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 학교급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지덕영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의 목표와 통합과학교육의 인지, 과학수업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통합의 방향, 그리고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의 목표 중 자연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생각였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과학을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고등학교 교사들은 과학의 핵심 개념이해를 중요한 과학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다. 학교급이 높고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통합과학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은 과학수업과 생활과의 연계를, 통합과학의 가치는 과학 지식영역간의 상호 관련성 증대로 인한 학습효과 증가 및 자연현상의 통합적 이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통합과학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각 과학교과 내용의 충분한 이해와 함께 다양한 통합의 경험이 제공되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verall percep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includi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recogni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direction of integration, and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s thought that solving problems scientifically with curiosity and interest in natural phenomena was the most important go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ability to scientifically explore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and high school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goal of science education that is important.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level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better one is awar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The integrated school education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ink between science classes and life in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recognized the increase in learning effects caused by increased inter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knowledge areas and the integration of natural phenomena as the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integration experiences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each science textbook.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신물질주의 시대의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곽영순(Youngsun Kwak)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및 교육과정 글쓰기에 참여한 연구자의 체험을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해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현상학적 접근의 특징을 살려서 연구 참여자로서 체험한 것의 의미를 드러내고, ‘과학과 교육과정이라는 글쓰기’의 의미 본질을 기술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의 상황맥락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자의 글쓰기 체험과 총론 지침에 대한 해체적 읽기 체험의 의미를 (1) 변혁적 역량과 과학과 교육과정, (2)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생태전환교육, (3) 인류세 담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제시하였다. 물론 이 세 가지로 교육과정 개발 연구 체험의 본질을 모두 드러낼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포스트휴먼적 생태주의 패러다임에서는 누가 행위주체성을 가지는지, 그리고 새로운 형상과 잠재성을 현실화하는 변혁적 역량이 무엇인지를 해체적으로 접근하도록 요청하였다. 교육과정 개정 연구 참여 체험에 대한 성찰과 제언으로 교육과정 개발을 둘러싼 담론적 실천과 써지는(writerly)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a researcher,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writing, were analyzed deconstructively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s a research participant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o describe the essence of the meaning of 'writing science curriculum'. First,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presented.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of writing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deconstructive reading of the MOE’s general guidelines were analyzed (1) transformative competency and science curriculum, (2)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3) Anthropocene discourse. and science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three themes. It is not possible to reveal all the essence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through these three themes. After all, the posthuman ecological paradigm requested a deconstructive approach to who are agencies and what is the transformative competency that demands the realization of new forms and virtualities. As reflections and suggestions, discussed are the discursive practice surround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curriculum as a writely text.

      •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과 미국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의 비교

        최현종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학교 정보 교과 교육과정과 미국 컴퓨터과학교사협회(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를 서로 비교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추후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국내외 컴퓨터 과학 교육의 비교 논문을 찾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정보 과목의 목표와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등을 2016년에 제시된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의 목표와 내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두 개의 교육 목표와 내용은 컴퓨팅 사고력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교육 내용은 다소 상이하게 진술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과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 비교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발되어지는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정보 교육과정 개발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of Informatics subject in Korea and CSTA’s computer science framework in the U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study, the focus group interviews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suggestion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First of al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ome literatures concerning about computer science education were studied and compared. After that, the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Informatics subject in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STA’s computer science framework that was published in 2016. Although the two educational objective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computer science framework for promoting computational thinking have in common, some of its contents and elements between them are found to be different.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results of comparison, some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for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of Infor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case that can be consulted on the new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to be developed further.

      • KCI등재

        학교 밖 생활과학교실 참여 학생에 대한 교육적 효과

        최윤희,김용진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4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ducational measure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changes in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tific competency for 78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ograms operated by 32 life science classroom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was improved through class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software (SW) education related programs was very high. In addition, interest and interest in fusion classes using drones and robots were high, and expectations for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ways using drones or robots were very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cienc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were positively improved in all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science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were further enhanced when participating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program for a long period of more than one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operate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rograms including cutting-edge technology, inquiry, education on social issues, and convergence education, where interest in science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can be expande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provide an educational plan to have a quality education system that can be provided for a long time. 본 연구는 전국 32개 생활과학교실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78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역량의 변화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생들은 생활과학교실 수업 활동을 통해서 과학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었다. 특히, 소프트웨어(SW) 교육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드론이나 로봇 등을 활용한 융합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았으며, 드론이나 로봇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았다. 둘째, 생활과학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 역량은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모둠별로 함께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의사 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생활과학교실 프로그램에 1년 이상의 오랜 기간 참여한 경우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핵심 역량이 더욱 신장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핵심 역량이 골고루 신장시킬 수 있는 첨단 기술, 탐구, 사회 쟁점 교육, 융합 교육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환경 및 제반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장기간 제공할 수 있는 질적인 교육 시스템을 갖출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

        노대원,김성백,염미경,이소영,김세헌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20 No.2

        This research aims to estimate the potential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traverses the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computer technology,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Besides, it attempts to integrate various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o examine the ways of developing, sharing and spreading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hat may be applied to the fields of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model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tudies, as well as overall framing of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models. The first model deals with technology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e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tegrate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Meanwhile the second model deals with Jeju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ich is focused on educating global citizenship, excavating examples of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applying them to local community. Finally, the third model deals with narrative culture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that traverse disciplines of ‘science and literature’,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and ‘local culture and literary/social studies.’ 이 연구는 과학, 컴퓨터, 문학, 사회 교과의 울타리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의 실천적 가능성을 가늠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융합교육에 접목하며,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만한 융합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 공유, 확산하는 방안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세 유형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세 유형의 융합교육을 다시 연계시키는 융합교육의 전체 구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컴퓨터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포함하여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접목한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테크놀로지 및 네트워크를 응용한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교육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역점을 두면서 지역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적용한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문학’ ‘문학-사회’ ‘지역문화-문학 및 사회’의 학제 간 융합교육의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 기반 융합교육 및 융합교육 연구의 방향과 구도를 세우는 데 이 연구는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초 · 중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정은영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ubject of survey was 26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39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5 teacher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due to the empha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ositive changes were seen in science classes, and science core competencies we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science classes. In addition, the inquiry activities were faithfully conducted in the science classes, and positive responses were given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gration unit. It was generally perceived to be useful for the present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Notes’ and ‘Assessment Methods and Not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many difficulties doing experimental classes, and there are many request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ienc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related to experimental classes and the various materials. 이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 실행 실태와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265명, 중학교 과학 교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강조 사항으로 인해 과학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과학 수업을 통해 과학 교과 역량이 길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탐구 활동이 적절하고, 과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을 충실하게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통합 단원 구성의 적절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단원마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한 것이 과학과 교육과정 이해, 과학 수업 및 평가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초․중학교 교사들은 실험 수업과 관련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고, 교수․학습과 관련된 자료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 실험 수업과 관련된 지원을 하고,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이현주,하지훈,곽영순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2

        On the basis of a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how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adapting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Data was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In results, first, the teachers positive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but pointed out lack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instructional supports and lack of clarity and concreteness in the definitions of science key competencies. Since such limited understanding could be barriers to properly implement the major changes in schools, it would be more necessary to clearly communicate with teachers on the emphases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some teachers tended to misunderstand core ideas a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learning. The teachers suggested that science textbooks should clearly address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현장 적용 2년차를 맞이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모니터링 연구의 일환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주요 요소인 핵심개념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탐색하였다.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요소와 변화 방향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재상, 주요 초점 등에 대한 연수, 홍보, 교수학습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과학교사들은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였으나, 과학과 교과역량 각각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과학 수업에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각 역량의 의미가 현장수업과 연계되어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각 역량이 의미가 교사들에게 명확히 전달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핵심개념의 적용을 학습량 감소와 연계하여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향후 우리나라도 과학 교과서에 핵심개념과 개념과의 연계를 명시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대학 다문화교육 현황과 방향 모색- 제주대학교 다문화교육 강좌 운영 및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 분석

        염미경,김민호,권상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rough a cas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and the attendees’ activities in the course, 2015. This result of this study shows some implication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were taken by the high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the students with the idea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fter t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cultur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take greater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Secondly, Jeju National University has not established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tudent teachers college students, so a kind of multiculural education courses are offered. Thus, diverse programs and courses related to multiculture need to be opened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ulticultural programs and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junction with their local community. 이 글에서는 대학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주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전체 다문화교육 강좌, 즉 일반교양과 교직 강좌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에 대해서는 수업활동내용 고찰과 함께 수강 학생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조사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 수강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강좌 수강 후 다문화 관련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학생들의 다문화 관련 인식과 태도도 강좌 수강 후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가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다음으로 제주대학교의 경우 초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운영 중이나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아직 개설되지 않은 상태로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제주형 혁신학교의 미래지향적 교육패러다임 모색

        이인회,현길아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paradigm of Jeju Innovative Schools (JIS) for the future and make a foundation for deepening and developing the schools. To do so, the study employed a focused group interview method with twelve teachers who worked in Dahandi Learning Schools (DLS), and conducted four time interviews. The majo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pen coding identified 88 concepts, 16 subcategories, and 6 core categories. Second, JIS, as a model of innovating schools and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had tried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essence by making questions on and re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JIS, as well as doing a community together, although there were five struggles and obstacles such as undeveloped leadership, teacher’s burdens and burn-out, reinforcement issues about school members, the limits of reduction of teacher’s work, and policy changes from the education office. Third, the participants projected four factors such as setting new vision, continuing student-led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innovation, actualizing school autonomy beyond school innovation, and expanding the learning space for learners, upon the future directions of JIS. As the result of discussion, a development road-map of JIS could be drawn for the future, and the DLS’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형 혁신학교에 대한 미래지향적 교육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이를 심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혼디배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원 12명을 대상으로 4차례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딩 결과 88개의 개념과 16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6개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제주형 혁신학교는 공교육 정상화와 학교혁신 모델로서 스스로 ‘질문하고 재해석하기’와 ‘공동체로서 같이 해보기’를 통해 교육의 본질을 찾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학교는 ‘혁신리더십의 미진화’, ‘교사의 부담감과 피로도’, ‘학교구성원의 역량 강화’, ‘학교 교원업무경감의 한계’, 그리고 ‘교육청 정책의 변화’에 대한 고민과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제주형 혁신학교의 미래지향적 교육의 방향으로 ‘혁신학교의 새로운 비전 설정’, ‘학생주도의 교육과정-수업-평가 혁신’, ‘학교혁신을 넘어 학교자치 실현’, 그리고 ‘학습자의 배움 공간 확장’의 4가지를 전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제주형 혁신학교의 미래지향적 발전 로드맵을 도출하고 다혼디배움학교에 대한 미래 교육의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맥그린치 신부 제주지역 사회사목활동의 교육적 의미

        김경주(Kim, Kyeong-ju),양진건(Yang, Jin-geon)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맥그린치 신부의 인간존엄성 실현을 위한 지역사회 사목활동에서 교육활동을 도출하고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맥그린치 신부가 1954년 제주에 부임하여 2010년 이시돌재단 이사장직에서 은퇴한 시점까지를 연구 기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기존의 문헌과 연구자료 및 인터뷰가 담긴 기사를 참고하였다. 그의 교육활동은 인간존엄성 실현을 목적으로 한 주체적 삶의 개선과정이었다. 해당 과정을 위해 지역사회 실천공동체로서 4H를 조직하고, 지역주민들을 그가 계획한 프로그램 및 사업에 주체적으로 참여・실천하게 하였다. 또한 실천과정에서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여 기술교육을 실시하였다. 무엇보다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인적・물적 자원을 연결・지원하는 교육환경을 조성하였다. 맥그린치 신부의 지역사회교육활동 특징으로‘주체적 삶의 개선을 위한 참여와 실천의 기회창출’,‘지역사회교육 활동을 통한 종합적 발전’,‘교육지원을 위한 시스템구축’,‘교육형태의 변화’,‘삶의 입체적 평생학습’으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맥그린치 신부의 지역사회 교육활동은‘지속가능한 지역사회의 종합적 발전을 드러내는 교육활동’사례로,‘온전한 인간성장으로서 인간성회복 교육’으로, 소외된 주체를 다각적 영역에서 돌보는 ‘평생 돌봄 교육’의 실현으로, ‘주체적 시민으로 성장 추구’로서 의미를 지님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ducational activities from pastoral activities in the community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of Father McGlinchey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meaning.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an independent life improvement process aimed at realizing human dignity. He organized 4H as a CoP(Community of Practice) for this process. and he allowed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nd projects he had planned, and to implement them independently. He also established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ourse of practice to conduct technical training. Above all, he put much effort into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onnects and support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o that educational activities can take place in various areas of life. The characteristics of Father McGlinchey s community education activities are‘Creation of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practice for self-improvement of life’,‘Comprehensive development through community education activities’,‘System establishment for educational support’,‘Changes in educational form’,‘three-dimensional lifelong learning of life’.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Father McGlinchey s community education activities are examples of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community. It is an example of the life education as human growth in the community. It is also the realization of ‘lifelong care education’that takes care of marginalized subjects in various fields. It is a ‘Pursuit of growth as an independent citiz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