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株式會社の機關構造に關する比較法的硏究

        염정의 近畿大學 1993 해외박사

        RANK : 1551

        Mica형태의 층상구조를 취하는 규산염 광물은 층간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있어 특히 다양하고 또 아주 잘 연구되어진 host-lattice이다. 지난 10년 동안이 분야에 대한 연 구의 핵심이 항상 더 많고 새로운 층간화합물(intercalation's complex)을 생성해내는 쪽에서 이러한 화학물(complex)의 응용 가능성이라든가 또는이러한 층간화합물을 mo del system으로 사용하여 연구하는 방향에 놓여지고 있다. 본 박사학위 연구에서도 이 러한 문제를 다음과 같은 두가지 측면에서 다루었다. 첫째, 층내부에서 삽입되어진 물 질이 double layer를 형성하도록 하여 modrl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연 구하였음. 즉 전해질을 포함하지않는 수용약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수용액내에서의 so ap-lamella의 행동거지에 대해 알아볼 방법이 쉽지않고, 따라서 지금까지 연구 발표된 사실의 정확성 여부에 대해서도 많은 의문이 제시되고 있다. 만일 점토층내에서 층내 부에 삽입된 물질이 double-layer를 형성하여 foamlamella와 같은 구성을 취할 경우 이는 일반적인 soap-lamella(micell형태)와는 달리 규산염광물의 층간격자가 갖는 주 기성에 의해 double-layer도 역시 주기성을 갖고 반복되어지게 되므로 이로 인해 soap -lamella의 행동거지를 X-선 분석에 의해 정확하게 밝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 다. 둘째, 층사이에 단분자를 삽입하여 이를 고분자화하는 반응에 대해서 연구하였음. 즉 규산염 광물이 플라스틱 복합재료의 첨가제 및 강력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지만 가장 공업적으로 이용도가 많은 smectite계열의 층간화합물은 아직도 그러한 복합재료의 첨가제나 강력제로 사용되고 있지 않고 있다. 또 유기고분자가 점 토층사이에 단순히 삽입되느냐 또는 삽입된 유기고분자가 층내부에 규산염광물의 대응 이온으로 존재하는 양이온과 같이 연결되어 규산염광물과 유기고분자가 하나의 화합물 을 형성하느냐에 따라 그 특성이 또한 달라지게 된다. 규산염광물의 층내에서 행해지 는 화학반응은 고상간의 반응이고, 또한 반응공간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층사이 에의 고분자화 반응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 문 제를 다루었음.

      • 日韓比較からみた觀光事業規制 : 觀光政策を中心として

        이응진 近畿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155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과 한국의 관광사업규제를 비교 분석하여 그 규제의 특성을 보다 명 확히 하고 그 방향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하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사업규제의 이론적 검토에서는 지금까지 체계화되지 않은 관광사업규제 이론을 관광사업의 「공공성」 또는 「공공서비스」의 측면에서 관광사업규제 개념 도입을 강조하고 관광사업규제의 형태 및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둘째, 관광사업 실태의 일한비교에서는 양국 관광사업을 고찰하는데 있어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관광사업체, 관광수지, 관광개발 현상을 비교·검토하고 있다. 셋째, 관광사업규제의 발전단계에 대한 일한비교에서는 양국 관광사업규제의 발전단계를 생성기, 성장기, 변화기로 구분하여 국제관광과 국내관광에 대한 진흥책의 필요성을 비교·검토하고 있다. 넷째, 관광사업규제의 특수성에 대한 일한비교에서는 양국 기업의 관광사업을 진입부문과 영업부문으로 구분하여 비교·검토하고 있는데 그 규제는 양국의 독자적인 것으로 특히 한국기업에 있어 진입규제와 가격규제가 일본 보다 강도 높게 실시되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다섯째, 관광사업규제완화의 일한비교에서는 양국 관광사업규제완화의 공통점과 상이점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공통점으로는 관광사업 규제완화의 의의로서 기업의 새로운 사업전개, 국민여가생활의 다양화에 대응하는 일, 그리고 새로운 지역진흥책 과제가 있으며, 상이점은 관광개발과 관광서비스의 확대 등에 대한 규제완화이다. 여섯째, 관광사업규제 전망의 일한비교에서는 앞으로 양국에게 남겨진 과제로 「국민휴양확보」를 위한 공공서비스 제공과 관광사업에 대한 「공적 원조·지원 확대」, 「사회적 규제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양국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지역진흥책인 그린투어리즘의 전망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日韓兩國における藥用人參産業の現況とマ-ケティング戰略の課題

        김효선 近畿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1551

        약용인삼은 한국에 있어 유구한 역사를 가진 약용식물로 시대에 따라 교환, 화폐의 기능과 조공무역,외국과의 교역에 널리 이용되어 국가적 차원하에 약용인삼산업이 육성되어 왔다. 일본의 경우는 『續日本記』에서 발행왕국이 공납품으로 인삼30근을 지참했다는 최초기록과, 정창원에 거둬들인 약물중 가장 많은 것이 약용인삼이었다는 기록에서 고대로부터 그 약효가 인정받아 귀중품으로 취급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약용인삼은 가공에 있어서도 단계별로 산업으로서의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제품개발에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제1차 가공은 농산물 가공으로 이른바 <반제품> 제조업이다. 이것을 다시 가공하여 인삼차, 인삼엑기스 등의 제2차 가공품으로 제조되는데 이 과정은 가공도가 높은 공업에 속하고, 더 나아가 특정의 성분을 추출하여 의약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화학공업의 한 분야로서약품제조업이 된다. 게다가 인삼드링크나 인삼과자등은 식품제조업에 속한다. 이와같이 인삼산업은 가공단계별로 산업으로서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각 단계별로 극히 여러종류의 제품이 개발된다고 하는 점에서 농산물로서는 흔치않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의 "약용인삼선진국"인 한국과 明治시대 이후 계속해서 자국산의 약용인삼을 수출하면서 현재는 전형적인 "인삼수입국" 이 되어 있는 일본을 대상으로 약용인삼산업의 현황과 소비동향을 분석하고, 그것의 마케탕전략의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주로 일본의 약용인삼산업이기는 하지만, 한국이 약용인삼의 주산지라고 하는 점에서 한국의 약용인삼산업에 대해서도 현황을 검토하여 양국의 인삼산업을 비교하는 동시에, 수출시장에 있어서의 양국의 경합관계에 대한 분석을 하고, 마지막으로 최근의 난기류적인 시장환경의 변화가운데 약용인삼산업이 해결하지않으면 안되는 마케팅의 과제로서, 약용인삼산업의 시장표적의 확정 및 마케팅믹스의 최적조정등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성되는 전략적 마케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하, 각 장별로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연구방법과 분석시각 최근 약용인삼의 수요가 급증한다고 하는 사실은 서양의학에 편중했던 明治시대 이후의 일본 의약업계의 반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약용인삼의 약효가 과학적으로 규명되어 「평생건강」의 시점에서 약용인삼의 평가가 정착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의 양측면에서 이해하려 한다. 의약품이나 건강식품의 체계 가운데서 약용인삼산업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명확히 하여, 앞으로 약용인삼산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전략적 마케팅을 구축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제2장 일본에서의 약용인삼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문제점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는 약용인삼제품의 대부분은 중국산 홍삼의 가공품이나 한국산의 인삼제품이다. 일본산 홍삼은 수출단기가 수입단가보다 높아서 고품질로 인정되었다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저단가의 중국산 홍삼의 수입증가와 일본국내의 인삼재배 생산비 증가로 약용인삼 생산농가는 경영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태에 직면하고 있으며, 가족노동력의 총동원과 가족노임부분의 마이너스평가에 의해 겨우 塊滅狀態를 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장은 현재 약용인삼을 생산하고 있는 長野縣·福島縣·島根縣에 대하여 각각의 지역적 특색을 명확히 밝히면서, 일본에 있어서의 약용인삼의 생산과 유통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특히 약용인삼의 생산에 대해서는 (1) 長野縣·福島縣·根島縣의 생산지에 있어서 생산의 특질, 단적으로 말하면 6년근의 고품질 생산에 집중하는 根島縣과, 4년근과 여러 가지 형태의 인삼을 생산하면서 국내시장에도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福島縣, 6년근과 4년근을 동시에 재배하면서 일본 최대의 약용인삼생산지이기도 한 長野縣의 각각의 지역적 차이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福島縣의 경우 생산농민의 협동조합을 통한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어 유통기업주체의 가공업자를 통한것 보다는 생산농민에게 유리하기는 하지만, 출하가격자체가 전체적으로 떨어지고 있어 국내시장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저가품의 수출용 출하가 증대하는 가운데 수출용 출하품의 단기는 매우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결국 수출업자에게 유리하고 생산농민에게는 불리한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長野縣의 경우 가공상공업자단체에게 출하하는 것이 생산농민의 협동조합을 통한 출하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수출용 홍삼의 출하에 있어서도 생산농민에게 유리한 가격을 제공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島根縣의 경우 생산농민과 가공업자가 일체가 되어 홍삼을 생산하고 있기는 하지만, 저가격의 중국산 홍삼수입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출하가격이 큰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잡한 유통과정에 있어서 생산자에게 환원되지 않는 중간 마진의 시스템을 합리화하고 국내생산지의 전체를 장악하는 약용인삼시장의 통일이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그것만으로 생산농민의 이익을 보호하기에는 기본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국내의 제약회사와의 유기적 결합을 강화하여 다양한 제품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福島縣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6년근의 고품질 홍삼의 생산만을 고집하는 것에서 벗어나 수출상대국 기호에 맞는 수출용 저가품의 생산증가도 일본의 약용인삼산업이 앞으로 고래해야 할 과제이다. 제3장 한국에서의 약용인삼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문제점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거의 전지역에서 약용인삼이 재배되고 있지마, 재배단계에서부터 홍삼과 백삼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민간주도의 자유경쟁하에 재배되어 거래되고 있는 백삼과는 달리, 홍삼의 경우 전체가 6년근의 고품질로 한국담배인삼공사로부터 지정된 생산농가만이 재배가능하고, 인삼을 수확한 후에는 거의 전량을 공사가 수매한다고 하는 독특한 체제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 농작물의 경우에는 인구가 밀집하는 대도시의 도매시장에서 농산물의 집산, 가격형성, 사장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지만, 약용인삼의 경우는 주로 주산지에 수삼시장과 건삼시장이 형성되어 도매시장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 외화획득산업으로 위치한 약용인삼산업은 국가의 강력한 통제와 육성정책을 전제로 전개되어 오면서 紅蔘과 白蔘의 二元化構造의 상태가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 왔슴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 와서는 기업의 독창적인 마케팅전략을 수립을 수립하는데 있어 장해가 되고 있슴을 부인할 수 없다. 게다가 인삼재배농가중 다수의 농가가 소규모 경영형태를 취하고 있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수출시장에 대해서는, 저품질·저가격의 중국산 인삼이 동아사아의 국제시장에서 급속히 점유율을 확대시켜 나아가고 있는 가운데, "세계최고품질의 한국산 고려인삼"의 이미지를 계속해서 유지·확보해 나가기 위해서는, 특정지역의 기호에 알맞는 제품을 개발하여 그 지역에는 집중적 수출을 목표로 하여 각각의 수출상대국의 의약품 혹은 건강식품가운데 확고한 지위를 형성해 나가는 정책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그것은 곧 수출의 지속적 확대 즉, 수출량 전체의 증대에 이바지한다고 생각되어 진다. 또한 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면, 각국 혹은 각지역의 독자적 지위를 명확히 한 다음, 보다 구제적이고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전개하지않으면 안된다. 제4장 한일양국에 있어서의 약용인삼의 시장환경 제4장에서는 마케팅전략의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기 전에 기초적 데이타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국과 일본 양국에 있어서의 일반소비자의 의식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양국의 산업 ·무역구조에서 차지하는 약용인삼산업의 위치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양국에 있어서의 약용인삼산업의 시장환경을 입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약용인삼에 대한 일본의 소비자 의식조사는, 약국경영자의 면담조사와 직접 일반소비자에게 앙케이트 용지를 배포하여 의식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조사결과 가운데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즉 (1) 청년층은 대체적으로 약용인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2) 장년층은 약용인삼의 약효에 대하여 비교적 신뢰도가 높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용인삼을 처음접하게 된 기회는 한국여행등 우연한 기회였다는 사람이 많았다. (3) 약용인삼제품의 가격에대해서는「너무 비싸다」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그것이 반드시 인삼판매를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하지는 않았다. (4) 인삼제품 종류별로 보면, 많은 사람이 인삼차 ·인삼드링크를 「마신경험이 있는 것」과 「좋은하는 것」으로 대답한 것에 비하여, 약효가 있는 것으로서는 뿌리 그대로 달여서 마시는 것이나 인삼 엑기스를 드는 사람이 많았던 것으로 보아 복용 유무와는 별도로 원형유지형이나 그러한 이미지가 강한 제품이 약효에 관해서는 가장 신뢰받고 있슴을 알 수 있었다. 조사결과의 분석으로 일본의 약품업계나 판매측이 약용인삼의 정확한 약효에 대한 PR활동과 인삼드링크등 마시기 쉬운 제품에 대하여 잠재적 수요자인 청년층에게 친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임상적이용자로서 확보하는 한편, 장년층을 위해서는 약용인삼의 각 제품마다의 약효를 보급하고 고품질 ·고가격 제품의 안정적 이용자로 확보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구축한다면 약용인삼의 애호자층이 전체로 확대되어 약용인삼 제품시장이 안정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 대해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소가 1991년에 실시한 약용인삼의 소비실태조사에 의거하여 한국국내의 소비자시장에 있어서의 마케팅전략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제품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약용인삼제품의 생산비 절감 및 유통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소비자에게 싼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하고 소비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한편, 한일양국은 약용인삼에 있어서 수출시장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인식시킨 다음,여기서는 B.Balassa의 「비교우위지수」이론을 응용하여 한일약용인삼산업의 국제시장에서의 비교우위 관계를 분석하였다. B.Balassa의 이 이론은 오늘날의 한국과 일본에 응용한다는 것은 꽤 무리가 있긴 하지만, 약용인삼에 관해서는 한국이 일본보다 선진국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분석결과의 한정성에 유의한다면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즉 이분석의목적은, 약용인삼수출에 있어서의 한국의 비교우위라고 하는 단순한 결론을 얻기위한 것은 아니다. 이 분석결과의 검토를 통하여, 동아시아를 중심으로한 약용인삼의 국제시장에 있어서 한국 혹은 일본의 인삼수출품이 확고한 지위를 얻기위해서, 양국의 약용인삼산업이 목표로 하는 방향은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해 보려고 하는 것이다. 원래 한방약에 친숙한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의 "화인 社會"와 공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이제는 脫工業化로 나아가고 있는 것같이 보이는 일본이나 한국에서 두꺼운 층을 형성하고 있는 도시중 간층과의 사이에는 약용인삼제품에 있어서 그 기호성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인식한 다음, 각각에 맞는 브랜드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되어 진다. 제5장 약용인삼산업의 마케팅전략 과제 근년의 亂氣流的인 시장환경의 변화가운데, 약용인삼제품의 제조기업이 약용인삼이 지닌 고유의 약효와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인삼제품별 우위성을 명확히 밝히고, 상호대체성을 가지는 그 밖의 제품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특별히 경쟁적 우위에 서서 산업으로서 존립하고, 더 나아가 더욱 발전해 나아가기 위해서는「소비자 만족」을 창조해야만 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전략적 마케팅을 구축·전개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과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시장표적의 확정과 마케팅 믹스의 구축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장표적의 확정은, 제4장의 제1절에서 행한 약용인삼에 관한 일본의 소비자 의식조사를 기초로 고찰한 결과, 약용인삼의 약효에 대해서 어느 정도 신뢰감을 가지고 있으면서 가족의 건강에 대해서 책임을지는 입장에 있고, 동시에 자기자신의 건강에 대해서도 점차로 강하게 의식하기 시작하는 년령에 있는 장년층을 티겟으로 정하여, 제품의 다양화와 각 제품 PR 그리고 적절한 가격을 취하여 약용인삼제품을 가까운 곳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의 이미지전환을 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근년, 약용인삼의 수요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며, 주로 그것은 약용인삼만을 원료로한 單味製品이 아닌 그 밖의 생약이나 영양제와 복합시킨 複合製品의 수요확대에 의거한다고 생각되어지지만, 문제는 그러한 것들이 약용인삼을 함유하기 때문에 지니는 약효에 대해서 소비자의 의식이 불충분하다고 하는 것이다. 複合製品의 약효도 궁극적으로는 주성분으로서의 약용인삼의 약효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하는 啓蒙활동을 전개해야만 하며, 複合製品의 수요가 약용인삼제품 그 자체의 소비확대에까지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되어진다. 다음으로, 제품·가격·판매·유통·판매촉진등의 적절한 조합 즉, 마케팅 믹스의 구축이라고 하는 과제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약용인삼제품은 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관계하고 있다고 하는 성격상, 소비에 대한 제품의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다음에 품질우선의 원칙에 입각하여 소비자의 니즈와 욕구를 고려하여 제품의 다양화를 꾀하고, 제품에 대하여 소비자가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즉, 단적으로 말하면,「selling」에서 「marketing」으로의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이 요구된다. 결론 마무리와 앞으로의 과제 본 논문은 일본과 한국의 약용인삼산업의 현황에 대하여 관청통계나 업계단체의 자료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종래의 약용인삼에 관한 연구가 그 약효의 규명을 중심으로한 자연과학적 연구에 중점을 두고 행하여졌던 것에 비하여 본 논문은 약용인삼의 생산농가, 유통기업, 제품제조업자 및 소비자의 입장에서 즉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앞으로 다양한 약용인삼제품의 소비시장에 대해 실증적분석과 마케팅전략 구축에 대해 보다 구체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 KITCHEN DESIGN FOR WHEELCHAIR USERS APPLY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 Focusing on kitchens for wheelehair users in Korea

        고영준 近畿大學 大學院 2003 해외박사

        RANK : 1551

        CHAPTER 2. CHARACTERISTICS OF KITCHEN REMODELING FOR WHEELCHAIR USER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itchen remodeling for wheelchair users in Korea and to present ideas for kitchen design through analyzing the effects of remodeling and evaluating the application degree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 For case studies, I visited 20 remodeled kitchens in Korea, interviewing and observing wheelchair users, measuring and taking pictures of remodeled kitchens. The following are major findings resulting from this study: (1) Remodeled kitchen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3 types. Type 1 is the kitchen where knee space is provided below sink. Type 2 is the one where the kitchen counter is much lowered for a wheelchair user to do kitchen work sitting on the kitchen floor. Type 3 is the kitchen where the counter is slightly lowered without a knee space in consideration of appearance and the reduction of storage space etc. (2) Evaluation by universal design criteria showed Type A was higher than Type B and Type C in principle one (supportive design), two (adaptable design), and three (accessible design). (3) To carry hot food, a table being attached to a wheelchair can be considered. CHAPTER 3. A STUDY ON KITCHEN DESIGN FOR WHEELCHAIR USERS - With a Comparison of the Kitchen Environment of Wheelchair Users in Korea and Japan Wheelchair users find conventional kitchens are very inconvenient to use because most of them are designed for the general public. To address this problem, I have presented a study on the current kitchen environment. As part of a series of studies to establish kitchen design guidelines for wheelchair user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nd the problems common to the kitchen environments of Korea and Japan. For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used. Out of 137 collected questionnaires, 114 valid data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84 Korean and 30 Japanese wheelchair users who do kitchen work on a regular basis. Comparis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made in kitchen spaces, kitchen works, remodeling cas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kitchen environment. I visited 7 remodeled kitchens in both countries to review the benefits of remodeling and to interview on the problems related with kitchen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Japanese wheelchair users on conventional kitchens was higher than Koreans. Also, in the remodeling ratio of wheelchair users' kitchens in Japan were higher than those in Korea. Among the kitchen elements, the wheelchair users of both countries commonly had difficulties in using upper cabinets, sink, and range hood etc. After reviewing remodeled kitchen cases, I could make some recommendations for formulating kitchen design guidelines. CHAPTER 4. EVALUATION OF KITCHEN DESIGN FOR THE GENERAL ELDERLY AND WHEELCHAIR USING ELDERLY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conventional kitchens in Korea from the observation of kitchen work performed by the elderly and wheelchair using elderly. As research sites, I-type and L-type kitchens in Seoul were selected. Three subject groups; the general elderly, the wheelchair using elderly and healthy young adults, were selected and observed. Fifteen kitchen tasks performed by subject groups were recorded with video cameras and measured with stopwatch. The time taken for performing tasks and the frequency of error occurrence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resul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gle of the control panel, along with its heigh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e design of built in type kitchen appliances. 2) A mobile cart is needed for a wheelchair user to carry hot or heavy foods or food waste. 3) Placing pull out or foldable shelves at various heights in relation to lower cabinets should be considered in addressing the lack of work surfaces in conventional Korean kitch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