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주지역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강윤식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1990년대 200만호 주택건설과 2000년대 50만호 주택건설계획 등의 총량적 목표달성을 위해 정부는 대량의 아파트 단지 건설이 이루어졌고, 앞으로도 더욱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아파트단지의 대량 건설은 주택공급측면의 양적 목표에는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었으나, 삶의 질적인 수준에서는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사회적 인식변화와 경제적 성장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으며,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서도 가시화 되었듯이, 주거환경의 질적변화에 대한 예고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주택은 거주뿐만이 아닌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는 장소로서 인식전환을 주호단위의 내부공간에 대한 질적 변화와 더불어 아파트단지의 외부공간에 대한 질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뮤니티 중심의 아파트단지의 부대복리시설중 하나인 단지내 상가를 이익의 수단으로만 인식하여 계획하여 왔으며, 개발초기의 이용형태와 다르게 주변상가나 대형마트의 출현으로 공실의 발생과 함께 점차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충주지역 공동주택 또안 예외라 할수 없어 이에 보다 정확한 조사를 통하여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업종과 규모를 분석하고 충주지역의 공동주택 단지내 건축계획특성을 도출하여 규모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충주지역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를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적 범위는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과, 세부업종면적, 세대수의 변화에 따른 규모계획특성으로 한정한 결과,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그리고 선행연구의 고찰과 단지내 상가와 관련된 법규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충주지역 공동주택단지의 개발규모와 단지면적, 주택규모등의 개발여건에 관련된 일반현황과 함께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분류와 업종구성현황등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단위업종별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을 알아보고자 우선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함께 각 업종군에 따른 세부업종의 규모계획특성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세대규모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을 알아보고자 우선적으로 공동주택 세대규모별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에 대해 살펴본후 일정단위로 세대수를 구분하여 그에 따른 당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지역의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에 관한 연구로써 충주시 전역에 단지내 상가를 포함하고 있는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을 한 결과 세대수의 변화에 따라 세부업종의 규모와 구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추후 충주지역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에서의 적정한 규모에서의 업종구성에 대한 이론적인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단지의 규모와 세부업종에 따른 적정 규모 산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rge amounts of apartment complex have been, and will be, construct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administration to fulfill the goal of 20 million housing projects of 1990s and 5 million housing projects of 2000s. However, despite the administration's success in quantitative issue of the matter, when it comes to the question of quality of living, many problems and doubts are raised. Change in our society's values and economic progresses have brought the issue of quality of living into our concerns, and as the 4th Multiple Purpose Development of Land Planning folded out, qualitative improvement in residential environment is foreshadowed. Having these background, qualitative improvements are brought to interior of dwelling units and exterior of apartment complexes while housings are seen as not only residential space but also places of life-betterment. Shopping centers in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planned and established only for the financial profits, and with the advent of large wholesale shopping centers, empty shops have begun to appear with the whole area of shopping centers going downhill. Apartment housing projects of Chung-ju district are experiencing the same kind of deterioration,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ale and types of the businesses in the shopping center and addr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 of the business and the current phenomenon. This study involves shopping center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of Chung-ju district, and contents are ranged within the matters concerning types and areas of the individual shops and changes in land use program followed by changes in numbers of households.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object, background,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provides contemplations on preceding studies, and identifies the laws regarding shopping centers in apartment complexes. The second chapter explores the present status of development conditions such as development scale and housing scales, while examining categories of businesses and present statues of businesses of the shops in apartment complexes. The third chapter, in order to examine the land use program features of shopping centers according to their business types, explores land use program features of detailed types of businesses with a general summary concerning the composition of shops in the shopping center. The fourth chapter, in order to examine land use program features of shopping centers according to the household scale of the apartment complex, first explores the composition of shops according to the household scale of the apartment complex, and then inspects the land use programs of the complex by classifying the households into specific units. This study, involving apartment complexes with shopping centers in the whole district of Chung-ju, has obtained the result that shows types of shop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household numb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appropriate composition for the shops in shopping centers of apartment complexes, and expec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on figuring out the appropriate scales of shops according to the scales of the complex and shop composition.

      • 충주시 문화의 거리 조성에 따른 가로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

        김태욱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충주 문화의 거리 가로환경의 분석을 통한 도시역사 환경에 관한 고찰과 가로환경의 특성에 대한 파악을 통한 가로환경 개선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충주의 문화의 거리는 도시형태의 모습과 일본 식미지 시기의 근대화에 의한 변화의 모습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지역으로, 이 지역의 가로환경에 대한 연구는 충주시라는 도시에 내재되어 있는 고유의 정체성과 도시역사 환경에 대한 고찰과, 도시발전의 기반이 되는 실제적인 생활의 장으로서의 도시공간에 관한 연구라는 의미를 갖는다. 충주는 자연 지세를 따라 형성된 도시구조체계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도시이다. 충주의 물리적 실체로서의 모습은 오랜 시간 동안 중첩된 변화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과거의 도시역사를 담고 있는 도시환경은 그 도시의 고유한 특성을 지닌 중요한 도시구성요소의 하나이며 도시역사 환경이다. 도시 역사 환경은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도시 정체성의 기본이 되고, 현재의 도시환경의 길을 향상시키며, 장래의 도시발전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충주시의 중심공간은 1920년대 시가지 중앙의 남북통로에서 1970년대에는 당시 충주역과 시청이 입지한 시가지 서측으로 확장되었고, 1980년대 이후에는 시가지 북측과 서측으로 확대 이동되었다. 따라서 통합도로 본 현재 충주시 시가지의 중심공간은 과거 충주읍성 주변의 중심상가지역에서 시가지 북서측으로 이동되었으며, 시가지 전체는 통합도가 고르게 형성되지 못한 편중된 공간구조 즉, 기존의 도심지역과 새롭게 개발된 시가지 외곽지역을 연계시켜 주어야 할 연결공간이 미비한 공간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내용은 충주의 도시형성과 근대화에 의한 변화의 모습에 대한 분석과 문화의 거리 가로환경의 현화에 대한 분석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충주의 도시형태의 형성과 변화과정의 분석은 충주 도심지역, 특히 충주천과 교현천이 흐르는 성내동, 성서동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가로환경과 건축물의 현황에 대한 분석을 위한 사례조사를 시행하였다. 첫째, 역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장소이다. 충주는 지난 100년간 읍성이라는 전통적 도시구조에서 출발하여 철도, 도로등이 신설되고 가로 환경의 규모가 확장되고, 그 가로환경이 복잡해져 왔다. 새롭게 개발된 도시 가로 조직이 기존의 도시가로구조에 연결되면서 전체 도시의 가로 환경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도시의 가로환경은 새로운 도시 가로환경의 형성을 유도하여 온 것이다. 가로환경은 1920년 시가지의 중앙의 남북통로에서 1970년대에 당시 충주역과 시청이 입지한 시가지 서측으로 확장되었고, 1980년대 이후에는 시가지 북측과 서측으로 확대 이동되었다. 따라서 충주시가지의 가로환경은 과거 충주읍성의 중심상가지역에서 시가지 북?서측으로 이동하면서 문화의 거리 상권에 쇠퇴화가 시작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옛 역사적 성격과 장소적 특징이 대두 되면서 가로 환경의 개선시점을 수반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더욱 쇠퇴화가 진행 되었다. 그러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4년 10월 문화의 거리 선포식을 통하여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역사적 장소성을 부각하여 이를 중심으로 한 문화의 거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조사를 통하여 가로환경 개선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건축물의 경우 목조건축물의 분포가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어 이점을 이용한 가로환경 지역적 특징 부각으로 거리의 랜드마크로 형성하고자 한다. 건축물의 경우 가로별로 건축물의 사용승인 연도를 확인함으로써 건축의 도심 개발과 방향과 건축물의 사용용도를 알 수 있었다. 반면 건축물의 사용승인이 20년 이상의 건축물이 많으므로 건축물의 내?외부관리로 가로를 이용자에게 진입 유도를 꾀해야 할 것이다. 공통적인 사항으로는 바닥포장의 아스팔트 포장으로만 되었었다는 점과 가로별로 전신주로 인한 교통의 방해, 쓰레기 적치장으로의 사용으로 인한 가로환경저해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휴식공간의 부재, 주차 차량으로 인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었으며, 흉물스러운 가로의 모습 또한 정비해야할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광고물은 충주시의 지원 사업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세로의 광고물은 제거 또는 개선이 필요할 점으로 조사되었다. 가로환경에 영향을 주는 상가의 분포를 분석을 통해 거리의 가로별, 블록별 상가 계획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의 거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점을 제안함으로써 문화의 거리 조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충주의 자료가 부족과 기존 연구논문의 수가 부족함을 이번 연구로 알게 되었고, 일상의 공간이 문화의 거리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도심 문화환경의 기초인 문화거리가 단순히 문화환경의 중요성과 영역성의 확대로 유행을 따른 획일화 된 공간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앞으로 구체적인 개선과 주민 참여에 의한 마을 만들기로서 ‘문화의 거리 만들기’가 이루어져야 진정한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A Study on th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by Creating the Street of Culture in Chungju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urban historic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street environment of the Street of Culture in Chungju, and at improving the street environment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environment. The Street of Culture in Chungju is an area with mixed features of cities and those of changes by moderniz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on the street environment of this area is meaningful in that it inquires into the unique identity inherent in the city of Chungju, the urban historical surroundings, and the urban space as the practical living space as the foundation of city development. Chungju is a city built on the base of city structure formed according to natural geographical features. The physical realities of Chungju have resulted in those of today, holding the traces of change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The urban environment keeping the past city history is one of the important city constituents with unique features of the city, and urban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urban historical environment is significant element because it creates the foundation of the identity of a city, improves the quality of the present urban surroundings, and offers the basis of the future city development. The central space of Chungju was extended from the north-south passage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town in 1920s to the western part in 1970s where Chungju station and City Hall were located at that time. Since 1980s, it has been expanded and moved to the nor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town. Therefore, the current center of Chungju in terms of combined map has moved from the past main shopping district around Chungju town wall to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town. The whole town has unbalanced spatial structure of unevenly formed unity, in other words, its spatial structure has insufficient linking space that should connect the existing downtown area with the outskirts of newly developed downtown. The study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the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city and changes caused by modernization in Chungju, and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Street of Culture. The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city and the changing process of Chungju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downtown of Chungju, particularly on the areas of Seongnae-dong and Seongseo-dong where the Chungju creek and the Gyohyeon creek run,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nalyze a specific street environment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building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he necessity to re-discover the historical city has emerged. From the old tim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ity structures of the places where town walls used to be went through big change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city modernization projects by colonialists, the improvement work was based on the existing city structures, but some street environment before the Independence still exists in part. Second, according to the year of approval to use in a building register, there are about 80 wooden buildings from the 1945, so it seems like the area where wooden buildings stand close together should be preserved. However, the street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by managing the outside of the damaged wooden buildings and of multilevel buildings, and the extraneous matters to the buildings. Third, while there is a big floating population on the Street of Cultur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y need more public resting spa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use it by making it a green land using the parking facilities around Gwana Park. Fourth, some existing designs appropriate for the Street of Culture are to be suggested to improve the current street environment. It’s also expected that the data from this thesis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a new design to revitalize the street.

      • 일제강점기 충주의 식민통치 연구 : 식민통치 조직과 구조를 중심으로

        전홍식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천년 이상을 중원문화권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제의 식민지배정책과 통치목적에 의해 지방의 중소도시로 변화한 사례지역 충주를 중심으로 식민지배정책의 전개과정과 영향, 식민지배와 수탈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 이주 일본인과 이들을 위한 식민도시개발 그리고 충주의 식민통치 조직과 구조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충주는 육상교통과 수상교통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상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증가하였다. 조선후기인 정조 13년(1789년)에 충주의 도시지역의 인구가 11,905명으로 전국에서 일곱 번째 도시로 성장하였으며 충주와 인근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1906년 행정구역 정리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고, 일제 식민정책에 의한 경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교통의 중심지로서의 기능 상실과 의병투쟁의 활발한 전개 그리고 식민지배의 효율성을 들어 1908년에는 도청소재지를 충주에서 청주로 이전함으로써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러일전쟁 이후 한국에서 주도권을 장악한 일제는 전래의 조선의 지방통치 조직을 식민통치와 수탈에 적합한 구조로 변형하거나 기존의 조직을 해체하고 새로운 조직과 제도를 신설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지방수령으로부터 경찰권, 조세권, 재판권 등이 분리 되었고 침략의 시기와 상황 등 여건에 따라 경찰기관과 징세기구 등이 변천을 거듭하였다. 일제의 침략과 함께 일본인의 이주가 이루어졌으며 충주와 제천 그리고 인근지역에서 활발한 의병투쟁이 전개되었다. 1910년 합방과 함께 헌병경찰에 의한 무단통치가 실시되었고 식민통치의 기반조성을 위해 토지조사사업(1911년), 시구개정(1913년), 행정구역개편(1914년)이 이루어 지고, 면제(1917년)가 성립되었다. 일본인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한 충주면에는 이주 일본인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생활기반 확립을 위해 총독부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 졌으며 학교, 도로, 상가, 종교시설, 신사 등의 시설과 각종 행정관청, 경찰서, 법원, 금융기관, 신문지국, 전매지국 등이 밀집하게 됨으로써 식민도시의 면모를 갖추게 되고 일본인을 위한 일본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이를 토대로 충주면은 1923년에 지정면으로 승격되었다. 1923년에 지정면이 됨으로써 면협의회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재산세 납부에 의해 선거권이 극도로 제한됨으로써 충주의 부(富)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 일본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고 인구수는 조선인이 일본인에 비해 월등하게 많음에도 불구하고 당선자수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이 대등하게 되는 이상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경찰의 경우 3ㆍ1운동으로 헌병경찰에서 보통경찰로 전환하였지만 조직과 인원 면에서 1920년대 충주의 경찰조직은 확대되고 인원수도 증가하여 경찰의 억압이 완화되거나 약화된 것은 아니고 오히려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들어 산미증식계획이 실시되었고 충주에는 충주수리조합(1922)과 대가미수리조합(1929년)이 설립되었다. 충주수리조합의 경우 달천평야 토지의 절반 가량을 소유한 소수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인 지주의 쌀 생산 증가와 토지겸병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을 뿐 충주의 조선인 농민은 토지를 잃거나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더욱 더 가난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농민은 극도의 빈곤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1930년대 지방제도 개혁에 의해 1931년 4월 지정면인 충주면은 충주읍이 되었다. 읍회회원의 대부분 읍내에서 상업에 종사하거나 지주 등 부유층으로 충주군의 실력자이거나 유력자들 이었다. 지방제도에 참여한 많은 조선인 들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협력하는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들의 활동은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이후에도 지방의회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자유당, 공화당 정권하에서도 계속하여 정치에 관여하여 우리나라의 정치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1930년대일제는 황폐해진 조선농촌을 재건한다는 명목으로 농촌진흥운동을 전개했으며, 1931년 만주사변, 1936년 중일전쟁, 그리고 1941년 태평양전쟁으로 침략전쟁을 확대하면서 조선에서 총동원체제를 구축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개발과 발전이 있었다면 그것은 일제와 이주 일본인을 위한 것이었고, 식민통치를 위한 것이었다. 일제의 식민통치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나 기구가 많은 부분 내용은 변함이 없고 모양만 변형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으며, 일제시대에 성장한 정치세력들의 지속적인 영향력 확대로 내적 모순과 부정적인 영향이 계속되고 있는 등 식민통치의 경험은 일제강점기 뿐 만아니라 행방이후에도 계속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A Study on Colonial Rule in Chungju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 Centering on Colonial Rule Organization and Colonial structure - This study focused on Chungju as the case region that was changed into the local small town by the colonial control policy and rule objective while passing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face of having grown as the central city of Jung Won Cultural Area for more than 1,000 years. The study was progressed centering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influence in the colonial-rule policy, Japanese emigrants who performed the role of medium in colonial control and plundering, the colonial urban development for these people, and a change in colonial-rule organization and structure in Chungju. Chungju in Joseon period is situated in the center of the land transportation and the waterborne traffic, thus commerce developed and population increased. The population in urban area of Chungju during the 13th (year of 1789) of King Jeongjo in the latter term of Joseon was 11,905 persons, thereby having grown as the nation's 7th city, and played the central rol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Chungju and the surrounding region. However, as the invasion of Japan began in earnest, the scale steeply reduced due to the 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1906. And, due to the loss of function as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caused by the opening of Gyeongbuseon Line by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o the active development in patriotic soldiers, and to a reason for efficiency of colonial rule, the location of a provincial office was moved to Cheongju from Chungju in 1908, thereby having entered the way of decline. The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secured the initiative in Korea since Russian-Japanese War, transformed the transmitted local rule organization in Joseon into the structure suitable for colonial control and plundering, or dissolved the conventional organization, and entered upon the work of newly installing new organization and system. From the local chief magistrate, the police authority, taxation authority, and justice authority were separated. And, according to the given conditions such as the time and situation in invasion, the police institution and the tax agency repeated to be changed. Alo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the Japanese emigration was formed, and the brisk patriotic struggle was progressed in Chungju, Jecheon, and the surrounding region. Along with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the military rule was enforced by the military policemen. And, in order to form the foundation of colonial rule, the land-research project(year of 1911), the revision in municipal district(1913), and the administrative-district reorganization(1914) were performed. And, Myeon system(1917) was established. In Chungju-myeon where Japanese people had intensively resided, the diverse supports of the government-general were attained aiming at the stable settlement and the living-basis establishment in Japanese emigrants. And, due to being crowded with facilities such as school, road, shopping street, religious facilities, and shrines, several kinds of administrative government offices, police station, court of justice, financial institution, newspaper branch, and monopoly branch, the appearance of the colonized city came to be possessed, and the Japanese urbanization for Japanese people progressed sharply. Based on this, Chungju-myeon was promoted to the designated Myeon in 1923. As having been the designated Myeon in 1923, the election for Myeon council was carried out. However, the voting right was extremely limited by payment of property tax, thereby having functioned favorably for Japanese people who occupied many portions of wealth in Chungju. And, despite that the number of population was much more in Joseon people compared to the Japanese, the abnormal result was caused, in which the number of elected persons come to be equal in Joseon people and the Japanese. In case of police, it was converted into the common police from the military police in the wak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lst, 1919. However, in the aspect of organization and personnel, the police organization in Chungju in the 1920s was expanded, and was increased even the personnel,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hat the suppression of police was not eased or weakened, but was rather reinforced. Entering the 1920s, the colonial industrial policy was executed. And, in Chungju, Chungju Irrigation Association(1922) and Daegami Irrigation Association(1929) were established. Chungju Irrigation Association just brought about the result that increases the rice production and facilitates the possession of large land in Japanese landowners and Joseon landowners, who had about a half of the land in Dalcheon Plain. On the other hand, it caused the result that Joseon farmers in Chungju lost land, or fell to a tenant farmer, and got poorer further. Thus, the farmers came to be placed in the extreme poor state. By the reform in the local system in the 1930s, Chungju-myeon, which is the designated Myeon, became Chungju-eup in April of 1931. The majority of members of Eup council were wealthy brackets such as landowners who engage in commerce in the town, and were influential and powerful persons. Many Joseon people, who participated in local system, grew as the new political power of cooperating with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se people had been also active as the member of the local council even after liberation follow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y continued to engage in the politics even under the government of the Freedom Party and the Republican Party, thereby having had negative impact on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our country. In the 1930s, the Japanese imperialism developed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with the title of reconstructing the farm village of Joseon. And,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was

      • 환경기초시설의 입지갈등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 충주시 클린에너지파크를 중심으로

        김용섭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Although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is a prerequisite facility for the life of urban community, it often causes lots of community conflicts with its facility location. Due to ever-serious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time goes by, there are rapidly increasing demands for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called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including waste incinerator and landfill. Even though both waste incinerator and landfill are facilities required for our daily life, they have faced stronger resistance from local communities around their expected location. These environmental infrastructures, despite their advantages in creating salubrious environment for local communities, often cause conflicts of local interests, because local communities in the vicinity of those facilities are still concerned about living discomforts(e.g. malodor, noise, dust, etc), unreasonable exclusion of parties concerned in facility location, depreciation of real estate, inconsistency between benefits and cost, risk awareness and uncertainty. Long-term continuance of those conflicts would cause a waste of resources, which could have been otherwise used for more productive purpose, and result in side effects involving a considerable socioeconomic loss. Based on actual conflict cases found in the course of selecting location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possible ways to relieve those conflicts and run the infrastructure cost-effectively by means of trouble-shooting mechanisms. This study focused on why the conflicts result from location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why the conflicts are not relieved but evolve into legal disputes, which procedures the project principal shall take and go through to relieve the conflicts, and whether there is any positive result of efforts to relieve conflicts between major two parties concerned, i.e.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ies. This study addressed fundamental causes of conflicts, trouble-shooting mechanisms and failure mechanisms by means of case analysis on actual location dispute cases in Korea(e.g.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in Bukgu district office, Ulsan; waste incinerator in Gunpo city; waste incinerator in Nowon-gu district, Seoul; waste incinerator in Jaecheon city; waste treatment plant extension project between Guri and Namyangju city) and foreign countries(e.g. waste incinerator in Brooklyn, NY, USA; Eau Claire Waste Landfill in Wis., USA; Wilsonville Waste Treatment Plant, IL, USA; Seabrook Nuclear Power Plant, NH, USA; Port Bristol Reclamation Project, Avon, UK; waste incinerators in Japan). Based on these case analyses, this study exemplified the Clean Energy Park(Iryu- myeon, Chungju city, Chungbuk, Korea) to review associated problems in the course of selecting location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deduce possible solutions, and suggest policy-level implication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aspect of conflict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as higher priority, although relieving conflicts is also important in regard to conflicts associated with location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In past, conflicts in selecting location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were a hot potato. But now, situational conflicts upon or after selecting location are considered so much critical, which necessitates ongoing management of conflicts. The location of Clean Energy Park, a local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in Chungju city, has potential ongoing effects on land use of Iryu-myeon area, and always involves local community's potential conflicts with the facility in terms of their life within influential area. Hence,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it is requisite to build up a comprehensive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corporating proactive prevention and responsive management. 환경기초시설은 도시생활을 영위해 나감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시설물임에도 불구하고 시설물 입지 시 많은 갈등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으로 환경오염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됨에 따라 폐기물 소각장, 매립장 등의 환경기초시설로 불리는 시설의 설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폐기물 소각장, 매립장은 우리 생활 속에 반드시 있어야 할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입지예정지역 주민의 저항이 점차 거세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환경기초시설도 쾌적한 환경을 주민들에게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설이 입지하는 특정 지역주민의 입장에서는 악취, 소음, 분진 등 생활상의 불편과 시설의 입지에 따른 당사자의 배제, 부동산 가치 하락, 편익과 비용부담의 불일치, 위험성의 인지와 불확실성 등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함으로써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오랜 갈등이 계속되면 보다 생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낭비를 초래함으로써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이라는 부작용을 나타나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기초시설 입지선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등사례를 통하여 갈등의 해결할 수 있는 해결기제를 통하여 갈등을 해소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환경기초시설의 입지 시 왜 갈등을 야기하는지, 갈등이 해소되지 않고 분쟁으로 바뀌게 되는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업 주체가 어떠한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 갈등의 당사자인 지자체와 지역주민은 갈등해결노력은 잘 되는지 등에 대한 것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입지분쟁사례로 울산 북구청 음식물 자원화시설, 군포시 쓰레기 소각장, 노원구 쓰레기 소각장, 제천시 쓰레기 소각장, 구리시- 남양주시간 폐기물처리시설 광역화사업 등과 외국의 입지분쟁사례로 뉴욕 주 브루클린 쓰레기 소각장, 위스콘신 주 유클레어 쓰레기 매립장, 일리노이 주 윌슨 빌 폐기물처리시설, 뉴햄프셔 씨브룩 원자력 발전소, 에이븐 주 브리스톨 항구 재생사업, 일본의 쓰레기 소각장 등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있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갈등의 원인과 해결기제, 실패기제를 살펴보고 있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충주시 이류면 클린에너지 파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환경기초시설 입지 선정 과정에서 겪었던 문제와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있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환경기초시설 입지와 관련된 갈등에서는 갈등의 해소도 중요하지만 갈등 관리라는 측면이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과거에는 환경기초시설 입지 선정 시의 갈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지만 현재에는 입지 선정 시나 입지 후의 상황과 관련된 갈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므로 갈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에 충주시 환경기초시설인 클린에너지파크의 입지는 이류면 지역의 토지이용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주민의 입장에서는 그 영향권 내에서 생활하면서 시설과 관련된 갈등의 소지를 항상 안고 있기 때문에 사전적 예방은 물론이고 사후적 관리를 포함하는 포괄적 갈등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 하천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의 상관관계분석

        박노길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fficiently managing large scale rivers such like Dalcheon through predicting water quality change with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ing in nutrients and pollutants. The main result outcome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ly operating reservoirs through controlling water quality and qua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y of flow and water quality was analyzed and pollution loading into the basin was estimated. The correlation between quantity of discharge and pollution concentration and between quantity of discharge and pollution loading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quantity of discharge per unit area and pollution loading per unit area in each basin. At dry season dissolved oxygen in occasion of Chungjucheon 5.9 ~ in the case of 9.5mg/l, urethra thousand 5.1 ~ appearing by 11.0mg/l generally good value appear . Chungjucheon, whole concentrations do not change greatly both urethra thousand but can know special quality of rivers that pass urban district being expose that Chungjucheon that is piercing insect starting gaze is less sheep of dissolved oxygen averagely than urethra thousand. At dry season T-N, T-P in occasion of Chungjucheon 0.403 ~ 10.50mg/l, 0.204 ~ in the case of 0.640mg/l, urethra thousand 1.02 ~ 3.00mg/l, 0.199 ~ value of 0.250mg/l appear . The occasion of Chungjucheon if see correlation coefficient of discharge and pollution loading at rainy season BOD in the case of 0.816, urethra thousand, SS item appeared by thing which interrelationship is the lowest by 0.8607. In the case of Chungjucheon, is judged by inflow of domestic sewage, and in the case of urethra thousand, is judged that suspended solids of urethra thousand upper stream construction sites forms interrelationship low reacting brittlely about flux. Is judged that agree comparatively in presented expression because comparative high interrelation is seen appearing from two riverses of remainder quality of water items to sphere of 0.9039 ~ 0.9763 at rainy season. A value that display base flow at dry season urethra thousand is displaying 1.0171 in the case of 0.3838, Chungjucheon from BOD item and base flow BOD concentration of Chungjucheon is displaying high value. Because other quality of water items is higher than urethra cloth base flow price in general in Chungjucheon, show that quality of water of urban river is bad comparatively at dry season. Can know that pollution loading by discharge increase reacts sensitively by 3.1775 in the case of 3.6913, urethra thousand in Chungjucheon in occasion of SS at dry season. T-P, occasion of T-N was expose that pollution loading reacts sensitively according to discharge increase at dry season 본 연구에서는 호소로 유입되는 하천을 중심으로 강우시 유출특성 및 수질조사를 실시하여 평·갈수기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강우시 유출량 변화에 따른 부하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강우시 용존산소는 충주천, 요도천 모두 평균적인 농도는 크게 변화하지는 않으나 충주시를 관통하고 있는 충주천의 경우 초기유출시 과도한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일시적인 용존산소의 감소가 나타났다. 강우시 BOD 농도의 경우 충주천 및 요도천 모두 비점원 오염물질들이 초기유출에 의해 씻겨 내려감으로 인해 농도가 유출초기에는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유출이 계속되면서 대체적으로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건기시 용존산소는 충주천의 경우 5.9~9.5mg/ℓ, 요도천의 경우 5.1~11.0mg/ℓ로 나타나 대체로 양호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충주천, 요도천 모두 전체적인 농도는 크게 변화하지는 않으나 충주시를 관통하고 있는 충주천이 요도천에 비하여 용존산소의 양이 평균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나 시가지를 통과하는 하천의 특성을 알 수 있다. 건기시 T-N, T-P는 충주천의 경우 0.403~10.50mg/ℓ, 0.204~0.640mg/ℓ, 요도천의 경우 1.02~3.00mg/ℓ, 0.199~0.250mg/ℓ의 값을 나타내었다. 총인과 총질소 역시 도시하천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우기시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의 상관계수를 보면 충주천의 경우 BOD항목이 0.816, 요도천의 경우 SS 항목이 0.8607로 상관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주천의 경우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판단되며, 요도천의 경우 요도천 상류 공사현장의 부유물질이 유량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여 상관성를 낮게 형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기시 나머지 수질항목들의 두 하천에서 0.9039~0.9763의 범위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제시된 식에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기시의 기저유출을 나타내는 a 값은 BOD 항목에서 요도천이 0.3838, 충주천의 경우 1.0171를 나타내고 있어 충주천의 기저유출 BOD 농도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수질항목들도 충주천에서 대체적으로 기저유출값이 요도천보다 높아 도시하천의 수질이 건기시 비교적 좋지 않음을 보여준다. 건기시 SS의 경우 충주천에서 3.6913, 요도천의 경우 3.1775로 유출량 증가에 따른 오염부하량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P, T-N의 경우도 건기시에는 유출량 증가에 따라 오염부하량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충주시 노인복지관의 역할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사업과 접근성을 중심으로

        이광근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충주시 노인복지관의 역할과 개선방안을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연구의 범위는 시행일부터 2008년까지의 현황과 주요사업인 사회교육사업, 재가복지사업, 노인일자리 사업, 경로당 활성화 사업, 기능회복 복리후생사업 등의 프로그램들을 조사하고, 사업을 진행하는 직원들과 인터뷰를 통해 그 필요성을 살펴보고 있다. 아울러 노인복지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들에 대해서는 노인들과 인터뷰를 실시하며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충주시 노인복지관이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들의 역할과 만족도를 분석하고 있다. 충주시 노인 복지관이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노인복지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이론적 틀을 구성한 후 제3장에서 충주시 노인복지관의 실태를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을 기초로 제4장에서는 충주시 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한 설문과 심층면접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하여 충주시 노인복지관이 보다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과제들을 적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다양화, 지역적 특성 반영, 접근성에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충주시 노인복지관이 그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다양화 와 지역적 특성의 반영 접근성의 효율화 하는 방법에 있으며 각 각의 현상들에는 세 가지의 개선 방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다양화의 경우 노인들의 인식의 변화와 각 협회의 협조, 문화적 혜택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사업발전이 필요하고, 원스톱 서비스의 활성화와, 경로당 활성화 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접근성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노인복지관의 추가 확장되어야 하며, 이동복지관의 발전과 셔틀버스 운영이 있어야 됨을 볼 수 있다. 앞으로 충주시 노인복지관이 발전해 나가고 그 역할을 다 하기 위해서는 각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좀 더 나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발전이 있어야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role of Chung-ju Elderly Welfare Center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this,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are being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scop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and main projects from the date of enforcement until 2008. while their necessities are examin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employees carrying out the project. And for the senior citizens using the elderly welfare program, interviews are performed with senior citizens and for the incomplete parts, the role and satisfaction of programs are analyzed through a survey performed by Chung-ju Elderly Welfare Center.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Chung-ju Elderly Welfare Center is playing an adequate role, Chapter 1 discusse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study. After forming a theoretical framework through theoretic discussion on the elderly welfare center in Chapter 2, Chapter 3 analyzes the realities of Chung-ju Elderly Welfare Center. Based on these works, Chapter 4 performs an in-depth study on programs through a survey performed by Chung-ju Elderly Welfare Center and the in-depth interview. Chapter 5 generalizes the discussions until this point to indicate the issues for improvement that are necessary for the Chung-ju Elderly Welfare Center to become more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re were problems in diversification,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accessibilit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re are three ways for improvement for each situation. In case of the program diversification, the change of awareness by senior citizens, the cooperation of each association and diversification of cultural benefits are necessary. In order to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an original project development as well as the promotion of one-stop service and extension of elderly center promotion project are necessary. For the efficient accessibility, we can see that the additional expansion of elderly welfare center, development of mobile welfare centers and operation of shuttle bus are necessary.

      • 개인영역의 공지와 가로공간의 잔여공지의 연결을 통한 주거환경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충주시 교현동 일반주거지역 단독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박장홍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economy development plan which has been established to develop the national economy intentionally since early 1960s and implemented before 1962 came after the economy society development plan at the unit of 5 year plan is enlarged. The government helped the large scaled residential sites to be natured in the outskirt of city which covers the enactment of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promotion law to alleviate the lack of housing and raise the overall housing diffusion rate, and to secure the assurance of lower cost houses in 1980. In 1995, the government declared 'globalization of living quality' and joined in the OECD, group of industrialized club in December 1996. Since then, it i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standards of living. Accordingly, the several law related to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business is gradually changing as eco-friendly type to fit for the trend of the tim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ving. As the solution for this problem, the demands of living quality and restoration of community which have been occurred in the society from the mid of 1990 appear as the various types such as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in the transverse space of general residential site. In the other hand, the housing environment in the residential site raises several points. The case of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neighboring with Gyohyeon-dong, ChungJu which is composited as the part of housing land development business before and after 1988 indicates that the single family homes are newly constructed in only conformity with the basic construction law due to the lack of housing. This problem results in aggravation of housing environment of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The pleasant housing environment of the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has been natured by restricting the part of indirect residual open space through its assurance, presenting effective composition way of residual open space with harmony between unit houses, and by promoting the territorial characteristics that become the basis on common life of inhabit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essential concepts in theoretical consideration before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of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to define the direction and scope of study through preceding investigation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way of single family homes within existing general residential site and analysis of literatures, and to find out the improvements by understanding the states of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by type, the different sites from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neighboring with Gyohyeon-dong, ChungJu in 2007 were subject to the study. For investigation method, this writer collected the information for overall locations and building arrangements as well as basic plan performed by Chungju city by requesting the basic data from the construction, traffic, urban development and area development divisions which are the related divisions of Chungju. Furthermore, this writer performe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he residual open space of personal area, transverse residual open space, fence height, road width, fence material, facilities, electrical pole, number of building floor, floor pavement, parking facility, gate and territorial condition through on-site analysis and actual measurement.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is writer would like to present the improvements by understanding the problems derived from housing environment of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in Chungju and the actually used condition of residual open space. Analysis of this data and planned improvements show that the main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The chapter 1 defines the purpose through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to study the single family homes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and transverse residual open space and sets the method and scope. In addition, it reveals the discriminat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and directions of study by analyzing the existing study trend. The chapter 2 describes the concept of housing environment, change process of general residential area into single families housing, concept and used type of transverse space within general residential area, and the necessity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by reach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and making up for the problems through example analysis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on practice. And, it provides the basic framework of status analysis in chapter 3 by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area for residual open space within general residential site clearly. The chapter 3 represent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sidential area by analyzing the status of residential area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actual measurement of physical status of area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residential area within Gyohyeon-dong, ChungJu i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The chapter 4 describes the proposals and improvements for each factor such as existing road, building, residual space plan, design for medium device and traffic with vicinity by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us of residual environment problems within general residential area in ChungJu through the analysis framework of chapter 3 and contents of survey once again. The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s of chapter 3 or 4 and study results.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escribes the social trends and problems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business plan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for each area, and represents the basic way of part which the medium space for private and public area is able to be formed naturally in the improvement. This part will have influence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In 지난 1960년대 초 국민경제를 계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수립하여 1962년부터 실시된 경제개발계획은 현재 5개년 단위의 경제사회개발계획으로 확대하여 추진하였으며, 정부는 도시지역의 부족한 주택을 해소하여 전반적인 주택보급률을 제고시키고자, 1980년에 저렴한 택지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택지개발촉진법의 제정까지 대단위의 택지가 도심외곽에 조성되도록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1995년에 정부는 '삶의 질 세계화 선언'을 하였으며, 1996년 12월에는 선진국 클럽인 OECD에 가입한 이후 국민생활수준의 향상에 모든 정책의 중점을 두고 있는 현 상황이다. 이에 따라 택지개발사업과 관련되는 여러 법규들은 인간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시대적인 흐름에 맞게 점차 친환경적으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사회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일어난 삶의 질과 공동체성의 회복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는 일반주거지의 가로공간의 주거환경 개선에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나지만 주거지의 주거환경은 많은 곳에서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1988년 전후에 택지 조성사업으로 개발을 시작한 충주시 교현동 일대의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역은 주택부족 현상에 의해 기본적 건축법규만을 준수하여 단독주택들이 신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역의 주거환경 악화라는 문제점을 도출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오픈 스페이스의 확보를 통한 간접적인 잔여공지 부분을 규제하고, 단위주택 간의 조합으로 잔여공지의 효율적인 구성방안을 제시하여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근본이 되는 영역성을 증진시켜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역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역의 환경을 파악하기에 앞서 이론적 고찰에서의 필수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기존의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역 주거환경개선방안의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연구의 방향과 범위를 명확히 하고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역의 현황파악을 통해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7년 현재 충주시 교현동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역을 유형별 특성이 다른 곳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충주시청의 관련부서인 건축과, 교통과, 도시계획과, 지역계발과에서 기본적인 자료 요청에 의해 전반적인 위치와 건축물의 배치, 충주시에서 실행하고 있는 기본계획 등을 파악하고, 현장분석 및 실측을 통해 개인영역의 잔여공지와 가로의 잔여공지, 담장높이, 도로 폭, 담장재료, 가변시설물, 전주, 건물층수, 바닥포장, 주차시설, 대문, 지형조건 등 예비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충주시 일반주거지역 단독주택지역의 주거환경의 문제점과 잔여공지의 이용실태 등 문제점들을 도출 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자료를 기본으로 분석해고 계획적 개선방안을 파악하여 살펴보면 각 장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지와 가로 공간 잔여공지를 연구하게 된 배경 및 필요성을 통해 목적을 명확히 하고, 방법 및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기존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성과와 방향을 토대로 본 연구의 차별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주거환경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일반주거지역의 단독주택에 되한 변천과정과 일반주거지역의 가로공간의 개념 및 이용형태에 대하여 알아보고 현 실행중인 주거환경개선의 사례분석을 통한 장단점을 도출하여 문제점을 보안하여 주거환경개선의 필요성을 알아본다. 그리고 일반주거지역 내 잔여공지의 사적ㆍ공적 영역의 관계를 명확히 도출하여 3장의 현황분석의 기본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충주시 교현동 내 일반주거지역의 성격과 형태의 차이를 보이는 지역의 물리적인 현황파악과 실측을 통한 주거지역의 현황분석을 하여 현 상황을 정리하고 주거지역의 문제점을 도출 한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틀과 설문지 내용을 통해 충주시 일반주거지역의 주거환경문제의 실태를 다시 한 번 도출하여 기존의 도로, 건축물, 잔여공지계획, 매개장치의 디자인, 주변과의 소통 등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제안 및 개선방안을 알아본다. 5장에서는 3장과 4장의 내용을 정리하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종합적 검토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주거환경개선의 사회적인 흐름과 주거환경개선의 대한 문제점 등을 알아보았고, 각 지역의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사업계획실행에 되해서도 알아보았으며, 개선방안에서는 개인영역과 공적영역의 매개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는 부분에 대한 기본적 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부분은 주거환경개선의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끝으로 주민들이 스스로 그들의 주거환경 활성화를 위하여 잔여공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려는 의지와 참여의식이 지속적으로 증대되어야하며, 잔여공지 조성을 위한 정비방안 및 설계방법을 새로이 변화하여 진행되어야 될 것이다.

      • 장소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 공공공간계획 연구 : 충주시 충주천 재래시장 구간을 중심으로

        이상민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건축의 흐름은 모더니즘의 부작용으로 인해 인간소외현상, 정체성의 상실, 획일성 등이 나타났으며, 이를 전면적으로 부인하거나 재해석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건축의 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혼재되고 다원적인 경향을 보이는 이른바 다원주의적인 건축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21세기를 맞이하면서 환경문제와 에너지 및 자원의 위기, 인간성의 상실 등으로 인해 이성적 사고에서 벗어나 환경과 인간 중심적인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건축 흐름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환경 중심적 사고와 인간의 정체성 확립이라는 측면은 건축이 장소를 떠나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장소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장소성은 장소의 고유한 지역의 성질과 건축, 인간과의 조화를 위해 건물이나 경관의 모든 부분들이 각각의 Identity를 잃지 않으면서 기존의 맥락과 조화를 위해 장소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곧 건축의 본질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60년대 이후 도시의 공공공간을 다시 재건하고 과거의 도시공간구조를 부활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그 다양한 양상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일관된 논리와 질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도시를 미학적 구성 대상으로 보고 도시공간의 연속성과 시각적 다양성 그리고 도시공간의 ‘공공성의 회복’이라는 전제를 가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도시공간의 ‘공공성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재개발, 도시설계 등의 법적,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도시 공공영역의 양적확대를 시도해 왔으나, 무분별한 양적 확대로 인해 공공공간의 연계성 부족, 질적인 저하 등의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사람들이 다니고 활동하기 위한 공간의 기능 ‘부족’의 문제, 또한 이러한 기능을 담을 잠재력을 지닌 많은 공간이 ‘닫힌 공간’ 또는 ‘잘린 공간’인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문제 등이 더욱 심각하고 중요한 도시 공간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그 특징을 분석하고, 장소성의 특징인 중심성, 방향성, 영역성, 연속성에 대한 정립과 작품분석을 통해 1990년대 이후에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특성의 변화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특성 중 4가지 요소인 연속성·방향성과 축, 형태·공간의 연속성, 경계의 해체·추상화, 과거의 재해석을 사례조사를 통한 분석과 공공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장소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 공공공간을 계획 해보았다.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축은 공간의 시각적 인지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공간의 질서와 위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길이와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운동과 조망이 유도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시선과 동선을 유도하고, 이러한 축의 적용은 주변맥락과 대지의 물리적, 문화적, 역사적 속성에 의해 표현된다. ■ 공간에 있어서 내부공간은 외부공간과 서로 관계를 맺고, 공간의 확장과 확산이 일어나 서로 중첩되고 상호침투 및 관입하여 새로운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주변맥락에 의한 은유 및 상징은 장소에서 인지되는 이미지의 상징이며 관념화이다. ■ 내·외부공간을 각각의 개체가 아닌 하나의 연속체로 인식하여 하나의 층 자체가 다른 층으로 휘어지고 갈라지면서 이질적인 프로그램이 밀착되어 프로그램의 경계가 사라지고 모호해 지거나, 통로와 같은 동선공간이 주 기능공간과 대등하게 위치하는 동선의 공간화가 나타난다. ■ 장소의 물리적, 인문적 재해석을 통해 역사적 사건, 공간의 기능, 자연적 위치들은 추상화 하여 표현한다. 즉, 시간적 연속성의 특성을 가지고 주변과의 환경적·성격적 맥락을 해석하여 장소적 이미지를 표현한다. 계획안에 있어서 현재 새로운 도시 공공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과 장소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대지를 선정하였다. 현대도시의 삶을 묘사하는 무관심, 개인화, 이웃의 약화, 공동체 해체 등에서 벗어나 도시의 활력을 불어넣고, 그 속에 사람들을 끌어들이며, 그 속에서 사람들은 만남과 접촉에 의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주변 컨텍스트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도시 공공공간을 계획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적용하여 계획안에 나타난 내용과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계획대지에 나타나는 2가지의 축- 충주천 흐름과 도시의 다양한 흐름(Urban Pattern)을 이용하여 Mass를 배치 계획하였다. ■ 충주천에서부터 건물의 지붕까지 이어지는 동선의 흐름으로 하천과의 단절되고 단순한 관계에서 복합적인 성격으로 변하면서 하천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도시에 쇠퇴되어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전시, 교육, 휴게 등의 여러가지 요소를 삽입하여 다양한 공간체험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seen alienation of human beings, loss of identity, and uniformity as the side effects of modernism. And,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to fully deny of reinterpret these have appeared in different fields of architecture, which show chaotic and pluralistic architectural tendency. As the 21st century begins, human-oriented and environment-oriented paradigm that is rather anti-rationalistic appeared in the backlash after all the environment, resources and humanity problems. And architecture is now expected to accommodate these tendencies. Environment-oriented thinking and establishment of human identity are closely related to placeness in that architecture can't be separated from place. Placeness could be a means to restore the essential meaning of architecture, since it gives meanings to places for the harmony with existing context while not losing individual identity of each building or landscape, to harmonize with authentic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rchitecture and human beings. To solve the problems of city space, the attempts to reconstruct public space of city again and revive city space structure of past have been developed actively since 60s. These attempts can be seen to have consistent logic & order comparatively despite of various aspects, and it's that there's major premise of closed continuance, visual diversity and 'Restoration of public service' of city space viewing city as an aesthetic constitution object. In our country, at the viewpoint of 'Restoration of public service' of city space,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public domain has been tried continually through legal & institutional devices like downtown redevelopment & city planning to solve the problems, however, the problems like connection shortage of public space and qualitative deterioration were caused by indiscreet quantitative expansion.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are function 'shortage' of space for people's passage & activity and much languished space having potential to contain these functions as 'Closed Space' of 'Cut Space', and these have to be recognized as more serious & important problems of city space.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ies on locational features,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nd inquired into the changes of locational features of modern architecture since the 1990s by defining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enteredness, direction, territory, and continuity, and by analyzing works. As a result, urban public space reflecting the locational features was planned through the analysis of examples of and through theoretical studies on public space of four elements among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modern architecture, that is, continuity · direction axis, the continuation of forms · space, deconstruction · abstraction of boundar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pa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Axis makes optical recognition of space easy, show spatial order and hierarchy and induces sights and circulation as it has length and direction and therefore creates movements and views. These axes represent the surrounding context and the physical, cultural and historical properties of the place. ■ As for space, inner and outer spaces relate to each other and space is expanded and diffused, then they overlap, infiltrate and penetrate to consequently form a new space. Metaphor and symbol based on surrounding context are the symbol of image perceived in the place. ■ Inner and outer spaces are not recognized as individuals, but as a continuous whole. While a floor tilts and splits into another, different programs are welded together and boundaries among programs grow vague and even disappear, or the flow of visitors is actually shaped into a space; space for circulation such as a passage comes to stand equally with main space for function. ■ Historical event, functions of space and location of the site are shown abstractly through physical and cultural re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images of the place are presented by translating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tex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ime continuity. In the blueprint, the planned ground was selected by taking the current of the times with increasing need for new urban public space and locational features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was examined by planning an urban public space which revitalizes cities and attracts people into it, in which people create their own stories through encounters and contacts, and which is formed by the harmony of surrounding contexts, overcoming the disinterest, individualization, weakened neighborhood, and disorganized communities, which are the expressions describing modern cities.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expressed in the blueprint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from this research. ■ The arrangement of Mass was planed by making use of the two axes of the planned ground - the stream of the Chung-ju river and various urban patterns. ■ With the flow of line from the Chung-ju river to the roofs of building, diversity in the ways to use the river was to be kept, changing from the relationship simple and disconnected from the creek to a more complex relationship. ■ A plan was devised so that various elements, such as display, education, and break, were added to the declining old markets in the city, and therefore that people can experience the space in different ways. ■ Some vacant room was intentionally set up at some intervals among the buildings in the market, blocking the Chung-ju river, so that they could be used for the citizens and that different programs there could help them recover their lost memories having vanished from their daily lives. The vacant room secured the continuity of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and maximized the unification of the space by pulling the surrounding scenery into the inside. ■ Two-floored, connected baseplate was desi

      • 수문기상변화에 따른 유출변화에 관한 연구

        정동국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 충주댐 유역의 4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들의 변화추세를 분석하고 충주댐에 유입하는 유량과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충주댐에 유입하는 유량과 강우량이 가장 상관성이 높았으며 이슬점온도와 증기압, 기온, 지면온도 등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충주댐 상류유역의 기상자료의 변화추세를 분석한 결과 습도와 기압은 모든 관측소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강수량과 풍속 그리고 기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우리나라의 온난화현상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의 추세를 종합하여 판단해 볼 때 충주댐 상류유역이 습도는 낮아지고 온도와 강수량은 증가하는 기후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충주댐 유입량에 가장 상관성이 높은 것은 제천 관측소의 강우량이 충주댐 유입량과 0.912 라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어 충주댐 상류유역의 강수가 충주댐 유입량과 가장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충주댐 상류유역의 기후변화 추세를 제시하고 유입량과 기후자료와의 상관성을 규명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범지구적인 기후변화 속에 실제 유출량에 영향을 미치고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지적인 기후변화가 수문기상과 하천유출량과의 상관성을 보다 심도 있게 규명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weather data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runoff into Chungju Dam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four weather stations around Chungju Dam. As a result, the runoff into Chungju Dam and the amount of rainfall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dew point, vapor pressure,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also showed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hanges in weather data of the upper reaches showed that humidity and air pressure were decreasing in every weather station, whereas the amount of rainfall, wind velocity and temperature were increasing. This seems to be to do with th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warming phenomenon in Korea. Considering the trend of climate change, it could be seen that the upper reaches of Chungju Dam showed a weather wherein humidity was decreasing while temperature and rainfall were increasing. The rainfall at the Jecheon Observator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of 0.912 with the inflow into Chungju Dam, which means that the rainfall in the upper reaches of Chungju Dam showed a pattern that was most close to that of the inflow into Chungju Dam. By proposing the trend of climate change in the upper reaches of Chungju Dam and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low and weather data, this study showed that the local weather chang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our life, can provide basic data fo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ydrometeorology and river runoff, under the environment of global climate change.

      • 충주기업도시 분양사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철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부는 양적 성장을 중요시하는 개발로 수도권의 과밀집중은 물론 지방과의 경쟁력 격차도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국토의 불균형적인 발전은 수도권의 과밀현상으로 주거문제, 교통난, 기반시설 비용증가, 환경오염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반대로 지방의 경우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 산업시설 부족, 기반시설 부족 등으로 인하여 탈지방화 현상이 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2003년 10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기업의 투자의욕 고취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기업도시 개발을 제안하였고, 2004년 6월에는 특별법 제정을 정부에 정식 건의했다. 정부는 전경련의 제안으로 민간기업의 국내투자를 유도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하여『기업도시개발특별법』이 2004년 12월에 제정·공포하였고, 정부는 기업도시 조기에 가시화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2005년 6개 지역에 시범 지역을 지정하였다. 충주, 원주는 지식기반형 기업도시로 조성되며, 태안, 영암·해남, 무주는 관광 레저형 기업도시로 조성되고, 무안은 산업교역형 기업도시로 조성되게 된다. 하지만, 국토의 균형개발과 낙후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도시는 2005년 시범사업 선정에서부터 이미 시행에 들어간 기업도시 조차도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난제들이 도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업도시 시범사업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작하는 개발사업으로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기업체에 토지수용권 및 개발계획을 진행하게 함으로써 자율권을 보장하였다. 하지만, 민간기업체의 토지수용, 도시개발계획수립, 토지분양사업등 경험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이러한 개발계획 및 분양사업 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사례를 분석 연구하고, 도시활성화를 위한 해외기업도시 사례을 분석하여 기업 도시개발사업이 원할히 진행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해 본다. 아울러, 국내 기업도시 중 가장 먼저 분양사업을 시작한 충주기업도시를 사례로 하여 분양사업 시 문제점을 분석하여, 추후 진행될 다른 지역의 기업도시개발 및 분양사업에 원할한 추진과 도시활성화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본 연구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