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호남지역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노찬백 朝鮮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2005 統一 問題 硏究 Vol.20 No.2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의 통일교육활성화와 관련하여 독일의 통일교육과 한국의 통일교육에의 시사점, 한국의 학교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방안, 사이버통일교육 활성화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호남지역에서 통일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통일교육의 내용과 방법과 관련하여 통일교육 교과의 교재 개발에서 정치체제 및 이념적인 요소의 배제, 남북한의 상이점 인정, 북한 사회의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 기회 제공, 남한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 나아가 민족공동체 의식 회복을 위한 노력 등과 같은 인식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함을 지적했다. 둘째, 통일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하여서는 호남지역의 초ㆍ중ㆍ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서 통일 교육을 담당하는 선생님들간의 일정 지역 혹은 각급 학교별로 상호 정보 및 의견교환의 모임의 활성화, 통일교육 담당자에 대한 지속적으로 재교육 시스템 구축, 학교운영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의 필요성, 북한 텔레비전의 제한적 방영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정부의 통일교육 정책과 관련하여서는 초등학교 통일교육 전담교사제 도입, 별도의 독립 교과목 채택, 지방자치단체별 통일교육 전문기관 설립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정당의 중앙 조직이나 각시도당 내에 통일교육기구의 설치와 호남지역에 서울 정도 규모의 통일관이나 자료실의 설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학교통일교육의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통일교육의 이념과 가치관에 대한 혼란의 극복과 방향정립, 통일교육의 체제와 제도약 미비점 정비, 교사 연수체계의 개선 및 통일교육 담당교사들에 대한 인센티브제도 마련,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과 내용 및 방법의 개발, 통일교육 담당장학사와 학교관리자들간의 상시적인 대화창구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사회통일교육의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첫째로 이념과 가치관의 편차를 극복하고 그 지향점에 대한 분명한 제시, 사회통일교육의 체제 및 제도의 정비, 사회통일교육 담당자에 대한 집중적인 전문연수와 인센티브제도, 대중매체의 통일교육 노력, 사이버연수방식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통일교육과 관련해서는 호남 지역 소재의 각종 학교와 통일교육단체들간의 적극적인 사이버통일네트워크의 구축이 강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 한국의 통일: 정체(政體)의 통일에서 생활(生活)의 통합으로

        이용재 ( Young Jea Lee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4 동북아연구 Vol.29 No.2

        보편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은 다양성에 대한 새로운 욕구를 드러내고, 민족국가의 국경은 낮아짐에도 민족개념은 여전히 유효하다. 오늘날 다문화사회통합에 대한 논의는 민족적 동질성이 아니라 다양성과 이질성에 기초한 새로운 연대의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남북통일에 대한 국민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럼에도 통일정책은 정치체제의 대립과 갈등에 기초한 공약(公約)으로 존재한다. 오늘날 국제사회와 국민의식, 민족문화에 대한 성찰은 통일정책이 정체적 통일이 아니라 다문화 생활세계의 통합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자신의 삶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 것에 무관심한 젊은 세대들과 이념보다는 생활 속의 안전과 안정에 더 민감한 현실은 새로운 통일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 글은 그것이 이념의 대립과 극복이 아니라 다문화사회통합의 방식에서 제시하는 생활세계에서의 소통과 수용의 방식에 기초한 통일정책이라고 주장한다. The reflection on Universality reveals the new desire for diversity. Despite the boundary of the nation state decreasing, the ethnic concept is still valid. Today, the debate about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will demand, not ethnic homogeneity, but the integration of solidarity is based on diversity and heterogeneity. And this phenomenon affects the perception of people about Korean unification.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people’s awareness for unification and of the social structure is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the integration policy in their lives became more important. As the apathy of the young generation on the part does not affect his life, and the sensitivity of the young generation on the part of safety and stability in their lives, they do not care about ideological issues. The new unification policy is not the way of overcoming the conflict of ideology but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acceptance in the life. Therefore, the Korean unification policy should be offered the new way of integr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통일한국의 외교안보 이념: 미래 안보가치의 모색

        허태회 ( Tae Hoi Huh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2 동북아연구 Vol.27 No.2

        독립이후 분단과 전쟁의 참화를 겪으면서 산업화에 매진하였던 우리 한국의 주변상황도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독선과 강압으로 국민을 전쟁으로 내몰며 타민족을 적대시하였던 19세기 민족주의 논리는 더 이상 통일가치로서 보편성을 잃고 있다. 우리가 준비하는 통일도 지나치게 민족중심이거나 배타적 편애한 과정이라기보다 주변과 소통하며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우리의 통일도 그저 한반도의 지리적 재결합이 아닌, 국경과 민족의 차이를 넘어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가치와 정서, 그리고 현실인식을 상징하는 그 어떤 것이어야 하지 않는가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즉 이제 한반도통일이 좁은 반도라는 지리적 공간이나 현재의 시간대를 넘어서 세계와 소통하고 시대와 공감하며 인류사에 보편적인 가치로서 통일의 의미에 평화와 나눔, 타인에 대한 관용, 물질적 이해와 편견을 넘어서 이룩되는 공감의 영역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여기에서 통일한국의 안보이념으로 홍익안보론은 새로운 대안안보론으로서 구성주의 시각에서 조명한 새로운 성찰의 산물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into a security ideology of a future reunified Korea by analyzing a few of security theories in International Politics. Despite its devastating war and division into two parts, South Korea has succeeded both in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democratization over a relatively short period, drawing a lot of praise from the world. However, it has stopped short of achieving its overdue reunification while watching other divided countries like Germany overcome its difficult reconciliation process and move towards one unified nation. Given such devastating Korean war, the long division into two antagonistic entities and the strategic concerns of neighbouring countries with a reunified big Korea, Korea needs to develop more than a narrow ethnocentric reunification theory. If anything, a future korea should prepare a more universal value-oriented ideology like a Hong-ik Ideology, or a korean traditional ideology emphasizing the realization of all the benefits to all the human beings on the earth. Though tentative yet, this study suggests to encompass such humanistic universal values as a world security theory into its security ideology for a reunified Korea.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통일문제 서술의 특징: 북한사, 통일논의 및 남북관계사 인식의 상호 제약을 중심으로

        김지형 ( Ji Hyung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5 동북아연구 Vol.30 No.1

        2014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북한사, 통일논의, 남북관계사를 비판 적으로 분석하였다. 북한사 서술에 반영돼 있는 역사인식은 남북 체제대결적, 우열적 사고 방식에 기초한 것으로 파악된다. 북한사 전개의 내적 맥락을 강조하기보다 현상에 대한 비판적 서술과 문제제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같은 북한사에 대한 냉전적, 우적론적 서술 경향은 통일논의와 남북관계사 서술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었다. 통일논의에 관한 서술의 경우, 경제적 가치 논의에 집중하였다. 탈냉전 이후 정부, 언론 등에 의해 주도된 논의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같은 특성은 분단 이후 나타난 다양한 통일논의와 남북의 통일정책 및 방안에 대한 폭넓은 이해 대신 통일논의를 단조로운 경제문제로 이해할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다. 남북관계사는 그간의 남북 당국간 주요 합의 내용과 의의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일부의 경우, 핵심적 내용과 교육의 초점이 잘못 설정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역대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안일한 서술도 확인된다. 무엇보다 남북관계사에 대한 일방주의적 서술 방식이 가장 큰 특징이자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을 대상화 하는 대신 남북 쌍방의 상호 작용에 입각한 남북관계사 서술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분단 극복을 위한 미래지향적 입장에서 볼 때, 여전히 과거 국정 교과서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North Korean history, unification discussion, and inter-Korean relations described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2014 edition. The historical recognition reflec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North Korean history seems to be stemming from the confrontation of the structures and the superior or inferior way of thinking. It is focused on the critical descriptions of the situation and raising questions rather than stressing the internal context of the North Korean historical development. These cold war-like, friend-or-enemy descriptions acted as a problem limiting the following unification discussions and inter-Korean relations description. For the description regarding the unification discussions, it is focused on discussions of economical values. It is a reflection of the discussions mainly led by the government and press after the post-cold war era. As for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ide historical description is demanded about the various unification discussions and the North-South unification policies after the division. Inter-Korean relations part is centered on the major agreements the North and South have made. For some parts, not only were core contents and educational focus inaccurate, but the successive governments`` relaxed descriptions of unification policies were also found. Before anything else, unilateral descriptive method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can be pointed to as a problem. More of an objective description of interactive influence of both parties is needed. From the future oriented viewpoint for overcoming the division, it still fundamentally has not overcome the limits of past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 KCI등재후보

        통일세와 통일비용

        김강녕 ( Kang Nyeong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0 동북아연구 Vol.25 No.1

        과거 분단을 초래한 국제환경은 괄목할 정도로 변화되어 한국인에 있어서 통일은 더 이상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과업이 되고 있다. 이 글은 통일세와 통일비용을 분석한 것으로서, 통일세의 제안과 찬반논의, 통일비용의 개념?규모?조달방법, 독일 통일비용 재원마련의 교훈과 시사점, 통일비용 실효적 논의의 방향과 과제 등의 순서로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해 보았다. 지난 2010년 제65주년 8?15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를 전제로 한 ‘평화공동체→경제공동체→민족공동체’를 구현하는 3단계 통일방안을 제시하고 통일에 대비한 현실적인 방안의 하나로 통일세 도입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논의해줄 것을 제안하였다. 그동안 민간차원에서는 통일세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적은 있지만, 공식적으로 대통령이 직접 통일세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통일세제안은 곧바로 우리 언론과 전문가들로 하여금 통일세?통일비용에 대한 찬반논의를 불러 일으켜 왔다. 독일은 주로 채권발행, 조세(통일연대세), 연방정부의 재정정책 등을 통해 통일을 위한 재원을 마련해왔다. 독일의 경우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총 통일비용은 8,354억 유로(Euro) 로 연평균 약 928억 유로였고,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총 통일비용에 대한 독일내 민간연구 기관들의 추정치는 약 2조 유로(약 3,060조원)였다. 대통령 미래기획위원회는 북한이 급변사태를 맞게 되면 2011년부터 2040년까지 30년간연평균 통일비용은 720억 달러(총 2조 1,400억 달러, 약 2,525조원)에 달하지만, 북한경제가 점진적인 개방을 통해 정상적인 상태에서 통일되면 100억 달러(총 3,220억 달러, 약379조원)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급변사태가 발생하면 비용이 7배나 더 든다는것이다. 우리 국민 대부분이 소망하는 통일은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1975년부터 1990년까지 방위세를 신설한 바도 있으며, 부가가치세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통일비용에 대해서 진지한 논의가 없어 아쉬웠는데, 이명박 대통령의 8?15 경축사를 계기로통일세 공론화 제의를 통해 통일비용 조달에 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통일과정 즉 구체적으로 통일세 및 통일비용과 관련해서 통일독일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주는바 이를 ‘타산지석’적 교훈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at caused the division in the past has now remarkably changed. To Koreans unification is no longer a matter of sentiment; it has become a task to be carried out in the present reality. This paper is aimed at analysing Korea’s unification tax and unification cost. President Lee Myung-bak in a nationally televised speech on Sunday marking the 65th Liberation Day urged South Koreans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Lee proposed a “three-stage plan” for reunification along with a “unification tax system” aimed at raising money for the costs of integration. "Reunification will happen. It is therefore ourduty to start thinking about real and substantive ways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such as the adoption of a unification tax," Lee said. President Lee Myung-bak’s surprise proposal Sunday for the “unification tax” has sparked a heated debate among politicians, highlighting a wide ideological rift between the liberal and conservative forces as to how to deal with the communist North Korea. We could learn many lessons from Germany``s unification. In Germany, the East-West economic disparity was not quite as wide as the North-South gap in Korea. Still, West Germany spent 400 billion Deutschmarks($226 billion as of 1989) before the Berlin Wall fell in 1989 and poured 2 trillion euro($2.55 trillion) between 1990 and 2009 to cover unification costs. The Presidential Council for Future and Vision predicted that $2,140 billion (2,525 trillion won) will be required for the next 30 years to raise the living standards of the 24 million Northerners to the Southern level after an abrupt unification. However, the figures could go down to $322 billion if the nation is unified after the Northern economy is normalized through gradual opening. Defense tax was first adopted in 1975 and funded major defense buildup projects until a 1990-phase out. Value-added tax is another probable specific economists name despite the cautious approach taken by the government. It is now time that we start considering the matter as part of preparations for reunification, which will happen eventually. Time has come to prepare realistic measures in anticipation of the day of unification, such as a unification tax. North Korea’s economy is about 38 times smaller than South Korea’s and 18 times smaller on a per-capita basis. Therefore we need to have national level insurance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to pay for the unification process, not just for the North Korean residents but for ourselves and future generations of Koreans.

      • 통일세와 통일비용

        김강녕 ( Kang Nyeong Kim ) 朝鮮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2010 統一 問題 硏究 Vol.25 No.1

        과거 분단을 초래한 국제환경은 괄목할 정도로 변화되어 한국인에 있어서 통일은 더 이상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과업이 되고 있다. 이 글은 통일세와 통일비용을 분석한 것으로서, 통일세의 제안과 찬반논의, 통일비용의 개념?규모?조달방법, 독일 통일비용 재원마련의 교훈과 시사점, 통일비용 실효적 논의의 방향과 과제 등의 순서로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해 보았다. 지난 2010년 제65주년 8?15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를 전제로 한 ‘평화공동체→경제공동체→민족공동체’를 구현하는 3단계 통일방안을 제시하고 통일에 대비한 현실적인 방안의 하나로 통일세 도입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논의해줄 것을 제안하였다. 그동안 민간차원에서는 통일세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적은 있지만, 공식적으로 대통령이 직접 통일세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통일세제안은 곧바로 우리 언론과 전문가들로 하여금 통일세?통일비용에 대한 찬반논의를 불러 일으켜 왔다. 독일은 주로 채권발행, 조세(통일연대세), 연방정부의 재정정책 등을 통해 통일을 위한 재원을 마련해왔다. 독일의 경우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총 통일비용은 8,354억 유로(Euro) 로 연평균 약 928억 유로였고,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총 통일비용에 대한 독일내 민간연구 기관들의 추정치는 약 2조 유로(약 3,060조원)였다. 대통령 미래기획위원회는 북한이 급변사태를 맞게 되면 2011년부터 2040년까지 30년간연평균 통일비용은 720억 달러(총 2조 1,400억 달러, 약 2,525조원)에 달하지만, 북한경제가 점진적인 개방을 통해 정상적인 상태에서 통일되면 100억 달러(총 3,220억 달러, 약379조원)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급변사태가 발생하면 비용이 7배나 더 든다는것이다. 우리 국민 대부분이 소망하는 통일은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1975년부터 1990년까지 방위세를 신설한 바도 있으며, 부가가치세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통일비용에 대해서 진지한 논의가 없어 아쉬웠는데, 이명박 대통령의 8?15 경축사를 계기로통일세 공론화 제의를 통해 통일비용 조달에 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통일과정 즉 구체적으로 통일세 및 통일비용과 관련해서 통일독일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주는바 이를 ‘타산지석’적 교훈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at caused the division in the past has now remarkably changed. To Koreans unification is no longer a matter of sentiment; it has become a task to be carried out in the present reality. This paper is aimed at analysing Korea’s unification tax and unification cost. President Lee Myung-bak in a nationally televised speech on Sunday marking the 65th Liberation Day urged South Koreans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Lee proposed a “three-stage plan” for reunification along with a “unification tax system” aimed at raising money for the costs of integration. "Reunification will happen. It is therefore ourduty to start thinking about real and substantive ways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such as the adoption of a unification tax," Lee said. President Lee Myung-bak’s surprise proposal Sunday for the “unification tax” has sparked a heated debate among politicians, highlighting a wide ideological rift between the liberal and conservative forces as to how to deal with the communist North Korea. We could learn many lessons from Germany``s unification. In Germany, the East-West economic disparity was not quite as wide as the North-South gap in Korea. Still, West Germany spent 400 billion Deutschmarks($226 billion as of 1989) before the Berlin Wall fell in 1989 and poured 2 trillion euro($2.55 trillion) between 1990 and 2009 to cover unification costs. The Presidential Council for Future and Vision predicted that $2,140 billion (2,525 trillion won) will be required for the next 30 years to raise the living standards of the 24 million Northerners to the Southern level after an abrupt unification. However, the figures could go down to $322 billion if the nation is unified after the Northern economy is normalized through gradual opening. Defense tax was first adopted in 1975 and funded major defense buildup projects until a 1990-phase out. Value-added tax is another probable specific economists name despite the cautious approach taken by the government. It is now time that we start considering the matter as part of preparations for reunification, which will happen eventually. Time has come to prepare realistic measures in anticipation of the day of unification, such as a unification tax. North Korea’s economy is about 38 times smaller than South Korea’s and 18 times smaller on a per-capita basis. Therefore we need to have national level insurance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to pay for the unification process, not just for the North Korean residents but for ourselves and future generations of Koreans.

      • 통일의식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 방향

        이경희 ( Kyung Hee Lee ) 朝鮮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2011 統一 問題 硏究 Vol.26 No.1

        This paper has analyzed how university education on unification had to be formalized under the prevalence of neo-liberalism, which is a structural aspect of the Korean society.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hopes to obtain a healthy framework in which university education can seek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education on unification. While university education must prevent indoctrination of political ideologies and strive for desirable agendas, the education has unfortunately become formalized according to the ruling party and vested interests. Such formalization has continued to this day. Thus, the paper points out the structural limitation imposed by university education which focuses on functionality, as well as neo-classical discourse, devises to overcome the lack of appropriateness of abstract discourse on unification under the current education paradigm. Civil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Korea are emphasized because they enhance the efficiency of, and obtains legitimacy for, the political system. Also, such education integrates the society and prepares next generation of civil citizens for developed democracy. However, such functional needs cannot be met under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concentrates solely on career development and simple transfer of knowledge. Perhaps the root of the current problem is structural. in that unification issue has become externalized on specific values. However, we can also specify other roots of the problem, namely that South Korea is a trade-oriented country and that certain groups have privatized social values and norms. This paper argues that the Korean society should break away from oppresive and exclusive dominance on constituents and that it should rather learn how to resolve conflicts through trust and communication, in order to achieve substantial democracy. Simultaneously, university education on unification should take epistemological approach the subject, not that of enlightenment. Furthermore, it should do away with emphasis on homogeneity which entails persuasion instead of acceptance of others. Lastly,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convert tnself from a "government" activity to the post-modern, more comprehensive "governance" process. 본 논문은 대학통일교육이 행해지는 구조적인 형태가 한국사회의 구조적 측면인 신자유주의의 확산이라는 프레임에서 형해화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통일교육이 통일교육과 정합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대학통일교육의 프레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대학교육은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의 교화내지 교조화를 방지하고 바람직한 미래상을 추구해야 하지만 대한민국에서의 대학교육은 아쉽게도 정권과 기득권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그 틀이 형해화되었고 현재도 그러한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학통일교육은 통일담론의 당위성의 강조라는 한계와 기능인화하는 대학의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하여, 한국사회의 긍정적인 개조에 필요한 틀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학에서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구성원들이 정치체제의 효율성 제고 및 정당성의 확보, 사회적 통합기능담당, 민주적 정치발전을 위한 차세대 민주시민의 양성 기능이라는 점에서 강조된다. 그러나 현재 한국대학은 취업과 단순 지식연마에만 집중되어 있다면 이러한 기능적인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환경과는 거리가 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의 통치방식이 구성원들을 억압하고 배제시켰던 지배방식이 아닌 신뢰구축과 소통을 통해 갈등을 처리함으로써 실질적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대학통일교육은 계몽이 아닌 자기주도적 인식의 확장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앞으로의 대학통일교육은 타자를 승인하지 않고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방식, 동일성과 설득을 통해 일방적 교육을 시도하는 방식에서 탈피하고 ``통치``(government)행위가 아닌 탈근대사회의 포괄적 ``협치``(governance)방식이 확산되는 과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시범학교와 일반학교 통일교육 비교 연구

        정지윤 ( Ji Yun Jung ),김재기 ( Jai Gi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4 동북아연구 Vol.29 No.1

        학교통일교육은 통일시대를 이끌어나갈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의식을 심어주고, 통일문제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 교육 과정이다. 학교통일교육은 독립적인 교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과목에 일부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범교과적인 특징이 있다. 통일교육협의회,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등이 시행한 연구에서는 10대 청소년들의 통일의식이 낮아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한국의 주역으로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들에게 교육의 접근성이 가장 용이한 학교 통일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 지역에 위치한 통일교육시범학교(experimental group)와 비시범학교(control group) 학생들의 통일 의식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통일교육시범학교가 비시범학교에 비해 현재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유익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더 많았고, 통일교육의 방식에 대해서도 만족하는 학생들이 더 많았으며, 통일교육이 북한 및 통일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통일교육시범학교 학생들보다 비시범학교 학생들이 그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또한 비시범학교 학생들에 비해 통일교육시범학교 학생들이 통일교육에 대해 더 유익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는 통일교육시범학교가 비시범학교에 비해 통일교육을 더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bove all, the view on North Korea and Korean unification for teenagers who will be the leaders of a unified Korea is very important. According to the ‘2013 Korean unification survey of teenagers’, lots of teenagers still have bad impressions of North Korea. The 2012 survey, from a unification and peace research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lso shows the younger generation have lower consciousness about unification. This research tells us unification education is significant and should be reinforced, especially in school, where the best access to teenagers is. Therefore, focusing on management of the unification model school, rather than extension and strengthening of unification education in regular schools, this study tried to find what different points of view about Korean unification students have between the unification model school and regular school. In terms of percep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model school students receive lecture instruction, audio-visual education, discussion courses, field study and North Korean defector guest lectures about North Korea and unification many times, compared with the non-model school students. The survey suggests that these teaching methods are helpful to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odel school students and the non-model school students about awareness of unification, attitude towards North Korea and percep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is, the model school students are more widely informed about North Korean unification than the non-model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he model school students more often feel the need for unification than the non-model school students. Operation of the model school for unification education paid off by promoting proper unification perception.

      • KCI등재

        호남지역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노찬백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05 동북아연구 Vol.20 No.2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의 통일교육활성화와 관련하여 독일의 통일교육과 한국의 통일교육에의 시사점, 한국의 학교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방안, 사이버통일교육 활성화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호남지역에서 통일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통일교육의 내용과 방법과 관련하여 통일교육교과의 교재 개발에서 정치체제 및 이념적인 요소의 배제, 남북한의 상이점 인정, 북한 사회의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 기회 제공, 남한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 나아가 민족공동체 의식 회복을 위한 노력 등과 같은 인식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함을 지적했다. 둘째, 통일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하여서는 호남지역의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서 통일 교육을 담당하는 선생님들간의 일정 지역 혹은 각급 학교별로 상호 정보 및 의견교환의 모임의 활성화, 통일교육 담당자에 대한 지속적으로 재교육 시스템 구축, 학교운영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의 필요성, 북한 텔레비전의 제한적 방영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정부의 통일교육 정책과 관련하여서는 초등학교 통일교육 전담교사재 도입, 별도의 독립교과목 채택, 지방자치단체 별 통일교육 전문기관 설립 동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정당의 중앙조직이나 각시도당 내에 통일교육기구의 설치와 호남지역에 서울 정도 규모의 통일관이나 자료실의 설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학교통일교육의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통일교육의 이념과 가치관에 대한 혼란의 극복과 방향정립, 통일교육의 체제와 제도의 미비점 정비, 교사 연수체계의 개선 및 통일교육 담당교사들에 대한 인센티브제도 마련,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과 내용 및 방법의 개발, 통일교육 담당장학사와 학교관리자들간의 상시적인 대화창구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사회통일교육의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첫째로 이념과 가치관의 편차를 극복하고 그 지향점에 대한 분명한 제시, 사회통일교육의 체제 및 제도의 정비, 사회통일교육 담당자에 대한 집중적인 전문연수와 인센티브제도, 대중매체의 통일교육 노력, 사이버연수방식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통일교육과 관련해서는 호남 지역 소재의 각종 학교와 통일교육단체들간의 적극적인 사이버통일네트워크의 구축이 강구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