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고문서의 외형적 비교 고찰 -령남(嶺南)과 휘주(徽州)를 중심으로-

        정진영 ( Jin Young Jung ) 한국고문서학회 2014 古文書硏究 Vol.45 No.-

        이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고문서를 분류체계와 내용, 외형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상호비교 해 본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고문서는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그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다. 같은 한자를 사용하지만 용어나 투식어가 다르며, 지질(紙質)과 문서의 규격의 차이도 확연하다. 한국의 고문서들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보다는 규모를 크게 함으로써 외형적 권위를 과시하는 데 보다 큰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많은 정보를 수록해야 할 경우에 중국에서는 낱장의 두루마리가 아니라 帖으로 제작함으로써 활용과 보관에 있어서의 편리함을 기하였다. 중국의 휘주(徽州)와 한국의 령남(嶺南)은 다량의 고문서를 소장하고 있다. 이것은 두 지역이 유교문화의 중심지이고 종족사회(宗族社會)의 성장ㆍ발달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휘주에서는 종족이 중심이 된 부역(賦役)문서와 상업(商業)문서 등 구체적인 사회경제 관련 문서를 보다 많이 생산해 내었다면, 한국의 영남에서는 종가(宗家)로 대표되는 가문을 중심으로 간찰(簡札)과 만(輓).제문류(祭文類)의 의례적(儀禮的)인 글들을 대량 생산해 내었다. 중국 휘주의 종족사회가 ‘생계 유지’에 심혈을 기우렸다면, 한국 영남의 종족사회는 ‘명분(名分) 유지’에 급급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외형과 다과에 따른 평면적인 것에 불과하다.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비교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compares Korean and Chinese ancient documents in terms of classification system, contents, and external and formal aspects. Despite their similarities, Korean and Chinese ancient docum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styles and contents. Although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terms or words of fixed tone are different, and paper quality and document size are also distinctively different. It seems that Korean ancient documents highlight their scale rather than contents, showing off prestige. To record much information, Chinese documents were manufactured as albums rather than as rolls, thereby ensur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keeping. Huizhou in China and Yeongnam in Korea keep large archives of ancient documents, apparently because the two regions were the hubs of Confucian culture and shared the sam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thnic societies. However, despite this homogeneity, Huizhou produced more socioeconomic documents such as ethnic documents on forced labor and commercial documents. Meanwhile, Yeongnam produced a large amount of head families`` letters and ritual documents of condolence and ancestral rites. Ethnic societies in Huizhou strove to earn livelihoods, while ethnic societies in Yeongnam struggled to maintain dignity. But this evaluation is just of basic nature based on external factors and the quantity of documents. Research needs to be furthered.

      • KCI등재

        조선시대 사송(詞訟)에서 제기되는 문서의 진정성(眞正性) 문제들

        심희기 ( Hui Gi Sim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필자는 ‘1578년 노비결송입안 傳准’ 문서 (이하 ‘1578년 문서’로 약칭함)를 읽으면서 이 문서는 ‘현대 증거법’의 ‘진정성(authentication)’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하면, 한편으로는 조선시대의 문서관련‘실무(practices)’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고, 다른 한편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의 역사적 의미를 공증의 역사의 차원에서 깊이 이해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라는 直感을 하게 되었다. Ⅱ에서는 ‘多勿沙里(班春)등 노비소유권분쟁’에서 제기된 진정성 문제의 개요를 정리하고, Ⅲ에서는 현대증거법의 ‘증거연쇄’ 개념으로 포섭할 수 있는 조선시대 사송실무의 여러 모습들을 포착하려고 한다. ‘증거연쇄’ 문제도 넓은 의미의 진정성 문제에 포섭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음에 어느 나라 어느 장소에서든 증거의 진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나 제도적 장치가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Ⅵ에서는 증거의 진정성을 확보하려는 법제적 장치의 일환으로 조선시대의 보통법으로 채택된 대명률과 일종의 특별법격인 국전의 처벌조항들을 추적하여 조선시대 입법자의 의도를 다소간 헤아려 본다. 다음에 神이 아닌 이상 어느 누구도 ‘증거·문서의 진정성을 용이하게 정확히 가늠’할 수는 없다. 인간으로서는‘증거·문서’의 생성·보존요건을 규제하여 그것들의 생성과 보존 단계에서 일정한 조건을 구비하면 진정한 것으로 추정(이를 ‘진정성 추정’이라 한다)하는 제도적 장치(regime)를 만들어 그 장치를 활용하는 것이 인류사의 보편적인 대응방식이다. ‘公證(notary)체제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한국근현대사를 바라보면 대체로 (1) 조선시대의 ‘立案·立旨의 공증체제’가 (2)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의 공증체제’의 과도기를 경유하여 (3) 현대한국의‘각종 臺帳-登記簿·家族關係簿) 공증체제’로 진화해 갔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Ⅴ에서는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과 그 시행세칙’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것이 (1) 조선시대의 ‘입안·입지의 공증체제’와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을 대략적으로 분석한다. Ⅵ에서는 이상의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차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이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詞訟에서 官僚와 民人들이 문서의 ‘진정성(립)’이나 그에 필적하는 다른 추상적인 개념을 만들어 사용한 것은 아니지만 현대증거법에서 ‘진정성’이라는 추상적 개념으로 포섭하는 문제를 현실에서 인지하고 있었고, 당시 사람들은 사실상 이 문제를 소송상 주장하고, 반박하고, 재반박하는 담론을 전개하고 있었다. ‘1578년 문서’는 이 점을 입증하여 주는 문서이다. 현대한국의 민사소송법은 문서의 ‘진정성’ 개념을 사용하고 있고 형사소송법도 증거의 ‘진정성’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1578년문서’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그 개념의 유용성은 19세기 말 일본인들에 의하여 이른바 ‘근대적인 사법제도’가 移植되기 이전에도 이미 조선시대의 관료나 쟁송 당사자들에게 소박하게나마 알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증체제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한국근현대사를 바라보면 대체로 (1) 조선시대의 ‘입안·입지의 느슨한 공증체제’가 (2)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의 공증체제’라는 과도기를 경유하여 (3) 현대한국의 ‘대장-등기부 공증체제’(가칭)로 진화되어 갔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1)의 체제가 봉착한 구체적 문제를 드러내 (2)의 단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논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로마와 서양 중세에서 발전한 公證人(notary) 제도와의 비교’라는 시각을 전혀 부각시키지 못하였다. 향후에 이런 비교사적 시각에서 (1) 조선시대의 ‘입안·입지의 공증체제’, (2) ‘1906년의토지·가옥증명규칙의 공증체제’, (3) 현대한국의 ‘대장-등기부 공증체제’를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First, I raised an issue in this article whether there had been happened something like authenticity issues in the pre-modern Korean lawsuits(SectionⅠ). The short answer is that although there were no such abstract concepts like authenticity or authentication, pre-modern Korean parties raised, argued, and defended various issues which could be understood clearly authenticity related problems. Second, I chose a very long trial trans-script about slave ownership lawsuit of late 16th century Choson period as a sample evidence. The trial trans-script not only described all the arguments of both parties, but also all the procedures which were taken word by word. I depicted the gist of the lawsuit and analyzed it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authenticity and chain of custody issues (Section Ⅱ&Ⅲ). Third, prohibition and punishment of the forgery of official or private documents are very useful and important to secure authenticity and chain of custody of documents, so I scrutinized the legal regime of Choson period meticulously (Section Ⅳ). Fourth, I compared so called Ib-an·Ib-ji system, which was a kind of public notary regime of Choson period, with that of the Act of public notary of ownership of land and house which was promulgated in the year of 1906 modern Korea. Finally, I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o a study which scrutinize the history of public notary in the West and the East from the viewpoint of comparison, what were the differences and uniqueness`s and what were the results et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奉謨堂 奉安 冊文의 현전본 고찰

        장을연 한국고문서학회 2019 古文書硏究 Vol.55 No.-

        奉謨堂은 1776년 列聖의 御製, 御筆 등 典謨資料를 보관하기 위해 설치된 藏書 시설이다. 이후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장서의 증가와 관리의 편의 등을 이유로 장소의 이동과 건물의 확장, 관리 부서의 변동 등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그러나 전모자료를 보관하는 특수 시설로서의 역할을 유지하였다. 봉모당 장서는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으로 이관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봉모당 장서가 타 자료와 혼재되면서 온전한 봉모당 장서의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게 되었다. 봉모당 장서의 원형 복원은 봉모당 자료 연구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다. 본고는 봉모당 장서의 여러 종 가운데 冊文類를 대상으로 봉모당 서목과 장서각 소장품을 비교하여 봉모당 장서 원형 복원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15세기 이두 편지 사례 연구 -이번(李蕃)의 가내서간(家內書簡)을 중심으로-

        안승준 ( Seung Jun Ahn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2007년 경주 양동마을 여주이씨 회재 李彦迪의 종가에서 이두문 서간이 조사, 발굴되었다. 바로 李蕃(1463∼1500)이 그의 아버지 李壽會(1431~1518)에게 쓴 편지였다. 현존하는 이두 편지로는 1468년(세조 14)에 작성된 金宗直(1431~1492)의 어머니 밀양박씨와 아내 하산조씨의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15세기 이두 편지는 한글 창제를 전후한 시기의 언어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李蕃의 서간은 경주 양동마을 여주이씨 종가에 永慕帖이라는 책자에 편집되어 있으며 모두 15건에 달한다. 영모첩은 회재 이언적의 先系 및 직계 후손들의 친필 遺墨을 모아 편집한 책자이다. 이언적의 유묵 대부분은 경주시 안강읍 옥산마을 獨樂堂에 거주했던 李全仁의 후손들이 보관하였다. 영모첩의 註記 사항을 분석해보면 그 제작 의도가 無첨堂, 즉 양동마을 이언적 종가의 위상을 확립하려는 의도에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번의 편지 내용이 매우 소략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보존되어 온 것은 이같은 배경에 기인한다. 본 논고에서는 1480~90년대에 제작된 이번의 편지를 탈초·번역하고 그 내용과 가치를 분석·검토한 것이다. 편지 분석을 통해 밝힌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지의 대부분은 주어 + 술어가 기본이 되는 단문구조로 되어 있다. ‘而’字 등 접속사가 거의없고 고사성어를 사용하지 않아 문장이 난해하지 않다. 이에 대부분 10자 이내에 주·술어, 동사·목적어가 위치해 정격 한문에 비해 문장파악이 쉽다. 동사가 미치는 범위가 지극히 짧고 載送, 計送 등우리식 복합동사를 사용하여 정격 한문의 난해함을 극복하였다. 이두편지가 최대한 당시 사람들의 언어구조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한자는 동일한 글자를 가지고 명사와 동사 목적어로 쓸 수 있다. 한문에서 문리는 수시로 변하는 한자의 용도를 적절히 구사하거나 이해하는 데 있다. 이두문을 사용한 15세기 사람들은 문법상 전혀 그럴 필요가 없었다. 둘째, 이두문의 단점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문장으로 된 長文이라는 점이다. 전형적 고문서는 접속사 성격의 이두 爲乎矣(하오되), 是乎.(이오며) 등과 같은 접속사를 사용함으로써 중간에 끊어읽기가 어렵다. 이두편지에는 적절한 종결사를 사용해 이같은 단점을 극복하고 있다. ~敎事, 右味, 聞是白次와 같은 문투의 사용이 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요컨대 이번의 이두 서간은 한자를 빌어서 썼지만 우리말 어순에다가 단문형식을 갖추어 구사하기 쉬웠고 授受者의 이해도 또한 높았다. 또한 명사와 동사 목적어 사용이 당시 사람들의 언어 체질에 맞도록 구사되어 정격 한문의 난해함을 극복하였다. 셋째, 빈번하게 주고 받은 膳物은 부자 사이가 아니더라도 양반가의 통상적 물물교환이자 관행이었다. 이번이 살고 있던 양동은 큰 내가 흐르는 川邊인데다가 바다와 가까워 大口 小魚 乾銀魚 靑魚醯乾巨魚 黃魚 白條 등 민물 및 바다고기를 구득하기가 용이하였다. 15세기 단백질 원으로서 물고기가차지하는 비중을 가늠해 볼 수 있다. 한국식 한문이 구사되었다는 점에서 15세기 이번의 편지는 어학사적 의미가 크다. 문자는 달랐지만 문장의 주어 술어 구조와 동사 명사 사용이 한글의 그것과 방불하기 때문이다. 이점은 전형적 고문서에서 구사되는 문장구조와 흡사하다. 이두편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를 거쳐 1960년대 편지 투식집에까지 ‘上白是(샹.이)’라는 이두문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을 보면 그 생명력이 매우 길었음을 알 수 있다. 아마도 한글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우리도 일본처럼 한국식 한문, 이두문을 사용하였을 것이다. Idu letters were discovered in the head house of Yeoju Lee clan of Hoejae Lee Eonjeok(李彦迪) in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in 2007. Lee Beon(李蕃,1463∼1500), father of Lee Eonjeok, wrote them to his father, Lee Suhoe(李壽會,1431~1518). The Idu letters in the 15th century showed language usages of the period around the invention of Hangeul. Thus they are highly significant material. The letters were 15 in total and compiled in a book, Yeongmocheop(永慕帖), in the head house of Yeoju Lee clan in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The author translated and analysed the Idu letters and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sentence structure was simple with a subject and a verb without connectives such as /i/ ‘而’. Idioms from ancient events weren``t used. Thus they were easy to comprehend. Subjects and verbs, and verbs and objectives were placed near within 10 characters. Compound verbs such as Jaesong(載送) and Gyesong(計送) with Koreanized usage also made comprehension easier. The same Chinese characters could be used as a subject, a verb, and an object. That makes comprehension difficult but the Idu letters didn``t have the problem. Second, some Idu sentences in other materials werelong and difficult to comprehend with connectives such as Haodoe(爲乎矣) and Iomyeo(是乎미). However, the Idu letters in question overcame the difficulty with proper endings such as Gyosa(敎事), Umi(右味) and Munsibaekcha(聞是白次). Although the Idu lettered used Chinese characters, they kept Korean word order with simple sentence structure, making composition and comprehension easy. The use of nouns, verbs, and objects followed the language system of people of the period thus made the letters understood more easily. Third, the letters revealed the custom that frequent gift giving was means of a barter exchange between father and son and among noble families. Yangdong is located on a river near sea thus with abundant supply of fish such as a cod, small fish, dried sweetfish, a herring, dried Spanish mackerel, a sturgeon and a croaker. The importance of fish as a protein source at the time was understood clearly.

      • KCI등재

        한국 고문서의 특징 -명칭문제를 중심으로-

        정구복 ( Jeong Gu Bog ) 한국고문서학회 2003 古文書硏究 Vol.22 No.-

        This paper is designed to erudite theoretical guidelines of the Project of Standardization for Cataloging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古文書整理標準化硏究). The writer examines what made this project necessary and attempts to investigate some characteristics in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as one of the underlying researches for the project. In this paper, the title and designation of each manuscript are mainly dealt with. They are fallen broadly into the two categories; manuscripts written in previous periods of the ChoGn dynasty and those of the Chosdn dynasty. The Chosdn manuscripts, in particular, are divided into the two kinds of documents of whether they were written before the issuing of The Chosdn National Me ,Ky?ngnuk-taej?n(經國大典) or not. Though the unified titles of documents made before issuing The Chosiin National Code are not clearly acknowledged, those of official documents written after the issue were codified in the Articles of Rites (禮典) of The Chosdn National code. The official documents have not their own specific titles in general, however, it is not hard to entitle them because official documents were merely designated according to the Articles of Rites. This paper explores the titles of documents both official and in-official, and points out the causes to make them confused. The writer suggests the following guidelines in cataloging historical manuscripts; several important stages handling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include deciding their accurate terms and classifying them as well. In the case of designation, various titles and types showed in documents with the same contents should be generalized as a unified title, which covers throughout the periods. In other side, each title of documents that has been most frequently appeared should be accepted as the unified one, which includes similar contents with the original documents. Therefore, the tablet of the unified titles may be corrected when all guidelines mentioned before will be deeply discussed. It is reasonable that historical manuscripts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contents, and the designations of classified documents are determined in the context of today`s concept.

      • KCI등재

        국내 소장 만문(滿文) 문서(文書) 소개

        홍성구 ( Sung Ku Hong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7 No.-

        이 논문은 한국에 소장된 滿文 문서를 발굴하여 그 내용과 특징을 소개한 연구이다. 조선과 청조가 朝貢·冊封의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고, 양국 사이에 외교 문서가 빈번하게 오고갔던 사실을 고려하면, 한국에는 청조에서 보낸 상당량의 만문 외교 문서가 존재할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 조사 결과, 현재 한국에 보존되어 있는 만문 외교 문서의 수량은 극히 적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조선 국왕이 청 황제에게 보낸 表文이 2점 있다. 이 문서는 조선측에서 漢文으로 작성한 原文에 청조측에서 만문으로 번역한 번역문을 첨부하였다. 외국에서 漢文으로 작성하여 발송한 문서를 청조에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 번역하였는지를 추론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서울대학교 奎章閣,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에는 청조가 공식적으로 보낸 만문 외교 문서인 강희제 황후의 崩御를 알리는 勅諭가 1점, 조선의 국왕 및 王世子, 王世弟의 책봉을 위해 발급된 誥命과 그에 딸린 부속 문서 7점이 있다. 이들 誥命 문서는 대부분 英祖와 관련된 것이고, 영조 어머니의 神主를 모신 毓祥宮에서 보관하던 유물이다. 다른 외교 문서와는 별도의 장소에서 관리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전해질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대구가톨릭대학 박물관에는 청 황제가 임명한 관리와 그의 부모 및 처에게 品階를 내리는 誥命이 4점 있다. 이 문서의 주인공인 퉁時茂와 海蘭察에 관해서는 중국과 대만에 관련 사료가 산재해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울대학교 도서관에는 청말(1908~1910) 청 황실에서 주관한 각종 제사의 祭文 33점이 소장되어 있다. 청 황실 제사 의례의 거의 마지막을 장식한 제문이라는 점에서 흥미롭고, 청 황실의 제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마지막으로 고려대학교 도서관에는 科擧 시험 중 만주어(당시에는 淸語) 譯官을 선발하는 譯科의 시험 답안지 1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것은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의 실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Manchu script documents that I have found in Korea. Considering the fact that Joseon and Qing dynasty established tribute-investiture diplomatic relations and frequently exchanged diplomatic notes, it is natural to assume that there are still in Korea a great deal of Manchu script documents that had been sent from the Qing dynasty. However,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I found that there remained little collection of Manchu script diplomatic notes in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ossesses two Biaowen 表文 which kings of Joseon sent to emperors of the Qing dynasty. These documents are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Chinese documents into Manchu that were completed and attached to the original documents by the Qing government. They provide precious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in which the Qing government translated diplomatic notes written in Chinese into Manchu. Kyujanggak 奎章閣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ossesses a Imperial Edict, Chiyu 勅諭 which was issued to announce the demise of the queen of the Emperor Kangxi. Jangseogak 藏書閣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olds seven imperial documents (three written appointments, i.e, Gaoming 誥命, included) that were issued to install Korean King and Crown Prince. These documents are mostly related to King Yeongjo 英祖, and previously they had been held by Yuksanggung 毓祥宮, which is a shrine where the spirit tablet of King Yeongjo’s mother have been served. I suggest this is how these documents have been preserved. That is, they remained intact because they had been kept in Yuksanggung separatedly from other diplomatic document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Museum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hold four appointment documents that were sent to bestow official ranks to Tung si moo 퉁時茂 and Hailanca 海蘭察 and their parents and wives by the Emperor of the Qing dynasty. I believe that we need further study about Tung si moo and Hailanca because their records are scattered in China and Taiwan. In addition, the Libr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ossesses 33 letters of memorial rites that were held by the Qing imperial household (1908~1910). These documents are interesting in that they cover the memorial rites in the last years of the Qing dynasty and help us understand the ritual of the rite. Finally, the Library of Korea University possesses an examination paper that is related to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official interpreters. This document is important in tha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사(朝謝)의 사용 의미와 문서식(文書式)

        박성종 ( Seong Jong Park ) 한국고문서학회 2013 古文書硏究 Vol.42 No.-

        朝謝는 한국한자어이다. 이 단어는 16세기에 조선에서 간행된 字學書들을 감안해 볼 때 朝와 謝의 대표적인 새김을 결합한 것으로서 그 본뜻이 ``뵙고 사례하다``이며, 관리 임명의 경우엔 관원으로 임명된 자가 조정에 나아가 임금에게 謝恩하는 일을 가리키는 단어였다. 朝謝의 가장 보편적인 사용 의미는 관원의 자격을 심사하는 일이다. 따라서 朝謝와 署經은 근본적으로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그런데 朝謝는 또한 모든 朝謝 과정 및 절차를 모두 마치고 해당 아문이나 受職者에 보낸 문서를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 문서를 일컫는 경우엔 行移 체계명을 배합하여 朝謝貼, 朝謝關, 朝謝牒 등으로 호칭함이 바람직하다. 高麗末에서 조선 왕조의 太宗 대까지는 조사 문서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朝謝牒을 줄여 謝牒으로 주로 사용하였다고 판단된다. 太宗 이후에는 朝謝가 敎牒을 대신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世宗 말기로부터 점차 敎牒을 일컫던 데에서 告身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바뀌어 사용되었다. 告身을 朝謝로 대신하여 칭하던 관습은 광해군 대에까지 이른 것으로 실록 기사에서 확인된다. 현전 朝謝 문서들의 시기 구분은 심영환·박성호·노인환(2011)에서의 박성호 님의 견해에 따르되, 『經國大典』 禮典에 준하여 각 시기별 문서식을 재구해 보았다. 禑王 2년(1376) ∼太祖 2년(1393)의 제1기 朝謝 文書式은 행이 체계를 명시하는 문구가 없으나, 본문이 국어 어순을 따르며 이두토뿐만 아니라 한자 上과 斜가 일종의 文書語로서의 독특한 용법을 지녀 이두문으로 사용되었음이 특징이다. 태종 2년(1402)∼세조 2년(1456)의 제2기 朝謝 文書式에서는 문서의 행이 체계 명칭이 표시되고, 발급 관원의 서압이 높은 관직부터 위에서 아래로 적어 내려오는 上下着官型이며, 吏文으로부터의 수용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下達과 平達에 따른 기재 방식과 표현 문구의 차이도 발견된다. 세조 3년(1457)∼ 세조 11년(1465)의 제3기 朝謝 文書式에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이두를 삭제하고 吏文으로 전환하고자 한 것이나 문서식이 정착되지 못하고 혼란된 양상을 보이는 점이다. 조선 초기에 관리의 임명 문서가 官敎와 敎牒 체제인 경우에 朝謝 문서는 官敎와 나란히 告身에 속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朝謝 문서는 본질상 일종의 심사 통지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고려 말엽과 태종 때까지 朝謝 문서는 謝貼으로 호칭되었으므로 이것과 달리 여말선초의 職牒의 존재 그리고 양자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과제로 남겨 두었다. Josa(朝謝) is a Sino-Korean word, which originally referred to ``to pay one`s reverence and offer cordial thanks``. Its most popular use meaning was ``paying his low reverence and offering cordial thanks to his highness for being appointed as an official subordinate.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word seogyeong(署經) which means the whole procedure for checking ability or capacity of an official subordinate or a regional governor scheduled to becoming appointed. And it sometimes had been used for representing the documents delivered to persons or government office concerned after doing seogyeong. Lately it was even used for representing one of appointing documents or appointing document itself. The existing period of josa documents preserved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eriod dated back from the year 1376 AD to 1393. It shows that the josa documents were written in Korean idu sentences. The second period extended from 1402 to 1456. In this period the standard style of josa documents was somewhat changed, for examples; methods of signing downwards from the top level to the lower level officials, writing and sealing the title name according to the documents`` delivery devision, borrowing a few Chinese government official sentences imun(吏文), and so on. The last third period spanned 9 years from 1457 to 1465. But the standard style of this last period was not neatly confirmed and idu elements were totally disappeared. It is true that the appointing documents comprised gwangyo(官敎) and josa documents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Choseon dynasty. In spite of this fact josa dodument is essentially one of records for noticing the appointment. There were jikcheop(職牒) documents which worked as the other appointing documents in those times. It should be explained that what jikcheop documents were and what relationship they have with Sacheop(謝牒), which were once another name of josa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