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 UI(University Identity) 시스템 디자인 연구 : 한양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창배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Universities leading knowledge industry of the 21th century are faced with new problems to do qualitative renova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it has been about 60 years since the independence of our country from Japan. Today, our universities closed down due to decreasing students or the lack of competitive edge unlike the universities 10-20 years ago. Because of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requently chang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r the opening of oversea colleges in Korea, Korea's universities lie on the hard struggle for existence. Therefore,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active and realistic changes. Because of such reasons, each university is introducing "University Identity Program"(UI) to enhance university images. Every university has its image based on its history and tradition. Such an image is influenced by how college students take their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ir university. Thus, for the competitive edge of universities, universities are in need of systematic UI. That is to say, based on characteristic and obvious UI, each university should make differentiated images by using sensational factors. Many colleges try to change all things such as office work, administration and schoolaffairs by unifying a variety of colors and remarkable patterns, unlike the stereotyped image logos. There is a university composed of "Brand Association" to enhance university's image and brand. Some colleges say " When the value of a university's brand increases, people regard the university as a top class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planned to enter ranking the 100th among the world's universities by 2039,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university. Thus, despite the fact that Hanyang university needs a new image establishment, the staff of the school do not pay attention to these periodic changes and necessity. Now, unlike Corporate Identity (CI), communications between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but they are excessively niggardly of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Most of them agree to introduce the marketing system of enterprise 82 in the university, but they are on negative lines to be a future-oriented college image. People often think of symbolic images and their objects as a fixed idea. They are afraid that it might be commercial. What they are considering more importantly is that a university is only absorbed in study, not the university's image. Thus, there is a limit to expect renovative UI. This paper suggests Hanyang University's identity system design to cope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The visual identity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can give differentiated images to all people as well as the students studying there. Moreover, it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to do the university's public relations-campaign. Universities should be a competitive advantage from other colleges by introducing an epoch-making marketing system. This paper is meaningful to apply UI to Hanyang University in actuality, by forming a part of an effort to cope with rapidly educational environment. 21세기 지식산업의 원동력이 될 대학의 역할은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광복 이후 60여 년 동안 이룬 양적 성장의 단계를 넘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질적 혁신을 이뤄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수험생이 넘쳐나던 과거와는 달리 점점 줄어드는 학생 수와 경쟁력 없는 대학들이 문을 닫거나 축소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대학시장의 해외개방, 입시전형의 변화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으로 인한 생존 경쟁이 심각한 상태로,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인식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대학에 맞는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의식 변화와 함께 '대학 이미지 통합 프로그램(UIP : University Identity Program-이하 UI라고 한다)'을 도입하고 있다. 어느 대학이나 역사와 전통을 기반으로 한 상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수용자들이 특정 대학에 대해 가지는 태도나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독특하고 명확한 대학의 개성을 표현한 아이덴티티를 바탕으로 감성 요소라는 매개체를 통해 차별적인 대학 이미지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들은 새로운 UI작업을 통해 획일적이던 이미지의 로고, 엠블럼을 다양한 색감과 튀는 문양으로 통일하고 이를 모든 대학의 사무ㆍ행정ㆍ학사에 응용하는 총체적 변신을 꾀하고 있다. '브랜드 위원회'를 신설하여 대학브랜드를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에 나서고 있는 대학이 있는가 하면,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일류로 높여야, 일류대학이 될 수 있다고 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양대학교는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와 요구에 대한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개교 100주년이 되는 2039년에는 '세계 100대 명문 대학'에 진입한다는 야심찬 포부를 세우고 있는 현재, 새로운 이미지 구축과 자극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UI를 통해 새롭게 변화된 대학 이미지로 대학의 위상을 높여야 할 때이다. 하지만 현재 대학의 UI는 기업 CI디자인과는 달리 내부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많은 비중이 차지하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외부환경 변화에 지나치게 인색하다. 기업마케팅 원리를 대학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소극적인 변화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미래지향적인 대학 이미지를 형성해 나가기에는 부족한 현실이다. 고유의 형태와 색깔을 나타내려고 하는 의지가 부족하고, 상징이미지의 정체나 대상이 고정관념에 얽매여 있는 경우가 많다. 상업적으로 치우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 오는 보편타당한 표현으로 우리 학교만의 개성을 찾기 보다는 '학교' 다워야 한다는 것이 오히려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는 만큼 혁신적인 UI의 변화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양대학교의 아이덴티티 시스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의 시각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하여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내ㆍ외부 구성원에게 대학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대학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서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에도 이젠 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 타 대학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경쟁전략을 세워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시각화된 대학 아이덴티티 개발 방법을 모색해보고 실제 한양대학교의 UI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임의의 2차원 변조 시스템에 대한 일반화된 오류 확률 분석

        이재윤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31

        A two-dimensional (2-D) modulation scheme is a prospective technique to improve high-rate transmission over wireless links without increasing the bandwidth. The symbol-error rate (SER) or bit-error rate (BER) of the system with the modulation scheme depends on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a baseband signal, such as constellation, bits-to-symbol mapping and a priori probability. The error probabilities are also subject to the various factors, such as a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nonlinearity of high power amplifiers (HPA), I/Q imbalances, fading, phase error.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effect by the parameters or factors on SER and BER, a numerical expression for the error probabilities is necessarily required. However, the closed-form expressions of the SER and BER over AWGN channel, the background channel of the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have not yet been derived. Consequently,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SER and BER of the system with the parameters or factors.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a new analysis method for the probability of the phase angle between two vectors perturbed by Gaussian noise using two rotations of coordinates. The method is utilized to simplify the accurate analyses of the error probabilities of some two-dimensional modulation schemes. In chapter 2, the new analysis method is presented, and from the analysis method, closed-form expressions are derived for SER and BER of MPSK with I/Q balance observing the regular patterns. Then, I/Q imbalances, the main sources of the performance degradation generated in receiver, are investigated and exact expressions for SER and BER of I/Q imbalanced M-ary phase shift keying (MPSK) are developed. In chapter 3, a general expression is provided to obtain the exact error probabilities for arbitrary 2-D signaling with unequal a priori probabilities over nonlinear AWGN channels. To this end, a decision boundary between two signal vectors with different a priori probabilities is found. A basic shape that acts as a component to form an arbitrary decision region is also provided. In addition, as an extension of the provided general expression, a closed-form expression is presented for the error probability of arbitrary 2-D signaling over Nakagami-m fading channels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impediments on the error performances for various two-dimensional modulation schemes. The presented new method deals with any constellation, bits-to-symbol mapping, and unequiprobable signaling and considers the performance degradation factors generated in practical system. It is a useful tool to solve all the problems addressed up to now in the literature for evaluation of the SER and BER. 2차원 (2-D) 변조 방식은 대역폭의 증가 없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 하게 하기 때문에 현재 많은 디지털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2차원 변조 방식이 적용된 시스템의 심볼 오류 확률 (symbol error rate : SER) 과 비트 오류 확률 (bit error rate : BER) 은 기본적으로 기저대역 신호에 관련하여 신호점 성상도, 비트 대 심볼 매핑, 그리고 사전 확률 (a priori probability) 등에 따라 변하게 된다. 또한, SER/BER 성능은 실제 시스템에서 부 가적인 가우시안 잡음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 AWGN), 송신단 고출력 증 폭기 (high power amplifier : HPA) 의 비선형 특성, 송·수신기의 I/Q 불균형 (I/Q imbalances), 다중 경로 (multipath) 에 의한 페이딩 (fading) 효과, 위상 오류 (phase error)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감쇄된다. 따라서 이러한 성능 저하 요인들에 대한 영향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SER/BER에 대한 정확한 성능 평가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나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오류 성능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까지도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기본 채 널인 AWGN 채널 하에서 조차 정확한 오류 성능 평가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2차원 변조 시스템의 오류 성능을 정확하고 간편하 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오류 성능 분석 기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분석 기법을 통해 기존에 제시되지 않았던 정확하고 일반적인 오류 확률 표현 을 유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 좌표 축 회전을 이용하여 가우시안 잡 음에 의해 영향 받은 두 벡터 사이의 위상에 대한 확률을 구할 수 있는 새로 운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으로부터 MPSK (M-ary phase shift keying)의 정 확한 SER/BER 표현을 유도한다. 또한 수신단에 I/Q 진폭 및 위상 불균형을 고려하여 수신된 신호의 오류 성능에 대한 I/Q 불균형의 영향을 정확하게 분 석할 수 있는 닫힌 형태 (closed form) 의 SER/BER 표현을 도출한다. 둘째, 송 신단의 I/Q 불균형 및 HPA의 비선형 특성과 수신단의 I/Q 불균형, 위상 오류 등의 성능 저하 요인들을 고려하여 임의의 2차원 변조 방식의 오류 성능에 대 한 성능 저하 요인들의 영향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일반화된 표현을 유도한다.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나카가미-m (Nakagami-m) 페이딩 채 널로 확장·적용하여 다양한 페이딩 채널에서의 오류 성능 변화를 분석한다. 새롭게 유도된 임의의 2차원 변조 방식에 대한 정확하고 일반화된 오류 확 률 표현은 여러 성능 저하 요인들 뿐만 아니라 기저 대역 신호의 신호점 성상 도와 비트 대 심볼 매핑, 그리고 사전 확률에 의한 오류 성능의 변화까지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오류 성능 평가를 위한 완벽한 도구 로써의 유용한 사용이 기대된다.

      • 기능성 신발과 일반신발 착용이 걷기 운동 시 심폐기능과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지민철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운동화와 기능성 신발 착용 시 심폐기능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능성 신발 착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걷기운동 처방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자 대학생의 심폐기능 측정 결과 산소섭취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그 외 심박수, 호흡교환률, 분당환기량, 에너지 소비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심폐기능 측정 결과 산소섭취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그 외 심박수, 호흡교환률, 분당환기량, 에너지 소비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혈중지질 성분 측정 결과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 남, 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위의 결론과 선행연구들의 사례를 비추어 볼 때 심폐기능과 혈중지질 성분의 개선 또는 변화는 최소한 4주 또는 그 이상 장기간의 규칙적인 트레이닝을 거쳐야 개선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회성 트레이닝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기 때문에 그 수치에 대한 타당성을 논하기 어렵고, 일반 신발과 기능성 신발 착용 시 심폐기능과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타당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려면 규칙적이고 장기간의 트레이닝 기간을 거친 발전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중국인 도보관광객의 여가태도와 여가만족 분석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수준을 중심으로

        구맹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지금 중국 도보관광객의 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 도보관광객의 증가에 따른 중국정부의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도보관광 실제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수준에 따라 그들의 여가태도와 여가만족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수십 년간 레크리에이션 참여자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변수로서 그 유용성을 인정 받아온 전문화이론을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중의 하나인 도보관광에 도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도보관광객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수준별 집단의 여가태도와 여가만족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집단 간 여가만족을 분석해 관광객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증분석은 SPSS 18.0을 사용했다. 분석기법은 표본집단의 특성을 빈도분석을 이용하고, 변수에 관련 항목을 유사한 것끼리 묶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참여자 집단은 일반집단, 도보애호자집단, 도보매니아집단의 3집단으로 구분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각 집단 간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했다. 결과를 정리하면 중국인 도보관광객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수준에 따라 매니아집단, 애호가집단 그라고 일반집단으로 3가지 군집으로 나눠질 수 있는 것이다. 전문화수준이 제일 높은 매니아집단은 행동적 여가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교육적 여가만족, 휴식생리적 여가만족 그리고 전반적 여가만족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과 연령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중에서 여성 응답자는 일반집단의 비율이 제일 높았다. 연령대는 20대와 30대에서는 일반집단의 비율이 제일 높았지만 40대에서는 매니아집단의 비율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인 도보관광객은 전문화된 매니아집단과 중간층인 애호가집단 및 비전문화된 일반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는 매니아집단이 여가에 대한 태도와 만족에 높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논의하면 단기적으로 여가에 대한 태도가 이미 높게 형성되어 있는 매니아집단을 대상으로 한 적합한 프로그램을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장기적으로 애호가집단과 일반집단에 대한 수준별 중국 도보관광 활성화를 시키면서 도보관광을 통한 그 들의 여가태도와 여가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네덜란드 간척지의 신도시 알미르의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최순혁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urban structure in Almere, a new city of reclaimed land in the Netherlands, which has been continuously planned and constructed from the middle of the 1970’s until now and analyze the change of urban design by times in order to draw suggestions that can be reflected afterwards in urban planning and the newtown development in Korea, in particular, the ones of reclaimed land. The newtown of Almere was the ‘bed town’ of Amsterdam, the neighboring historic city, from the middle of the 1970’s when the city was started to be planned and constructed till the 1980’s. However, it is not a bed town of Amsterdam any more but growing continuously as a self-sufficient city as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city has been adjusted presently up to 400,000 by 2030 which is far above the initially planned population of 250,000.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plan of the newtown was based on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its citizens beforehand and had a goal to create city environment with high quality, for example, the variety and agreeableness of public spa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laimed land, unique landscapes are being planned in the city space such as open spaces like water and green spaces, and especially, the water spaces are changing to a familiar space that citizens can approach to actively as a daily life and are also becoming the image and identity of the city of Almere. Moreover, it was possible to draw an active and flexible outline of the city plan to get rid of the old problems of the city found out from experiences from the new city to be constructed by planning and designing the city step by step with a long-term view for about 30 years from 1975 until now. They have planned and constructed the city according to the periodic demand and need as they did not start to develop the large-sized land all at once within a short period but started from a small thing and observed the process of it and then went into the next stage so as to control the rate and content of the developmen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recisely the residential areas of Almere planned and constructed in different periods based on the four elements of city structure: the land use, blocks created by building structure and public space, traffic network and street network, and open space. Based on tha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gained and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as stated below. First,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made locally afterwards need be performed in a gradual and progressive manner, not in a collective way, in order to respond to the social change actively as well as flexibly. The reason is that the method of gradual development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and observe the city constructed beforehand in real and get the city development better directional afterwards. Second, the urban structure, that is, the street network, building structure, green and water spaces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planned densely in the city structure. The reason is that the dense street network and small-sized blocks can provide the citizens with various routes in the urban space and diverse activities that can possibly occur in the city. Third, open spaces including water and green spaces should be planned as a space that people can approach to easily in the urban space and experience in daily life. In particular, planning the water space as an element of street space or ‘in front of a house’, not just as an artificial lake in the urban central park, will enhance the variety and quality of city environment. As seen from the street network change or green network change, the water space is being planned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rban space or urban structure. The three suggestions stated above that can be reflected in planning and developing newtown in Korea, especially, the ones of reclaimed land from now on are the sensible content that anyone would agree. However, they have been gained from the case study of Almere, so it can be said that they have great practical meanings. 본 연구는 197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계획?건설되고 있는 네덜란드 간척지의 신도시 Almere 도시조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도시디자인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의 신도시 특히, 간척지의 신도시 계획 및 개발에 있어서 반영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Almere 신도시는 도시가 계획 및 건설되기 시작한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까지 인접한 역사도시인 암스테르담의 ‘배후도시(Bed Town)’였다. 하지만 현재에는 당초 신도시 계획인구인 250,000명을 넘어 2030년까지 계획인구 400,000명으로 상향 조정 될 정도로 더 이상 암스테르담의 배후도시가 아닌 자급자족형 도시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신도시 계획에 있어서 먼저 도시민의 삶의 질을 생각하는 도시계획이 밑바탕이 되었으며, 공공공간 및 주거환경의 다양성과 쾌적성 등 질 높은 도시환경을 창조하려는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특히 간척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물 공간과 녹지공간의 오픈스페이스를 통한 특징적인 Landscape을 도시공간에 계획하고 있으며, 앞으로 물 공간이 생활의 일부로써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친숙한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고, Almere 도시의 이미지와 정체성이 될 수 있도록 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1975년부터 현재까지 약 30년간 도시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계획?건설함으로써, 경험을 통하여 얻어진 과거의 문제점이 앞으로 계획될 도시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유연한 도시계획의 틀을 만들 수 있었다. 동시 다발적으로 단기간 내에 대규모 토지를 개발하지 않고,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과정을 관찰하고 다음 단계에 접어드는 방식으로 개발 속도와 내용을 조절하면서 시대적 수요와 필요에 따라 도시를 계획하고 건설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시기에 계획?건설된 Almere 도시의 주거지역을 도시조직 구성요소인 토지이용 (Land Use), 건축물에 의한 블록과 공공공간 (Building Structure and Public Space), 교통망 및 가로망 (Traffic Network), 오픈 스페이스 (Open-Space)의 네 가지 항목을 바탕으로 세부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앞으로 국내의 신도시 개발은 사회적인 변화에 적극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일괄적인 개발방식이 아닌 단계적이고 순차적인 개발방식이 되어야할 것이다. 단계적 개발방식은 먼저 건설된 도시를 실제로 체험하고 관찰함으로써 앞으로 계획?건설될 도시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둘 째, 도시조직 즉, 가로망을 비롯한 건축물, 녹지 공간 그리고 물 공간 등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도시조직 안에서 조밀하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조밀한 가로망과 작은 단위의 블록은 도시 공간 내에서 다양한 이동경로를 제공하게 되며 도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 째, 물과 녹지의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는 도시공간 안에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일상생활에서 체험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물 공간을 도시공원 내의 인공호수 뿐만 아니라 가로공간의 요소나 ‘집 앞’의 물 공간을 계획함으로써 도시환경의 다양성과 질을 높일 수 있다. 즉, 가로망의 변화와 녹지 네트워크의 변화에서 볼 수 있듯이 물 공간 또한 도시공간 혹은 도시조직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계획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신도시 특히 간척지의 신도시 계획 및 개발에 반영될 수 있는 위의 세 가지 시사점은 누구나가 공감할 수 있는 상식적인 차원의 내용이다. 하지만 Almere 도시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것이므로 실증적인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시멘트 소비량과 건축 건설투자지표 비교분석을 통한 건축산업 변화요인 분석

        김재원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construction investment on buildings is the data that compute the total of an amount invested which generates all acts and works when starting construction works and utilize an indicator speaking for construction business because total results of all production activities on the construction. The cement is the essential material from construction to maintenance. The consumption of cement generally is generated before the construction work because the cement is used for the remicon or order prior to input in the field and the construction business is anticipated. When consumption of the cement is compared with construction investment on buildings which speak for the construction business, two indicators are differently moving since 2003. It is the complex change on factors in construction works. In this stud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change on the construction business and industry are derived through the casual loop, and it is proved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ally the practical use of the consumption of the cement are indicated in comparison with the trend on construction investment on buildings since 2003. 본 연구는 건축경기를 대변해주는 대표적인 지표 중 시멘트 소비량 지표와 건축 건설투자의 움직임이 2003년 이후로 상이하게 나타나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추후 시멘트 소비량 지표의 건축경기 대변지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소비량 지표와 건축건설투자의 지표속성을 알아보고 두 개별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보았다. 또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이론을 활용하여 두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변화를 동태적인 인과지도로 나타냈다. 이 중 시멘트 소비량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모형의 형태로 표현하였으며, 시멘트 소비량의 건축경기 동행성을 파악하였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범위와 흐름 등을 설명한 후 시멘트 소비량 지표와 건축 건설투자의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방향을 한정하였다. 제 2장에서는 지표의 정의와 개념정리 그리고 경기지표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시멘트 소비량 및 건축건설투자 속성분석을 통하여 개별지표의 통계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제 4장에서는 건축산업 내에서 두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이를 인과지도 형태로 표현한 후, 시멘트 소비를 결정짓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다중회귀모형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시멘트 소비량의 경기지표로서의 의미와 추후 활용여부를 건축경기추세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長興地域 歌辭文學의 文化地理學的 硏究

        박수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고는 장흥지역의 가사문학에 나타난 주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지리적인 표상과 담론 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작품에 드러난 공간만이 아니라 주체와 가사텍스트, 공간이라는 세 층위를 통해서 ‘文學’이 ‘文化’로서 해석이 가능한지를 언급하고자 하였다. 長興은 지리적으로 서울과 멀리 떨어진 정남쪽에 위치한다. 長興文學은 다양한 주제로 지금까지 많은 작품들이 창작되고 있다. 물론 어떤 작품 하나만으로 공간에 대해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長興地域 歌辭文學에 드러난 長興만의 공간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鄕村士族의 경험을 통한 自然을 체험하는 風趣의 공간이다. 작품의 주체인 향촌사족들은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였으나 지역의 자랑이라 할 수 있는 天冠山을 통해서 대단한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두 번째로는 倫理를 지향하는 敎訓的 공간이다. 가문구성원들의 결속을 위한 스스로의 규범과 질서를 만들어 門中活動을 활성화하였다. 세 번째로는 現實批判의 공간이다. 향촌사족은 中央과는 거리상 멀리 떨어져 사는 지형적인 단점을 장점으로 부각시켜 ‘밖에서 안을 바라보는 제 3의 입장’에서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을 직설적으로 표현하여 부당한 관리를 벌하기도 하였다. 즉, 그들은 역사와 기록을 통해 화려한 그때를 소망하며 고장의 발전을 염원하였다. 또한 長興地域 歌辭文學 속에 드러난 주제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지리적인 표상을 나타내고자 했다. 長興이 가지고 있는 공간사적 명제들을 뽑아 주제들과 연결하여 그 특징을 살폈다. 첫째는 ‘中心과 周邊의 位階化’이다. 이는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정립하고 있는 ‘長興’이라는 공간에서 보이는 중심의식의 강화 의식과 더불어 소외된 주변부 의식을 논하였다. 하나의 같은 공간임에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달라진 사회현상을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었다. 둘째는 ‘慾望의 現實化’이다. 이 부분은 ‘現實과 幻想 사이의 괴리 현상’과 ‘종속된 공간의 현실비판 의식’으로 논하였다. 하나의 같은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山水自然과 神仙世界와의 관계를 설정한 것이었고, 향촌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통해서 저항과 반발의 양상들을 논한 것이었다. 셋째는 ‘誇示의 空間化’이다. 향촌사족들이 가지고 있는 愛鄕의 肯志와 自負心을 드러냈으며, 사회 기능을 강화하고자 경험을 반영한 가문 중심의 생활상을 살폈다. 장흥지역 가사문학의 주제적 특징과 문화지리학적 표상은 단순히 문학작품을 해석하기보다는 주체, 대상, 행위와의 관계들을 바탕으로 하여 어떤 표상체계를 드러내는지 논하였다. 즉, 가사 텍스트를 가지고 ‘長興’이라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문화적 현상이 어떠한지를 언급했던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長興’이라는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지역의 공간적 인식에서 문학텍스트를 기본 자료로 하여 주체, 대상, 행위들과 공간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드러내는지 문화지리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長興’이라는 하나의 공간에서 발생한 작품들은 기능에 따라 작품의 주체와 권력, 행위, 목적, 표상체계와 창작시기로 나누었다. 이러한 분류는 한 공간에서 발생한 주체, 권력, 행위의 관계를 다양화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주체, 권력, 행위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주체는 권력에 따라 행위가 변화하기도 하고, 행위에 따라 권력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들 가운데서 어떤 것이 우선이고, 나중이고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이러한 관계들이 서로 다른 목적과 표상체계를 만든다는 것이다. ‘文學’은 ‘文化’를 드러내는 방법 중의 하나이므로, ‘文化’를 잘 알기 위해서는 ‘文學’을 깊이 연구해야만 한다. 따라서 필자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문학 장르인 가사문학을 선택하여 ‘文化’를 드러낼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문화지리적인 측면을 강조하고자 했다. ‘長興’은 文化가 담긴 하나의 작은 공간이다. 하나의 작은 시골마을임에도 주체, 행위, 공간 사이가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어 표상체계와 주제로써 그 의미를 이끌어내는데 큰 의미를 둘만하다.

      • Factors that affect Chinese customers' choices between B2C or C2C transaction methods

        Gu Beiqi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전자 상거래 시대가 도래하면서 온라인 쇼핑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B2C와 C2C가 주요 인터넷 쇼핑 거래방식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B2C또는 C2C 거래방식의 경계가 모호해 지면서 점차 통일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쇼핑 동기와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가 다수 있었지만, 여러 거래방식을 동시에 고려하여 소비자의 쇼핑 동기를 살펴보는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게 수행되어 왔다. 이 연구는 B2C 와C2C거래방식에 대해 동시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외의 광범위한 연구를 기반으로 사이트 체험, 제품 체험, 고객 체험이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인터넷 쇼핑을 비교한 후 주요한 12가지 요인을 선별하였다. 그러한 요인들은 웹사이트 디자인, 웹사이트 콘텐트, 웹사이트 보안, 웹사이트 홍보, 제품 다양성, 제품 품질, 제품 가격, 제품 배송, 판매자와 소비자의 연동성, 사후 서비스, 군중심리, 재구매 이다. 이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유효한 324명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타당성 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인터넷 거래방식 선정에 대한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웹사이트 디자인, 웹사이트 콘텐트, 제품 품질, 사후 서비스 이 네 가지 요인은 B2C와 C2C 거래방식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 선택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제품 가격, 군중심리는 소비자들이 B2C 거래방식에서의 구매 선택의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지만, C2C 거래방식의 구매 선택의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이었다. 이 연구 결과물을 통해, 전자상거래 플랫품 운영자들은 소비자의 수요에 미치는 요인들을 더욱 잘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 선택 의향 메커니즘을 통해 자사의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중환자실 환자의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관련요인

        배수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unplanned removal of invasive devices and the incidence of unplanned removal in ICUs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basal data for developing prevention strategies. The information of 913 patients who had invasive devices removed and admitted SICU and NRICU of a university hospital in Gyenggi-do from July, 2006 to June, 2007 was used as a source of data through the medical records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is data analysi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with SPSS 12.0 for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irty-two(36.8%) of 87 patients experienced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required reinsertion 2. 34.5% of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occurred during in evening shift 3. 60.9% of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showed drowsy state, and 4.6% of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used sedative 4. As a result of the severity by using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43.7% of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were classified into group Ⅴ, 37.9% into group Ⅳ and 16.1% were classified into groupⅢ. 5. 52.9% of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showed the nurse to patients ratio of 1:4. 6. 49.4% of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showed the nurses with career length between 1 and 3years. Based on the result, the recommendations are; 1. A repeated study on the incidence of unplanned invasive devices is needed. 2.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such as patient severity, illness state, nursing activity who experienced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is required. 3. A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is required to prevent unplanned invasive devices removal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의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빈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2006년 7월 1일부터 2007년 6월 30일까지 1년간 경기도 1개 종합병원 외과계, 신경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와 계획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를 경험한 환자 398명의 의무기록을 의료정보전산시스템을 이용해 조사하였으며, 파악된 환자들에 대해 중환자실 내에서 침습적 장치제거 건수, 처치내역 및 투약, 의식상태, 침습적 장치제거가 발생한 당일밤번 간호사가 입력한 환자분류 자료를 조회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는 동맥관 37.9%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고, 기관튜브 26.4%, 유치도뇨관 25.3% 순으로 나타났다. 2)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은 초번 근무 시 34.5% 로 가장 많았고, 밤 근무 33.3%, 낮 근무 32.2% 순으로 나타났다. 3)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환자 중 60.9%가 지남력의 부분적인 장애가 있거나 혼란 상태를 보였고, 95.4%가 진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였다. 4)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환자의 중환자실 환자분류를 이용한 중증도 분석한 결과 5군 43.7%, 4군 37.9%, 3군 16.1%의 분포를 나타냈다. 5)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시 간호사 대 담당 환자수가 1:4인 경우가 52.9%로 가장 많았고, 1:3인 경우 33.3%, 1:2인 경우가 10.3%로 나타났다. 6)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시 담당 간호사의 근무시간 내 전입, 전출과 같은 환자이동이 없는 경우가 77.0%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 이동이 1명인 경우가 21.8%, 2명인 경우가 1.1%로 나타났다. 7)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시 간호사의 임상경력이 1~3년 미만인 경우가 49.4%, 5년 이상인 경우 28.7%, 3~5년인 경우가 12.6%를 나타냈으며, 간호사 연령이 25~30세 미만일 경우가 66.7%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빈도에 대한 추가적인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관련 요인 중 환자의 중증도, 질병상태, 간호사의 업무량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우발적인 침습적 장치 제거 발생 방지를 위한 중재전략이 필요하다.

      • 도시성장과정에서의 도시정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상해시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채경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산업화는 생산시설을 중심으로 인구를 이동시켜 도시의 급격한 성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제한된 지역의 밀집한 인구로 인하여 도시는 인프라 시설 부족, 환경오염, 교통체증, 주택부족, 도·농 격차 심화를 포함한 많은 도시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도시는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여 발생하고 있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서울시와 상해시는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도시로서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두 도시는 성장을 거듭하면서 주변지역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도시의 영향력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시와 상해시를 선정하여 도시별 인구, 면적, 경제규모, 산업구조를 살펴보고, 도시현황,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이에 대한 도시의 대응정책을 확인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두 도시에 관한 통계자료, 선행논문, 정부에서 발표한 도시계획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성장의 특성과 핵심이슈를 파악하고 도시의 향후발전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첫째, 도시의 성장특성을 살펴보면 서울시는 1960년대부터 진행된 정부 주도형 수출 지향적 경제 정책을 시작으로 짧은 기간에 신속하게 도시의 성장을 이루어 왔다. 반면, 상해시는 중앙정부에서 1950-1960년의 ‘대약진운동(大躍進运动)’과 1967-1977년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의 정치영향을 받기로 인하여 도시는 성장하지 못하고 20여 년의 정체기를 겪었다. 이후 1984년 푸동(浦東)의 대외개발정책에 따른 도시성장의 도약기를 맞이하다. 2014년까지 도시인구가 90.3%에 달성하고 도·농 격차가 여전히 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자정부의 발전수준에서 보면, 서울시는 1980년대 시작하며 2003년부터 지속적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한 데 반면, 상해시는 여전히 낙후한다. 둘째, 대응실태에 있어서 교통, 주택, 환경, 산업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시는 관민협조의 친환경 생태도시 구축을 기울인 데 반면, 상해시는 산업과정에서 외래인구를 이끌어 야기된 사회문제에 여전히 정부주도형 대응실태이다. 셋째, 도시별 성장과정의 핵심이슈 측면에서 보면, 두 도시는 다른 지역보다 먼저 발전해서 환경오염, 교통체증, 주택부족, 도·농 격차 심화 등 사회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한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상해시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친환경·스마트교통발전 방안으로는 ①친환경·저공해 교통시스템을 구축 ②대중교통 이용을 권장 ③ 스마트교통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경제·에너지·환경 협조발전 방안으로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관한 법률법규를 정비해야 한다. 셋째, 전자정부 개선방안으로는 ①정부주도형 전자정부체계를 구축 ②관련된 법률법규의 완비 ③전문인재의 배양을 해야 한다. 넷째, 외래인구 개선방안으로는 ①산업 분산화와 지역 간의 연결 강화 ②임대주택 공급정책 개선 ③관련된 법률법규의 강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도시성장과정이나 대응실태에 있어서는 한국의 서울시와 중국의 상해시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한국의 부산, 중국의 북경 등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두 도시의 다른 문화, 관광, 복지 등 다른 분야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앞으로 관련된 추가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