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 5·6학년군 보건교과 내용요소 적절성 연구

        조현아 ( Cho Hyuna ),송정혜 ( Song Jeunghye ),김경란 ( Kim Gyoungran ),박세은 ( Park Seeun ),심상희 ( Sim Sanghee ),이경순 ( Lee Kyungsun ),이은숙 ( Lee Eunsook ),이정희 ( Lee Junghee ),이지은 ( Lee Jieun ),이지혜 ( Lee Jihye ),이혜 한국보건교육학회 2020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6 No.1

        본 논문은 초등학교 5·6학년 보건교과 내용요소 적절성 연구로서, 교과서와 장학자료 분석을 통해 보건교과 영역별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내용요소가 초등학교 5·6학년 군 보건교과 내용요소로서 적절한지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집단 간 이해차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5·6학년군 보건교과 내용체계를 4개 영역, 20개 핵심개념, 64개 내용요소로 제안하였다. 4개 영역은 ‘건강의 이해와 질병’,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안전과 응급처치’, ‘건강자원과 사회문화’이다. ‘건강의 이해와 질병’ 영역은 3개의 핵심개념과 8개의 내용요소,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은 3개의 하위 영역, ‘약물·담배·술’, ‘성건강’, ‘정서·정신건강’과 13개의 핵심개념, 39개의 내용요소, ‘안전과 응급처치’는 2개의 핵심개념과 8개의 내용요소, ‘건강자원과 사회문화’는 2개의 핵심개념과 9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한 보건교과 내용요소에 대해 학생, 학부모, 교사집단 모두 초등학교 5·6학년 보건교과 내용요소로서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각 내용요소별 평균값은 4.11~4.69의 분포를 보였다. 각 영역별 평균값은 ‘건강의 이해와 질병’이 4.22~4.55,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이 4.11~4.62, ‘안전과 응급처치’가 4.40~4.69, ‘건강자원과 사회문화’가 4.22~4.46이었다. 각 영역별 집단 간 평균값의 차이를 보면, ‘건강의 이해와 질병’ 영역, ‘약물·담배·술’ 영역, ‘안전과 응급처치’ 영역은 교사 집단이, ‘성건강’ 영역은 교사와 학부모 집단이, ‘건강자원과 사회문화’ 영역은 학생 집단의 평균값이 대체로 높았고, ‘정서·정신건강’ 영역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015개정교육과정이 전면 적용되는 현재,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이 강조되나, 국가수준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보건교과 교육과정이 없다는 것은 실제보건교육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음에도 무엇을, 어떻게 되도록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점이 없음을 의미한다. 비록 교사별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교사가 교육과정 전문가임에 틀림없으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제시되어야 교육과정 안에서 교사는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보건교과 교육과정의 마련이 시급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scholarship materials, extracted the content elements according to the health subject areas, and then surveyed the questionaire on the sample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o see if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appropriate, finally analyzing the understanding difference of the groups. First of all, this divided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to four areas, 20 key concepts, and 64 content elements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The four areas are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Healthy Choice in Life," "Safety and First Aid" and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area has three key concepts and eight content elements. “Healthy Choice in Life" has three sub-area areas; "Drugs, Tobacco and Alcohol".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13 key concepts; "Safety and First Aid" has two key concepts and eight key content elements;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has two key concepts and nine content elements. All the sample groups responded the health subject content elements extracted from this study to be appropriate as those for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verage value of every content element was distributed at 4.11 to 4.69. The average values of every area are following: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4.22-4.55; “Healthy Choices in Life”, 4.11-4.62; “Safety and First Aid”, 4.40-4.69;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4.22-4.46.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average values between groups of different areas, the average values of the areas of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Drugs, Tobacco and Alcohol," and "Safety and First Aid" are high in the group of teachers, those of the area of “Sexual Health” are high in the groups of teachers and parents, those of the areas of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are generally high in the group of students, and those of the area of "Sentimental and Mental Health"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present situation under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although teachers' literacy on curricula and ability to reconstruct curricula are emphasized, the fact that there is no curriculum for the health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suggested at the national level actually means that there is no criterion on what and how to teach it in spite of teaching the health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cene. It is sure that every teacher's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teacher must be an expert in the curriculum, but, nevertheles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have to be presented so that the teacher can display his or her expertise within the curriculum.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a health subject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Labor union associate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on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

        박경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7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4 No.5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labor union asociate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status on SHEW and analyzed these two Constructs corelations with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SHEW) in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industries. Methods: Self-administered survey was sucesfuly finished by 103 labor union asociates (91 employed in 78 manufacturing companies and 12 employed in 12 constructing companies over 12 areas). Two questionnaires, survey direction slip, the official leter to ask survey participation from Korea Ministry of Labor, and a posted envelop to return were delivered to each workplace labor union ofice in conveniently selected companies. Most participants' companies were at least medium to large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most associates were men and maried. A survey questionaire exam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EW status (participation status included), and perceptions of SHEW. Results: Overal, manufacturing companies had beter infrastructures for SHEW, employer support for SHEW, and curent educators' competencies than constructing companies. These infrastructures for SHEW were closely corelated with company labor union participation on SHEW and the corelation coefficients were greater than any other expectations or needs variables for SHEW. Conclusions: The primary strategies for beter participation and support from labor union need to be developed in supporting for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s related to SHEW and strengthening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supervisors or educators at work.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제조업과 건설업 사업장 노동조합관계자들의 사내 안전보건교육에대한 인식과 참여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103명의 노동조합 관계자들(78개 제조업 산업장의 91명, 12지역의 12건설업 노동조합관계자)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기업체산업안전협의회의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제조업과 건설업사업장을 임의로 선정하고 선정된 사업장별로 설문지 2부, 노동부의 설문조사 협조공문, 설문조사 안내문, 설문회수용 봉투로 구성된 우편물을 사업장 노동조합사무실로 배달하는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80% 이상이 소속 사업장 규모가 50인 이상이었고 대부분이 결혼한 남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내용은 대상자와 대상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 특성, 노동조합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 노동조합의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제조업사업장에 건설업 사업장에서보다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인적, 물적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었고 사업주의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지원도가높았으며, 사내 안전보건교육 담당자들의 교육역량에 대한 인식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인적, 물적 인프라는 사업장내 노동조합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정의 상관관계가있었으며 그 정도는 중등도 이상의 수준이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노동조합의 참여와지지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조직적으로 안전보건교육 실시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안전보건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근로자 산업재해에 대한 지식뿐만아니라 사내 안전보건교육을 수행관리할 수 있는 ‘교육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연수프로그램을 확충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Labor union associate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on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

        Kyoung-Ok Park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7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4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제조업과 건설업 사업장 노동조합관계자들의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103명의 노동조합 관계자들(78개 제조업 산업장의 91명, 12지역의 12건설업 노동조합관계자)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기업체산업안전협의회의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제조업과 건설업 사업장을 임의로 선정하고 선정된 사업장별로 설문지 2부, 노동부의 설문조사 협조공문, 설문조사 안내문, 설문회수용 봉투로 구성된 우편물을 사업장 노동조합사무실로 발송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시를 실시하였다. 80% 이상이 소속 사업장 규모가 50인 이상이었고 대부분 이 결혼한 남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내용은 대상자와 대상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 특성, 노동조합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 노동조합의 사내 안전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제조업사업장에 건설업 사업장에서보다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적, 물적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었고 사업주의 사내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지원도가 높았으며, 사내 안전보건교육 담당자들의 교육역량에 대한 인식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인적, 물적 인프라는 사업장내 노동조합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정도는 중등도 이상의 수준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노동조합의 참여와 지지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조직적으로 안전보건교육 실시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안전보건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근로자 산업재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사내 안전보건교육을 수행관리할 수 있는 ‘교육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연수프로그램을 확충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labor union associate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status on SHEW and analyzed these two Constructs correlations with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work (SHEW) in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industries. Methods: Self-administered survey was successfully finished by 103 labor union associates (91 employed in 78 manufacturing companies and 12 employed in 12 constructing companies over 12 areas). Two questionnaires, survey direction slip, the official letter to ask survey participation from Korea Ministry of Labor, and a posted envelop to return were delivered to each workplace labor union office in conveniently selected companies. Most participants' companies were at least medium to large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most associates were men and married. A survey questionnaire exam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EW status (participation status included), and perceptions of SHEW. Results: Overall, manufacturing companies had better infrastructures for SHEW, employer support for SHEW, and current educators' competencies than constructing companies. These infrastructures for SHEW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company labor union participation on SHEW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greater than any other expectations or needs variables for SHEW. Conclusions: The primary strategies for better participation and support from labor union need to be developed in supporting for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s related to SHEW and strengthening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supervisors or educators at work.

      • KCI등재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of Selected Health Professionals in South Korea

        Kim,Sung-Hye,Olsen, Larry K. 韓國保健敎育學會 1997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한국 보건전문가들의 보건행동을 조사하고, 보건행동간의 상호 관련 용인과 보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보건협회 산하의 8개의 조건 관련 학회 중에서 보건교육과 가장 관련이 있는 한국보건교육학회(212명)와 한국보건간호학회(124명) 회원 336명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도구는 미국에서 이미 실시된 여러 보건행동 연구를 기초로 하여 focus group discussion, back-translation, 전문가들의 panel discussion, 그리고 pilot test(사전조사)를 통하여 한국인의 보건행동 연구를 위해 타탕하게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1995년 약 두달동안(11월, 12월), 3차에 걸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4.3%의 응답회수율을 보였고, 응답자들의 보건행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factor analysis(요인분석)와 ANOVA(변량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응답자의 분포는 남자가 33.8%, 여자가 66.2%였고, 응답자의 80.3%가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유하고 있었다. 응답자들의 전공분야는 다양하였고, 그들 중에서 36.3%가 간호학, 24.45가 공중보건학을 전공하였다.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이 학교에 근무하였고, 서울에 거주하였으며, 응답자의 평균 직장 근무연수는 14년 이었다. 2. 응답자들의 보건행동에 대한 요인분석 적용의 적합성을 사전검증하기 위하여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630.37, p〈.00)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의 보건행동을 요인분석한 결과, 17개의 보건행동으로 구성된 네가지 보건행동요인들이 추출되었다. 응답자들의 네가지 보건행동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1) 규칙적인 식사 및 과일 섭취 (2) 음주 및 흡연 (3) 외식, 간식 및 카페인 음료 섭취 (4) 운동 및 휴식 3.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용인과 네가지 보건행동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F=69.59, df=1,203, p〈.05), 교육정도(F=3.48, df=3,199, p〈.05) 그리고 직장(F=4.04, df=3,201, p〈.05)에 따라 음주 및 흡연 행동에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응답자의 직장 근무연수(F=2.39, df=5,185, p〈.05)에 따라 운동 및 휴식 행동에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초등 보건 교과서 개정 과정 연구

        우옥영 ( Woo Okyeong ) 한국보건교육학회 2021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7 No.1

        이 연구는 학교 보건교육에 중요한 매개가 되는 초등 보건교과서의 개정 과정을 탐구하여 법률이 정한 학생들의 학습권과 보건교사의 교육권, 전문성이 침해받지 않도록 개선점을 찾고, 사회적 요구가 있는 새로운 영역에 개방적인 교육과정 및 교과서 체제를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초등 보건 교과서의 개정이 대두된 배경과 보건교육 및 보건 교과서의 개정에 관련된 법률과 규정, 그리고 개정 과정의 정책행위자들의 주장과 대응,쟁점을 살펴봄으로써,무엇이 초등 보건 교과서의 개정에 문제가 되고 있는지, 그러므로 향후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보건교육 등에 관련된 연구 문헌, 교육부와 교육청, 유관 단체의 공문과 관계자에 대한 면담,보도자료,신문기사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 보건과목 고시와 보건교과서의 구분고시, 교육과정의 법제화 등 교육법 체계의 정비,교육자치에 걸맞은 교육과정의 분권화와 이의 법제화 및 교육과정,교과서 협의 구조 등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cent two-year revision process of revising elementary school health textbooks, which is an important medium in school health education, and seeks to improvement points so as not to infringe on students' right to learn about health education, health teachers' right to education and expertise, and find implications for seeking a curriculum and textbook system that are open to new areas of social demand. Accordingly,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amendment of elementary health textbooks,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revision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textbooks, and the process and issues of the revision of elementary health textbooks, it is discussed what is the problem with the revision of these textbooks, and, therefore,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To this end, research literature, official lette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Office, and interviews, press releases,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health textbook’s revis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an elementary health subject notice and classification notice of health textbooks,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law system such as legaliz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decentralization of the curriculum suitable for educational autonomy and consultation structure for a curriculum and textbook that is open to social needs were derived.

      • KCI등재

        A Study on the Requirements for Health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wak,Jung Ok,Wie,Cha Hyung,Kim,Young Bok 韓國保健敎育學會 1995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피기 위해 먼저 현재 자신이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보건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으로 경기도 소재 M, S 중학교의 1, 2학년 전체 학생 688명을 선정하였고, 1994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견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남학생이 59.3%, 여학생이 40.7%였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건강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8.9%,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이 21.1%였다. 또한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68.2%였고, 31.8%의 학생이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에 대해서는 92.7%의 학생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첫째, 보건교과설정에 대해 45.6%가 찬성하였고, 둘째, 보건교육 실시시기에 대해서는 82.8%가 유치원 및 국민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보건교육의 적정시간에 대해 82.4%가 1주일 또는 1달에 1-2시간이라고 하였으며, 넷째, 보건교육 당담교사에 대해서는 63.2%가 보건교육 전문가가 담당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구급처치, 안전교육, 영양, 환경, 음주와 흡연 및 약물남용, 구강보건, 개인위생, 식품위생, 전염병관리, 성교육, 건강과 운동, 정신건강, 비전염성질환 관리, 공중보건, 의료기관의 기능 순이었다. 3.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p<0.01), 형제순위(p<0.05), 아버지의 학력(p<0.01), 어머니의 학력(p<0.01), 학업성적(p<0.05) 이었으며, 보건교육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p<0.05), 어머니의 학력(p<0.05), 학업성적(p<0.01)이었다. 4.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지식에 대해 만족하고 있지 못한 비만족군의 경우 보건교과의 설정에 대해 만족군보다 더 적극적으로 찬성하였고(p<0.05), 보건교육의 실시 시기에 대해서는 유치원 시기부터가 적정하다고 응답하였다(p<0.01). 보건교육의 내용선정에 있어서도 만족군과 비만족군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만족군의 경우는 안전교육, 건강과 운동, 공중보건, 비만족군의 경우는 성교육을 요구하였다(p<0.05). 5.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에 따라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교육이필요하다고 응답한 필요군의 경우 보건교과의 설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였다(p<0.01). 또한 필요군은 보건교육의 실시 시기에 대해 유치원 시기부터가 적정하다고 응답한 반면, 보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 비필요군의 경우는 중학교 이후부터 적정하다고 응답하였다(p<0.01). 보건교육의 내용선정에 있어서도 음주와 흡연 및 약물남용, 식품위생, 건강과 운동, 비전염성질환 예방을 제외한 내용에서 필요군과 비필요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p<0.05).

      • 고등학교 보건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지학 ( Jihak Kim ) 한국보건교육학회 2016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보건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보건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9 보건교육과정과 2015 보건교육과정은 건강증진에 대한 개인 및 사회의 균형적인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성격 및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서 대체로 유사성을 보였으나, 2015 보건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 및 핵심개념을 제시하고, 성취기준의 수를 대폭 축소하는 등 일부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성취기준 용어의 모호성이나 반복, 일부 내용 체계의 비체계성 조정 등은 향후 보건과 교육과정 개정 시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2009 and 2015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 for high school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 characteristic and goals,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in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for high school. As a result, Two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emphasis individual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y are quite similar to characteristic and goals,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but 2015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suggests core competencies and key concepts.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rastically reduced. It provides implication on ambiguity or repetition of some term, adjustment of some unsystematic contents.

      • 혁신학교 성교육 보건수업 프로젝트 사례 연구

        추은영 ( Chu Eun Young ) 한국보건교육학회 2019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경기도의 한 개의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의 요구를 분석하여 성교육 보건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교육효과를 연구하였다. 위 주제연구를 비교연구인, 실험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현장연구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교육 보건수업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학생들(실험군)은 실험전보다 성지식이 16.3점이 증가하였고 성태도 또한 1.4점의 증가로 둘 다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성교육 보건수업 5차시 프로젝트가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²=.635, p=.003).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이 보건 성교육 5차시 수업 프로젝트는 공동체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인성 및 성교육 하나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성교육 보건수업 프로젝트를 통해 인성과 생명존중 의식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성교육 보건수업이 학교에서 적용되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보건교육 활성화와 담임교사 등의 협력이 필요하며, 초등교육과정 고시, 정교사 전환 및 그에 따른 행정적인 인력지원(보건교사 2인배치, 보조인력 배치), 담임교사와 일상적 소통이 가능한 보건부서 조직 등이 후속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의 성장발달 단계에 맞는 성에 관한 의식과 성태도를 측정 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와 실천이 필요하며 이를 보건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교육을 함에 있어 학생들이 “나에게 그런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할까?”라고 자문 할 수 있도록 사회의 사건 사고에 대해 개방적으로 말할 수 있는 방법적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혁신학교의 기본철학인 ‘생활 돌봄시스템’을 성교육에도 함께 적용하여, 학생이 학급이나 사회공동체에서 ‘성’에 관한 고민이나 성문제 발생할 때, 마음 놓고 언제든지 학급이나 사회공동체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학교 내 성건강 돌봄 시스템을 운영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가정과 사회에서도 공동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of sex education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 subject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arative study,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field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were provided with sex education health education program (experimental group) showed 16.3 points increase in sexual knowledge and 1.4 point increase in sexu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5th grade project on sex education health education had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χ²= .635, P = .003).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5th grade class project of health education can be utilized as a tool of personality and sex education to realize community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pply and develop the sex education health education in the school,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health education and cooperate with the homeroom teachers, and to inform the elementary education course, Placement), and a health department organiza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homeroom teacher on a daily basis. Second,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research and practice to measure consciousness and sexuality according to the stage of growth of the studen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in the curriculum focusing on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hird, in the sex education, students need a methodical approach that can openly talk about the incidents of society so that they can ask "What should I do if something happens to me?" Fourth, applying 'Living Care System', which is the basic philosophy of Innovative School, to sex education, students can ask for help to class or social community at any time without worrying about sexuality or gender issues in class or social community. In order to do this, joint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family an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