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계 성혼의 교육사상 연구의 경향과 전망

        임선영 우계문화재단 2019 牛溪學報 Vol.37 No.-

        성혼(成渾)은 家學을 계승하며 道學 정신을 지향한 학자이며 교육자다. 그 는 책과 말로 하는 가르침보다는 모범적인 삶을 통해 제자들을 지도하였다. 또한 우계서실(牛溪書室)을 세워 제자들의 개인 차이를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 을 보강해 주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성혼은 우계서실의 학생들에게 詩書와 禮樂을 익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부방에서 벗어나 자연을 보게 하였는데 서실에서 가까운 시냇가에서 한가로이 거닐게 하였다. 이런 우계서실의 분위 기는 당시 정치적 흐름이나 사건과 맞물려 성혼 들이 다양한 분야에 관 심을 갖게 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성혼은 사람에게 의 차이가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기질의 편벽성을 바 로잡아야 하는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그는 교육과 학문을 통한 수양으로 기 질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혼탁한 을 제거하여 원래 존재하 는 이 드러나고, 의 을 회복한 구성원이 만드는 사회의 실현을 교 육을 통해 시도하려고 한 것이다. 성혼은 마땅히 읽어야 할 책으로 儒家經典, 性理書, 중국의 史書 등 총 23책을 말하였다. 그는 특히 『대학』 공부를 중시했는데 이는 敬 위주의 수양론 과 李滉에 대한 존숭의 마음으로 연결된다. 敬은 禮의 근본정신일 뿐만 아니라 誠意‧正心 이라는 修己의 영역과 治國‧平天下 라는 治人의 영역에서도 바탕 이 되기 때문이다. 성혼은 스승과 벗이 단박에 나를 다른 사람으로 만들거나 聖人이 되게 하 지는 못한다. 아무리 스승과 벗이 훌륭해도 나와 다른 존재임이기 때문이다. 성혼의 이런 생각이 우계학파를 교조적으로 만들지 않는데 한 몫을 하였다고 본다. 그의 문인들은 정치적 상황이나 각자의 성향에 따라 자신의 길을 갔다. 그런 예 중 하나가 와 의 주장이다. 임진왜란 때 성혼은 柳成龍과 함 께 강화의 입장에 섰다가 선조의 노여움을 샀다. 정묘호란 당시 그의 문인 는 과 함께 강화를 주장하였으나 다른 문인 과 은 청나라와 강화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연구자들은 그 밖에 성혼과 제자(학파‧학 맥)의 경향에 대해 성혼의 개혁적 정책 추진을 조선후기 실학파와 연결 짓기 도 하고, 성혼 학맥의 인물들이 새로운 학문 분야에 주저 않고 나아가는 경향 성이 있다고 진단하기도 한다. 성혼은 가족에게 다정하고 아랫사람의 어려움을 살폈다. 이는 그가 공감하 고 소통할 줄 아는 사람임을 의미한다. 현대사회 문제들의 원인은 단순하지 않지만 그 중 하나를 꼽는다면 공감과 소통일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성혼이 걸어온 길이 현대 교육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Seong-hon (成渾) is the scholar and educator of Dohak (Confucian ethics 道學) spirit, succeeding the family scholarship (家學). He guided his disciples through exemplary life rather than teaching by books and words. In addition, he established WoogyeSeoshil (牛溪書室) and conducted education to identify the disciples'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reinforce the gap. Seong-hon not only taught WoogyeSeoshil's students poetery, books, decorum, and music, but also give them to see nature by escaping from the study room. He let them take a leisurely walk in the stream near Seoshil. This atmosphere of WoogyeSeoshil, coupled with the political currents and events of the time, may be one of the reasons for Seong-hon literati's interest in various fields. Seong-hon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emperament (氣質)in ma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to correct the deviation of temperament. He saw that education and learning can overcome differences in temperament. By removing the cloudy dignity ( ), the ethical doctrine (性善) that originally existed was revealed, and education was attempted to realize the society made by the member who restored the Seong (性) of the inherent nature (本然). Seong-hon said a total of 23 books, including Confucianism scriptures (儒家經典), scriptures of Sung Confucianism (性理書), and the Four Books of China (史書). He especially focused on studying ““Daehak””, which leads to Gyeong (reverence)-oriented self-cultivation theory and the respect and worship of Lee Hwang (李滉). Gyeong (reverence 敬) is based on not only the fundamental spirit of Ye (etiquette 禮), but also the domain of the discipline Seongui (誠意) – Jeongshim (正心) and statecraft (治國) - tranquility of the world (平天下) in terms of the domain of statemanship (治人). According to Seong-hon, teachers and friends do not make me into another person or become a sage (聖人). No matter how good a teacher or friend is, me is a different one from them. I think this idea of Seong-hon's played a part in not making the Woogye sect dogmatic. His literati went their way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situation or their own inclinations. One such example is the claim of Cheokhwa (hostile settlement ) and Ganghwa (amicable settlement ). During the Japan Invasion in Year Imjin (1592), Seong-hon joined the position of amicable settlement with Yu Seong-ryong (柳成龍), which then bought King Seonjo's anger. At the time of the First Manchu Invasion in Year Jeongmyo (1627), his literati Lee Gui (李貴), along with Choi Myeong-gil (崔鳴吉), insisted on an amicable settlement, but the other literati, Yun Heun (尹) and Yun Hwang (尹煌) strongly opposed Ching for amicable settlement. The researchers also would link Seong-hon's reform policy drive with the late Joseon’s Sirhak-sect on Seong-hon and disciples (sect-school connection) trends, and would claim that some figures in the Seong-hon school connection had a tendency to move on to new fields of study without hesitation. Seong-hon was kind to his family and looked after the difficulties of his subordinates. This means that he is a sympathetic and communicative person. The causes of modern society's problems are not simple, but one of them might be empathy and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e way Seong-hon has walked is expected to provide clues that can be used practically in modern education.

      • 우계 심성론 연구의 성과와 반성

        조장연 우계문화재단 2019 牛溪學報 Vol.37 No.-

        본 논문은 우계학의 과반을 차지하는 심성론 분야의 연구성과를 검토⋅반 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우계의 심성론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퇴계와 율곡을 ‘절충(折衷)’했다는 입장이 고, 다른 하나는 제3의 이론이라는 입장이다. 이 두 입장에서 최근까지 심 성론 부분에서 진행된 연구경향은 다양한 시각과 분석이 공존하며, 여전히 합의되지 않은 논점들이 존재한다. 이에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두 가지 측면 에서 제안한다. 하나는 문헌학적 접근을 통한 우계 심성론의 정당성을 확보 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형이상학적 명제에 대한 정합성의 문제이다. 정합성의 차원에서 심성론을 논의한다면, 단순히 이 형이상학적 명제의 특수성을 추론만이 아닌 최근의 연구 성과를 접목시키는 노력이 수반되어 야 한다. 예컨대 전통 성리학에서는 이와 기의 관계를 말과 말 탄 사람으로 많이 비유를 했다. 생각해보면 참으로 미묘한 문제이다. 이미 사람은 의지 와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보면 에 은연중 목적성뿐만 이 아니라 의지를 담고 싶어 한 것 같기도 하다. 우계 심성론에 대한 평가에서 자주 거론되는 ‘折衷’은 ‘조정’이라는 의미 보다는 ‘최적화’ 또는 ‘바른 답을 구한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하여, 우계 의 철학을 대변하는 ‘절충’이라는 표현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절충이라는 용 어와 차별화할 필요를 느끼며, 그 대안으로 오해의 소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折中’이란 표현을 제안한다. 이 제안은 우계의 심성론이 그 자체로 정합성 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전제와 그 확인을 전제로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and reflect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Woogye (牛溪)’s theory of Human Nature. The evaluation of the psychology of Woogye is currently largely summarized in two. One is that they have compromised Toegye and Yulgok, and the other is that it is a third theory. From these two perspectives, recent research trends in psychological theory coexist with various perspectives and analyzes, and there are still controversial issues. Therefore, the research direction is proposed in two aspects. One i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Woogye’s theory of Human Nature through a literature approach, and the other is the problem of coherence to metaphysical propositions. Discussing psychology in terms of coherence should be accompanied by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not just inferences from this metaphysical proposition. For example, in neo-confucianism, the relationship between Li(理) and Ki(氣) is much compared to the rider and the horse. This is indeed a subtle matter. For the human-being already has will and purpose. This seems to mean that he wanted to include not only his purpose but also his will. Often used in the evaluation of Woogye’s theory of Human Nature. ‘Jeol-Chung(折衷)' is used to mean ‘optimization' or ‘get the right answer' rather than ‘adjustment'. The term ‘Jeol-Chung(折衷)'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term ‘compromise', and as an alternative, the term ‘Jeol-Jung(折中)' is suggested. This suggestion presupposes and affirms that his theory of Human Nature can establish its own identity.

      • 상주향교 사회교육 활성화 및 운용방안

        김문준 우계문화재단 2020 牛溪學報 Vol.38 No.-

        유교문화활성화사업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교의 유교문화 사업을 정리하면, 첫째, 향교의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인문학을 진흥한다는 점, 둘째, 유교 전통문화의 현대적 계승과 미래 가치를 습득하여 지역 주민에게 평생학 습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적 교양인을 양성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하여 ‘열린 유교’의 이미지를 제고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운영하고 있다. 상주향교는 2014년 이후 매년 유교문화활성화사업에 선정되어, 유교아카데미 강좌 및 청 소년 인성교육을 진행하였다. 상주향교는 문화⋅교육사업을 다양하게 시행해 오고 있다. 특히 상주향교는 2013년에 향교부설 사회교육원을 설립하여 전국 의 향교 가운데 모범적인 향교로 꼽힐 만큼 활발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 운영은 내부 구성원 및 지역민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 향교의 각종 문화사업은 수강자의 대 상을 전문화하거나 대중화하는 계획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유교 사업을 통 한 지역사회의 양식있는 오피니언 리더층의 공감의 장 마련이다. 둘째, 향교 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인문프로그램으로 전문화하여 확산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셋째, 인문교육 프로그램의 대중화이다. 넷째, 지역 평생교육원과 상호 협력⋅보완 관계를 이루어야 한다. 다섯째, 갈수록 젊어지 는 노인층을 위한 웰에이징 프로그램 특화 방안이다. 여섯째, 노인복지 향상 프로그램 시행 방안이다. 이러한 향교 사업 확산을 위해 여러 가지 단계적이 며 체계적으로 시행해야 할 일이 있다. 첫째, 향교가 중심되는 문화 거버넌스 를 조직해야 한다. 둘째, 향교 프로그램의 자생력과 상설 운영 체제를 마련해 야 한다.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onfucian Cultural Revitalization Project, we summarize the Confucian Cultural Project of Hyeonggyo, first, we promote the humanities of the local community by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of Hyeonggyo. Second, by acquiring the modern succession and future value of Confucian traditional culture, we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and cultivate cultural cultured people. Through this, the government has set and operated a goal to enhance the image of 'open Confucianism'. Sangju Hyeonggyo has been selected for the Confucian Cultural Revitalization Project every year since 2014, offering courses in the Confucian Academy and youth character education. Sangju Hyeonggyo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cultural and educational projects. In particular, Sangju Hyeonggyo established a social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Hyeonggyo in 2013 and operate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the various cultural projects of Hyeangyo should have plans and plans to specialize or popularize students. First, the idea of creating a place of empathy for the opinion leaders of the community through Confucian projects. Second, it is a plan to specialize the educational program of Hyeonggyo into various humanities programs. Third, it is a measure to populariz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Fourth, it is a measure to establish mutual cooperation and supplementation with loc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ifth, it is a plan to specialize in well-aging programs for the elderly. Sixth, it is a plan to implement welfare improvement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There are two things to implement for this Hyanggyo project. First, we should organize cultural governance centered on Hyeonggyo. Second, the self-sustaining and permanent operating system of the Hyangyo program should be prepared.

      • 우계(牛溪) 성혼(成渾) 연구의 성과와 전망

        강보승 우계문화재단 2019 牛溪學報 Vol.37 No.-

        우계 성혼 연구는 1970년대 말 시작되었고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 성과가 제출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연구 성과 제출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어져 2019년 현재 총 287건의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연구 성과들은 절반 이상이 성리학(본체론⋅심성론) 분야이고, 나머지가 생애와 학문 소개, 학파⋅문인, 교육 분야이며, 10명 내외의 주요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주도되었다. 우계 연구가 단기간에 이루어짐으로 인해 우계 연구의 양적 성과에 비하여 질적 성과가 미흡하였다. 연구 분야가 치중되어있고 체계적이지 않으며 우계의 학문을 대표하거나 규정할만한 개념이나 색깔이 모호하다. 따라서 다음 세 가지가 향후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우계의 학문에서 ‘보편성’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연구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특히 우계 학문을 ‘퇴계·율곡의 절충론’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지 면밀한 고찰이 필요하고, 성리학, 도학이 가진 보편성의 측면에서 우계를 연구해야 한다. 둘째, 우계 삶의 특수성, 우계가 처한 당대 현실의 특수성의 전제 위에 우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우계로 우계를 이해해야 한다. 성리학은 ‘실천’을 위한 학문이고 따라서 본체론⋅심성론도 중요하나 수양론·경세론이 더 실질적 의미를 갖는다. 때문에 우계의 학문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계가 어떤 이론이나 학설을 제시했는가보다는 그가 어떻게 수양하고 실천했는가를 살펴야 한다. 셋째, 단편적·산발적 연구가 아닌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체론·심성론을 구심점으로 잡고 수양·경세론 및 교육·문학·역사 분야를 균형 있게 연구해야 할 것이다. 단순히 분야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우계 연구의 방향성이나 기조를 세워 우계 학문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Research on Ugyae Seong-Hon began in the late 1970s, and concrete results have flown from the late 1980s. In the 1990s, research results increased significantly. As of 2019, there are a total of 287 research results. Among the research,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are about Ugyae's Confucianism, and the rest introduce his life, academic acheivement, school, and education. Only about ten researchers did most of the research. Since the research on Ugyae has a short history, the quality of resear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quantity.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limited, and the research process is not systematic yet. Moreover, the main topic or symbol that represents or defines the meaning of Ugyae studies is still ambiguous. For these reasons,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points in future studie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search perspective to make a universal standard on Ugyae. Especially one should carefully examine whether Ugyae can be defined as 'the eclectic between Toegye and Yulgok's theory.' Also, One should study Ugyae under the aspects of Confucianism. Second, researchers should consider Ugyae's life and the specificities of his time. Neo-Confucianism puts stress on practice; thus, the theories of self-cultivation or statecraft are essential. To fully understand Ugyae's academic works, one should study how Ugyae cultivates and practices rather than which theory he presents. Third, researchers should do study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rather than fragmentarily and sporadically. The Benti'lun(本體論, ontology) and Xin'xinglun(心性論, the theory of mind) are fundamental, but one also should focus on the subjects as follows: self-cultivation, statecraft, education, literature, and history. It is not merely a quantitative balance between issu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r basis of Ugyae research to clarify the identity of Ugy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