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이재일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문화예술경영 전공 이재일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안동의 공연관광 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연은 현장성이 중시되고 관광 상품화에 적합하므로 새로운 관광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공연관광 상품은 고부가가치형 콘텐츠로 관광시장 성장을 위한 주요 상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융⋅복합 공연 관광의 성공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명 관광지에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콘텐츠를 개발했을 때 그 효과가 배가 된다는 사실을 해외는 물론 국내의 특정 관광지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관광의 국내사례로 넌버벌 퍼포먼스인 난타와 점프를 통해 국내 공연관광의 성과와 현황을 파악했다. 전통예술 공연을 진행한 워커힐 상설공연과 정동극장 그리고 최근의 광주 국악 상설공연 등도 같은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예술진흥재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콘텐츠발굴을 위한 활발한 지원 사업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각 지방의 공연관광 콘텐츠 제작사례를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로는 중국 인상 시리즈와 우견 시리즈, 프랑스 퓌뒤푸 테마파크의 공연을 비교 분석하여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의 긍정적인 활용사례와 흥행요소, 발전상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공연관광 콘텐츠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의 발굴과 활용에서는 일정 부분의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특정 장르의 편중 현상과 대부분 단발 공연으로 끝나는 현실적 문제와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은 지역 문화자원이 풍부한 문화관광 도시이다. 전통문화 공연관광 콘텐츠로 하회별신굿 탈놀이 상설공연, 안동차전놀이 정기공연, 하회선유줄불놀이 정기공연을 분석했다. 대표적 기획 제작 공연관광 콘텐츠는 모두 뮤지컬로서 왕의 나라, 퇴계연가, 이육사, 신 웅부전(고등어 찜닭에 빠진 날)을 분석하였다. 안동은 다양한 공연관광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만 하회별신굿탈놀이 상설공연 이외의 콘텐츠는 아직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꾸준한 공연 활동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등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안동차전놀이 상설공연과 원도심 야간 공연관광 콘텐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안동의 지역 공연관광 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의 활성화, 공연관광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대의 구축을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했다. 본 연구는 안동의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공연관광 콘텐츠가 안동 브랜드와 이미지 제고에 보탬이 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안동, 지역 문화자원, 공연관광, 공연관광콘텐츠

      • 대학원생 온라인 학습공동체 설계전략과 프로토타입 개발

        정윤희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and a prototype for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that support graduate students' online collaboration. A total of twenty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view and survey methods were used to investigate specific pictures of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that graduate students would like to engage in. The study found that while graduate students learn by attending class or seminars, time and physical space constraints limit active interaction among group members. Therefore, three type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developing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are proposed as follows: 1)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increasing a sense of a learning community: Provid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tools, creating intellectual apprenticeship among online group members, and sharing group schedules online 2)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positive culture for learning community: assigning separate learning space, creating and evaluating knowledge, and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3)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upporting student learning: Assigning space for storing and sharing learning resources, creating convenience for searching learning materials, providing easy accessibility to learning community, and continuous and regular maintenance of the learning community. Last, two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a follow-up study. First, a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and learner analysis with more graduate students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propos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creating a solid online learning community. Second, the propos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should be tested with empirical research.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designing and developing a solid online learning community. Key words: Graduates, Online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 지방정부의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 안동시를 중심으로

        홍성란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there has been a sense of crisis with Korean birth rate falling to the lowest level in the world, this study is intended to survey the realities of the low birth rate in Korea and analyze the causes. In addition,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deas of childbirth held by fertile women residing in Andong City and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s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Both literary surveys and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to reach these goals. The analysis model has established a demographic factor, a social factor, and an economic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low birth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male and female residents in Andong City aged twenty or above. 350 questionnaires were mailed, 300 out of them were recollected, and thirty out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their low validity. In the end, 27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data derived were processed and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of ver.17.0. The analysis ha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There are three aspects on the complicated causes of the low birth rate: economic, social and institutional. As for the economic aspect, the educational expenses and child-rearing costs are thought of as heavy burden. From a social viewpoint,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and institutionally, there is no sufficient support system such as a maternity leave or a parental leave. To help Andong City solve these problems and promote childbirth,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expenses and nursing costs. Second, recently,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Work is given priority to marriage. This prevalent way of thought has led young people to avoid childbirth. They should be persuaded to believe that marriage and childbirth are very valuable, and to have their values changed. Third, of lat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avoid childbirth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handling work and child-rearing. To solve this problem, legal actions should be taken to make systems such as a maternity leave and a parental leave. As the above research findings have shown, the problem of the low birth rate is not only a personal or familial matter, but a national one. Therefor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be committed to making the environment favorable to childbirth and nursing, and raising the low birth rate.

      • 도시 커먼즈 구성의 실천 양상과 민속적 의미 :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 경우를 중심으로

        김은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공동체문화 실천을 통한 도시 커먼즈 구성 과정과 민속적 의미를 규명한다.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 과정에서 구성된 도시 커먼즈 ‘모디’는 지역사회와 자본주의의 심화로서 발생하는 모순에 대안적인 성격을 갖고, 그 실천들이 현재 사회·경제·문화적으로 새로운 지대를 구축하려는 활성화의 흐름과 연결된다. 이를 협력과 연대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문화 실천 양상으로 바라보며 도시 커먼즈 ‘모디’의 실천이 가지는 민속적 의미와 대안의 가능성을 규명해보았다. 구체적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 안동역 공간과 도시 커먼즈로 구성되는 과정에 그 장소적 의미들을 도출하였다. 둘째,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의 도시 커먼즈 구성 배경과 전개 과정을 살폈다. 셋째, 구체적인 실천사례를 분석해 도시 커먼즈 실천 구조와 그 함의를 규명하였다. 넷째, 논의된 도시 커먼즈 실천을 바탕으로 민속적 의미와 위상을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도시 커먼즈 ‘모디’의 실천 한계와 대안에 관한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시민들의 공동체문화 실천들이 커먼즈를 구성하고 활성화되는 과정을 논의하며, 민속의 공동체문화 실천들이 변환되어 도시 커먼즈에 구현되는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민속학 연구 영역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urban commons and their folklore meanings through community culture practices based on the Andong Cultural City Project. The urban commons of "Modi", which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the Andong Cultural City Project, characteristically serves as an alternative to contradictions arising from the deepening of community and capitalism, and its practices are linked to current trends of revitalization that are trying to establish new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zones. It was observed as an aspect of community culture practices based on cooperation and solidarity, and the ethnological meanings of the practice of the urban commons of "Modi" and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Specific discussions were developed as follows. First, locational meaning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of the former Andong Station space being constructed into urban commons. Second, examinations were made of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urban commons construction of the Andong Cultural City Project. Third, specific cases of practical applicat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urban commons practices and their implications. Fourth, based on the urban commons practices that were discussed, folklore meanings and status were discussed, and finally, prospects for practical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urban commons of 'Modi' were examin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area of folklore research by discussing how the community culture practices of citizens form and revitalize commons, and by placing focus o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folk culture practices into urban commons.

      • DEVELOPMENT OF THE FORECASTING CONTROL SYSTEM FOR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ON HOT PEPPER : 고추에서 담배나방의 예찰 방제 체계 개발

        YOON, SUNGMI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담배나방은 고추의 대표적인 일차 해충으로서, 고추 재배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농가에서 담배나방의 방제는 7~10일 간격의 주기적인 약제 살포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약제 남용과 인건비 등의 경제적 부담을 주며, 제품의 가치를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필드 모니터링을 통해 담배나방의 발생 모델을 평가하고, 예찰 방제 시스템을 테스트하여 적기에 적정량의 화학 농약만으로 담배나방의 방제를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여러 문제점들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필드 모니터링을 통해 발생모델을 검증해본 결과, 월동세대의 발생 밀도는 매우 적었고, 1세대의 성충 발생분포는 모델의 예측 치 와 매우 유사함을 보였다. 큰 유역 안에서 여러 필드의 담배나방 발생패턴을 비교해본 결과, 발생량의 차이는 있었지만 매우 비슷한 발생경향을 보였다. 3곳의 다른 시험포장(2006,안동-A; 2007,안동-B; 2007,영양)에서 모니터링 방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안동-A 시험포장의 모니터링 처리구에서는 유충에 의한 과실 피해율이 3-7%를 보였다. 안동-B 시험포장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약제 살포 일주일 후에 4-7%의 낮은 피해율을 보였고, 8월 28일 조사결과 모니터링-2 처리구에서만 낮은 피해율을 보였으며, 그 외 다른 포장에서는 15-25%의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영양 시험포장에서는 모니터링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은 피해율 보였으나 관행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더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예찰 방제 효과시험은 안동-A, 안동-B 시험포장에서 실시하였고, 예찰처리구는 5번, 관행처리구는 8번의 약제를 살포하였다. 안동-A 시험포장에서는 1-15%의 과실피해율을 보였으며, 무처리구가 예찰처리구와 관행처리구에 비해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반면, 안동-B포장의 무처리구에서는 12-23%의 높은 과실 피해율이 나타났다. 농약살포지역과 비 살포지역간에 유의성을 보였으나, 예찰처리구와 관행처리구 간의 차이는 없었다. 수확철인 8월에 수확물 피해율 조사결과, 안동-A 시험포장의 모든 처리구가 5% 이하의 낮은 피해율을 보였으나, 안동-B 시험포장의 무처리구, 예찰처리구 그리고 관행처리구 에서는 각각 34, 16 그리고 15% 의 피해율을 보였다. 반면에, 수확이 끝나는 시기인 9월의 조사 결과 안동-A 와 안동-B 시험포장 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피해율을 보였으나 무처리구(48, 61%) 대비 예찰처리구(27, 39%)와 관행처리구(27, 33%)가 비교적 낮은 피해율을 보였다.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is one of the serious insect pests of pepper which causes severe damage to the crops and reduces the yield every year. To control this pest, farmers are using calendar basis application of pesticides which resulting high cost, decrease the fruit quality and pollute the environment. So,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OTB occurrence model from the field monitoring and test the forecasting control system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maintaining low costs and less hazardable circumstances. The model output from the field validation showed the overwintering population occurrence was narrowly estimated but found widely distributed. However, the overwintering population densities were very low and the first generation adult population seems closely represented by the model. The large scale OTB occurrence patterns were similar when OTB caught from different fields with few exceptions. Three different trials (2006, Andong-A; 2007, Andong-B and 2007, Youngyang) were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monitoring control. The monitoring plots of Andong-A showed the stable damage rates which were in between the 3-7%. The different response was found in Andong-B field where damage rates were low (4-7%) in all treatments after 1 week of spray, and the sampling on 28 August showed lower damage rates only in monitoring 2 but others were higher in between 15-25%. The 3rd trial in Youngyang showed relative damage rate was lower in monitoring control plots than control plots, but higher in conventional plots. However, in most cases, spray in monitoring control plots was made around 14 days after the actual peak time of the adult emergence. The forecasting control conducted in Andong-A and B fields where 5 and 8 times insecticides were applied in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plots. Andong-A field showed 1 to 15% fruit damage rates with higher in control plots and lower in forecasting and conventionally sprayed plots. On the other hand, fruit damage rates were much higher throughout the season ranging from 12-23% in the standing crops in control plots in Andong-B fiel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between chemical treated plots and non-treated plots,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plots. The harvested fruit damage rates from Andong-A were low (<5% in all treatments) whereas damage rates were 34, 16 and 15% from control,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treatments in Andong-B fields during season. On the contrary, fruit damage rates were much higher in Andong-A and in Andong-B damage rates were 61, 39 and 33% in the control,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treatments, respectively during offseason.

      • 地域文化發展을 위한 地方文化院의 活性化 方案 : 安東文化院을 中心으로

        구경희 安東大學校 行政經營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With the economic growth, GNP increase and introduction of Saturday-off system, leisure time is on the increase. People are beginning to think much of their quality of life. In company with these phenomena, their cultural needs are also on the increase. Degree of local autonomy has been increased since 1995 and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 began to make its appearance. Local culture is one of essential elements in local autonomy. The progress of local culture is synonymous with the progress of local community. The realization of cultural welfare and cultural rights has a significant value in cultural policy and will be an important criterion to judge how powerful a country is and how further local communities have developed. In reality, Andong city held such events as ’97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99 visit of Elizabeth Ⅱ on 21 April which are significant enough to give Andong an opportunity to take its historical turning point in cultural policy. Andong is the co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o the potential for local cultural development will be limitless. The Local Cultural Center is a non-profit private organization which was established to develop, preserve, hand down local culture. The growth of the cent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Thus, the Local Culture Center has to be activated to materialize local people's cultural needs and to develop local cult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how to activate the Local Culture Center to improve local culture and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Andong Local Culture Center. The documentation research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the representatives and members in the center, students there,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culture and art division in Andong city and related workers. The Local Cultural Center is a non-profit cultural and non-governmental institution established on the ‘Local Cultural Center Promotion Law’ which runs public business. Its purposes are to effectively conduct all the cultural business. To accomplish those purposes elements such as prope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sonnel resources, finance and facilities, relationship to the communities has to be considered, which is the uni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it include the following. In regards to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sonnel resources, the distribution of its members was not in good balance of the sexes. The average age was very high. In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number of the office workers was insufficient so there were difficulties in managing its business and the experts of culture and art also insufficient. In regards to finance, the portion of the operating budget was not enough to run its business. In regards to the facilities, the office building has to be quickly built. In regards to its business, the community participation was very low because of the lack of advertisement. The internet advertisement and web-based propag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conducted. The relationship to the community seemed to be in harmony. To settle the problems above, several solutions can be suggested. First, to secure required experts, training programs to educate local culture administration experts has to be prepared by professional training organizations. For Local Cultural Center business, office workers who can plan businesses must be employed. Second, the management strategy should be planned in the long term so that the programs can attract more government and private support and funding. Third, to secure places for cultural activities local government should cooperate and share its facilities with Local Culture Center considering real poor situation. And then, gradually, the center has to try to raise funds to build its own facilities. Fourth, programs featuring lo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planned, which needs to be connected afterwards to local festivals and tourism. Fifth, in regards to the relationship to the communities, network including local government, affiliate institutions, cultural art institutions,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has to be established and cooperate to run programs. Until now, the study on Local Culture Center was conducted intermittently with practical analysis. The activation of Local Culture Center will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ctivation of non-profit private institutions so further study on this subject needs to be done.

      •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마을공간 복원에 관한 연구 : 수몰마을 예안면 부포리를 중심으로

        이미홍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마을 예안면 부포리를 중심으로 수몰 전 부포동에 거주했던 주민들의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기억 속 수몰마을 공간을 복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인 수몰 전의 부포동은 220여 호가 넘는 동네로 안동댐 건설로 수몰된 마을 중에서 월곡면 면소재지였던 미질동과 예안면소재지였던 동부동과 함께 피해가 컸던 동네로, 마을의 대부분이 수몰되고 220여 세대 중 30여 호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민이 타지로 이주하였다. 이는 기존 마을의 소멸과 함께 구성원들이 전국 각지로 흩어지고, 동제를 비롯한 상여계와 두레 등이 지속이 어려워지면서 공동체의 해체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포사람들의 자랑이었던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부포동의 공동체문화가 단절 혹은 축소되는 결과를 낳았다. 공동체가 생활과 문화를 공유하던 장소의 상실은 공동체의 정체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수몰마을 공간에 대한 기록의 부재와 고향을 추억할 장소의 부재로 인한 수몰민들의 망실감을 해소할 기억의 복원과 장소의 복원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수몰민의 기억복원과 관련하여 연구 주제를 ‘예안면 부포리를 중심으로 한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마을공간 복원’으로 잡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과 부포동 현황 분석을 토대로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수몰된 부포리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구술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구술인터뷰를 채록하고,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마을공간 복원’이라는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마을공간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분석 정리해 구술사를 통한 부포동 마을공간 기억을 복원했다. 구술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공간과 당시 생활모습이 담긴 수몰 전의 부포동과 부포동 사람들이 담긴 사진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사진 자료는 마을의 사진자료와 구술인터뷰에 응한 주민들의 개인적 사진, 타지로 이주한 부포동 사람들이 온라인 공간에 만든 ‘부포사랑방’의 사진 자료 중에서 부포동 공간과 의미 있는 장소, 부포동 사람들이 보이는 사진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사진을 수집하면서 사진 한 장 한 장에 얽힌 장소와, 사진 속 인물, 자연에 대한 설명을 구하는 방식으로 사진에 대한 기억을 함께 조사 수집해 기록했다. 이를 통해 사진 수집이 단순한 자료의 수집이 아니라 마을공간에 대한 기억복원의 또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마을에 대한 기억을 비교적 뚜렷하게 가지고 있는 구술인터뷰에 응한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자신이 살았던 부포동 마을지도를 그리는 과정을 통해 수몰 전 부포동에서 함께 살았던 이웃들을 떠올려 집을 표시하고 함께 공유한 장소들과 그 장소들에 얽힌 기억들을 지도 형태로 복원하고자 했다.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각기 그린 마을지도와 수몰 전의 부포동 항공지도에 기초해 이를 하나의 마을지도로 만들어 마을에 대한 기억복원과 이를 통한 수몰전의 부포동 마을공간의 모습을 마을인지지도의 형태로 시각화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기억에 기반한 주민들의 구술과 사진, 마을인지지도그리기를 통해 안동댐 건설로 수몰된 마을인 전통마을 예안면 부포리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기억을 재구성해, 수몰이 공동체와 개인에 미친 영향과 수몰민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고 영향을 미치는 지를 들여다보고, 물속에 잠긴 부포동 마을 공간을 시각적으로 복원해 제시하였다. 부포동 마을인지지도는 부포동 주민들의 구술내용과 직접 그린 마을지도가 합쳐진 것으로, 각 개인이 기억에 기반해 그린 마을지도를 합쳐 연구자가 수몰 전후의 항공지도와 사진 자료 등에 기반해 파악한 공간 위치를 표시해 하나의 부포동 마을인지지도로 완성하였다. 마을인지지도는 주민들이 기억나는 내용을 인지해 마을지도로 그려낸다는 행위와 과정에 착안, 기억을 떠올려가며 주민들 손으로 직접 그리는 마을지도명을 기억 속 공간을 이미지화하여 그리는 의미를 살려 ‘마을인지지도’로 명명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부포동 마을인지지도는 구술내용에서 확인되는 기억 속 부포동 공간과, 마을길부터 우물, 기와집, 마을표지석, 마을 사진, 부라원 등 기억을 하나하나 떠올려 자신들의 손으로 직접 그린 기억지도가 합쳐진, 주민들의 기억 속 마을공간을 재구성하여 전체 부포동 모습을 그림 형식으로 이미지화했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부포동 마을공간 복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복원에 기반하여 연구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바탕으로 주민들의 기억복원을 활용한 부포동 마을공동체 정체성 복원과 공동체문화 복원을 위한 공간 복원이 가능하다고 보고, 공간 복원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마을기록관, 디지털아카이브, 증강현실, 미니어처 부포동 공간 복원 등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기록 콘텐츠를 활용하여 파노라마, 증강현실, 영상다큐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다고 보고 기억복원에 근거한 부포동 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부포동을 중심으로 한 기억이미지를 활용한 수몰마을 공간 복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안동댐 건설이 가지는 의미 고찰과 함께 안동댐 건설로 인한 수몰과정에서 소외된 채 타의에 고향을 잃고 망실감을 안고 46년을 지내온 수몰민과 지역주민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장소로 재창조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수몰마을에 대한 기억의 복원과 스토리를 입힌 마을공간에 대한 복원은 돌아갈 고향을 잃어버린 수몰민들의 망실감을 치유하는 동시에 안동댐을 기반으로 한 소중한 기억공간이자 문화공간으로서 문화관광자원이라는 미래가치로 복원될 수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마을 공간을 마을인지지도의 형태로 시각적 이미지로 복원하고 그 가치와 활용가능성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는 마을공간 복원을 위한 후속연구 자료이자, 공간 복원의 원천소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안동댐 수몰마을에 대한 체계적인 기억 복원과 이를 중심으로 수몰마을 기억과 공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스포츠관광 활성화를 위한 2017 안동마라톤대회

        홍형철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초록 마라톤은 기원전 490년 아테네와 페르시아의 전쟁에서 아테네의 밀리티아테스 장군이 페르시아 군을 격파한 승전보를 갖고 마라톤으로부터 아테네까지 달린 전령 페이디피데스를 기리기 위해 시작된 스포츠이다. 당시 그가 달린 거리는 36.75km이지만 근대 올림픽으로 오면서 초기 대회에서 40km 전후를 달리다 거리의 표준을 갖자는 각국의 의견을 수렴해서 1908년 제4회 런던 올림픽을 계기로 42.195km를 확정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마라톤의 역사는 1920년 경성일주마라톤이 시초이며 당시 최송석 선수가 우승을 하였고 그 이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 선수의 일장기 유니폼 우승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황영조 선수의 우승 그리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봉주 선수의 준우승 등으로 이어져 왔다. 안동마라톤대회는 2005년도에 안동낙동강변마라톤대회로 시작해서 매년 5000여 명의 참가자들로 이어져왔고 2017년도에 들어와서 안동댐 본댐 정상부가 일반에 개방되면서 마라톤 길이를 연장할 수 있어 풀코스를 신설하고 대회명을 안동마라톤대회로 바꾸고 규모를 키워왔다. 현재 안동마라톤대회는 낙동강변의 풍부한 수자원을 활용해 다양한 이벤트 및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최고 매력의 마라톤으로 각광받고 있다. 안동댐을 배경으로 한 특색 있는 고난도 풀코스 개발과 낙동강변의 수려한 환경과 더불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체육문화축제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안동마라톤 대회의 기획에서 진행 및 결과에 이르는 전반적인 실무프로젝트를 보고 하고자 한다.

      • 대학교양교육으로써 레저승마 적용가능성과 가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지영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At a time when interest in horses and popularization are taking the initiative and preemptive support of the administration, the public's interest in leisure horseback riding is also increasing nationwide. However, so far, cases and studies of leisure horseback riding have been limited to youth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university horseback riding, which can foster leaders, has been alienated. From the standpoint of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leisure horseback rid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university education by considering university talents as active being with abundant potential in expanding the base of horseback riding and fostering lea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horseback riding education programs, problems and requirements felt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consumers, explore horseback riding literacy that university talents can acquire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and leisure horseback riding program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sed a narrative qualitative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ive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wo experienced horseback riding guidance and supervised horseback riding. Data collection considered of pre-interview questionnaires, distribution collection, interview preparation, preliminary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In other to increase the integrity of the data, a multilateral verification method and peer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s that physical education has shrunk a lot in existing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s, and it is not enough to meet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It was insufficient to reflect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such as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and bias toward theory. Second, the applicability of leisure horseback riding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s quite favorable to the maintenance of new and mental and social health through horseback riding, fostering horseback riding literacy and one's own happy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plicability and value of leisure horseback riding as a university education requires not only horseback riding skills but also horse-raport formation, knowledge and mental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hrough this study. Firs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see how the equestrian literacy acquired by participating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horseback riding program of university talents can be well carried out in daily life and how it is possible.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 requirements of liberal arts education consumers in other to ensure that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orseback riding literacy is carried out in a substantial manner. 말(馬)에 대한 관심과 대중화가 행정의 주도적이고 선제적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금 이 시점에 레저승마에 관한 국민들의 관심도 또한 전국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레저승마 활용사례나 관련연구들은 유소년, 재활치료 등에 한정되어 있었고, 대학교양 승마는 소외 시 되어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대학교양교육이 승마의 저변확대와 지도자 육성에 큰 몫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대학인재들을 잠재력이 풍부한 적극적인 존재로 간주하여 대학교양교육에서 레저승마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교육에서 레저승마 Leisure riding 적용가능성과 가치에 관한 탐색이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체육 수업에 참여했던 5명과 승마를 지도 감독했던 경험이 있는 지도자 2명이다. 자료수집은 인터뷰 사전 질문지 작성, 배부 수거, 인터뷰 준비, 예비면담, 심층면담, 자료분석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 검증법, 동료간 검증 등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양교육에서 체육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교양교육프로그램에서 체육은 많이 위축되어 있으며, 교육수요자들의 욕구 충족에 많이 부족하다.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이론에 치우침 등 교육수요자 요구반영이 미흡하게 나타났다. 둘째, 레저승마의 교양교육으로써 적용가능성은 승마를 통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유지에 상당한 우호적인 입장으로 승마리터러시 육성과 자신의 행복한 삶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다수의 의견이 있어 레저승마의 가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교양교육으로써 레저승마의 적용가능성과 가치 관점에서 본 교양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레저승마프로그램에는 기승술 뿐 아니라 말과의 라포 형성, 말에 대한 지식과 정신 교육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대학인재들의 교양교육 승마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습득한 승마리터러시가 일상생활 속에서 잘 영위되어질 수 있는 지, 어떠한 방법으로 가능한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승마리터러시 개발을 위한 대학교양교육이 내실있게 이루어지게 하기위해서 교양교육수요자들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이다.

      • 안동생강의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개발

        강미혜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경북 안동은 전국 최대의 생강 주산지이다. 기후와 토양이 생강 재배에 적합하여 품질 좋은 생강이 생산된다. 그러나 안동생강과 그 공동 브랜드인 ‘그대생강’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생강의 건강 효용성, 생강 재배 환경의 우위, 차별화된 고품질 특산품으로서 안동생강을 부각시키기 위한 홍보마케팅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안동생강의 공동 브랜드 ‘그대생강’의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개발해 지역 특산물로서 이미지를 구축하고 안동생강 산업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 브랜드와 이와 연관된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보고, 안동생강의 특징과 브랜드화 현황에 대해 검토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역 특산물 브랜드 스토리텔링 개발 방안을 정립했다.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자료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소재를 수집하였다. 생강, 특히 안동생강과 관련된 기초 조사, 자원 핵심 조사, 전승 가치 및 활용 가치를 조사하였다. 인류에게 오래 동안 약으로 사용되어온 생강은 무엇보다 역사 문화적 이야기 소재가 많다. 2단계는 자료 조사를 토대로 스토리 자원을 추출하였다. 우선 안동생강의 스토리 속성을 분석하여 목록을 작성했다. 그 결과 두루 이롭게 쓰이면서도 본연의 색과 향기를 잃지 않는 생강의 고귀함, 강직함, 정결의 이미지를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이미지와 결부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결은 생강의 매력성과 안동의 지역성을 동시에 부각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3단계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였다. 핵심 테마를 ‘격(格)이 다른 안동생강’으로 설정하였고, 핵심 스토리로 《안동 생강선생 이야기》 시리즈를 기획했다. 개발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1편 〈안동 생강선생을 소개 하오〉, 2편 〈도산십삼차(陶山十三茶)의 탄생〉, 3편 〈사랑을 이어주는 그대생강〉이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스토리텔링 확장을 위한 지역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으로 ‘그대’생강의 이미지를 활용한 소비자 참여형 스토리텔링의 확산방법 및 생강‘선생’의 이미지를 부각한 선생님과 함께 하는 뉴트로 생강 축제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격이 다른 안동생강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조함으로써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안동생강의 효능과 정보, 역사적 사실 등이 널리 알려지고, 생강이 양념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유용하고 매력적인 지역 특산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나아가 안동생강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문화관광 사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