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도 북서해역의 해수분포의 계절변화와 여름철의 황해난류

        방익찬,이재학,노홍길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5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9 No.-

        제주도 서방해역에서 1994년 2월 17∼18일, 6월 20∼22일, 9월 6∼15일에 관측한 CTD 자료와 제주대학교에서 고나측한 기종의 자료를 분석하여 해수분포와 해수순환의 계절변화를 알아보았다. 겨울철에는 대마난류수가 제주도 연안역을 중심으로 제주도 서방해역에서 제주해협으로 연결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대마난류수가 제주도 서방해역을 지나 모두 제주해협으로 유출되고 있다. 황해낸수는 소흑산도 이남해역까지 분포하며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구조를 보인다. 황해난류수는 대마난류수와 황해냉수 사이에 분포하며 소흑산도 서쪽해역을 지나 황해중앙부를 통해 황해로 유입되는 형태를 보인다. 여름철에는 표층에 대마난류수는 보이지 않으며, 31‰정도의 저염수가 나타나 양자강연안수의 영향이 6월에 이미 시작되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저염수는 남서해역에서 제주해협까지 나타나있다. 한편, 대흑산도 부근의 한반도 남서 연안에는 비교적 차고 높은 염분의 해수가 분포한다. 저층의 황해저층냉수는 황해중앙부를 통해 남하하며 황해난류수를 제주 근해로 압박하는 분포를 보인다. 자료분석 결과는 대흑산도 부근 해역의 해수기둥이 갖는 높은 염분은 이남의 고염수의 공급을 받아야만이 가능하며, 하천수 유입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수심의 수온분포를 보면 황해난류수가 제주도 해역에서 대흑산도 해역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이 보인다. 황해난류수가 서해안을 따라 황해로 유입되는 형태는 바람이 강할 때만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으나 순환구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Pang et al.(1992)에 의해 제시된 겨울철에 연안을 따라 남하하고 황해의 깊은 골을 따라서는 북상하며, 여름철에 연안을 따라 북상하고 황해의 깊은골을 따라서는 남하하는 계절순환의 구조를 뒷받침해 준다. With CTD data observed on the north western sea of Cheju Island in Feb. 17∼18, Jun. 20∼22, Sep. 6∼15, 1994, and CNU(Cheju National University) data observed previously,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mass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are studied. In winter, Tsushima Warm Water(TWW) is distributed near Cheju-do from the western sea of Cheju-do to the Cheju Strait, and totally flows to the Cheju Strait. Yellow Sea Cold Water(YSCW) is distributed over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own to the southern sea of Soheuksan-do, and flows southward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Yellow Sea Warm Water(TSWW) is distributed between TWW and YSCW, and flows into the central Yellow Sea through the western sea of Soheuksan-do. In summer, the upper and lower layers show different distributions. In uper layer, TWW disappears and less saline water of down to 31‰appears, which shows that the influence of Yangtze Coastal Water already begins in June. The low salinity water is distributed from the western sea off Cheju-do to the Cheju Strait.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near Taeheuksan-do, relatively cold and saline water is distributed. In the lower layer, Yellow Sea Bottom Cold Water(YSBCW) southeasterly expands from the central Yellow Sea and pushs YSWW to Cheju-do. The result of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homogeneously saline water column in the cold water area is possible only by the northward supply of southern saline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deep layer, which is less influenced by river runoff, YSWW flows northward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adjacent sea of Cheju-do. YSWW's influx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in summer might appear intermittently, however, the possibility itself is important at present. The result agrees with the seasonal circulation structure presented by Pang et al.(1992) : in winter, southward folw along the coast and southward flow along the central Yellow Sea.

      • 독가시치류의 일종, Siganus canaliculatus(PAPK)의 産卵期 生殖巢와 卵發生

        朴武億,盧暹,李榮敦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2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6 No.-

        1991년 8월 2일에 제주도 함덕 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체포한 S.conaliculatus 50미를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사육조로 옮겨 사육하였다. 채집된 재료중 생식소 조직관찰을 위해 40미를 사용하여고, 인공수정에 의한 난발생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성숙한 친어 암컷 2미와 수컷 1미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 숙도지수(GSI)는 암컷 18.43(±3.93), 수컷 16.33(±6.09)을 나타낸고 있고, 담황색을 띤 난소내에는 난경 284∼292㎛인 성숙난모세포군과 난경 70㎛ 내외의 어린난모세포군이 존재하고, 담홍색을 띤 난소내에는 388∼426㎛인 완숙난모세포군과 어린난모세포군이 출현하고 있다. 유백색의 정소 내에는 변태된 정자들이 소엽내강과 수정소관에 집괴를 형성하고 있다. 2. S.conaliculatus의 성숙한 암컷포란수는 체장 20.0∼20.9㎝에서 638.000∼835.000개이고, 체장 21.0∼24.0㎝에서는 1,359,000∼1,986,000개였다. 3. 수정난은 침성부착난으로서 난경 0.57∼0.61㎜(평균 0.57㎜ n=34)이고, 80∼100㎛되는 대형유구 3∼5개와 30∼50㎛되는 소형유구 6∼8개가 혼재하고 있다. 4. 실내사육수온 26∼27℃에서 수정후 32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자어는 1.89∼2.03㎜(1.94±0.095, n=20)이고, 근절수는 8+16=24이며 복부난황에 대형유구 1개와 소형유구 1개가 존재한다. 부화후 2일째 전장 2.45∼2.59㎜(2.53±0.092, n=20)이고, 눈에는 흑색색포가 착색되고, 입이 개구된다. 그리고 위와 장이 분화되면서 난황은 거의 흡수된다. Mature adults of Rabbit fish, Siganus canaliculatus, which is generally known to be distributed up to the southern costal waters of Korean peninsula, were captured in Hamduck, northeast of Cheju on August 2, 1992. Gonad of the Rabbit fish was investigated histologically on the view point of gonadal development. Pale yellow ovaries are consisted of the mature oochte groups and early growing oocyte groups, while Yellowish red ovaries consisted of the ripe oocyte groups and early oocyte group. Milky white testis is mostly filled with spermatozoa in the lobular cavity. The eggs and sperm were stripped and fertilized by the wet method on the laboratory. The fertilized egg diameter varied from 0.57㎜ to 0.61㎜. The water temperature throughout incubation ranged from 26℃ to 27℃. The hatching took place in 323 hour after fertilization. The newly hatched larvae are averagely 1.94㎜ in TL, possessing yolk sac.

      • 제주도 남방 연안역의 4월달 해수특성

        최영찬,문영석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1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5 No.-

        1990년 4월달 제주도 남방해역을 동남방, 남방, 서남방해역으로 구분하여 11개 정점에서 물리화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역별 영양염류중 인산인에 대한 무기질소성분의 비(N/P)는 동남방해역이 15.4, 남방해역이 13.8, 서남방해역이 9.4로서 해역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규산규소는 서남방해역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표, 저층간의 농도변화폭이 가장 적어 연직혼합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용승역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클로로필-a 농도로 볼때 서남방해역이 1㎎/㎥이상으로서 부영양상태역으로, 동남방 외해역(0.5㎎/㎥이하)은 빈영양상태역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농도분포로 보아 Kuroshio등 빈영양상태의 외양성해류가 제주도 남방역중 동남방역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된다. Through 11 obesrvaational stations in the southern seas off Cheju Island, which are divided in details into the southeastern and the southern and the southwestern sections,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in April, 1990. Each section is well distinguished in the ratio of nitrogen to phosphate (N/P) as 15.4 in the southeastern section, 13.8 in the southern section, and 9.4 in the southwestern section. The southwestern section show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ilicate and also small variations between the surface and thebottom layers. It suggests upwellings which cause well-mixing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ottom layers.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are over 1㎎/㎥ (rich) in the southwestern section, and below 0.5㎎/㎥ (poor) in the southeastern section. These distributions show that Kuroshio open-sea waters of poor nutrients affect more the southeastern section.

      • 제주도 북부연안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Phytoplankton Dynamics and Primary Productivity at the Hamduk Area 함덕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동태와 일차생산력

        고형범,고유봉,최영찬,이준백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5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9 No.-

        제주도 북부 함덕해역의 연안역과 외양역에 있어 식물플랑크톤 동태와 일차생산력을 파악하기위해 1989년 7월부터 1990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32종으로 규조류가 96종(72.7%), 와편모조류가 28종(21.2%), 기타 식물성 편모조류가 8종(6.1%)을 차지하였다. 출현종중 Chaetoceros socialis, Fragilaria oceanica 그리고 Lauderia annulata가 연안역에서 현존량의 70% 이상의 높은 우점율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Chaetoceros속이 높은 우점을 나타내었다. 평균현존량의 분포는 연안역(정점1,2)이 7.1×10³∼7.3×10⁴cells/ℓ, 외양역(정점3,4,5)이 5.8×10³∼3.0×10⁴cell/ℓ의 범위로써 규조류가 97%를 차지하였다. 수주의 평균일일 일차생산력은 연안역(정점 2)에서 631.06(156.74∼1,055.26)㎎C/㎡/day,외양역(정점 4)에서 367.12(111.83∼734.44)㎎C/㎡/day로 년간 평균 약 182gC/㎡/yr로 추정된다. 식물플랑크톤의 동화계수는 표층에서0.93-13.16㎎C/㎎Chla/hr의 범위로써 하계에 높았다. 개체수의 수직분포와 일차생산력의 계절변화로 볼때 함덕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동태는 수괴의 수직혼합 및 성층과 밀접한 상관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dynamics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t nearshore and offshore in the Hamduk area, northern Cheju Island from July 1989 to July 1990. A total of 132species were identified, comprising mainly 96 spp. of diatoms(72.2%) as majority, and also 28 spp. of dinoflagellates(21.2%) and 8 spp. of other phytoflagellates(6.1%) as minority. Of these, Chaetoceros socilis, Fragilaria oceanisa, Lauderia annulata predominated more than 70% of standing crops at nearshore and the genus Chaetoceros was most abundant in all stations. The cell number of surface layer ranged from 7.1×10³to 7.3×10⁴cells/ℓat nearshore and from 5.8×10³to 3.0×10⁴cell/ℓat offshore, showing the composition ratio of 97% by diatoms. The means of daily depth-integrate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water-column were 631.06(156.74∼1,055.26)㎎C/㎡/day at nearshore(st.2) and 367.12(111.83∼734.44)㎎C/㎡/day at offshore(st.4), estimating about 182gC/㎡/yr in the yearly primary productivity. Assimilation number of phytoplankton at the surface ranged from 0.93 to 13.16㎎C/㎎Chla/hr, showing higher values in summer. It is speculated that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show the close relation with the vertical mixing and stratification of the water mass in terms of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ell number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 제주도 한림항과 성산항 일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

        이준백,좌종헌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0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4 No.-

        제주도 동ㆍ서 연안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동태 및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파악하기위해 한림항과 성산항 주변해역의 정점을 중심으로 1989년 8월부터 1990년 5월까지 매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항만 해역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의 비율은 49.2%로써 종조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Skeletonema costatum, Chaetoceros socialis 등이 두 해역에서 공통적으로 춘계에 75% 이상의 높은 점유율로 우점하고 있었다. 현종량은 한림항에서3,277∼1,952,809, 성산항에서 6,458∼1,799,870 cells/ℓ분포를 보였지만, 대중식의 양상은 한림항은 춘계에 성산항은 추계에 발생하여 계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C-4 법에 의한 일일 기초생산량은 한림항이 0.768∼3.119, 성산항이 0.533-5.889 ㎎ C/㎥/day로 성산항이 높았으며 탄소동화율도 성산항이 한림항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한림항은 수온, 용존산소, 총질산-질소(r²=0.467), 그리고 성산항은 염분, 용존산소, 총인산-(r²=0.492)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요인분석에 의한 두 해역의 생태적 특성은 모두 수온의 증가 및 영양염류의 유입과 그로인한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로 나타났다. The phytoplankton dynamics and correlations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western and eastern area of Cheju Island have been monthly investigated at eight stations of Hanrim harbor and nine stations of Songsan harbor from August,1989 to May, 1990. The ratio of common species occurred at two areas was 49.2%, showing the diffrence in species composition. The dominant species, however, of Skeletonema costatum and Chaetoceros socialis, comprised more than 75% commonly at two areas in spring season.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have showed the ranges of 3,277∼1,952,809 and 6,458-1,799,870 cells/ℓ at Hanrim and Songsan respectively, blooming in sping at Hanrim and in fall at Songsan. Daily primary production using C-14 method ranged 0.768∼3.119 and 0.533-5.889 ㎎ C/㎥/day at Hanrim and Songsan respectively, and carbon assimilation number at Songsan has showed higher than at Hanrim as well. The correlations between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suggest that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and total nitrate-nitrogen affected the phytolankton standing crops(r²=0.467) at Hanrim, whereas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total phosphate-phosphorous affected it(r²=0.492) at Songsan. From factor analysis, it is speculated tha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wo survey area is phytoplankton blooming by the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and the inflow of nutrients.

      • 濟州島 沿岸의 水中騷音 -Ⅰ : 濟州港과 楸子島사이 Between Cheju Harbor and Chuja Island

        鄭龍晋,邊昌翊,徐斗玉 濟州大學校海洋資源硏究所 1986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0 No.-

        濟州港과 楸子島를 연결하는 線上의 3個點을 測定位置로 하여 水中騷音을 測定하고, 이것을 測定周波數에 따른 音壓準位로 分析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濟州港과 楸子島 사이의 水中騷音은 夜間에 높고 晝間에 낮으며, 測定點에서 音壓準位의 平均値의 差는 測定點 A, B, C에서 各各 3.7∼14.0 dB, 6.3∼9.1 dB, 10.0∼15.3 dB 였다. 2) 測定點에 對한 수직적인 平均音壓準位는 周波數 75Hz의 水深 20m, 50m, 100m에서 A는 各各 105.7 dB, 107.2 dB, 107.5 dB, B는 各各 105.7 dB, 103.9dB, 105.9 dB, C는 103.0 dB(20m), 105.8 dB(50m)였다. 3) 測定點에 對한 수평적인 平均音壓準位는 周波數 75Hz의 水深 20m, 50m, 100m에서 各各 104.8 dB, 105.6 dB, 106.7dB였다. 周波數 75∼5000Hz에서 音壓準位의 平均은 水深 20m, 50m, 100m에서 各各 83.3 dB, 84.4 dB, 85.9dB였다. 4) 3個 測定點에서 周波數 75Hz 最高値의 平均音壓準位는 測定點 A, B, C에서 各各 108.4 dB, 107.4 dB, 108.1 dB였다. Underwater ambient noises were investigated at three stations (A, B and C) connected to a straight line from Cheju harbor to Chuja Island. The underwater ambient noise was present as a sound pressure level for each measured frequ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underwater ambient noises were high at nighttime but low at daytime. The differences of each value of average sound pressure level at station A, B and C were 3.7-14.0 dB, 6.3-9.1 dB and 10.0-15.3dB, respectively. 2) The vertical sound pressure level of each station was measured at 20m, 50m and 100m in the depth of water. The values of station A 105.7dB, 107.2dB and 107.5dB, respectively. The Values of station B were 105.7dB, 103.9dB and 105.9dB, respectively. The values of station C were 103.0dB at 20m and 105.8dB at 50m. 3) Each value of horizontal sound pressure level at station A, B and C was 104.8dB at 20m, 105.6dB at 50m and 106.7dB at 100m in the depth of water. Each mean values of sound pressure level from 75 to 5000Hz was 83.3dB at 20m, 84.4dB at 50m and 85.9dB at 100m in the depth of water, respectively. 4) Each mean values of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at 75Hz was 108.4dB at station A, 107.4dB at station B and 108.1dB at station C.

      • 소라의 種苗量産에 關한 基礎的 硏究

        卞忠圭,盧暹,孫松正 濟州大學校海洋資源硏究所 1986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0 No.-

        濟州道産 소라, Batillus Cornutus (LIGHT FOOT)의 種苗量産을 爲하여 濟州大學校 海洋資源硏究所 및 國立水産振興院 濟州培養場에서 1985年 7月부터 8月 사이에 南濟州 近海에서 採集된 殼高 51.9∼93.1mm의 母貝 387마리를 利用하여 7 回의 産卵誘發刺戟을 實施하였다. 알의發生 및 浮游幼生, 採苗, 附着幼生의 飼育過程에 따른 成長 및 生殘率 等에 關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産卵誘發刺戟으로서 刺戟前夜의 止水處理에 의한 干出, 紫外線照射海水刺戟을 竝行한 方法이 확실히 效果的이었다. 2. 同 方法에 의한 使用母貝의 反應率은 10.42∼36.84%였으며 受精率의 範圍는 71.45∼93.02%였다. 3. 産卵量에 對한 孵化率의 範圍는 63.25∼80.12%였다. 4. 採苗器 設置方法에 따른 浮游幼生의 採苗器當 平均 看生數는 垂直採苗에서 367.38±67.58個體(0.31개個體/㎠)였으나, 水平採苗의 경우는 428.25±318.50個體(0.36個體/㎠)로서 後者가 더 良好하였다. 5. 水槽壁面 着生된 附着稚貝의 垂直分布는 孵化後 70日까지는 附着硅藻의 着生이 많은 水面에서 30cm사이에 出現稚貝의 90.14%가 集中되었다. 6. 秋季採苗에서의 소라稚貝의 孵化後 70日間 飼育에서의 經過日數(D)에 따른 殼徑(S)의 成長關係式은 小型圓形水槽 (φ1.6×0.7m)의 경우 S=0.0090 D+0.4236, 四色水槽 (2.5×1×0.7m)의 경우 S=0.0109D+0.4253의 回歸直線式으로 名名 表示되었다. 7. 附着以後 稚貝의 大量斃死現象은 孵化後 20 日以內에 볼 수 있었고 이때의 生殘率은 圓形水槽에서 49.28%, 四色水槽에서 40.36%였으며 孵化後 70日間의 最終 生殘率은 前者에서 9.11%, 後者의 경우 8.93%였다. For the purpose of mass s production of the seedling of top shell, Batillus cornutus (LIGHT FOOT) in Cheju Do, 387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Their shell height were ranged 51.9-93.1mm and the experiment to stimulate the spawning induction were excuted 7 times during the period of July, 1985 and August, 1985. The results of egg development, planktonic larvae seed collection, growth and survival rate in relation to the rearing process of settling larvae were as follows: 1. The method of induced spawning stimulation which practiced drying by means of non-circulation on the night before stimulation while irradiating the seawater with ultra-violet ray was most effective. 2. The range of response rate, and fertilization rate of samples by the above method was 10.42%∼36.84% and 71.45%∼93.02% respectively. 3. The range of fertilization rate against spawning was 63.25%∼80.12%. 4. The average of settling numbers per swimming larvae collector in relation to collector set-up method were 367.38±67.58 individual (0.31 individual/㎠) and 428.25±318.50 individual (0.36 individual/㎠) in vertical and horizontal settling respectively. 5. Vertical distribution of attached young top shell on the wall surface in aquarium was 90.14% of total young top shell and this was appeared between the water surface and 30cm depth which was abundant in settling of attatched diatom up 70 days after hatching. 6. The growth relationship equations between shell diameter and growth of 70 days after hatching of young top shell in autumn collection were the linear regression line of S=0.0090D+0.4236 and S=0.0109D+0.4253 in case of small circular aquarium (ψ1.6×0.7m) and rectangular one (2.5×1×0.7m) respectively. 7. Mass motality of young top shell after attatching was detected within 20 days after hatching. Survival rates were 49.28% and 40.36% in circular aquarium and rectangular one respectively. During this period while percentages of survival after 70 days were 9.11%, 8.93% in former and latter respectively.

      • 제주도 주변해역의 동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현황

        서해립,서호영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3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7 No.-

        제주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종조성의 시·공간적 변동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평균 생물량은 근해(50-100㎎/㎥)보다 연안(<50㎎/㎥)이 낮았다. 연안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태평양 아열대해역의 생물량과 비슷하였다. 연안의 총 동물플랑크톤(>0.09㎜)에서 몸이 큰 동물플랑크톤(>0.33㎜)이 차지하는 비율이 컸다. 작은 동물플랑크톤(0.09-<0.33㎜)의 생물량은 10-15㎎/㎥이었다. 제주도 연안의 chl.-a농도는우리나라 다른 연안역에 비해 낮았다. Go et al.(1989)이 보고한 것처럼 연안 동물플랑크톤이 높은 생물량에 대한 생산량의 비를 나타낸다면, 저서환경으로부터의 추가적 에너지흐름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저서조류기원의 데트리터스는 연안 동물플랑크톤의 중요한영양 공급원이 될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또 식물플랑크톤과 데트리터스 소비자로서 연안 동물플랑크톤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몸이 작은 동물플랑크톤과 저서-표영성 동물플랑크톤에 관한 보다 많은 분류 및 생태학적 정보가 필요하다. We reviewed recent studies on estimating the spatio-temporal variability in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zooplankton around Cheju Island. The average estimated biomass of zooplankton was lower in inshore (〈50 ㎎/㎡), compared to offshore (50-100 ㎎/㎡). The biomass of inshore zooplankt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subtropical Pacific. The large zooplankton (〉 represented a greater portion of total (〉0.09㎜) inshore zooplankton biomass. The average biomass of small zooplankton (0.09-〈0.33㎜) ranged 10-15㎎/㎡. The low concentration of chl. -a appeared in inshore (〈1㎍/1), compared to the other Korean coastal waters (3-6㎍/1). High P/B ratio of inshore zooplankton previously reported by Go et al. (1989) implies the presence of an additional pathway of energy flow from benthic environment. It is assumed that detritus originated from benthic algae may be a significant source of food for inshore zooplankton. In addition, more taxonomical and ecological information on small (0.09-0.33㎜) zooplankton and bentho-pelagic zooplankton is needed to assess the role of inshore zooplankton as consumers of phytoplankton and/or detritus.

      • 제주도 서부 연안역의 용승

        방익찬,김태희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3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7 No.-

        제주도 서부연안역의 수직 수온 염분분포의 특성은 상층용승형과 하층침강형이며 겨울철과 여릉철에는 뚜렷하지 않으나 년중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한 형태는 해류가 북상하며 오히려 약화되는 듯이 보이며, 관측 전에 북풍이 계속 불었던 11월에는 용승효과가 매우 커 저층침강형태는 사라지고 저층까지 용승형태가 나타난다. 바람은 모든 계절의 용승현ㄴ상을 설명하지는 못하지만 용승효과는 가장 큰 것으로 보이며, 시계방향의 흐름에 의한 와도변화로 용승을 설명하는 것에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하층침강이 설명되지 않으며, 둘째, 해류가 흐르며 용승효과가 약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어렵고, 셋째, 그효과가 관측에 비해 너무 작은 것이다. 제주도 서부연안역의 상층용승형과 하층침강형은 해류가 간격이 넓어지는 등수심선을 따라 흐르면서 생기는 상층발산과 이를 보충하려는 하층수렴에 의해, 상층에는(-), 하층에는 (+)와도가 유도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temperature and salinity distributions in the western sea of Cheju Island is a upper-upwelling and lower-downwelling feature. Although it is not clear in winter and summer seasons, it seems to be continued through the year. The feature is likely to be weaker, as waters flow north. The upwelling feature was very strong in November, when northerly winds had been blowing for 10 days before the observation, so that it reached to the bottom andthe lower-downwelling feature disappeared then. The year-lasting upwelling feature can not be explained by only winds, but, the effect of winds seems to be the strongest. There are acouple of problems in the explanation of upwelling by negative vorticity due to clockwise flows. First, it can not explain the lower-downwelling feature. Second, it is hard to explain why the feature is weaken, as waters flow north. Third, its estimated effect is so small compared to the observations. The upper-upwelling and lower-downwelling feature may be caused by negative vorticity in the upper layer and positive vorticity in the lower layer. Such a vorticity variation can be driven when waters flow along the isobates of which widths are widening. It will be followed by horizontal divergence in the uper layer and horizontal convergence in the lower layer.

      • 제주도 지하수의 지역별 수질특성과 수위변화

        박정운,윤정수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4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8 No.-

        335개 분석공 중 표고별 내역을 보면 73.2%에 해당하는 245공이 표고 100m이하에 개발이 집중되어 있고, 100m이상의 개발공은 90공에 불과하다. 표고별 채수량은 50m이하에서는 1,874.1㎥/일, 50.1∼100m까지가 1,400.9㎥/일, 100.1∼150.m가 1,194.7㎥/일, 150m이상엥서 1,061.8㎥/일로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양수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다. 본도의 지하수 개발공중 절대수위 해수준면이하가 되는 지하수 관정으로서는 동부지역이 11개공, 서부지역은 13개공, 북부지역은 3개공으로 이들 공에서는 과잉양수에 따라 해수가 침입할 위험부담이 있는 관정이다. 조석간만의 변화가 지하수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는 신촌지역이 해안에서 1.82㎞까지 수위변동폭이 0.18∼0.08m. 구좌지역은 해안에서 내륙으로 약 9.5㎞까지 수위변동폭이 0.24∼0.08m. 성산지역은 해안에서 7.5㎞까지 수위변동폭이 0.23∼0.08m. 표선지역은 해안에서 3.92㎞까지 수위변동폭이 0.13∼0.07m. 한림지역은 해안에서 3.9㎞까지 수위변동폭이 0.08∼0.04m로 조석간만의 영향에 따라 자연수위가 정현곡선을 그리며 운동하고 있고,고산지역과 대정지역은 자연수위가 조석의 영향을 미약하게 받고 있고 주로 강수량에 따라 지하수위가 변동하고 있다. 32개 지하수공에 대한 월 2회 6개월 동안 장기수위관측 결과에 의하면 이중 77%에 해당하는 27개공이 개발당시보다 수위가 현저히 하강하였다. 제주시와 서귀포지역은 개발당시 보다 각각 평균 7.5m와 10.8m 씩 수위강하가 있었으며, 애월이 4.0m, 표선 3.4m. 남원 4.8m. 한경 1.9m. 성산 0.5m등 지역에 따라 수위강하폭이 심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위강하 현상은 일부 대도시의 관정을 제외하고는 풍수기인 8월10월 사이에 전체적으로 상승하였다. 동부 및 서부지구의 지하수부족 형태로서 동부지구는 표고에 비해 담수 lens층이 엷은 관계로 자연수위가 해수준면과 가까와 해안 가까운 곳에서 지하수 착정심도를 깊게 할 경우 해수가 올라올 수 있는 부존형태를 이루고 있은 만치 성산읍, 구좌읍 및 표선면 지역에서는 지하수 개발시 해수오염을 고려하여 착정심도 및 양수량 결정등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반면 서부지구는 그 지하구조가 달라서 표고는 낮으나 대수층이 두꺼운 이상적인 담수 lens형태를 이루고 있어 착정심도를 어느정도 깊게 해도 해수가 침입할 위험부담이 적은 편이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수질분석자료 중 오염인자의 중요한 요소인 NO₃- -N. Cl-,SO₄²-성분들이 그간의 변화 추세는 질산성질소 성분은 제주시지역은 1983년보다 1991년 이후는 약 1.6배. 애월지역은 약 2.5배. 한림지역은 4.6배. 한경지역은 약 15배. 안덕지역은 약 3.8배. 서귀포지역은 7.8배. 표선지역은 약 16.6배. 구좌지역은 약 6.6배. 조천지역은 약 4.3배씩 증가하였고, 염소이온함량은 제주시지역은 약 1.5배, 한림지역은 약 2.5배, 한경지역은 약 1.6배, 서귀포지역은 약 1.4배, 남원지역은 약 1.8배, 표선지역은 약 6배, 구좌지역은 약 1.8배, 조천지역은 약 1.5배씩 그 농도가 꾸준히 증대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ltitudinal distribution of drilled wells, yield capacity of the aquifer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relation of groundwater level to tidial effect and tendency of annual groundwater pollution potential. The information of 335 wells drilled by Korean Agricultural Development Corporation indicates that the elevation of 225 wells were distributed below the 100m level and only 90 wells located 100m upper level. The water yield located below the 50m level wells are 1,874.1㎥/day, 50.1∼100m : 1,400.9㎥/day, 100.1∼1150m : 1,194.7㎥/day, upper 150m level wells are 1,061.8㎥/day, as increase the elevations higher is distinctly decrease with the yield capacity. The groundwater well which piezometric surface situated under the sea level in Cheju Island as fellow : In the eastern region exist 11 wells, western region content 13 wells and northern part have 2 wells, if the overdraft groundwater under the these condition, the wells near the coastal area are salt intruded due to over pumping activity. In the eastern parts, including Shinchon, Kujwa and Sungsan area, are sinusoid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occurs in the response to oceanic tides. However, ion the westen parts, thus the Gosan and Taejeong area shows the groundwater level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precipitation. Base on the long-term groundwater level test of 32 inventory wells were measured of study area, which the 27 measurements of sites were drawdown rather than that the initial groundwater level. The freshwater lens type in the eastern region have shallow aquifer, therefore if the drilling well is near the coastal areas, it's presure the sea water intrusion, while the western region the aquifer existing perfect fresh water lens type. According to the NO₃­-N, Cl­, SO₄²­ components in Cheju groundwater from 1983 to 1993 analysed date, the degree of pollution for the Cheju groundwater is continuous increasing rather than the initial development water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