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논쟁

        김병하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1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A Controversial Issues on Universality and Speciality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보편성과 특수성의 기준에 따라 각각 논의하였다. ‘보편성’의 기준에 따라 특수교육이 특수하지 말아야 할 이유를 ① 상위이론 세계의 패러다임적 갈래에서 본 특수교육학의 위상 정립, ② 특수아동의 진단분류과정에서 차이성(특수성)보다 ‘공통성’에 주목하는 특수아동관과 과업중심의 특수교육 전문성의 정립, ③ 2원구조체제에서 1원구조체제로 전환된 특수교육의 재구조화를 통해 각각 논증하였다. 한편, ‘특수성’의 기준에 따라 특수교육이 특수해야 할 이유를 ① 교육정의의 실천과제로서 특수교육은 차별적으로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 ② 모든 학생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의 실천적 한계에 따른 특수교육의 존재가치를 통해, ③ 교육이상세계를 선도적으로 주도하는 특수교육주의자의 존재를 통해 각각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특수교육 정체성 정립에 따른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상반적이면서 상보적이듯, 한국 특수교육의 정체성 문제는 제 1세계권의 특수교육 정체성(즉, 미국중심과 유럽중심)과의 관계에서 상극적이면서 상생적(相生的) 관계로 존재함으로써, 상호침투적 대등한 관계로 정립되어야 한다.<검색어>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 특수성, 학교 재구조화, 특수교육 재구조화, 일원구조 체제, 이원구조 체제, 특수교육주의(자), 교육이상세계, 반토대주의

      • KCI등재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분석

        정윤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pedagogicalcontent knowledge(PC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level, and to analyze correlationsamong the domains of PCK.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follows. First, is the perception level of PCK differen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re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variables the level of awareness? Third,what factors influe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PCK? In order to answer thesequestions, this study surveyed 2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PCK was average, and by domain, student knowledge was highest, which was followedby pedagogical knowledge, expression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assessment knowledge. Seco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is a higher awareness of the PCKawareness than working in small cities and rural teachers are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morethan 15 years of experience teachers PCK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high, there was no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chool, a special type of institution. Third,independent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were work areaand experience.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training programs to in-service teachers, and consulting training to experienced and new teachers. Furthermore, it will be effective to develop and apply training programs that can utilize thesub-domains of PCK together.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특수교육교사 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육교사 변인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무엇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특수교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학생지식이 가장 높았으며,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교육과정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은 대도시에근무하는 교사가 중소도시 및 농어촌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경력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과정, 특수교육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근무지, 경력이었다.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계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현직연수와 경력교사와 신임교사의 멘토링 연수가 필요하며, 각각의 하위 영역들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인공지능교육 경험과 인식

        옥민욱,박경옥,김지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교육현장에서의 AI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AI교육 관련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특수교사 330명의 응답 자료를 기술통계와 워드클라우드 분석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AI교육의 필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향후 활용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나, 현재 특수교사 본인의 준비도 및 교육적 활용도는 낮은 수준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특수교사의 AI 활용 관련 연수에 대한 관심과 향후 참여 의지는 높았으며, AI 콘텐츠 활용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한 AI 활용방법 제공 등 실제적인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AI의 도입이 미래 특수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였으며 무엇보다 다양한 수업자료 활용 가능, 장애학생 학습 흥미 유발 및 수업 참여 촉진, 학업 성취도 데이터 누적 및 분석 활용 등을 통해 개별화교육의 실현과 특수교육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넷째, 특수교사들은 장애학생을 위한 성공적인 AI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장애학생 특성과 필요에 맞는 AI교육용 콘텐츠 및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들은 AI 발달로 인한 장애학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장애학생 역량 제한으로 인한 AI 적용 한계 등의 AI 활용의 제한점에 대한 우려를 표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data from 3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word clou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ighly evaluated the necessity of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howed significant interest in its future utilization. However, they perceived their own readiness and their level of AI education to be low. Second, there was a high interes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I-related training, an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future training sessions was evident. It was recognized that practical training such as utilizing AI content, using AI aligned with curriculum is necessary.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AI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ture special education, particularly in realizing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Four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I educational content and platforms mee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successful AI education. La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AI development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limitations in AI application due to the limitations of students' ab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송미진,정대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3

        This research analyses the past five years special development plan and one in progress with the focus on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Educational poli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ultidimensional models, based on Cooper et al. (2004). Such dimensional models wer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tive and technical dimension, analysed in-depth, thoroughly.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s were applied on 1st to 3th five years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plan sand results are shown below(Cooper et al, 2004). The normative dimensions carried by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al policies includes, humanity, equality, self-re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hereas 1st and 2nd five years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plans focused on educational equity, influencing on compulsory, free, integrated and work-related education. For the structural dimensions, Ministry of Education and District/Regional Education Office were considered, to see the effects on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Particularly, in order for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to have effects on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and disabled individuals, human resources must be allocated adequately for an efficiency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systemic review of the policies needs to be placed methodologically and communications and cooperation are needed between governmental agencies. In terms of Constitutive dimensions, policy related surveys, based on the stakeholders, such a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needs for the special education and non-governmental special education organizations, meets education requirements of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policies, for the efficient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and effective placement of the policies, ideally helping with overall policy enactment. Technical dimension wise, limited governmental and district active policy systems affected 1st and 2nd five years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sulting in inconsistent outcomes depending on individual officer’s abilities. 본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 발전 과정에서 수립되었던 정책 중 중장기 계획에 해당하는 제1차~제3 차 특수교육발전 종합계획에 대한 정책분석을 통해 한국 특수교육 정책의 특징을 파악하여 미래 특수교육 정책 결정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이 제시한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 분석 모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의 제1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부터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까지의 정책은 인간존중과 교육의 평등성 보장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비전 및 목표에 자아실현, 통합교육, 사회통합, 사회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며, 그 시대의 사조도 반영하고 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특수교육정책이 특수교육현장과 수요자들에게 파급되려면 정책을 집행하는 행정조직이 업무를수행하기 원활하도록 인력이 배치되어야 한다.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는 제1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는 드러나지 않지만 제2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부터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까지특수교육 정책형성 과정에서 이해당사자의 영향은 매우 컸다.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는 제1차와 제2차에서는 국가와 지방정부의 정책수행 시스템 부족으로 업무담당자가 중심이 되어 실행가능성과 여건을 무시한 채 이상적인 정책이 수립되거나 업무담당자의 능력과 의지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기도 했다.

      • KCI등재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공립유치원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 및 유아특수교사의 요구

        김현숙,박소영,이예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와 어려움,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전국 183명의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를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반유아의 ‘방과후과정’은 대부분 ‘방과후과정’ 명칭을 사용하며 유치원 정교사 자격을 가진 전담교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은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며, 특수교육대상유아 2명 중 1명만 ‘방과후과정’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었다. 셋째, ‘방과후과정’이 운영되는 3곳 중 1곳은 전담교사가 없었고, 전담교사의 자격은 유치원 교사, 특수학교(유치원) 교사, 보육교사 등이었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유아가 ‘방과후과정’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방과후과정’ 개설 방안을 찾으려고 노력하였고, 학부모들 역시 ‘방과후과정’이 생기길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은 지원인력 부족과 강사 채용 및 관리, 일반 방과후과정 참여 거부로 운영의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원인력 배치, 전담교사 및 관리자의 장애인식 개선, 지원금 인상 등을 제안하였다.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 운영의 시도별 격차와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의 특수교육대상유아를 방과후과정 지원 및 운영 지침 마련 방안을 논의하였고,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의 질적 운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를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83 public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ost ‘after-school programs’ for general children used the name ‘after-school courses.’ In addition, it was run by a dedicated teacher qualified as a full-time kindergarten teacher. Second, Various naming were used for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only one out of two students was receiving integrated education in the ‘after-school program’. Third, One out of three places where ‘after-school courses’ were operated did not have a dedicated teacher. In addition, the qualifications of dedicated teachers were diverse,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special school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Fourth, when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unable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courses,’ teachers tried to find ways to open ‘(special) after-school courses.’ Parents often waited for ‘after-school programs’ to be established. Fifth, the ‘after-school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d difficulties in operation due to a lack of assistant personnel, hiring and managing instructors, and refusal to participate in general after-school courses. The above-mentioned difficulties resulted in requirements such as deployment of assistant personnel,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among dedicated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increase in support fun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qualitativ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y discuss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특수교육에 대한 법적 접근의 과제

        박창언,강영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 대한 권리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이제까지 논의된 특수교육 관련 법적 연구를 검토하여 특수교육과 관련된 법적 논의 대상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특수교육과 관련된 법적인 구조와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특수교육 관련법에 대한 연구의 동향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 관련법에 대한 법적 논의의 대상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논의 결과 특수교육 관련법의 제정과 관련된 기초연구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 보다 발전된 형태로 체계화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특수교육 관련 법의 성격과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설정하는 문제, 헌법상 교육의 직접 조항에 대한 특수교육적 입장에서의 해석, 헌법과 교육기본법과의 관계나 헌법상 직․간접적 교육조항의 종합적 해석, 판례를 특수교육학적 입장에서 분석하는 성과의 구축, 보다 많은 쟁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미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나라의 법적인 규정 고찰 등의 과제가 제시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학제 간 교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개괄적 수준에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법적 과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면밀한 분석을 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The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legal aspects. For this end, first, the institutional processes of Special Education Law and Act of Special Education and their leg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It wa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Law and its regulations were designated to achieve goals of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em to attain more welfare than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s. Second, the tendency of law of special education and its specificity were discussed. Although studies in law of education in Korea were not much accumulat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effor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a disciplinary framework for approaches in special education. in legal aspects. Third, difficulties and possibilities in seeking legal framework for resolving issues in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Legislation, court case, administrative regulations, policies in special education are seemingly to b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nature of Law of education. In conclusion, it was convinced that the fundamental right to be provided with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when legal issues and disputes in special education were considered

      • KCI등재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통한「유아특수교육연구」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안재준,노진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유아특수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 초록을 토대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유아특수교육연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513편의 초록을 활용하여 주제어 빈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여 나타나는 주요 주제어와 토픽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F와 TF-IDF 분석에서 교사, 중재, 지원, 행동과 같은 주제어들이 해당 분야의 주요 연구 동향을 나타내는 핵심 주제어로 나타났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도출된 토픽 8개는 토픽 1(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토픽 2(조기중재를 위한 가족지원), 토픽 3(실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역량 강화), 토픽 4(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토픽 5(장애영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토픽 6(부모를 위한 양육 프로그램), 토픽 7(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행동중재), 토픽 8(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실행주기에 따라 토픽의 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토픽 7과 토픽 8은 주기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른 토픽들 역시 꾸준한 관심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는 향후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abstracts of paper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 leading journal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o achieve this, we analyzed abstracts of 513 papers from the「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2008-2022) using keyword frequency and topic modeling to identify key terms and topics. Firstly, the study revealed that keywords like teachers, intervention, support, and behavior are core terms highlighting the main research trends in this field, as identified through TF and TF-IDF analysis. Secondly,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identified eight topic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 family support for early intervention, enhancing th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practice, curriculum operati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programs, behavioral interven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Thirdly, an analysis of topic trends based on the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cycles showed that Topics 7 and 8 were consistently prominent, with ongoing research interest in other topics as well.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foundational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실제(敎科敎室制) 도입 가능성 타진

        강성종,김용욱,정동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1

        On February 9, 2011,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roclaimed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class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s. A “subject class system” may be interpreted as a system that establishes a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school system in order to compete with private education. The system is characterized by students attending subject classes that are arranged according to time table. This system is prevalent in developed nations, including Europe and America; however, in Japan, there has been a constant debate regarding the replacement of the current system of fixed classes with the subject class system. In Korea,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onsumer-based education system, the subject class system became a hot public issue. Eventually, public interest in the subject class system diminished. However, the system has begun to attract attention again due to the New Deal policy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the special education sector was neglected, although the government pursued complet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for ordinary students through a nation-wide policy and on-site study. The argument that the system must also be established in the special education sector is indicative of the viewpoint that when the system harmonizes with the characteristic of special education,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can be improved substanti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system in the special education sector in Korea in a form that is adjusted to comply with the circumstance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is would enable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encourage the efforts of the Korean education personnel and government. In order to provide a workable solu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this paper, first, This researcher expla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Korea; second, This researcher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sector. This researcher expect this study to provide a basis for discussion on the agenda of “the pos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class system in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sector.” 교육과학기술부는 2014년부터 일반 중ㆍ고등학교 대상으로 ‘교과교실제(敎科敎室制)’를 전면 시행한다고 발표하였다. ‘교과교실제’는 사교육에 대응하고 공교육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취지로써 교과목별로 전용교실을 두고 학생들이 수업 시간표에 따라 이동하면서 수업을 받는 교육방식이다. 이러한 ‘교과교실제’는 구미 선진국에서 널리 채택하고 있으며, 일본은 ‘학급교실제’에서 ‘교과교실제’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우리나라는 제7차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표방과 함께 ‘교과교실제’ 도입에 대한 여론 형성이 되다가 점차 관심사 밖으로 밀려난 듯하였으나, 이명박 정부의 교육 분야 뉴딜정책과 함께 본격적으로 재논의 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반교육은 국가차원의 정책연구와 연구ㆍ시범학교 등을 통한 효과성 검증 결과를 근거로 ‘교과교실제’ 도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 반면, 공교육으로서의 특수교육은 배제되었다는 점에 문제 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즉, 연구진의 시각은 ‘교과교실제’가 특수교육의 특성과 조화를 이룬다면 특수교육의 발전적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판단하면서 특수교육의 중요한 이슈(issue)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실제’ 도입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한국에서의 ‘교과교실제’ 정책의 추진 과정과 맥락을 고찰해 보고 둘째, 국내ㆍ외 선행연구 및 사례를 통하여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실제 도입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연구의 결론은 한국 특수교육형 교과교실제 도입을 위한 타진 과제 제시와 정부정책 및 특수교육계의 노력을 요청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실제 도입 가능성 타진’은 특수교육의 발전적 논의를 위한 시론(始論)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의 학사적(學史的) 일 연구: 초기(1960-70년대) 연구 활동 중심으로

        김병하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4

        This paper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scholastic history on special education in Korea from 1960s to 1970s.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involved the research paper, the published books and the related professional papers on special education in Korea from 1960s to 1970s. Our country had been established the prepar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at college and university as four year professional course since 1961. The scholastic discourse in Korean special education during 1960s was concentrated on educating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early days in the 1960's, the research papers on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ur country were concentrated upon the problem of socio-medical aspects. In our country, the first professional author in special education field was Dr. Tae Young Rhee who initiated the preparation of special teachers at Korea Social Work College since 1961. His first book,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was published in 1963 at Daegu. In this book, Dr. Rhee discussed the future issue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ed the school restructuring for all children as long term vision. During 1970s, scholastic papers on special education in our country were more increased i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irst of all, the professional publications and research papers on the mentally retardation and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ublished more rapidly since 1970s. 본 연구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초기의 우리나라 특수교육 연구 활동을 학사적(學史的) 측면에서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960년대에 접어들며 우리나라에서도 4년제 대학에 특수교육과가 설치되고 그에 영향을 받아 특수교육 저술을 비롯해서 초기의 연구 활동은 주로 맹교육과 농교육 중심으로 행해졌다. 60년대에 우리나라 최초의 특수교육 저서는 한국사회사업대학 특수교육과 설립(1961)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이태영(李泰榮; 1929-1995) 학장이「특수교육개론」(1963)을 저술한 것이다. 60년대 중후반에 접어들면서 대학 연구소와 논문집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분야 논문이 본격적으로 발표되기 시작했으며, 이 무렵 특수교육 학술단체로 ‘한국특수교육학회’가 결성되기도 했다. 70년대에 와서는 특수교육 연구 활동의 양과 관심분야에 걸쳐 현저한 진전을 가져오기 시작했다. 특히 70년대에 와서 정신지체 분야의 저술과 논문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가운데 김정권(金正權) 교수가 기획한「정신박약아교육총서」(전6권)의 간행은 당시 상황으로서는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70년대의 저서 가운데 구화교육(최병문), 청각교육(이규식 등), 특수교육역사(김병하), 지체부자유아교육(안병즙) 등에 걸쳐 성과가 있었고, 논문 쪽에는 정신지체의 진단-평가, 특수아동 실태조사와 출현률, 특수학급 입급(入級) 아동 진단과 교육, 교사교육 등에 걸쳐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이 모아졌다. 70년대에 특수교육학계가 우리나라 특수교육 발전에 기여한 주요 성과 가운데 중학교 무시험진학제도 도입이후 일반 초등학교 내에 전국적으로 특수학급이 설치 운영되게 한 것과 1977년 말에 학계가 주도하여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될 수 있게 한 것은 특히 높이 평가할만하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지원 요구

        박소영,윤송하,유장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s, difficulties, points of reward,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 For the research method,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6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more than 2 years of work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s a result of the study, 5 categories and 23 sub-themes were derived.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duties and rol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agnosis and evaluation, itinerant education, therapy support, infant class operation, in-service training program operation, etc. They felt the reward of working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as positive and rewarding in the center's administrative work, and infant class operation support. The difficulties were to complaints, conducting diagnostic evaluations, appropriate placement according th children’s educational needs, counseling with parents, lack of understanding of work due to lack of work and field experience. The improvement related to the work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required division of work, systematic training support, and a balanced teacher arrangement. Needs for support related to the work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clud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placement of a special education supervisor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ol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iscussed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ism.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통하여 역할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특수지원센터에서 2년 이상 근무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범주와 2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업무 및 역할은 진단․평가, 순회교육, 치료지원, 영아학급 운영, 연수 및 프로그램 운영 등이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에서의 보람은 행정업무, 연수프로그램 운영, 통합학급 지원, 영아학급 운영에서 긍정적이며 보람된 업무라고 느끼고 있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상 어려움으로는 민원 대응, 진단․평가 실시, 유아의 교육적 요구에 따른 적절한 배치, 학부모와의 상담, 저 경력으로 인한 업무 이해 부족 및 현장경험 부족이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 관련 개선사항은 업무 분담, 체계적인 연수 지원, 균형 잡힌 교사 배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 관련 지원 요구로는 장애 영․유아와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장학사 배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역할과 그에 따른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