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분석 : 거점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희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세계화 정보화의 물결에 따라 교육의 여러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을 키우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때 대학원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직 교원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 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교육학 석사학원 취득과정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경우 우리나라 음악교육을 이끌어 나가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전국 각 도마다 국·공립대학이 있지만 거점대학교는 서울대, 충남대, 충북대, 전남대, 전북대, 강원대, 제주대, 부산대, 경북대에만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서울대와 부산대는 특별시와 광역시에 해당하는 학교이기 때문에 제외하였으나, 충북대에는 음악교육전공 학과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경기도에는 거점국립대학조차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원의 일종인 교육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을 거점대학교 7개 학교 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과정 과목위주로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하고 운영상의 문제점과 그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나아가 좀 더 발전적인 교육과정 정립에 기본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교육과정 비교·분석에 있어서는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나누어 각 학교의 개설된 과목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이해영역과 활동영역 2가지로 나누어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각 대학원간 과목 수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과목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음악교육전공에 맞게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적절해야하는 것이다. 각 대학원은 과목의 개설을 일률적으로 편성하여 뚜렷한 기준을 세우고 교과목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현행 교육과정은 교육부의 형행교육과정과 다소 차이가 있어보였다. 음악교사의 양성 및 현직교사의 재교육이라는 대학원의 취지를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각 대학교마다 국악 관련 교과목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이고 폭 넓은 교육을 위해 국악영역 교과목의 개설이 확대되어야 하겠다. 넷째, 연구에 속한 학교들은 각 도의 중심이 되는 거점국립대학으로써의 면모를 확실히 갖춤으로 각 도의 다른 학교들에 비해 발전적인 교과과정의 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거점국립대학 7개 학교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 되어 여러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하지 못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립교육대학원과 음악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여 보다 다각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힘 써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면 교과과정의 정립과 균형 잡힌 음악교육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wav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postgraduate education among various educational field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t the moment that the need of higher education is emphasized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pecial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agency which reeducates and educates continually for current teachers and equally, is playing important role as the course to acquire the Master of Educ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contributing to develop South Korea’s music education and in view of thi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urse of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be meaningful. Although every province has national/public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which open music education major are onl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Busan National University, and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Since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belong to Seoul and metropolitan city, these two universities are excluded in this research. However, music education major is not opened in Chunbuk National University and moreover, Konggidodoes not even have national university. Thus, this research focus on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actuality of subjects in music education major which is opened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find operation issu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pursued basic direction to establish more constructive education course. In terms of a curriculum analysis and comparison, it is divided into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criteria. It is analyzed by the comparison with each University’s courses. Those courses are analyzed more in depth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and operation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4 facts were discovered. First, the number of subjects in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wed huge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Post-graduate schools. Having more subjects does not mean the better quality. The more important fact is that the rate of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uld be balanced. Each Postgraduate school should have a standard of uniform subjects opening. Second, the current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some of differences in comparison of Education Ministry's current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e curriculum of Post-graduate school should be reorganized as the curriculum can be linked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middle high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ird, each postgraduate School has insufficiency of Korean classical music related subjects. To have a systematic and wide range of curriculum, the subjects in Korean classical music category should be open in each Graduate school. Forth, the postgraduate schools involved in the research should have superior aspects as key performing 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d curriculum compare to other univers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limited 7 national universities so it was not able to cover various universities. Through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more dynamic and efficient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if the more practical and segmented curriculum is developed, the well balanced musical education will be pursued.

      •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남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Namhyung, Kim the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For arriving at 'cultivation of smoot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purpose of Korean education, correctly, not only fulfillment of linguistic functions but also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have to be achieved properly. Recently, the opinion that combined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by education utilizing Korean literary works becomes possible is proposed and lots of studies for that are suggested. But the object of almost studies is modern literacy works and for the selection of learners, it's limited to learners whose standard is more than intermediate lev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amo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under the object of foreign leaners studying Korean in Korea. There are also critical opinions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not proper in the practical aspect of Korean education. But foreign learners cannot neglect classical novels reflect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 values, etc. the mostly if Korean values, thought, world view, etc. among various cultural factors of Korea, are important that they are living in Korea. Also, amo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have great significance and utility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paper,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were firstly revealed and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utility for Korean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are basically concise and simple plot of story, forms of repetition and opposition, international universal subject, Koreans' traditional way of thinking, emotional whole, etc, as a literature of Oral Transmission.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utility of Korean education can induce learners' interest easily, make them understand easier than other Korean literature and help them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culture by making them experience Korean classical society and culture indirectly. Through those 'folk tales', it's possible to educate language and culture synthetically for learners. In the context reflected by concrete and usual Korean languages well, natural Korean studying and synthesized functional education linguistically are possibl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oral transmitted literature. In addition, they can experience naturally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directly as Koreans' educational way of thinking, values, emotion, etc. are melted in languages so the education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is possible. Furthermore, through the international universal subject reflected in ‘folk tales’, foreign learners can feel that it is not different from their own values and emotion and can be provided by an opportunity to assimilate with Korean society. Finally, methods and realities of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were suggested. Prior to seeking of concrete education, cultural models of Ronald A. Carter and Michael N. Long were examined. Their cultural models provide methods and reasons for teaching literary works i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and they can be applied to Korean education as they are. Also, they accept the viewpoint that cultural ability, grammar knowledge, literature ability, etc. are necessary, in current situation that importance of communicational competence is emphasized for Korean education. The cultural models of Carter and Long are saying firstly, the cultural model, secondly, the language model and thirdly, the personal growth model. And in this paper, those three models can be applied gradually an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earners. Those three models discussed that education is conducted synthetically but teaching and studying can be achieved by changing model's weight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learners. Therefore, for learners in elementary level, an improvement of linguistic ability was attempted through the studying focusing on simple vocabulary, expression and sentence structures by laying stress on the language model. For learners in intermediate level, an improvement of ability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culture was their purpose by laying stress on the cultural model. For learners in advanced level, individual experiences accumulated by enjoying Korean literary works could be connected to personal growth, by laying stress on the personal growth model. Based on the discussion until now, a way of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was introduced and practical examples for each standard of learners were suggested under the material of「Kongji and Padji」, an universal folk tales all Koreans know.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 남 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이러한 교육 목표에 바르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언어 기능의 올바른 수행과 동시에 목표 언어 사회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바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그 동안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언어 기능 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문화 교육은 단지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과 소개 차원에 그치고 있었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학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며, 작품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작품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효과는 학습자 개인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의 문학 작품 중 예로부터 구비전승 되어 오는 서사 갈래의 하나인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용성과 가치를 밝히기 위해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여 제시했다. ‘옛이야기’는 구비전승의 문학, 간결하고 단순한 이야기 구성, 반복과 대립의 형식, 세계 보편적 주제,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가치, 감정의 총체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 같은 특성은 외국인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여타 문학에 비해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한국 사회와 문화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언어 기능의 통합적 지도가 가능하고 여타 문학으로 옮겨갈 수 있는 기초와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옛이야기’를 통해 교육해야할 내용을 언어 교육의 측면과 문화 교육의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언어 교육 측면에서 ‘옛이야기’는 한국인의 전통적 언어생활 모습이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나타나는 자료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비전승되는 특성으로 언어의 통합적 교육이 가능함을 밝혔다. 문화 교육 측면에서 ‘옛이야기’는 한국인의 전통적 사고방식과 가치관, 감정 등이 언어 안에 녹아 있어 한국 사회와 문화 이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세계 보편적인 주제를 보이는 옛이야기는 외국인 학습자의 내용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비교 문학의 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하여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음을 살폈다. 본고에서는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과 실제를 제시하였다. 교육 방안의 모색에 앞서 카터(Ronald A. Carter)와 롱(Michael N. Long)의 문화 모형을 살피고 활용하여 교육 모형을 구안해 보았다. 카터와 롱의 문화 모형은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 작품을 가르쳐야 하는 방법과 이유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그대로 한국어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이다. 또한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외에도 문화 능력, 문법 지식, 문학 능력 등도 필요하다는 관점을 받아들인 것이다. 카터와 롱의 문화 모형은 첫째, 문화 모형(The cultural model), 둘째, 언어 모형(The language model), 셋째, 개인 성장 모형(The personal growth model)을 말하는데 본고에서는 이 3가지 모형이 학습자 수준에 따라 순차적이고 위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서이다. 3가지 모형은 통합적으로 교육하되 학습자 수준에 맞게 모형의 비중을 달리 하여 교수 학습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하여 초급 단계의 학습자에게는 언어 모형의 비중을 두어 간단한 어휘와 표현, 문장 구조를 중심의 학습을 통해 언어 능력의 신장을 꾀하였다. 중급 단계 학습자에게는 문화 모형의 비중을 두어 한국의 사회 및 문화 이해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였다. 고급 단계 학습자에게는 개인 성장 모형에 비중을 두어 한국의 문학 작품을 향유하여 개인적 경험을 쌓아 개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살폈다. 마지막에는 지금까지 논의를 바탕으로 ‘옛이야기’를 활용한 방안을 소개하고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 ‘옛이야기’가 가지는 가치와 효용성을 밝혔다. 그리고 미비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에게 순차적이고 위계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체적 교수 학습 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 춘천 지역사 교육 방안 모색과 수업 실행 - 중등 역사 수업을 중심으로 -

        박현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역사 교육은 역사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과 지역 정체성 형성을 비롯하여 학생에게 역사의 다층성을 인식하게 하는 등 다양한 교육적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여러 시·도에서 지역사 교재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등 지역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춘천의 지역사 교육 방안에 대한 모색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중등 수준에서 춘천 지역사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춘천 지역 현대사 수업을 실행하였다. 수업 실행 전후로 설문을 투입하여 춘천 지역사 수업을 수강한 학생의 인식 변화를 살피고 학생 반응을 분석하여 지역사 교육의 구체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학교 현장에서 춘천 지역사 수업과 관련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지역사 교육의 일차적 기반을 탐색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토대로 교실 현장의 지역사 교육 가능성과 접근성을 살펴보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지역사 교육의 실행 가능성은 교육과정 지역화를 통해 열려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시·도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은 각 지역의 실정에 맞게 지역사 교육의 근거를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강원도는 2022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통해 지역사 교육의 실행에 관한 근거를 직접적으로 명시했다. 시·도별로 지역사 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가 연이어 제정되고 있으며 강원도는 이미 2020년에 관련 조례를 제정하였다. 따라서 춘천 지역사 교육은 제도적으로 충분히 실행 가능하다. 이는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의 계획에 따라 춘천 지역사 교육이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교사의 수업은 주로 교과서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중·고등학교의 역사 교과서에는 각 지역의 역사가 일부 언급되고 있다. 교과서의 지역사는 특정 지역의 역사가 단독으로 제시되거나, 국가사적 사건이 앞서 언급된 후 지역사를 탐구하는 형식으로 다루어졌다. 따라서 수업 진행 시 역사 교과서의 지역사 취급 형태를 참고하여 해당 지역의 역사를 활용할 수 있다. 춘천 지역사는 강원도교육청이 발간한 역사 교과서 보조교재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강원도 내에서도 춘천에 수업할 수 있는 역사적 내용이 충분히 축적된 것이다. 구체적인 춘천 지역사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역사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전근대사에 중점을 둔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은 사료의 부족으로 문화유적 중심의 지역사 수업 구성이 가능하다. 근현대사에 중점을 둔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서는 국가적 사건 속에서 특정 지역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보는 방향으로 지역사 교육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바탕으로 중등 역사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춘천 지역사를 접합하여 지역사 수업의 실행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6·25전쟁과 6월 민주항쟁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공통적인 학습 요소로 제시되고 있으며 춘천에 두 사건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이 모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현대사는 시기적으로 학생의 삶과 가까이 있으므로 학생과 역사의 거리감을 좁히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춘천 지역사 수업의 소재로 6·25전쟁 초기의 ‘춘천대첩’과 ‘6월 민주항쟁’을 선정하고 춘천의 지역 현대사에 관한 수업을 2차시로 계획하였다. 춘천 지역 현대사 수업을 계획하며 역사와 학생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것과 학생이 지역사 학습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수업의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지역사 취급 방향을 참고하였다. ‘춘천대첩’은 해당 사건을 단독 주제로 수업하였으며, ‘6월 민주항쟁’은 국가사적 내용을 다룬 후 춘천의 6월 민주항쟁을 살펴보았다. 수업 진행 과정에서 다양한 이미지와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원활한 이해를 보조하였고 질문 제시와 학습활동을 통해 일방적인 수업이 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수업 전후로 선택형 설문과 개방형 자유 응답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춘천 지역사 수업을 통해 국가사와 함께 지역사의 존재를 인지하고 역사를 더욱 가깝게 인식하였다. 또한, 지역사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역사의 다양한 층위를 인지하였으며 춘천의 역사에 대한 흥미를 느꼈다. 수업 계획 시 설정한 춘천 지역사 수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사 수업 실행의 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었다. 춘천 지역사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춘천만의 독자적인 지역사 교재를 개발하여 현장의 교사가 제도적으로 열려 있는 지역사 교육의 가능성을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 교사 재교육을 통해 교사의 지역사 수업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에 지역사 교육의 근거를 명시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규정력을 활용해야 한다. Local history education has various educational advantages, such as inducing interest in history learning, forming regional identity, and recognizing the multilayered nature of history. As a result, efforts to revitalize local history education are actively being made, such as developing local history textbooks and curriculums in various cities and provinces. However, Chuncheon's search for local history education plan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ought a plan for history education in Chuncheon at the secondary level based on the history curriculum and conducted modern history classes in Chuncheon for sophomore in middle school. A survey was input before and after the clas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 in perception of students who took the Chuncheon local history class and analyze the student response to confirm the specific effect of local history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used in relation to Chuncheon local history classes were presented in the school field. In order to explore the basis of local history education, the possibility and accessibility of local history education in the classroom field were examined based 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Due to the regional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enactment of ordinances by city and province, Chuncheon local history education is systematically sufficiently practicable. This means that Chuncheon local histor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eacher's plan to conduct classes in the field. Teachers' classes are mainly based on textbooks. Although the history of Chuncheon in the history textbook is not directly presented, some history of each region is mentioned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using the local history of the relevant region by referring to the type of treatment of local history in history textbooks when conducting classes. Chuncheon has sufficient historical content that can be handled by local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find a specific plan for history education in Chuncheon, the history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s was reviewed. The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which focuses on pre-modern history, is possible to organize local history classes centered on cultural relics due to a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curriculum focusing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local history education can be approached in the direction of examining the historical trends of a specific region in national events. Based on this trend, the feasibility of local history classes was explored by comb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econdary history curriculum and Chuncheon local history. The Korean War and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are presented as common learning elem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modern history is a subject close to the student's life in a timely manner, so it is easy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students and history. Chuncheon Battle and June Democratic Uprising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Chuncheon's local history class, and planned. By planning classes,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history and students and allowing students to feel the need for learning local history were set as the direction of classes. Chuncheon Battle taught the case under the sole theme, and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dealt with national history and then looked at Chuncheon's June Democratic Uprising. In the course of the class, various images and video materials were used to assist students in their smooth understanding, and it was organized to prevent unilateral classes through presenting question and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reactions before and after class, students recognized the existence of local history along with national history through Chuncheon local history classes and recognized history more closely. In addition, they felt the necessity of learning local history, recognized the various layers of history, and felt interest in Chuncheon's history. It was confirmed that the purpose of the Chuncheon local history class set at the time of class planning was achieved, 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implementing the local history class was clear. Chuncheon's own local history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or the basis for regional history education should be specifi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o promote regional history education.

      • 화법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를 중심으로

        황지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화법 교육에서 내세우고 있는 교육과정상의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담화 유형,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등에 대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화법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모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수시 개정 체제 도입 이후의 교육과정인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국어과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서 화법 교육의 변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해당 교육과정의 범위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까지로 제한한 이유는 많은 화법 연구 성과가 2000년대에 쏟아져 나왔고, 학위 논문도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표되어 화법 교육 연구자의 저변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관련 연구가 집대성되고 체계성을 수반하게 되면서 교육과정상에 반영되기 시작한 시기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라고 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먼저 수시 개정 이전의 화법 교육과정 전개 양상을 고찰함과 동시에 수시 개정 이후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변화를 간략히 살펴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의 체계를 토대로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담화 유형,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변화를 주요 특징별로 분석하였다. 성격 및 목표는 진술의 추상성을 배제하고 중복되는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으며, 내용 체계는 범주의 신설과 삭제, 듣기·말하기 영역의 통합 제시 등의 변화가 있었다. 담화 유형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래 큰 변동 없이 유지되어 왔고, 성취기준은 양과 수준의 적정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변화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는 영역을 통합한 일반적 지침 사항을 제시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각 영역별로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세부 설명의 부족,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 내용 체계 범주 설정의 비체계성, 특정 담화 유형의 편중, 일부 성취기준 간 수준의 위계성 미확보,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성취기준의 불완전한 연계 등 아직 미흡한 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차후 교육과정 구성의 과제로 교육 일반과 구별되는 구체화된 국어과 성격 설정,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 화법 영역의 특성을 반영한 고유의 내용 체계 범주의 설정, 담화 유형 선정의 체계화와 적절성 마련, 성취기준 간 수준의 위계성 및 양의 적정성 강화,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다양한 예시와 적용 사례 추가 설정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s and forms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head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discourse type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speech education were critically discussed by examining Korean language, listening and speaking curriculum and speech education curriculum from 2007 revision curriculum after revision system introduction to revision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Therefore, the speaking and liste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discourse curriculum from 2007 revised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tant revision system is critically discussed.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curriculum from 2007 education curriculum to 2015 education curriculum is because many discourse research performance and theses were intensively published in the 2000s which led to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discourse education researchers and activists. The related research was integrated, systemized and reflect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starting from 2007 education curriculum. A study on the discourse education development appearance with a brief analysis of the overall chang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fter the constant revision set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prior to the research. Next, based on the system of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discourse type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were analyzed by main characteristics. The abstractness of the statement was excluded and overlapping contents were systemized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goals. The changes in the contents system include the establishment and deletion of the category, the integration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etc. The types of discourse remained without major changes since the 2007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have transform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quantity and level. The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also exited from the previous way of suggesting general guidelines on an integrated area, but rather suggested cautions and methods for each separate area. However, the lack of detailed explanation, the absence of a connection between listening and speaking curriculum and narrative education curriculum, the non-systematic nature of setting content system category, the bias of specific discourse types, the uncertainty of the hierarchy between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adequate linkage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remain as limitations. Therefore, as a task of constituting the futur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general education and increase linkage between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curriculum and discourse education curriculum. Also, a unique content system categor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rea, a provision of systemization and appropriateness of discourse type selection, enhancement hierarchy of levels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adequacy of quantity, and various exam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additional application examples are needed.

      •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 경험의 의미 탐색

        차봉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eanings of experience by field practice type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e teachers and determine what meanings they had for becoming a teache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after one-year experience as a guidance teacher by practice types prior to this research. First, what experience do practice teachers have by practice types? Second, what meanings does practice teachers' practice teaching experience have for becoming a teacher? As for the field practice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e teachers in this study, inspection was performed for sophomores for a week in first and second terms, respectively; instruction practice was implemented for juniors for four weeks in the second term, and practical practice was carried out for seniors for four weeks in the first term. 10 students for inspection, 4 for instruction practice, and 6 for practical practice were assigned to this study to conduct a culture-technology research.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concerning experience and meanings by practice teaching types. First, students for inspection believe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make an approach to a class by sharing children's ideas, feelings, and emotions, while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put significance on a perfectly-prepared and well-controlled class. Students for practical practice will cultivate expertise as a teacher through a class perfectly arranged and prepared and level-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Second, the condition for successful teachers was considered as love and voluntary service for children by students for inspection, as consideration of even individual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home environment by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and as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expertise with a manager's mind by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Third, students for inspection had time for serving as a teacher through children's reactions by approaching them though they were afraid of approaching them, while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realized their motivation to enter a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with children and longed for a teacher's way. Students for practical practice had time for getting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rough encounter with children. Fourth, students for inspection came to put validity on college curricula that they had regarded as meaningless through inspection of a class;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did incomplete instruction by failing in smooth arrangement of activities to make proper progress to the next stage, feeling heavy burden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recognized properties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enabling free expression and pleasure. 본 연구는 초등교육실습생들이 현장실습의 유형에 따라 겪는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이는 ‘교사되기’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밝혀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 실행 전 실습유형별 실습 지도교사를 1년간 경험한 후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실습생들은 실습의 유형에 따라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교육실습생들이 갖는 교육실습경험은 ‘교사되기’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과정은,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참관실습은 1학기와 2학기로 나누어 각 1주, 수업실습은 3학년을 대상으로 2학기에 4주, 실무실습은 4학년을 대상으로 1학기에 4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참관실습생 10명, 수업실습생 4명, 실무실습생 6명을 배정받아 연구에 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화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 유형별 경험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결론 지어 볼 수 있다. 첫째, 참관실습생은 수업은 아동들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그들의 감정까지 공유하며 다가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수업실습생은 완벽하게 준비되고 통제가 잘되는 수업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실무실습생은 완벽하게 계획하고 준비된 수업, 수준별 개별학습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둘째, 참관실습생은 아이들을 사랑하고 봉사하는 마음을 성공적인 교사의 조건으로 생각하는 반면 실무실습생은 학생개인의 교우관계나 가정환경까지 고려해야 하는 것을, 실무실습생은 경영자의 마인드를 갖고 전문성이 발휘되는 학급운영 이야말로 성공적인 교사의 조건이라고 생각하였다. 셋째, 참관실습생들은 아이들에게 다가가는 것을 두려워하지만 다가간 만큼 얻어지는 아동들의 반응으로 교사의 입장에 서보는 시간이 되었으며, 수업실습생은 아동들과의 다양한 경험으로 교대에 온 목적을 일깨우고 교직에의 길을 갈망하고 있었다. 실무실습생은 아동과의 만남을 통해 직업의식을 일깨우는 시간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넷째, 참관실습생은 예체능 수업의 참관으로 무의미하게 생각했던 대학의 교육과정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과정이었으며 수업실습생은 활동에 대한 매끄러운 정리와 다음단계로의 적절한 진행을 이끌어 내지 못해 완성된 수업을 하지 못하면서 예체능 수업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큰 반면 실무실습생은 자유롭게 표현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예체능 수업의 특징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 측정 및 활용방안

        주헌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05년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개발한 정보통신윤리지수 모델에 준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이 되었던 학생들이 컴퓨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곳은 ‘집’(93.8%)으로 나타났다. 둘째,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부모님의 ‘통제를 받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지만(51.6%), ‘그렇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과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교 최고학년인 6학년들 임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41.8%였으며, 정보통신윤리교육이 ‘꼭 필요하다’에 대한 응답이 49.0%였다. 또한 교수 적임자에 대한 응답은 학교선생님(35.9%)보다 외부 전문강사(50.7%)가 더 많게 나타났다. 넷째, 지표별로 얻은 평균(지수)값을 살펴보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존중, 책임, 절제 부분에서는 여학생의 값이 높고, 규범인식 부분에서만 남학생의 값이 높았다. 하지만 상위 4개 지표 가운데 남?여학생 모두 규범인식의 값이 다른 3개지표 보다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컴퓨터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른 지표별 값은 사용 장소가 학교일 때 모든 지표의 값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용 장소가 PC방 및 기타 일 때 모든 지표값이 낮게 나타났다. 즉, 4개 지표의 값 모두가 학교>집>PC방 및 기타 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를 주로 PC방 및 기타에서 사용한다는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의미이다. 여섯째, 컴퓨터 사용에 대해 통제를 받지 않는 그룹의 학생들도 지표별 평균(지수)값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책임과 절제부분에서는 통제를 받고 있는 그룹의 학생들보다 통제를 받지 않고 있다는 학생들의 지수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정보통신윤리교육을 3번이상 받은 경험이 있다는 그룹의 학생들의 지수가 4개 지표모두에서 다소 높은 값으로 나타났지만.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과 1~2번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과의 지수값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표준편차값의 비교에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을 3번이상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그룹이 다른 그룹의 학생들에 비해 4개지표 모두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연구결과, 조사대상이 되었던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는 예상과 달리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존중, 책임, 절제에 비해 규범인식의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값이 나타났으므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규범인식에 해당하는 교육내용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에게 있어 규범인식의 값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규범인식에 관한 내용을 여학생들에게 좀더 강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 사용에 대해 부모님의 통제를 받는 그룹과 그렇지 않는 그룹간의 정보통신윤리지수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 사용에 대해 부모님의 통제를 받는 그룹의 학생들과 통제를 받지 않는 학생들의 그룹간의 개인적성향의 차이 또는 통제의 효과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보인다. 즉, 통제를 받지 않는 학생들의 경우 자발적 통제능력이 더 좋은 학생들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제를 받고 있는 학생들에게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좀더 강조함으로써 자발적인 통제능력을 갖도록 하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대상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지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수요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지수값을 참고하여, 정보통신윤리교육내용을 개선하고 교육을 받고자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충족될 수 있도록 교육의 기회 또한 늘려야 한다고 생각된다. 특히 정보통신윤리교육은 학생들에게 자발적 통제능력을 키워주는 적극적 의미가 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IT) has been rapidly applied in various fields so far. It created newly cyber space in addition to physical space, and helped our society enter 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has increased national benefit and at the same time enriches our lif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al, culture, and education with convenience. In the opposite side of technological growth, however, there are reverse functions that have rapidly spread over our society such as circulation of unsound information,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of privacy, infringement of copyright, internet and game addiction, virus spread, cyber crime, and security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IT ethics educ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toward healthy IT culture society. Many researches have been investigating on these issues and many schools are teaching IT ethics. This thesis tries to find a more efficient way for IT ethics education which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real education fields, not a general and one-sided IT ethics education that students just follow education instruc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thesis measured IT ethics consciousness. The IT ethics index model used in this thesis was designed by Korea Internet Safety Commission in 2005, which can be applied many different groups of information users. By using this IT ethics index, this thesis measured the degree of IT ethics for grade 6 students. This result of IT ethics degree will be able to be used to devis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IT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설화를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지도방안 연구 : 「선녀와 나무꾼」을 중심으로

        이지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외국어로서 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의 최종 목표는 해당 언어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있다. 이는 학습자가 해당 국가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있을 때 진정한 언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즉 언어 능력의 향상, 문화의 적극적 이해, 더 나아가 이를 통해 학습자 개인의 내면적 성장을 꾀하는 것을 진정한 한국어 교육의 목표라고 할 때 문학을 활용한 언어교육은 그 효과를 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언어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 문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해당 언어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반드시 그 사회의 문화적인 상황을 알아야만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문화 교육 위주의 설화 활용 방안을 보여주고 실제적으로 교실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과 지도안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설화 문학은 한 민족을 대표하는 사상이나 사고방식, 가치관, 세계관, 생활양식 등을 가장 잘 반영한 문학 장르이자 교육 자료이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교육을 한다면 양질의 한국문화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본 논의를 전개했다. 특히 설화 문학의 가장 큰 특징인 보편적 줄거리, 오랜 기간에 걸친 역사성, 유형화된 이야기 구조 등은 한국문화 교육에 가장 적합한 제재라 할 수 있다. 이에 설화 문학의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한「선녀와 나무꾼」작품을 활용하여 한국문화 수업 지도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한 결과를 단원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Ⅰ장에서는 외국어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등의 언어기능 위주의 언어교육이 아닌,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으로 설화「선녀와 나무꾼」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의 목적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더불어 한국문화 교육과 「선녀와 나무꾼」설화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제 Ⅱ장에서는 한국문화 교육의 의의 및 범위를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국어 교재 속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문학 작품의 활용이 문화 교육의 확대를 위한 좋은 방안이라 는 결론을 얻었고, 이에 기초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를 제시했다. 제 Ⅲ장에서는 중급 학습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문학 장르인 설화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의 방향 및 효용성을 제시했다. 더 나아가 작품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가장 적합한 설화 작품으로 「선녀와 나무꾼」을 선정했다. 제 Ⅳ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선녀와 나무꾼」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선녀와 나무꾼」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 세계 여러 나라에 걸쳐 전해지는 비슷한 이야기의 내용을 비교하여 한국에만 나타나는 한국적 특수성과 한국문화교육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한 후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했다. 그리고 제시한 방안들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과 지도안까지 마련해 보았다. 이런 논의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많은 문화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설화를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꾀하고자 했다.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수업모형과 지도안은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learner's ultimate goal of learning a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is in building communication abilities of the relevant language. True language education is only possible when the learner well understands the culture of the relevant country. Namely, considering enhancement of language skills, positiv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furthermore, the attempt on learner's personal inner growth as the goal of true Korea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ture could add to the effect. Also language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social culture where the language is being used. Therefore,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language, one must know the cultural situation of the society.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show foreign learners the method of using tales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and propose a instruction model and lesson plans applicable to practical class sites. Narrative literature is a literature genre and teaching material which best reflects the ideas, ways of thinking, values, world view, and lifestyles, etc. of the Korean people. Therefore, this study is developed regarding that using this with educa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high quality education of the Korean culture. Especially,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s of narrative literature being universal storyline, historicity through long periods, and typological story structure, it could be said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material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Therefore, the literatur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which bes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literature was used to proceed with the study on class instruction methods for Korean culture. The study results organized per chapter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method is proposed for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for a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achieve not just a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language functions such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bu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 true growth in communication skills. Also, the overall direction of this study is introduced by examining past studies related to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e literatur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chapter 2, the significance and bound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how culture education is achieved in the practical educational sites. On these grounds, the conclusion was achieved that using literary works was a good method for the expansion of culture education, and proposed a Korean culture educational goal based on this. In chapter 3,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ales which are the most suitable literature genre 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were checked, and the direction and usefulnes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ales was proposed. Futhermore, the work selection criteria was proposed, and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was selected as most suitable. In Chapter 4, a specific method was proposed for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Firs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were examined and compared them to similar stories told around the world, and then after analyz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the factor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measures were proposed. And based on the proposed measures, an instruction model and lessons plan applicable for practical classes were prepared. Through such discussions, this study attempts the growth of communication ability need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using tales which have many cultural factors.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a instruction measure for effective Korean culture education. The instruction models and lesson plans proposed i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is applicable to the practical educational site.

      • 정신지체 특수학교학생들의 음악교육을 위한 학습지도안 연구 : 초등부과정을 중심으로

        최은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Music has been used very valuably in special education. In particular,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music education have them purify emotion and experience an aesthetic world. It is also helpful for correcting hyperactive behaviors caused from frustration and retarded sense or power of locomo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uggested lesson plans that can be effectively conducted in actual educational sites on the basis of music curricula of special schools such as perceptive activity, expressive activity and appreciative activity. Perceptive activity consists of expressive activity of sound and recognition of instrumental sound. Expressive activity of sound was designed to improve expressive ability and imagination through instrumental sound by having students express the feeling of sound using shape cards. The students can improve their imagination and concentration through repetitive various instrumental sounds and enhance their expressive ability about sound. Through recognition of instrumental sound,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cognize instrumental sound and distinguish musical instruments through listening to them. In addition, it stimulated the students' interest with feelings after seeing musical instruments. Expressive activity consists of making sou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songs and making songs in two times, respectively. Making sound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an promote sociability, stimulate creativity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handle instruments. The study had the students learn the concept of triple time through a subject song and beat rhythm using the instruments and their body. The study taught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e concept of rhythm and that all articles around us can be used as musical instruments by having them playing in concert with rhythmical instruments using all items around us on the basis of the triple time rhythm. And the study was designed to teach them the concept of musical scales through human Doremi body activity using musical scales of a song after learning a subject song <New Shoes> in singing songs and making songs. In appreciative activity, the study combined music with art for the purpose of having the students feel beauty while listening to music and improving imagination by having them think for themselves. For this, the study suggested a lesson plan using <A little star variation> of Mozart and <Carnaval des animaux> of Saint-Saens. The current study aimed to improve learning effect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o had weak memorizing ability through direct experience and repetitive activity, not through simple theory teaching.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학생들의 음악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각 지도안의 제재곡 선정은 예능1 교과서의 제재곡을 토대로 하였고, 다양한 경험을 위해 교과서 이외의 곡을 선정하였다. 음악활동의 세가지 영역인 지각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으로 나누어 학습목표에 따른 지도 방안을 작성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각활동에서는 소리의 표현활동과 악기소리 인식하기로 구성하였다. 소리의 표현활동은 악기의 소리를 통해서 표현력 및 상상력을 높이고 모양 카드를 사용하여 소리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반복적으로 다양한 악기 소리를 통해서 상상력과 집중력을 키울 수 있고 소리에 대한 표현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악기소리 인식하기는 악기의 소리를 들음으로써 악기의 소리를 인식하고 악기를 구별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악기를 본 후 느낌으로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표현활동에서는 소리 만들기와 악기 다루기, 노래 부르기와 노래 만들기를 각각 2차시로 구성하였다. 소리 만들기와 악기 다루기는 사회성을 촉진시키고 창의력을 자극하며 악기를 다루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예능1교과서의 제재곡 우리나라 꽃을 통해 3박자의 개념을 익히고 악기와 신체를 이용하여 리듬치기를 하였다. 그 3박의 리듬치기를 바탕으로 생활 주변의 모든 소재를 악기로 만들어 리듬합주를 하여 정신지체학생들에게 리듬의 개념과 우리 주변의 모든 물건들이 악기로 사용될 수 있음을 학습하였다. 그리고 노래 부르기와 노래 만들기에서는 제재곡인 새신의 노래를 익힌 후 노래의 계이름을 통하여 인간 도레미 신체 활동을 통해 계이름이라는 개념을 배울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언어를 자극하여 정신지체 학생들의 언어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발성을 통한 바른 음정감을 발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인간 도레미의 신체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놀이를 통한 즐거운 학습을 이룰 수 있다. 감상활동에서는 음악을 들으면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생각하게 함으로써 상상력을 증진 시키는 목적으로 미술과 접목하였다. 그래서 모차르트의 작은 별 변주곡과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이론지도가 아닌 정신지체학생이 직접적인 체험으로 느낄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활동을 통하여 기억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모든 학습에 반기는 노래가 설정되어 교사와 학생간의 유대감의 형성과 학습의 동기를 유발하였다. 정신지체 학생들이 음악할동에 있어서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음악교육자료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특수학교 교사들이 음악 수업보다 그리고 만들고 꾸미는 미술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예능교과는 주당 3시간 중 미술수업이 2시간, 음악수업이 1시간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정신지체 특수학교 음악교육활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많은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모든 요소들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져야 될 것이다. 특히 교사들은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계획을 세워 다양한 음악 경험을 할 수 있는 학습지도 프로그램을 세워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 이다. 또한 음악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의 준비가 철저해야 한다. 음악을 즐거운 수업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창의적인 방법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을 위해서 다양한 음악 수업을 준비하여야 하고 또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반응을 보이는 학생들의 행동에 대해 적절한 대처방법을 준비하는 것은 교사에게 있어 필수적 요소이다. 교사는 한 사람 한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안목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한다면 더욱 달라진 학생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