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악성 섬유성 및 섬유조직구성 종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피부과학회 피부암 연구분과위원회 공동연구-

        박병철 ( Byung Cheol Park ),김문범 ( Moon Bum Kim ),김일환 ( Il Hwan Kim ),신동훈 ( Dong Heon Shin ),윤숙정 ( Sook Jung Yun ),이미우 ( Mi Woo Lee ),이민걸 ( Min Geol Lee ),이석종 ( Seok Jong Lee ),조광현 ( Kwang Hyun Cho ),허창훈 대한피부과학회 2009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7 No.2

        Background: Malignant fibrous/fibrohistiocytic tumors are uncommon soft tissue tumors which gives dermatologists special attention on differential diagnosis. However, there has not yet been a multicenter study on these tumors in Korea.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malignant fibrous/fiborhistiocytic tumors. Methods: A total of 62 patients from 11 training hospitals who had been confirmed with malignant fibrous/fibrohistiocytic tumor were studi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hospital records served as the data source for this study. Results: Among patients with malignant fibrous/fibrohistiocytic tumors, the most common tumor type was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ce followed by malignant fibrohistiocytic. The male to female ratio among subjects was 1.38 to 1 and the mean age was 44 years old. Of the common complaints recorded, asymptomatic mass was the most frequent. The mean size of the subjects` tumors was 2.9 cm in the long axis and 2.3 cm in the short axis with a mean tumor thickness of 2.1 mm. The most common site for tumors was the back followed by the thigh. The recurrence rate after primary treatment was 14.5% and metastasis developed in 5 of 62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ignant fibrous/fibrohistiocytic tumors. (Korean J Dermatol 2009;47(2):180∼185)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모발로 분화하는 종양에 대한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 -대한피부과학회 피부병리 연구분과위원회 공동연구-

        김유찬 ( You-Chan Kim ),강원형 ( Won-Hyoung Kang ),고재경 ( Jai-Kyoung Koh ),김낙인 ( Nack-In Kim ),김방순 ( Bang-Soon Kim ),김상원 ( Sang-Won Kim ),김수남 ( Soo-Nam Kim ),김수찬 ( Soo-Chan Kim ),노영석 ( Young-Suck Ro ),명기범 ( 대한피부과학회 200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1 No.9

        Background : Data on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hair follicle tumors in Korea are limited. Objective :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hair follicle tumors in Korea. Methods : Two hundred sixty four cases of hair follicle tumors seen from 1999 to 2001 in Korea were analyzed clin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Results and Conclusion : 1. The most common hair follicle tumor in Korea was pilomatricoma(81.0%), followed by trichoepithelioma(6.4%), dilated pore of Winer(3.8%), and proliferating trichilemmal tumor(2.2%). 2. Hair follicle tumors usually occurred as a solitary skin-colored nodule.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 was the face, and the peak age of presentation was 10 to 19. 3. Pilomatricoma usually occurred as a solitary skin-colored nodule.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 was the arm, and more than 50% of tumors occurred before the age of 20. Histopathologically, the tumor was often surrounded by fibrous capsule and was composed of basophilic and shadow cells. It was usually located in the dermis and extended into the subcutis. Retraction spaces between tumor nests and stroma were frequently observed. 4. Trichoepithelioma usually occurred as multiple skin-colored papules on the face. Histopathologically, the tumor was usually located in the dermis with sometimes connected to the epidermis. It frequently showed peripheral palisading. 5. Dilated pore of Winer usually occurred as a solitary brownish to pigmented papule on the face in middle-aged persons. 6. Proliferating trichilemmal tumor occurred as a solitary or multiple tumors. Histopathologically, the tumor was usually surrounded by incomplete fibrous capsule. Tumor cells frequently showed clear cell formation, nuclear atypia, mitosis, peripheral palisading, trichilemmal keratinization, and individual keratinization. (Korean J Dermatol 2003;41(9) : 1177~1186)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광선각화증에 대한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 - 대한피부과학회 피부병리연구분과위원회 공동연구 -

        장성남,전수일,김수남,조백기,전재복,김낙인,서기석,조광현,김수찬,고재경,김방순,이승철,원영호,김종민 ( Sung Nam Chang,Soo Il Chun,Soo Nam Kim,Baik Kee Cho,Jae Bok Jun,Nack In Kim,Kee Suck Suh,Kwang Hyun Cho,Soo Chan Kim,Jai Kyoung Koh,Bang Soon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5

        Background: Although actinic keratoses is the most common precancerous cutaneous lesion, there has been no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y about actinic keratoses in Korea.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carry out a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y about actinic keratoses in Korea. Methods : 158 patients, diagnosed with actinic keratoses from 1987 to 1995 in Korea, were analyzed clin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Results 1.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1:2.4 and the most frequent age groups were the 6th(29.1%) and 7th decade(33.5%). 2. The duration of the lesions was more than 1 year in most cases. 3.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s were the face, in which the cheek, nose and forehead were the most common sites. 4. Clinically, the size of the lesions was less than 1cm in many cases(66.8% ). The color was erythematous in 57.9%, brownish in 26.7%, and dark brownish in 15.3%. Crust and scale were noted in 28.7% and 25.2%, respectively. In 4% of patients, cutaneous horn also was noted. 5. Squamous cell carcinoma was associated with actinic keratoses in 5.7%, basal cell carcinoma in 3.2%, and keratoacanthoma in 1.3%. 6. Histopathologically, hypertrophic types of actinic keratoses were noted in 25.0%, atrophic types in 21.3%, hypertrophic and atrophic types in 18.1%, bowenoid types in 17.6%, acantholytic types in 13.3%, and pigmented types in 4.7%. 7.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of treatment for actinic keratoses were cryotherapy, surgical excision, 5 FU ointment, and electrodesiccation with good effect. Conclusion : Actinic keratoses in Koreans was present on the face most commonly over 50 years of age. It showed a more frequent incidence in females than males. The clinical course of the lesions was chronic and the association with other cutaneous malignancies was noted to be less than 6%. The various histopathological types were noted, including hypertrophic, atrophic, hypertrophic and atrophic, bowenoid, acantholytic, and pigmented.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of treatment. for actinic keratoses were cryotherapy, surgical excision, 5-FU ointment, and electrodesiccation. (Korean J Dermatol 1997;35(5): 931-939)

      • KCI등재

        뇌동맥 색전술 후 발생한 일과성 사각형 탈모 1예

        권순효,나선재,변상영,박현선,윤현선,조소연 대한피부과학회 201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1 No.7

        뇌혈관 중재적 시술을 위한 투시 방사선은 치료 목적의 방사선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조사 용량은 낮으나 마찬가지로 털 기질에 작용하여 성장기 탈모를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1998년 피부과학 학술지에 처음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10여 예 만이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어 있어 아직 질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원형 탈모증 등으로 오인하여 불필요한 치료를 하는 경우가 종종 관찰된다. 환자는 66세 여자로서 내원 한 달 전부터 후두부에서 시작된 탈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탈모의 범위는 내원당시의 범위에서 한달 간 더 넓어지지 않았다. 두피의 가려움증이나 통증 등의 증상은 호소하지 않았다. 내원 6주전 MRI에서 우연히 발견된 1.3 cm 크기의 다혈관성의 목종괴에 대해 수술 전 종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술전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왼오름인두동맥에서 기시하는 영양동맥을 목표로 하여 총 80분 동안 시술이 이루어졌고, 총 12시리즈의 전자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방사선은 뒤앞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조사되었고, 총조사 방사선 양은 약 2 Gy였다. 시술 2주 후 후두부에 5×5 cm 크기의 사각형 탈모반이 관찰되었다(Fig. 1A). 탈모반 내 완전한 모발의 소실이 있었고, 두피의 염증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머리당김검사(pull test)는 음성이었다. 후두동맥과 얕은 관자 동맥의 맥박은 정상적으로 촉지되었다. 더모스코피에서 위축된 모발이 관찰되었으나 감탄기호털(exclamation point hair)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1B). 임상 양상과 병력 청취를 통해 뇌혈관 색전술에 사용된 방사선에 의한 탈모로 진단하고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였다. 3개월 후 추적관찰에서 완전한 모발의 재성장을관찰하였다(Fig. 2). 치료 목적으로 머리와 목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의 탈모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뇌동맥 색전술을 포함한 뇌혈관 중재적 시술을 위한 투시 방사선 조사 후에 발생한 탈모에 대해서는 아직 인식이 부족하다. 이러한 투시 방사선은 총 용량이 5 Gy 이하로 치료 방사선에 비해 매우 낮아 그 동안 모낭에 미치는 영향이 과소평가 되었다. 1998년 피부과학 학술지에 처음 보고된 이후 피부과학 영역에서 관심을 갖게 된지 15년이 채 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10여 예 만이 전 세계적으로 피부과학 학술지에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한 영상의학과 문헌에 따르면 뇌동정맥기형으로 코일 색전술을 시행한 155명의 환자 중 1.3%에서 이러한 탈모가 발생하여, 그 발생 빈도가 기존의 인식보다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1. 이와 같이 본 질환은 피부과에 비해 신경 영상의학과에서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그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시술한 과에서 피부과로 의뢰되는 예가 적어 현재와 같은 인식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한다. 뇌혈관 중재적 시술 후 발생한 탈모는 대개 시술 2∼3주 후에 발생한다. 대개 방사선 조사량이 가장 많은 후두부, 측두부 또는 두정부에 발생한다2. 탈모의 양상은 원형탈모와 같이 타원형의 반으로 관찰되는 것에서부터 머리선을 따라 미만성으로 발생하여 뱀모양탈모(ophiasis)의 형태를 보이는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본 증례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보고된 예도 있었다3. 이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모양과 방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학적 검사상 탈모반 내 완전한 탈모가 진행되어 있고, 두피의 염증 소견은 관찰되지 않는다. 머리당김검사(pulltest)는 대개 음성이며, 뒷목과 관자 부위의 동맥 맥박은 정상으로 촉진된다. 치료는 필요하지 않고, 대개 12주에서 14주 사이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매우 드물게 흉터 탈모가 보고된 바가 있다. 뇌혈관 중재적 시술 후 발생한 탈모 역시 치료 목적의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한 탈모와 유사한 기전으로 이해하고 있다4. 방사선에 민감한 성장기 모낭의 털 기질이 방사선을 조사받음으로써 급성 손상이 유발되어 조기에 퇴행기로 진행한다. Mooney 등은 뇌혈관 중재적 시술 후 탈모가 발생할 위험 인자로 총 100분 이상의 조사 시간, 높은 총 조사 용량, 조사 부위, 그리고 나이, 모발 밀도, 호르몬 상태, 유전 등의 생물학적 요인을 꼽았다5. 이 중 총 조사 용량은 피부에 흡수된 방사선의 양을 기준으로 3∼5 Gy 사이에서는 가역적인 탈모를 유발하지만, 7 Gy 이상에서는 흉터탈모를 유발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뇌혈관 중재적 시술 후 발생한 탈모는 원형 탈모와 감별이 필요하다. 하지만 염증의 소견이 관찰되지 않고 모발의 퇴행이 관찰된다는 공통점 때문에 임상 양상만으로 둘을 감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뇌혈관 중재적 시술을 받은 경우 방사선 조사에 의한 탈모를 의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시술시의 두피가 받는 압력으로 유발된 저산소증이 원인인 압력 탈모의 경우 4시간 이상으로 시술이 길어진다면 역시 감별할 필요가 있다. 드물지만 시술 전후 사용하는 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에 의한 탈모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보다 덜 침습적인 뇌혈관 중재적 시술은 그 빈도가 점차 늘어감에 따라 시술 후의 탈모로 피부과를 방문할 환자의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보고가 미흡한 상황에서, 이러한 탈모에 대한 인식과 이를 통해 일시적이며,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가역적인 현상임을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된다. 나아가 시술 전 피부과적 상담을 통해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모발의 변화를 미리 환자에게 주지시킴으로써 갑작스러운 탈모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정신적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에크린성 종양에 대한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 -대한피부과학회 피부병리 연구분과위원회 공동연구-

        신정현 ( Jeong Hyun Shin ),고재경 ( Jai Kyoung Koh ),김광호 ( Kwang ho Kim ),김명화 ( Myung Hwa Kim ),김상원 ( Sang Won Kim ),김수남 ( Soo Nam Kim ),김시용 ( Si Young Kim ),김유찬 ( You Chan Kim ),손숙자 ( Sook Ja Son ),오지원 ( C 대한피부과학회 2006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4 No.11

        Background: Various eccrine tumors are rather common diseases in clinicians. However, data on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eccrine tumors in Korea are limite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eccrine tumors in Korea. Methods: Two hundred and sixty five cases of eccrine tumors, seen from 2002 to 2004 in Korea,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Results: The most common eccrine tumors identified within Koreans were syringoma (61%), followed by eccrine poroma (13%), eccrine hidrocystoma (9%), and nodular hidradenoma (6%). Moreover, eccrine tumors were usually found to occur in middle-aged woman as multiple asymptomatic skin-colored papules. The most common site of occurrence was the face (45%), followed by the neck (9%), scalp (5%), foot (5%), abdomen (4%), and vulvar (3%).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and fundamental data on eccrine tumors for clinicians and pathologists. (Korean J Dermatol 2006;44(11):1273~128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