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분석 : 거점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희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세계화 정보화의 물결에 따라 교육의 여러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을 키우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때 대학원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직 교원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 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교육학 석사학원 취득과정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경우 우리나라 음악교육을 이끌어 나가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전국 각 도마다 국·공립대학이 있지만 거점대학교는 서울대, 충남대, 충북대, 전남대, 전북대, 강원대, 제주대, 부산대, 경북대에만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서울대와 부산대는 특별시와 광역시에 해당하는 학교이기 때문에 제외하였으나, 충북대에는 음악교육전공 학과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경기도에는 거점국립대학조차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원의 일종인 교육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을 거점대학교 7개 학교 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과정 과목위주로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하고 운영상의 문제점과 그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나아가 좀 더 발전적인 교육과정 정립에 기본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교육과정 비교·분석에 있어서는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나누어 각 학교의 개설된 과목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이해영역과 활동영역 2가지로 나누어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각 대학원간 과목 수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과목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음악교육전공에 맞게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적절해야하는 것이다. 각 대학원은 과목의 개설을 일률적으로 편성하여 뚜렷한 기준을 세우고 교과목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현행 교육과정은 교육부의 형행교육과정과 다소 차이가 있어보였다. 음악교사의 양성 및 현직교사의 재교육이라는 대학원의 취지를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각 대학교마다 국악 관련 교과목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이고 폭 넓은 교육을 위해 국악영역 교과목의 개설이 확대되어야 하겠다. 넷째, 연구에 속한 학교들은 각 도의 중심이 되는 거점국립대학으로써의 면모를 확실히 갖춤으로 각 도의 다른 학교들에 비해 발전적인 교과과정의 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거점국립대학 7개 학교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 되어 여러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하지 못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립교육대학원과 음악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여 보다 다각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힘 써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면 교과과정의 정립과 균형 잡힌 음악교육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wav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postgraduate education among various educational field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t the moment that the need of higher education is emphasized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pecial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agency which reeducates and educates continually for current teachers and equally, is playing important role as the course to acquire the Master of Educ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contributing to develop South Korea’s music education and in view of thi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urse of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be meaningful. Although every province has national/public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which open music education major are onl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Busan National University, and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Since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belong to Seoul and metropolitan city, these two universities are excluded in this research. However, music education major is not opened in Chunbuk National University and moreover, Konggidodoes not even have national university. Thus, this research focus on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actuality of subjects in music education major which is opened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find operation issu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pursued basic direction to establish more constructive education course. In terms of a curriculum analysis and comparison, it is divided into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criteria. It is analyzed by the comparison with each University’s courses. Those courses are analyzed more in depth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and operation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4 facts were discovered. First, the number of subjects in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wed huge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Post-graduate schools. Having more subjects does not mean the better quality. The more important fact is that the rate of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uld be balanced. Each Postgraduate school should have a standard of uniform subjects opening. Second, the current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some of differences in comparison of Education Ministry's current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e curriculum of Post-graduate school should be reorganized as the curriculum can be linked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middle high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ird, each postgraduate School has insufficiency of Korean classical music related subjects. To have a systematic and wide range of curriculum, the subjects in Korean classical music category should be open in each Graduate school. Forth, the postgraduate schools involved in the research should have superior aspects as key performing 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d curriculum compare to other univers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limited 7 national universities so it was not able to cover various universities. Through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more dynamic and efficient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if the more practical and segmented curriculum is developed, the well balanced musical education will be pursued.

      • 과학교사의 대학원 경험과 의미에 관한 사례 연구 : 과학 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유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의 대학원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석사 학위 논문으로 이학 논문을 작성하여 졸업한 과학 교사들의 대학원 경험에서 교육학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로 재직 중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며, 4년 이상의 학생 연구 지도 경험을 가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면담 중심의 질적 사례 연구로 하였으며, 대학원 진학 동기와 대학원에서의 경험, 경험의 의미, 앞으로 꿈꾸는 미래에 관한 질문을 통해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과학 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사들은 ‘탐구 지도의 벽에 부딪히면서’, ‘교사로서 성장하기를 위한 결심’으로 대학원을 진학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과교육학보다는 교과내용학에 대한 학습 열의가 높았으며, 이에 대학원에서의 경험도 ‘과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과학 교사들에게 중요한 대학원의 경험은 ‘과학 연구의 맛을 보고’ ‘진짜 공부를 하며’, ‘과학 하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 이었다. 또한 대학원 경험을 통해 ‘탐구 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과학 수업을 위한 다채로운 재료를 얻었으며’, ‘과학자들과의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과학 교사들은 학교 현장으로 돌아간 후에도 여전히 교사로서 성장하고 있었다. ‘연구하는 교사’로, ‘과학 교사들의 리더’로 활약을 하는 중이었으며 ‘다양한 미래를 꿈꾸며’ 한발씩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과학 교사의 대학원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과학 교사들이 의미 있는 대학원 경험을 통해 과학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Starting with the need to understand the graduat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edagogical meaning in the graduat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s who graduated by writing a science thesis with a master's thesi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science teache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in student research guidance. The research method was an interview-oriented qualitative case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questions about the motivation to go to graduate school,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the future of dreams, and analyzed focusing on scientific research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tudy, each student is going to graduate school with various goals, but in common, it was possible to derive “decide to grow up as a teacher” and “to face the wall of inquiry guidance”. Therefore, the enthusiasm for learning about Content Knowledge(CK) was higher than that of Pedagogical Knowledge(PK), and accordingly, the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was also focused on scientific research. The experiences of graduate school, which are important to science teachers, were “tasting scientific research”, “really studying”, and “meeting scientists”. In addition, through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They “gained confidence in exploration guidance”, “gained a variety of materials for science classes”, and “created a network with scientists”. Science teachers were still growing as teachers after returning to the school site. They were moving forward on by one as a "teacher who researches" and as a "leader of science teachers" and as a "dreaming of various futures.“ Through this study, fir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cience teachers' graduate experiences, and second, it is possible to present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s to demonstrate their expertise as science teachers through meaningful graduate experiences.

      • 한국과 중국의 국·공립(지방)대학교 음악교육 시스템 비교 -국립 강원대학교와 공립 쓰촨문리대학교를 중심으로-

        하봉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와 쓰촨문리대학교 중심으로 신입생 선발, 인재 양성목표, 교과 과정, 학점 구성 및 학점 평가 방법, 수업 평가, 교수법, 대학교 운영, 학생 취업, 교원 구성, 대학평가 등 양국 대학의 운영 방법을 비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강원대학교는 한국과 세계의 사회적 변화와 수요에 의해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있으며, 교육목표 역시 한국과 세계적인 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달리 쓰촨문리대학교는 학교가 소재하는 지역의 경제·사회 발전상의 수요에 맞추어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강원대학교 음악학과는 음악교육 혹은 음악 영역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쓰촨문리대학교 음악학과는 기초 교육기관의 교원 혹은 일선의 문예기관에서 공연·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학입학 시 요구되는 수능 과목의 경우 한국에서는 음악학과 진학을 위해 국어, 영어 성적만 필요한 반면에, 중국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문과 종합 혹은 이과 종합 등 4개 과목의 성적이 모두 반영되어 대학입학시험 준비에 필요한 교과목 범위가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기시험을 살펴보면, 중국의 대학교에서는 음악 이론, 시창 청음이 추가되어 시험 과목의 수 역시 한국보다 더 많았다. 이수 학점을 살펴본다면, 한국의 음악학과에서 요구하는 이수 학점이 중국보다 적었다. 반면에 개설된 교과 과정과 선수 과정은 한국이 더욱 다양하였다. 전공 영역이 이수 학점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높아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정의 선택폭이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대학교의 수업 평가와 교수법은 ‘학생중심’이라는 교육이념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강원대학교와 쓰촨문리대학교의 음악학과 졸업생 취업률과 교원당 학생 수를 비교해본다면, 강원대학교가 취업률이 낮은 평가율을 보였다. 강원대학교가 교원당 학생 수가 적었다. 또한 교원의 구성 역시 학력 수준과 외국에서의 최종 학력을 취득한 비율이 쓰촨문리대학교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국 대학교의 음악 석사과정은 학생들의 전공 실기 능력을 키우는 데에 치중하였고, 한국의 대학평가는 대학의 발전 계획, 재정, 관리, 감사, 직원·교원의 대우 및 복지, 학생의 장학금 제도, 학생의 권익 보호, 사회봉사 등의 영역에 집중되지만, 중국의 대학평가는 사상, 정치, 교육품질 보장 시스템의 구축, 인재양성의 전반적 과정에 대한 품질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강원대학교는 학생 수 감소와 낮은 음악학과 취업률이라는 문제에 직면한 만큼 더 많은 유학생 유치와 취업 지원 시스템 혁신을 통해 문제를 극복할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쓰촨문리대학교 역시 교과과정과 학점 구성, 수업 평가, 교수법, 교원의 구성 등 개선 제안을 통해 학생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 중심”의 교수법 확립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쓰촨문리대학교 음악학과에서 개설된 석사과정의 문제점과 구상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두 학교가 교수, 학생, 학점 인정, 공동운영 과정 등의 영역에서 교류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계획을 논문을 통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ng the operation of each university such as new student selection, talent development goals, curriculum, credit composition and credit evaluation methods, class evaluation, teaching methods, university management, student employment, faculty composition, and university evaluation and others, centering aroun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Looking at the comparison result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ets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emands in Korea and the world. In contrast,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is setting goal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 where the school is located. The Department of Music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cuses on music education or cultivating experts in the field of music, while the Department of Music of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focuses on cultivating teachers at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or its human resources who can be in charge of performance and management at front-line literary institutions. In the case of the subjects required for college entrance, only Korean and English scores are required for admission to the department of music in Korea, whereas in China, all four subjects – Chinese, Mathematics, English, and Comprehensive Liberal Arts or Comprehensive Natural Sciences – are reflected, therefore the range of subjects required to prepar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is more wide-ranging may be known. Looking at the practical examination, Chinese universities have added music theory and sight-singing and listening, so the number of examination subjects is also more than in Korea. Looking at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completion,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by the music department in Korea is lower than that in China. On the other hand, Korea has more diverse curriculum and prerequisite courses. The ratio of the major area in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completion is also high, so students have a wide range of courses to choose from. Class evaluation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universities more closely follow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student-centered’. Comparing the music department graduate employment rate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a lower employment r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a lower number of students per faculty member, a higher percentage of faculty members with doctorates and performing artist degrees, and a higher percentage of final degrees obtained abroad than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The master's program in music at Korean universities focuses on developing students' practical skills in their major. University evaluation in Korea focuses on areas such as university development planning, finance, management, audit, treatment and benefits for staff and teachers, student scholarship system, protection of students' rights and interests, and social service,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evaluation in China is being conducted centering around thoughts, politics,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the quality of the overall process of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A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aces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a low employment rate in the music department, it will be able to find a new way to overcome the problem by attracting mor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novating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can also exp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through improvement suggestions such as curriculum, credit composition, class evaluation, teaching method, and teacher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establishing a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can also be expected. In addition, proposed the problems and ideas of the master's program offered by the Music department of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and the plan of exchange between the two schools in the fields of professors, students, credit recognition, and joint operation of courses.

      • 江原大學校 春川캠퍼스와 周邊部의 空間構造 變化에 關한 硏究

        황동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growth and change of campus along the times brought not only extension of buildings and facilities but also changes in campus spatial configuration, and such chang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djacent district as well as the campus itself.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located in the urban center of the city of Chuncheon, the campus is surrounded the urban areas in the course of area urbanization, being prevented from connection to adjacent district and urbanization, however as the adjacent district spaces that had remained isolated due to the internal street network by the formation of front gate and rear gate of the campus were connected among one another since the 1980s, the campus shaped into diverse spatial configuration centered around the boundary area wher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meet. The changes in the street network and designated purpose facilities nearby in tune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are analyzed and estimated to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anges and urbanization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near the campu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by classifying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adjacent district into campus, adjacent district, and the entire area of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depending on the perio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from the 1970s to the 2010s by using space syntax after grasping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in order to predict the space structural change and future look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y analyzing and predicting the changing course of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and contribute to the general development of reasonable efficient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as basic data for adjacent district planning by the development of the campus and city plan based on long term master plan. Such changes of spatial configuration by the eras and space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In the 1970s when school infrastructures began to be established, the majority of the campus facilities were deployed centered around the area between Yeonjeokji and Mirae square that densely accommodated the top 5 spaces of global integration, forming the center of the spaces, and central facilities were located in the area between Narae building and college of agriculture that demonstrate high local integration, indicating high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As for the global integration of adjacent district, top 5 spaces are distributed centered around Hyoja 2 dong, whereas local integration is high centered around Daeseong ro, and that is because city street system is in the form of tree type street network formed naturally instead of lattice type street network formed by city plan. Hence, such street network coincides with the distribution of buildings, and that is analyzed to be as a result of easy access to each building. 2) In the 1980s when the most facilities were built sinc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the campus facilities were deploy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university center composed of Mirae square, Yeonjeokji and grand sports arena centered around the north-south axis that connects front gate and rear gate that offer highest degree of accessibility, recognition and space utilization rate, and they are formed along the central street by the campus spaces driven by the increase in the recognition of front gate by front gate new installation and extension of the university. In the case of the adjacent district of the campus, the number of areas decreased due to arrangement of land and organization of street network by city plan, and top 10% of street spaces are densely integrated around Hyoja dong. Space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may be deemed as the transition of important degree between Hyoja dong and Chukhyeop junction along the formation of Kangwon University street and lattice type road network, and it is judged that residential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were formed centered around the campus entrance in this accord. 3) In the 1990s when the university size kept spreading, the campus saw change of building deployment from existing south-north axis to east-west axis by newly shaped building group and street network along with formation of campus center space centered around Yeonjeokji 3-junction, and experienced street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being divided by east-west axis that links continuing education cent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and forestry college in addition to existing south-north axis that links front gate, Yeonjeokji and Mirae square. In the case of the campus adjacent district street space by urbanization, space syntax analysis value increased as spatial configuration changed from west tree type formed naturally in the past to lattice type of north, east and south by city plan, and that leads to the analysis that from that period on, balanced development in earnest in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egan due to the increase in the association with adjacent district, accessibility, space recognition, pedestrian accessibility and space using pattern. 4) In the 2000s when new development was sought for as local stronghold university, the campus is anticipated to increase in transportation axes from 1 axis to 3 axes through change of campus transportation system by the new installation of east gate, and the importance of inside central space, street recognition degree and space using density are expected to move further toward east-west axis. Such phenomenon is analyzed to be because new street space system centered around east-west axis was formed through new installation of east gate by short-mid term master plan. In the case of campus adjacent district, majority of the space are in the finishing stage through the stage of urbanization, and the importance of Chukhyeop 4 junction and rear gate space that are centered around Kangwon University road and Daeseong ro was shown high due to the change of street space by the formation of Daeseong ro and adjacent district arterial road. In the case of local integration, the space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are shown to be moving from Hyoja dong to the entire adjacent district, and such phenomenon is analyzed to be due to the nuclei multiplication by the grouping of spatial configuration from urbanization of space recognition. 5) As for the campus in the 2010s according to long term master plan, it is anticipated that inside circular arterial road will be formed through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by new installation of south gate, and along this circular arterial road, the center of street space will move toward east-west axis. Formation of inside circular arterial road is anticipated to bring decrease of global integra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clarity and increase in local integration, which will give rise to decrease in the entire space association,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traffic flow and increase in local space using density and pedestrian traffic. Such change, which indicates change of space from major facility centered existing single space to multi-nuclei space through grouping by the spaces, is judged to require future plan on facility shortage and inside association by the spaces. In the case of campus adjacent district, the urbanization of campus adjacent district in the 2000s is in the finishing stage, so no particular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is anticipated, and change of street system by the importance of Gongji ro from new installation of Seoul-Chuncheon high way and south gate is expected. In the case of future campus adjacent district spatial configuration, the district is anticipated to stretch up to Hyoja ro and Huseok ro centered around rear gate and Chukhyeop 4 junction stree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rear gate space later on, and the nuclei multiplic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is expect to continue. This study may be deemed particular in that it performed integrated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y the flow of eras by separating into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Such study results will be used effectively in researches on the establishment of plan for general development of areas including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at a time point later on when the exchange and communication of local community grow important, and sustainable researches and efforts must be done to establish reasonable development plan and find correlation of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researches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to be planned about later on. 시대의 흐름에 따른 캠퍼스의 성장과 변화는 건물 및 시설의 확충뿐 아니라, 캠퍼스 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는 캠퍼스뿐만이 아니라 캠퍼스와 인접한 주변부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쳐왔다. 특히, 춘천시 도심부에 위치한 강원대학교 캠퍼스의 경우, 도시화 과정에 있는 주변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주변부의 연결 및 도시화에 저해가 되어왔으나, 1980년대 이후 캠퍼스의 정문과 후문의 형성에 따른 내부가로망의 형성으로 단절되어있던 주변부 공간이 연결되어짐에 따라 캠퍼스와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공간구조가 형성되어왔다. 이러한 강원대학교 캠퍼스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주변부의 가로망 및 용도시설의 변화는 캠퍼스 주변부의 공간구조 변화와 도시화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가져온 것으로 분석,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부의 공간구조변화와 미래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하여 캠퍼스 및 주변부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한 후,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197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강원대학교 캠퍼스의 발전과 성장에 따라 시기별로 캠퍼스, 주변부, 캠퍼스와 주변부 전체로 구분하여 공간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캠퍼스 및 주변부의 변화 과정을 분석⋅예측함으로써 캠퍼스와 주변부와의 관계를 인식하고 장기마스터플랜에 따른 캠퍼스의 개발 및 도시계획에 따른 주변부계획의 기초적 자료로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캠퍼스 및 주변부 종합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시대⋅공간별 공간구조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 기반시설을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 캠퍼스 대부분의 시설들은 전체통합도 상위 5개 공간이 밀집된 연적지↔미래광장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공간의 중심을 형성하였으며, 국부통합도가 높은 나래관↔농과대학에 중심시설이 위치하여 높은 인지도와 공간사용밀도를 나타낸다. 효자동의 분동으로 주변부 전체통합도의 경우 상위 5개 공간이 효자2동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국부통합도의 경우 대성로를 중심으로 높은데 이것은 도시의 가로체계가 도시계획에 의해 형성되어진 격자형의 가로체계가 아닌 자연발생에 의해 형성된 트리형의 가로체계를 띄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가로망은 건물의 분포와 일치하는데 이는 각 건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형성되어진 결과로 분석된다. 2) 개교 이래 가장 많은 시설들이 건설된 1980년대 캠퍼스 시설들은 접근성, 인지도, 공간이용패턴이 가장 높은 정문과 후문을 이어주는 남북축을 중심으로 미래광장-연적지-대운동장으로 구성되는 대학 중심부를 감싸고 있는 배치 형태를 취하며, 정문신설에 따른 정문가로의 인지도 증가와 대학확장에 따른 캠퍼스 공간별 중심가로가 형성되어졌다. 캠퍼스 주변부의 경우, 도시계획에 의한 토지정리 및 가로망 정비로 인하여 공간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효자동을 중심으로 상위 10%의 가로공간이 밀집되어있다. 공간의 인지도와 공간사용밀도는 강원대학로 형성과 격자형 도로망의 형성에 따라 효자동↔축협사거리로 중요도가 이동하는 현상을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캠퍼스 출입구 중심으로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형성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3) 대학규모의 확장이 계속되어진 1990년대 캠퍼스는 새로 형성된 동쪽의 건물군과 가로망에 의해 기존의 남북축에서 동서축으로의 건물 배치의 변화와 연적지 삼거리 중심의 캠퍼스 중심 공간이 형성되었으며, 가로의 인지도 및 공간 사용밀도가 정문↔연적지↔미래광장을 잇는 남⋅북축과 평생교육원↔환경연구소↔산림대를 잇는 동⋅서축으로 나뉘는 특성이 보인다. 도시화에 따른 캠퍼스 주변부 가로공간의 경우 과거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서쪽의 트리형에서 도시계획에 의한 북쪽과 동⋅남쪽의 격자형의 공간구조 변화로 공간구문론 분석 수치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주변과의 연계성, 접근성, 공간인지도, 보행자 접근성 및 공간이용패턴이 증가한 것으로 이시기부터 캠퍼스 및 주변지역에 본격적인 균형발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4) 지역거점대학으로써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는 2000년대 캠퍼스는 동문신설에 따른 캠퍼스 교통체계의 변화로 교통축이 증가(1개→3개)할 것이며, 내부 중심공간의 중요도 및 가로의 인지도, 공간사용밀도가 동서축으로 더욱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현상은 단⋅중기 마스터플랜에 따른 동문신설로 동서축 중심의 새로운 가로 공간 체계가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캠퍼스 주변부의 경우, 대부분의 공간이 도시화 단계를 거쳐 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대성로 및 주변 순환로 형성에 따른 가로공간변화로 강원대학로와 대성로를 중심으로 하는 축협사거리와 후문 공간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국부통합도의 경우 효자동에서 주변부 전체로 공간의 인지도 및 공간 사용밀도가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주변부 공간의 도시화에 따른 공간구조의 그룹핑에 의한 다핵화 현상이 그 원인으로 분석된다. 5) 장기 마스터플랜상의 2010년대 캠퍼스의 경우 캠퍼스 남문 신설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로 내부 환상 순환로가 형성되어지며, 이 환상 순환로를 따라 가로공간의 중심이 동서축을 중심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내부 환상 순환로의 형성은 전체통합도⋅공간구조명료도의 감소와 국부통합도의 증가를 가져와 전체적인 공간의 연계, 이용패턴, 인지도, 통행량의 감소와 국부적인 공간사용밀도, 보행향의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변화는 내부공간구조가 기존 주요시설 중심의 단일화 공간에서 공간별 그룹핑을 통한 다핵화 공간으로 변화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간별 부족시설과 내부연계에 관한 앞으로의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캠퍼스 주변부의 경우, 2000년대 캠퍼스 주변부의 도시화가 마무리 단계였기 때문에 특별한 공간구조의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이며, 서울-춘천고속도로와 남문신설에 따른 공지로의 중요성에 따른 가로체계의 변화가 예상되어진다. 미래 캠퍼스 주변부의 공간구조의 경우 후문과 축협사거리 가로를 중심으로 효자로와 후석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앞으로 후문공간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지며, 공간구조의 다핵화 현상은 계속 진행되어지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시대 흐름에 따른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부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하여 캠퍼스 및 주변부를 분리, 통합하여 연구한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의 교류와 소통이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 향후 캠퍼스와 주변부를 포함한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계획되어질 캠퍼스와 주변부의 공간구조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연구를 통한 합리적인 계발계획 수립 및 캠퍼스와 주변과의 관계성을 찾기 위한 꾸준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체육인 한상준의 생애사

        김재룡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체육인 한상준의 생애사 김 재 룡 강원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스포츠인류학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문화기술지로서 내러티브 탐구방법, 자기이야기, 체험연구, 생애사방법론 등 다양한 질적 연구의 기법들을 사용하였다. 이 중에서 구술사 연구방법을 중심적으로 사용하였으며, 한국 사회 근현대를 살아 온 체육교수 한상준의 생애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 체육교수의 생애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것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한국사회에서 만들어가는 전통으로서, 체육․스포츠가 어떻게 제도화되었는가, 그리고 본 연구의 주인공이 꿈꾸던, 체육교육을 완성하고, 스포츠맨십을 완성하고자 했던 것들이 어떻게 상처받고 균열·붕괴·재생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가, 이러한 과정에서 이 연구의 주인공은 어떻게 저항하고, 탈주하고자 하였는지를 기록하고, 재현하고자하는 것이었다. 한상준은 일제 강점기인 1938년 경기도 안성 죽산에서 태어난다. 8.15 해방 전후 유년시절은 비교적 풍족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6.25 한국전쟁을 전후 해 모친과 두 형제는 외가가 있던 춘천으로 와 자리를 잡게 된다. 성장과정에서 모친과 형제의 신산했던 삶은 구술에서 생생하게 드러난다. 대단히 명석했던 소년 한상준은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춘천중학교에 이어 춘천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된다. 중학생 때부터 타고난 신체적 조건으로 운동선수로 발탁되기도 한다. 한상준은 어쩌면 운동선수와 그 이후의 길로 들어설 수도 있었으나, 운명과도 같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 진학하게 된다. 대학생 한상준의 삶 또한 순탄치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생활고였으며, 4.19 의거와 5.16 군사쿠데타 같은 사회적 격변기를 대학생으로 통과해야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음을 잘 알 수 있다. 대학생 한상준은 4.19를 계기로 자원입대 한다. 여러 가지로 혼란스러운 시대에 입대를 피할 수도 있었으나 정도를 걷는다. 군복무를 마치고 대학을 졸업한 한상준은 서울의 명문 사립인 진명여자중고등학교에 부임한다. 엘리트 체육교사로 교직에 선 한상준은 진명여자중고등학교에서 당시 유일했던 중고등학생 대상의 교육 잡지 ‘학원’에 한국사회 체육교사의 전형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학원’ 표지사진이었던 전형적 체육교사 한상준의 모습은 이 연구의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6년 동안의 진명여고 재직 경험은, 이후 교수 한상준이 지방대학 신생 체육교육과를 성장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밑받침이 된다. 젊은 체육교사 한상준은 1970년 강원대학 체육교육과 교수로 부임한다. 이것은 한상준 교수에게는 생애 최대의 결단이었다. 이러한 결정은 기회였으며 운명적인 모습도 보인다. 이후의 한상준의 생애는 강원대학 체육교육과의 생애와 중첩될 수밖에 없다. 교수 한상준이 부임하기 이년 전에 교명을 변경한 강원대학은 조직을 갖춰가기 시작한다. 이경제·박장평·이철규 교수로 대표되는 체육교육과의 교수진이 구성된다. 강원대학 체육교육과의 경우 그 경영에서 상당히 도드라져 보인다. 한상준 교수를 비롯한 체육교육과 교수진은 체력연구소를 설립하고, 활발한 학문 활동을 전개하며 체육교육과의 위상을 높여간다. 1979년에는 체육교육과 10주년 행사를 갖는다. 1981년에는 강원대학교 체력연구소가 ‘대한민국체육상’을 수상한다. 종합대학 승격을 전후해 새로운 교수진이 보강되면서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는 완벽하게 체제를 정비한다. 교수 한상준은 학생생활연구소장에 이어 사범대학 교무과장의 보직을 맡으면서 대학교육행정가로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한국사회 각계각층에서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교원임용에 있어 무시험 검정에서 임용시험의 시행으로 지각변동이 일어난다. 거의 존재를 잊고 살았던 한상준 교수의 부친이 타계한다. 강원대학교 체육교육과는 20주년 행사를 갖는다. 탁월한 업무능력과 친화력을 바탕으로 1993년에는 사범대학장에 선출된다. 당시만 해도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체육교육과 출신 교수가 사범대학장을 맡은 것은 없었던 일이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체육교육과는 균열과 붕괴의 길에 접어들기 시작한다. 체육교육과는 정원이 15명까지 내려가고, 사범대학 체육교육과로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다. 세기말의 2000년대를 앞 둔 시기는 한상준 교수에게 가장 견디기 힘든 시기였다. 한상준 교수는 드디어 2000년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를 포기하고 독립 체육학부로 전환시킨다. 자신이 세우고 키워왔던 체육교육과를 자신의 손으로 소멸시킨 것이다. 2001년 초에 형제와 같았던 박장평 교수가 결국 타계한다. 사범대학에서 독립학부가 된지 4년 만에 박사과정이 설치된다. 자연인으로 돌아간 명예 교수 한상준 내외분은 오래 전부터 자신이 꿈꾸었던 원창리 우거에서 민규를 돌보며 노년의 삶을 살아가시고 계시다.

      • 대학생 독서 활성화를 위한 독서인증제 연구 : 강원대학교 독서인증제를 중심으로

        최우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s a plan to activate reading of undergraduates. In short, this study is to deal with introduction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s an efficient plan to solve problems of reading underachievement of undergraduates throughout universities in Korea, to improve reading habit and to practice reading.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s widely generalized all over the society and especially, it has have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o it is judged that it would activate reading of undergraduates in universities by introducing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Now,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s leading activation of reading by introducing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ggressively and many universities are preparing for introduction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system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refore, in this study, efficient enforcement plans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were investigated across domestic universities focusing on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chapter 2, first of all, theories regarding concepts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y were arranged a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in relation to reading and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prior to research on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general theories concerning concepts of reading certification, purposes, assessment range and assessment methods were arranged. Chapter 3 targets surveying actual status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fter examining the overall management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mplements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s a sphere of qualification certification system for graduation and especially, enforces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specifically by constructing CBRT(Computer-based Reading Test) system to implement it. Therefore, standards and grades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ssessment methods, system instructions, selection of recommended books and evaluation DB were examined in depth through CBRT system and then, applying status, passage status and reading status were inspected to comprehend actual condition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n chapter 4, satisfaction of use in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surveyed to determine how studen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ccept it. Survey was performed with 100 of registered students, who are in senior year using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4 categor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s helpful for student forming reading habits, students' reading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students prefer CBRT system as an assessment method. In addition, students decided reading, because it is the easiest qualification for graduation and they asked for improvement in recommended books and environment of CBRT assessment room. The goal of chapter 5 is to find improvements in selection of recommended books, evaluation of impressions after reading books, development of evaluation questions and development of verification key words based on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efficiently implement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ll over the universities in Korea. Also, improvement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Kang-wan National University were dealt with as institutional supports to implement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efficiently. Lastly,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to activate reading of undergraduates was examined. In conclus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because there is no university to enforce specific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bu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would be gradually expanded, because many universities are now about to introduce it to strengthen reading education. Accordingly, studies on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to activate reading of undergraduates would be performed in more various and detailed way in future.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독서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독서인증제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현재 대학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대학생 독서력 부진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인 독서습관 형성 및 평생 교육으로서의 독서 생활화를 실천하기 위한 효율적 방안으로 독서인증제 도입을 다루어 보고자 하였다. 독서인증제는 이미 사회전반적으로 널리 보편화되고 있고 특히 초, 중, 고등학교에서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대학에서도 독서인증제를 도입하여 독서 활성화에 주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대학의 독서인증제를 도입하여 대학생의 독서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는 대학은 강원대학이 주도적이며 현재 여러 대학에서 강원대학의 독서인증제를 기반으로 하는 독서인증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실정으로 본 연구의 방향은 강원대학의 독서인증제를 중심으로 대학 전반에 효율적인 독서인증제 시행 방안을 살펴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독서 및 독서인증제와 관련한 이론적 고찰로, 독서와 독서교육의 개념, 독서 능력의 발달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였고, 독서인증제 연구에 앞서 독서인증의 개념, 목적, 평가범위 및 평가방법에 관한 일반적 이론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강원대학의 독서인증제 운영 전반에 대하여 살펴본 후 실제 독서인증제 현황을 파악해 보았다. 강원대학은 졸업자격인증제의 한 분야로 독서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독서인증제 시행을 위하여 CBRT(Computer-based Reading Test)시스템을 구축하여 체계적인 독서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강원대학의 CBRT시스템을 통한 독서인증제의 인증 기준 및 등급, 평가방식, 시스템 사용법, 추천도서 선정, 평가DB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독서인증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응시현황, 통과현황, 도서현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강원대학의 독서인증제가 학생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 이용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14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4학년 재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결과는 독서인증제로 인해 실제 책읽기에 도움이 되고 있고, 독서량이 전보다 증가한 것, 평가방식으로 CBRT시스템 평가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실제 독서를 선택한 초기 목적은 졸업자격분야 중 가장 수월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시작하고 있다는 것, 추천도서 및 CBRT평가실 환경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장에서는 강원대학의 독서인증제를 토대로 대학 전반에 독서인증제를 시행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로 강원대학의 CBRT 평가를 독서인증제의 중심에 두고 추천도서 선정 부분, 독후감 평가, 평가문항 개발, 검증키워드 개발에 대한 개선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독서인증제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 부분으로 강원대학의 독서인증제 제도 개선 및 다양한 컨텐츠 개발, 환경 개선 등으로 다루어보았다. 이상에서 대학생 독서 활성화를 위한 독서인증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록 아직까지는 강원대학을 제외하고는 체계적인 독서인증제를 시행하는 대학이 없어 연구 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었지만 대학마다 독서 교육 강화를 위한 독서인증제 도입을 시도하고 있어 대학 독서인증제는 점차 확대될 것이라 본다. 따라서 앞으로는 대학생의 독서 활성화를 위한 독서인증제 연구가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유학생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연구 : 강원대학교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진치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학생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연구 -강원대학교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진 치 링 강원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2012∼2013년 국가통계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 등록되고 있는 외국인의 수는 985,923여명 정도에 이르고 유학을 목적으로 온 외국인도 81,847여명이 이른다. 주로 대도시에 거주하던 유학생과 투자자가 이제는 지방 중소도시로 까지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소도시인 강원도 춘천시의 주민등록상 외국인수도 집계를 시작한 1992년에는 174명에 지나지 않았으나 2013년 현재 2,898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강원대학교의 유학생 수도 총학생수 16,544명 중 678명에 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대학교 유학생을 중심으로 유학생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주거지를 선택할 때의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다.이를 위하여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유학생 주거환경이론을 고찰하고 2007년 9월부터 현재까지 춘천에 거주하며한 설문지 조사방법과 관찰방법으로 유학생들이 주거환경 현황, 만족도 주거지 선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태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 유학생의 주거환경을 보면 원룸 또는 기숙사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고, 2명이 함께 20~30만원정도의 보증금 있는 2~5층 월세에 거주하며 학교에서 15분 이내의 거리에 살며 주로 도보로 등교 15분이내의 거리에 거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주거지를 선정할 때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주로 학교 및 친구의 소개를 통해 정보를 제공 받고 있으며 계약기관 만료와 개인적인 사정 등에 의해 1~3년 정도 거주를 하고 1번 정도 이주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주거만족도에서 주택의 유형, 주거공간면적, 인테리어, 난방방식, 주택임대료, 관리비용, 계약형태, 방범 및 경비, 주변 치안 상태, 보증금 회수시의 보호, 학교와의 거리, 주변시설에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욕실면적, 방 개수, 노후도, 주차환경, 소음 및 방음, 채광 및 통풍, 내부 가전제품, 베란다 여부에는 불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선호도에서는 난방방식, 소음 및 방음, 채광 및 통풍, 프라이버시 보호, 주택 임대료, 관리비, 계약형태, 방범 및 경비, 주변 치안 상태, 보증금 회수시의 보호, 주변시설, 내부가전제품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주택유형, 주거공간면적, 욕실면적, 방 개수 인테리어, 노후도, 주차환경, 학교와의 거리 베란다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유학생들이 희망하는 주거환경은 보증금 없는 월세 원룸이며, 21~27m², 개별난방, 20~30만원의 임대료, 1~3만원의 관리비, 5분~10정도의 거리, 마트·은행·시장이 위치한 곳에서 세탁기, 냉장고, 침대, 에어컨을 제공하는 임대주택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중국 유학생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만족도가 낮고 선호도가 높은 ,소음 및 방음, 채광 및 통풍, 내부가전제품, 프라이버시 보호 등 주거환경 사항을 더욱 더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A Study of Foreign Student's Satisfaction at Residential Environment -Focused on Chinese Studen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JIN QI LING Department of Real Est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Abstract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s in 2012~2013, the number of registered foreigners amounts to 985,923 in Korea. 81,847 of them are students.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vestors used to reside in a large city, nowadays, they have began to occupy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s well. Thus, while there were only 174 foreigners in Chuncheon, a small or medium-sized city in the province of Kangwon in 1992, the number has reached 2,898 in 2013. Also,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mounts to 678 out of 16,544 in total. This research has aimed to examine the intern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ignificant factors to select their residence, focusing on the students of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t has reviewed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to analyze the theory on residential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Also, since September 2007, it has conducted a survey of, and observed, the international students to analyze their residence, satisfaction for, and factors to select, a residenc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hinese students of the University reside in a studio apartment or the dormitory. Usually, two students live together in the 2~5th floor. They monthly pay average ₩200,000~300,000 other than the deposit . The places are usually within 15-minute distance. Thus, they normally walk to school. Mainly, when selecting their residence, they obtain information from the school or friends. For the termination of a contract or personal reason, they move once in 1~3 years. Second, while satisfied with the type / size of the residence, interior, heating, rent, maintenance expense, form of contract, crime prevention / security, public safety, protection for withdrawing deposit, distance from school, and surrounding facilities,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size of bathroom, number of rooms, deterioration of building, parking lot, noise / soundproofing, sunlight / air, home appliances, and veranda. Third, for selecting their residence, while concerned with heating, noise / soundproofing, sunlight / air, protection of privacy, rent, maintenance expense, form of contract, crime prevention / security, public safety, protection for withdrawing deposit, surrounding facilities, and home appliances, they are unconcerned with the type / size of residence, size of bathroom, number of rooms, interior, deterioration of building, parking lot, distance from school, and veranda. Fourth, the Chinese students prefer a residence as follows; a rental studio apartment with monthly payment, but no deposit; 21~27m² in size; individual heating; ₩200,000~300,000 in rent; ₩10,000~30,000 in maintenance expense; 5~10-minute distance; convenience store, bank, market around; washing machine, refrigerator, bed, air-conditioning provided.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o upgrad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Chinese students, the dissatisfactory but preferable factors should be improved, such as the noise / soundproofing, sunlight / air, home appliances, protection of privacy, etc.

      • 국내전문반주자 과정의 현황 및 실태조사 연구 : 4개 대학원을 중심으로

        신정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밀레니엄 시대를 맞이하여 사회각층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예술계에서도 보다 세밀화된 파트별 전문 인력을 필요로하고 있다. 현재 학생으로서의 길을 걷고 있는 음악전공자들은 기존의 한정된 직업개념에서 벗어나 프로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고, 그 동안 특정 연주를 뒷받침해 주는 단순 보조자 역할의 개념으로만 생각되어지던 반주자가 전문인의 개념으로서 대두되고 있다. 오늘날 독주자의 연주를 돕고 훌륭한 음악회가 될 수 있도록 발전한 반주양식과 기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발전하였는지 살펴보는 것은 모든 음악인에게 의미를 부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반주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고대에서 시작하여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고전시대까지 각 시대의 특징적인 반주양식에 대해 알아보고 전문반주자의 영역을 성악, 기악, 무용의 세 개 파트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국내 전문반주자 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하여 성심여대, 경희대, 한세대, 한국예종의 4 개교의 전문반주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위 4 개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반주자 대학원의 실태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대학원 반주과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로 국내 전문반주자 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으로는 전문반주자 전공학과의 내실화와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져야 한다고 분석되어졌다. 또한 반주자의 역힐과 위치는 매우 중요하고 그 역활을 잘 감당하기 위해서 반주자는 누구보다도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아직 우리나라에는 반주분야에 관한 책들이 거의 전무함을 발견하였고 이에 관한 책들이 시급함을 느꼈다. 따라서 앞으로 계속해서 외국서적의 번역과 반주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는 기회가 많아야 하겠고, 전문반주자에 관한 자료들과 교육이 활성화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In the time of facing a new millennium, each class of the society require human resources who are specifically specialized in a certain area and it is the same for the world of arts, which also requir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specific parts. Current students in music majors do not limit their major into a certain occupation but pursue becoming a professional in their area and the concept of accompanists who were simply recognized as an assistant, supporting certain performance, is changing into a professional. In this sense, it is meaningful for all musician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styles and skills of accompaniment in order to assist soloists' performance and to make a great concer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 the features of the style of accompaniment in each era including the Middle, Renaissance, Baroque, Classical Ag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s of accompaniment as well as the areas of professional accompanists by dividing into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and dance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current states and problems of courses for accompanists in graduate schools in Korea,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courses for accompanists in four universities, namely, Sungshin Women's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Hansei University, and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subject to the four universities, it also conducts a survey for their opinions on the reality of graduate school courses for accompanists and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ourses in graduate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from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of schools of Korean professional accompanists, the major for professional accompanists should be more strengthened and the educational courses have to be improved. In addition, roles and positions of the accompanists are significantly important and in order to manage their roles properly, accompanists require more research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is paper, the author found that there is no book about accompaniment in Korea at all so we urgently need those books in this area.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translations and chances to exchange opinions on accompaniment, and materials and education on professional accompanists should be more activated.

      •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를 中心으로

        홍귀자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s of supporting policies and cultural adjusting programs each local governments have, and how they are carried for married immigrated women to adjust to Korea society as a member of it. Also, this study is devising the institutional supplement means and supporting scheme for married immigrated women, after looking through problems and issues about those local governments' supporting policies. Since 1990, as the number of Korean men who married foreign women increases rapidly, the multicultural family has become an particularly significant family formation in Korea. It should be natural trend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be assimilated and integrated into the Korean society. However, since the strong conception of the married couple with pure breed, which is Korean culture already have accustomed to, we still have prejudice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m. Mainly, these cause the situation that married immigrated women have difficulties to adjust to the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fact finding survey in May 2009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of Korea), the population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is 1,106,884, which accounts for 2.2% of the whole population(49,593,665), increased 24.2% compared to 891,341 in 2008. Among them, the number of married immigrated women is 149,853, and children of intercultural marriage family are 107,689. The number of married immigrated women living in Kang-won Province - relatively consists of lots of rural area - is 3,987. What they are struggling with the most is fitting themselves into Korean language, culture, custom, one-sidedly in most of cases, accounts the biggest percentage of 62.8%. Others answers are social discrimination, lack of friends or special consultant, unfair treatment, and so on. The culture adjustment supporting scheme for married immigrated women would be: First, expansion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related to married immigrated wome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aking complete charge of matters for married immigrated women, should take the lead of drawing connections and cooperations with other government divisions. On top of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et the specific supporting system, like controling work to avoid unnecessary duplication, or foundation of the new organization with full responsibility in operational local governments. Second, operation of the locally specialized supporting organization.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nd operate one community supporting center for one city/district, so that make it possible to manage programs, reflecting and considering local conditions, features of workers, and environment of beneficiaries. Third, invention of customized program with married immigrated women's surroundings. Because suddenly increased multicultural families have various life-cycle ․ language ․ cultural distinction, it is required to devise the Level Customized Program and manage it based on Life-Cycle Customized Servic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ourth, development of PR strategies for eliminating the negative image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or married immigrated women, and composing the social atmosphere to tolerate multicultural families. Holding some local harmony events, or publishing the excellent case would be good example of PR strategies. Fifth, cultivations of human resource specialized in the multicultural field. To accomplish that, it is needed to create university courses for educating multicultural field. Especially, courses that help to promote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e - like Mutlicultural Sociology, Mutlicultural Psychology, Successful Habit in Multiculture, Mutlicultural Conseling and Advice - should be opened in universities. In the end, the most essential part in order to reap the fruits of multicultural policy is active concerns and cooperation leaded by communities, diffusion of consciousness to take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our true neighborhood and live together, as well as government's efforts on the top of these scheme.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적응해 나가는데 필요한 다양한 지원정책과 문화적응프로그램이 지방자치단체별로 어떠한 종류와 방법으로 시행하는지를 조사해 보고 이러한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살펴 본 후,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제도적 보완방법 및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1990년이후 한국남성이 외국인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다문화가정이 가족의 형태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지속적인 증가추세로 늘어난 다문화 가정의 가족형태가 우리사회에 흡수되고 통합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필요하나 순혈주의 부부형태에 익숙한 우리 사회에서는 이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갖고 있으며, 아직도 이들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적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행정안전부의 2009년 5월기준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거주 외국인주민은 1,106,884명으로 총인구(49,593,665명)의 2.2%에 해당되며 08년 외국인주민 891,341명 대비 24.2%가 증가했다 이 중 여성결혼이민자수는 149,853명이고 국제결혼가정 자녀는 107,689명이라 한다. 비교적 농촌지역이 많은 강원도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수는 3,987명이며 이들이 한국생활에 있어서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언어, 문화, 관습을 한국사회에 일방적으로 맞춰야하는 어려움이 62.8%로 가장 크며 사회적 차별, 친구ㆍ상담자 부재, 동등하지 못한 대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지원방안으로는 첫째, 여성결혼이민자 관련 제도적 기반확충이다. 여성결혼이민자 관련 전담부서인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부처간 연계와 협력을 토대로 유사업무의 중복문제를 조정하고, 시행부서인 지방정부에도 전담조직을 신설하는 등 구체적인 지원체제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적으로 특성화된 지원기관 운영이다. 1개시군 1개 지원센터의 설립ㆍ운영하여 지역여건과 종사자의 특성, 수혜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환경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다. 갑자기 늘어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가족은 생애주기ㆍ언어ㆍ문화적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여성가족부에서 제시한 생애주기별 맞춤형서비스를 기본골격으로 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체류기간, 자녀 등을 고려하여 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한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와 그들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의 해소와 다문화 가족의 포용을 위해 지역단위의 화합행사를 개최하여 우수사례를 발표하는 등의 홍보를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제언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의 다문화 전공과목과 교양필수과목의 신설이 필요하다. 특히 사범대학이나 유아교육과의 경우 다문화 사회학, 다문화 심리학, 다문화속의 성공적인 습관, 다문화 상담 등 다문화의 이해 증진을 도울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하여야한다. 끝으로 이러한 대책을 바탕으로 다인종, 다문화사회로 접어들어가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정책이 제대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과 함께 지역공동체 중심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 진정한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의식의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대학생의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검증

        허연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COVID-19 예방접종은 SARS-CoV-2에 대해 안전하게 면역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며, SARS-CoV-2 감염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SARS-CoV-2에 감염되더라도 중증 및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COVID-19 백신 망설임은 문화적 요인, 태도, 동기 및 사회적 규범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사람들의 COVID-19 예방접종의도 및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이해하는 것은 백신 접종 전략의 중요한 요소이다. 계획행동이론은 행동에 대한 의도가 태도, 주관적 규범에 의해 결정되고, 지각된 행동 통제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조절하며, 의도가 행동의 직접적인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행동의 성공적인 수행은 호의적인 의도뿐만 아니라 충분한 수준의 행동 통제에 달려 있으므로, 의도와 행동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고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각된 행동 통제의 조절 효과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행동 통제의 조절 효과가 반영된 계획행동이론의 주요 변인들이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계획행동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Ajzen이 제시한 질문지 작성 방법과 문헌고찰을 통해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방법에 따라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적합하도록 도구를 수정 및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S대학교, K대학교, C대학교)와 경기도에서 수원시(K대학교), 용인시(D대학교), 성남시(G대학교)와 충청도에서 청주시(C대학교 2곳), 제천시(S대학교)와 경상도에서 창원시(K대학교, C대학교), 부산광역시(P대학교)에 위치한 1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20세부터 29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학과의 허가를 받아 각 대학교 학과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모집공고문을 게시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2022년 8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235명의 연구대상자들로부터 구조화된 웹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와 AMOS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COVID-19 예방접종행동은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COVID-19 예방접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COVID-19 예방접종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COVID-19 예방접종의도는 직접적으로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지각된 행동 통제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주관적 규범과 COVID-19 예방접종의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행동 통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지각된 행동 통제의 조절효과가 포함된 계획행동이론을 검증하고,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계획행동이론은 COVID-19 예방접종행동을 설명할 수 있으며,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지각된 행동 통제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COVID-19 예방접종의도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COVID-19 예방접종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주고,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의 변화를 통해 COVID-19 예방접종의도를 높여줌으로써 COVID-19 예방접종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COVID-19 vaccination is a safe way to obtain immunity against SARS-CoV-2, and not only prevent SARS-CoV-2 infection, but also prevent severe illness and death even if infected with SARS-CoV-2. COVID-19 vaccine hesitancy is also related to cultural factors, attitudes, motivations, and social norms, so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people's COVID-19 vaccination intent and vaccination behavior is an important factor in vaccination strategies. Planned behavior theory can predict specific behavior intentions with high accuracy through attitude toward behavior,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these intentions explain the difference in actual behavior along with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order to explain and understand intention,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more accurately and understand influencing factor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ory appl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order to verif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tool was modified and constructed to suit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preparation method suggested by Ajzen and the measurement method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oul (S University, C University, K University), Gyeonggi-do (K University, D University, G University), Chungcheong-do (C University, C University, S University), and Gyeongsang-do (K University, C University, P University) were targeted at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9. With the permission of each department, a recruitment notice was posted through the bulletin board of each university department's website to recruit subjects. From August 1, 2022 to August 31, 2022, data were collected from 235 study subjects using structured web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As a result of this study,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for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indirectly affected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through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and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directly affected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rms for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and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In this stud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explain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and the subjective norms for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had a greater impact on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in the group with low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r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to practicing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by positively changing the attitude toward COVID-19 vaccination and increasing the intention of COVID-19 vaccination through changes in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