최과정을 정리하고 그 후속 작업으로 나온 영역본 한국문학선집 등을 통해서 일국 문학의 정전화와 번역을 통한 세계화의 정치성을 따져보았다. 1970년 국제펜클럽한국본부가 서울에서 개최한 제37차 국제펜대회는 문단뿐만 아니라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은 거국적인 국제행사로 치러졌다. 이 대회를 유치하고, 준비하고, 개최하고, 또 그 후속 작업으로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 』을 발간하는 과정은 한국문단이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진지하게 고민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대회 준비 과정에서 외국인에게 어떤 한국문학을 어떻게 소개할 것인지, 어떤 작가와 작품을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할 것인지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그 논의 과정에서 민족어와 국민국가의 테두리를 넘어서기 위해서 어떤 작품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 것인지, 그리하여 어떻게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일원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진지하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고민했다. 그 결과로 한국문학의 정전을 추려 번역한 한국문학선집을 내었고 ‘동양권’ 문학을 ‘서양권’ 독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을 3권 펴내었다. 그러나 이때에 이루어진 한국문학의 정전화 작업이나 번역 작업은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 및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면서 ‘순수문학’을 제도화시키는 편향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아시아문학’ 담론을 선도하겠다는 계획 역시 냉전 체제 하에서 온전할 수 없었고 물적 기초 또한 빈약하여 일회적 사건으로 끝나고 말았다.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패러디 시 쓰기를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혜민 ( Han Hae Min ),조영미 ( Cho Young Mi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본고는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한국문학을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로, 한국 내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와 해외의 한국학 부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패러디 시 쓰기를 한국어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학습 도구는 Webex와 Zoom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홍콩의 <미디어로 배우는 한국어> 수강생 19명과 한국 내 <발표와 토론> 중국인 대학원생 20명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패러디 시 쓰기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교수-학습이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며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학습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패러디 시 쓰기를 활용한 한국어문화 수업은 학습자들에게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을 넓혔고 한국문화에 대해서도 학습자들 간에 활발한 의견교환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가 차후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교수-학습 설계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도 기대한다. This paper i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using Korean literature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Targeted students were Korean minor students in Hong Kong taking < Korean Through Media >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Korea enrolled in <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 This paper poses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hrough writing poetry using parody, utilizing Korean modern poetry. Webex and Zoom were used as the primary online tools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writing poetry using parody in a synchronous, online setting activates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proves to be effective in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Korean cultural class writing poetry using parody not only increased the learners’ interest and level of understanding regarding Korean literature, but also allowed learners to actively exchange ideas on Korean culture. Reflecting on student feedback, it was found that the anxiety of writing could be reduced and interaction among learners could be activated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Drawing from such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when other instructors desig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argeting domestic and foreign Korean students learning online synchronously.

      • KCI등재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 설계와 구축

        정채관 ( Jung¸ Chae Kw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사용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설계하고 구축한 대규모 공개형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에 관한 소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개 대학의 대학생과 만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영어 학습자 3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듣고 요약하여 말하기와 읽고 요약하여 평가를 각각 실시한 후, 유럽 공통 언어 기준(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의 영어 말하기 등급을 A1, A2, B1, B2, C1, C2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평가는 교육경력 5년 이상의 영어 원어민 3인이 교차 검토를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고, 이후 연구 참여자의 음성 파일을 전사하여 텍스트화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참여 인원 237명, 총 474개의 텍스트, 36,588 토큰, 1,799개 타입을 포함하는 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가 완성되었다. KELSC에는 특정 대학이 아닌 국내 10개 대학의 재학생과 성인이 참여하였고, 시험 상황에서 인터넷이나 영어 사전 등 보조 수단이나 도구의 도움 없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실시간으로 발화하는 것을 채집한 국내 최초의 공개형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이다. KELSC가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하며, 이를 위해 KELSC를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This study is an introduction to the first large-scale public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designed and built in Korea to understand aspects of Korean learners’ use of English-speaking patterns. Over 300 ordinary Korean adults and students from 10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English-speaking performances were recorded using a real-time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 The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and their English-speaking was assessed on a scale with six grades: A1, A2, B1, B2, C1, and C2. For evaluation, the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cross-examination by three native English speakers with over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at university level. The participants’ voice files were transcribed using MS Word 2019 and converted into plain text using Notepad++ v8.1.1. Through this process, the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 켈스크), which involves 237 participants, 474 texts, 36,588 tokens, and 1,799 types, was completed. KELSC is the first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in Korea to collect the real-time utterances of Korean English learners without the help of an English dictionary or the Internet, allowing it to be used in many ways for research purposes. KELSC will be available for free download if a user agrees to the terms of use through the website of the Institute for Corpus Research,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CIS지역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교육에 대한 소고 -한국어 교사 FGI를 중심으로-

        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1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Koryeoin youths as a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results of FGI and the survey of Koryeoin youths were combined to find out the task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IS region. For this, FGI was conducted by nine Korea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anguage Intensive Camp for Koryeoin youth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enagers as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as follows: the search for identity as Koryeoin,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enhanced grammar and writing, and the ability to use vocabulary closely related to Koryeoin‘s everyday life. Based on this,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one by using media and projects, strengthening exchange and cooperation programs with Korean youth, and us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not only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ut also Korean language pedagogy education was requir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yeoin language teachers, a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status and treatment of Koryeoin teachers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should be preceded. 고려인은 민족적으로 한민족이라는 의식은 있으나 한국어는 능숙하게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녀 세대에게는 한국어를 가르쳐야 한다는 의식의 고양과 한국의 경제적 발전과 한류 등의 영향으로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에 대한 관심과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마음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외동포재단에서 주최한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집중캠프에 한국어교사로 참여한 9명을 대상으로 학습자로서의 고려인 청소년의특징과 이들의 한국어의 특징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이 결과와 캠프에 참여한 고려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CIS지역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고려인 청소년의 한국어 학습자로의 특징으로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 탐구, 문법/쓰기가 강화된 한국어 능력, 고려인 일상생활에 밀접한 어휘 사용 능력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CIS 현지에서 이루어지는한국어 교육에 대한 제언으로 미디어, 프로젝트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한국 청소년과의 교류 협력 프로그램 강화,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향상을 위해 한국어 능력뿐 아니라 한국어 교수법 교육이 필요하고 전문적인 직무 수행을 위한 현지 교사의 지위와 처우에 대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폴란드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및 전망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8 No.1

        폴란드에서 한국문학 번역은 한국전쟁 이후인 1950 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이후 북한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한국어문학자들이 생겨나고, 바르샤바 대학교에 한국어문학과가 개설되면서 구체화되었다. 1989년 체제전환 이후 대한민국과의 교류가 본격화되면서 한국 문학 작품의 소개가 늘어났지만, 아직도 번역작업의 활성화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폴란드 출판시장에 소개된 한국 관련 저서들은 아직도 북한에서 출판된 것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무엇보다 현재 한국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젊은 작가의 작품들은 번역, 출간 된 적이 없다. 앞으로 폴란드의 일반 독자들에게 21 세기 한국문화의 새로운 연모를 알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한국문학을 번역, 소개할 필요가 있다. 현 시점에서 폴란드 출판시장이 목말라하고, 폴란드의 독자들이 기대하는 21세기 형 외국문학 작품의 첫 번째 요건은 한국적인 감성과 범세계적인 정서의 적절한 조화라고 할 수 있다. 지금 폴란드 출판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베스트셀러를 살펴보면, 파울로 코헬료나 아멜리 노통브 처럼 국경을 초월하여 범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할 펼요가 있다 장르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시도와 젊은 감각 또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폴란드의 독자들은 영화나 TV 프로그램, 컴퓨터 게임 등 대중문화의 요소들을 실험적으로 도입한 작품들, 또는 기발하고 대담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문화적 특수성이나 지역적 한계를 초월하여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작품들을 원한다. 그 밖에 작품에 대한 소개나 광고도 중요하지만 작가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를 통해 작가의 인지도를 최대한 높여서 그 작가에 대한 고정 독자층을 형성시킬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Poland had started in 1950's which is after the Korean war and had become concrete as the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who had come back from studying in North Korea had appeared and as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had been established in Warszawa University.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had increased as the exchange with Korea had become official after the change of system, the active translation is still not being accomplished. The writings related to Korea introduced in Poland's publishing market are still mostly consisted of the ones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most of all, there are no cases of works by young authors who are currently in active in Korean literary world being translated or published. In order to inform new features and diversity of Korean literature to general readers of Polan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and introduce various Korean literature. The first requisite of 21st century type foreign literary works expected by readers of Poland could be defined as adequate harmony of Korean sentiments and universal emotions. When we take a look at the authors who are getting attention in Polish publication market at this time, we need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y are authors who are getting general popularity beyond the boundaries of countries such as Paulo Coelho or Amelie Nothomb. Also, the independent attempt and youthful sense which is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genres could also be called an important element. Today, the readers of Poland wish for works that have experimentally imported the elements of movies, TV programs or computer games, etc or the works that can communicate freely by transce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r regional limits based on bold imagination. Moreover, although the introduction or advertisement on the work are also important, various strategies to form regular readers on the author by raising the prominence through intensive publicity is required.

      • KCI등재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zech-Korean Interlanguage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3 No.-

        언어 유형론상 자신의 모국어와는 전혀 다른 체코어를 습득하는 한국학생들은 복잡한 체코어의 통사규칙을 배울 때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체코어에 대한 언어지식이 전무한 단계에서 고급수준의 언어구사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위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라는 자신들만의 특이한 언어를 발달시킨다. 즉 이 중간언어는 체코어 습득과정에서 한국학생들이 생성해낸 과도기적 언어형태로서 고유한 언어규칙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든 중간언어는 일련의 전형적인 오류 유형을 보이는데 그 오류의 가장 일반적인 근원은 모국어나 기타 학습자가 기존에 학습한 외국어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한국학생들의 경우 가장 전형적인 오류는 전자의 경우 자신의 모국인 한국어 그리고 후자의 경우 영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한국학생들이 체코어 습득 시, 문장을 구성할 때 나타나는 한국어 간섭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간섭현상을 밝히기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체코어 문법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 특히 초급과 중급 과정의 수강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삼았으며 그들이 직접 생성한 체코어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6가지의 가장 일반적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는, 한국학생들이 외국어를 학습할 때 실제 언어사용(Parole)에 입각해 언어지식을 습득하기 보다는 고립된 언어지식으로서의 언어체계(Langue)를 주로 학습하고자 하는 성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Learning complicated and complex Czech syntactic rules present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and greatest challenges for Korean students when they start to acquire a language so completely different as Czech is from Korean. Korean students learning Czech develop a special language on their own which represents a transitional level between the stage of no knowledge and the stage of highly advanced knowledge of Czech, referred to as Korean-Czech interlanguage. This is gradually developing system of the language of Korean students which has its own set of rules. Naturally, a series of errors occur in any kind of interlanguage and the most common source of the errors appears to be attributed either to the mother tongue or to some other foreign language a learner had learned. For Korean students, the typical error source is Korean in the former case and English in the latter case. This paper considers the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onstructing Czech sentences. To identify this interference, authentic utterances of Korean students from Czech grammar classes (esp.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s) at HUFS are used and 6 types of the most common errors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interference of Korean-Czech interlanguage is assumed to be resulted by the fact that Korean students learn the system (isolated knowledge of langue), but they lack experience and practice in speech (parole).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분석

        노채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1

        This paper aims to analyze phonologically the errors made by Mongolian learners in producing Korean diphthongs. When Korean diphthongs input is given, Mongolian learners reanalyze and adjust it based on their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e Mongolian vowel system and syllable structure, as reflected in their output. As Mongolian has a glide /j/, Mongolian learners do not have much difficulty in producing the /j/ diphthongs of Korean. They show errors in the Korean /j/ diphthongs; /ju/ and /jo/, which reflect the interpretation of the single vowel. Notable errors appear, however, in producing /w/ diphthongs of Korean. Mongolian learners pronounce the Korean diphthong /wi/ as [we] and [i], /we/ as [e], [ue], and [oe], /wə/ as [ə], [uə] and [ua], /wa/ as [a], [ua] and [oa]. These errors can be classified as glide deletion, vowel separation, and vowel reinterpretation, respectively. Finally, they produce [i], [ɨ], [ɨi] and [ui] for Korean /ɨj/, indicating that they do not grasp the structure of Korean /ɨj/ but realize it through vowel deletion, vowel decomposition and vowel reinterpretation. 본 연구는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이중모음이 입력되면 몽골어 모음 체계의 내적 구조와 음절 구조를 바탕으로 재해석과 조정을 하여 출력한다. 몽골어에 활음 /j/가 존재하므로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의 /j/계이중모음 산출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ju/와 /jo/에 대해 오류를 범하는데 이는 단모음의 내적 구조의 해석이영향을 준 오류이다. 주목할 만한 오류들은 한국어의 /w/계 이중모음에서나타난다.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wi/를 [we], [i]로 산출하는 오류를 보이고 한국어의 /we/를 [e], [ue], [oe]로 산출하는 오류를 범한다. 그리고 한국어의 /wə/를 [ə], [uə], [ua]로 한국어의 /wa/를 [a], [ua], [oa]로산출하는 오류를 범한다. 이러한 오류들은 활음 탈락, 모음 분리, 모음 재해석으로 분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ɨj/를[i], [ɨ], [ɨi], [ui]로 산출하는 오류를 범한다. 이는 한국어의 /ɨj/의 구조를바르게 인지하지 못한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모음 탈락, 모음 분리, 모음재해석의 과정을 통해 산출된 오류로 분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