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 수록된 학술논문 외 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한 대한공업교육학회 활동의 역사 고찰

        김충환(Chung Hwa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 수록된 자료 중 학술논문을 제외한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여 대한공업교육학회 활동의 역사를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대한공업교육학회 설립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역할을 살펴보았다. 1970년대 초, 당시 공업육성정책에 따른 공업진흥을 위해서는 기술 인력의 확보 및 효율적인 기술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1974년에 공업교육의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자료, 교육시설 등에 대한 연구와, 현장과 교육기관과의 긴밀한 네트워크 도모의 목적으로 학회가 설립되었다. 둘째, 대한공업교육학회의 주요 활동의 범위는 정관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공업교육에 관한 조사 및 연구, 교육자료 및 교육방법, 연구발표회 및 강연회 등 개최, 회지 및 도서의 발간, 견학 및 시찰 등의 활동이 수행되어 왔다. 셋째, 대한공업교육학회의 활동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설립초기부터 1986년까지의 약 10년 기간 동안에는 수탁연구 수행, 학습자료 및 현장자료 공유, 학술대회 개최, 전문가세미나, 학술지 발간, 소식지 발간, 논설 및 강좌 기고, 국내외 공업교육훈련기관 소개 등 정관에서 규정한 다양한 활동이 비교적 활발하였으나 이후 1990년까지는 잠시 주춤하였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다양한 활동들이 다시 활발해졌으나 이후부터는 학술지 발간과 학술대회 개최 활동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2004년부터 현재까지는 이들 이외의 활동은 없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한공업교육학회가 공업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역할로서, 대한공업교육학회의 설립 목적 상기 및 이에 바탕을 둔 목표와 임무의 재정립, 학회의 정기적인 뉴스레터 발행, 공업교육과 관련된 중요한 정책적 이슈에 대한 회원들의 관심 제고, 학회의 전반적인 활동의 기록과 자료들의 아카이빙 등을 제언하였다.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activity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was studied from the three points of view based on the contents analysis of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excluding academic papers. First, KIIE was established on 1974, to satisfy the requirement for securing and educating the skilled works for industrial development, with the purpose of researches on curriculum, teaching method, materials, facilities for industrial education as well as enhancement of close network between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dustrial fields. Second, the articles of association include survey and research on industrial education,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holding conferences and seminars, publication of academic journals and books, tour field trip, and so on. Third, the trend of activity of KIIE showed that many activities were very active from the year of establishment to 1986, but these were stagnated from 1987 to 1990. The activities became active again from 1991 to 1996, however there showed little activity except publishment of journal and holding of conference until now since 1997. Based on the results, reestablishment of purpose of role of KIIE, publishment of newsletter, enhancement of interests on important issues, and archiving the materials of activities of KIIE were proposed as the roles of KIIE to develop and invigorate industri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임나영,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The Korean Journal of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and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The Korean Journal of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15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36 edition to 44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the central part in Industrial Education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the articles of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Third, key words of the Korean Journal of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the word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came out the most, followed the word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urth,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Industrial Educations are Survey Study,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if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교육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대한공업교육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의 발전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한공업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2011년부터 현재까지 발간된 15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대한공업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 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지속적으로 게재하고 있다. 2011년 3월부터 2019년 3월까지 158편의 논문이 실렸다. 둘째, 대한공업교육학회지의 경우 공업교육 논문이 기술교육이나 기타 주제의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키워드 빈도수는 특성화고등학교(28회), 국가직무능력표준(NCS)(11회), 마이스터고등학교(6회), STEAM 교육(6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67편, 42.4%), 개발연구(37편, 23.4%)가 주로 사용되었고, 문헌/내용분석연구(17편, 10.8%), 실험연구(15편, 9.5%)이 비교적 적은 비율로 사용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 연구로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 질적 연구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수가 아직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의 방법에서 정확한 기준이나 준거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타당성 검증이 필요한 연구이나 이를 제외한 경우도 다소 발견되었다. 넷째, 연구자의 과반수 이상이 대학교에 소속을 두고 있었고,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많았다.

      • KCI등재

        직업계고 화학공업 학과의 전문교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안재영(Jaeyeong Ah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3

        이 연구에서는 직업계고 화학공업 학과의 전문교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교육과정 및 화학 산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화학공업 학과가 지향해야 할 산업 분야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화학공업 학과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직업계고 화학공업 학과(총 46개과)의 교과, 기준 학과, 인력양성유형, 전공 분야 관련 자격증을 조사하였고 5명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화학공업 학과 중에서 화학공업 단일 교과로 구성된 학과는 33개과(71.7%)이고 융합학과는 13개과(28.3%)였으며 전체 직업계고의 융합학과 비율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화학공업 학과에서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인력양성유형과 자격증은 각각 화학분석기술자(28학과, 32.2%), 화학분석기능사(39학과, 42.4%)였다. 직업계고 화학공업 학과 중에서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연관성이 없는 인력양성유형 및 자격증을 설정한 학과는 3개과(6.5%)였다. 셋째, 직업계고 화학공업 학과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대분류 ‘화학’의 소분류(13개) 중에서 화학물질관리(48학과, 53.3%)에 대한 교육을 가장 많이 운영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화학공업 학과의 전문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컨설팅 및 평가 강화, 융합학과 표준 교육과정 개발, 화학공업 산업 변화에 따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편 및 환경 · 안전 전문교과 교육과정과의 중복성 개선, 화학공정관리 분야 교육과정 확대, 화학공업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강화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levance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of department of chemical industry in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is,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curriculum of 46 department of chemical industry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ca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epartments consisting of chemical industry subject were 33(71.7%) and departments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s were 13(28.3%). Second, the departments set chemical analyst(32.2%) for manpower training goal the most, and set craftsman chemical analysis(42.4%) for qualifications the most. And the departments that set manpower training goal and qualifications that are not related to national curriculum were 3(6.5%). Third, there were 48(53.3%) departments that teach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in category ‘Chemistr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s a result,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consulting and evaluation on curriculum design of department of chemical industry,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of departments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s, improving national curriculum for chemical industry, expansion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chemical process management, and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배선아,금영충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chemical industry teachers for STEM education of Chemical Industry area in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and mail surveys were conducted for 373 chemical industry teachers at 45 schools offering chemical industry courses across the nation. The following were foun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although chemical industry teachers understood positively the necessity of STEM education, they showed low levels of recognition on STEM education. Second, the rate of the chemical industry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applying STEM education was low. The biggest difficulty in applying STEM education was due to a lack of STEM education programs, followed by the difficulty in preparing STEM educational materials, and a lack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STEM education. Third, chemical industry teachers required to improve fundamental ability, enhance job skills,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interes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or STEM education. Four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demanded unit operation, followed by process control, manufacturing chemical, industrial chemical, and chemical analysi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to study STEM education. Fif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asked for the integration centering activities related real life, followed by the integration focusing on thema related to real life, the integrating centering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the integration focusing on issues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integration methods for STEM education. Six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required creative design/problem solving ability, followed by fundamental ability, job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develop through STEM education. Lastly, chemical industry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TEM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STEM education, teacher's training for STEM education,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 materials and etc in order to stimulate STEM education.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전국에서 화공 분야 학과가 설치된 45개 학교에 재직 중인 373명의 화공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공감하고 있었으나 STEM 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둘째, STEM 교육을 적용한 경험이 있는 화공교사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STEM 교육 적용에 대한 어려움은 STEM 교육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으로 인함이 가장 높았으며, STEM 교육 자료 준비의 어려움, STE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STEM 교육 실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의 교육방향에 대하여 기초능력 향상, 직무능력 향상,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흥미 있는 교육 순으로 요구하였다. 넷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을 위해 연구해야할 내용에 관하여 단위조작· 공정제어, 제조화학, 공업화학, 분석화학 ·순으로 요구하였다. 다섯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에 적합한 통합 방식에 관하여 현실생활과 관련한 활동 중심의 통합, 현실생활과 관련한 주제 중심의 통합, 학생의 필요와 흥미 중심의 통합, 문제 중심의 통합 순으로 요구하였다. 여섯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능력에 관하여 창의적인 설계/문제해결 능력, 기초능력, 직무능력, 대인관계 능력 순으로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화공교사는 STEM 교육 활성화를 위해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STE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의식과 태도, STEM 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가, 참고자료 보급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공업계 고교에서의 산학협력 실태 조사 연구

        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quo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propose methods through which more activ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can be stimulated. The methods chosen for this study are reference research and survey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imposing complete enumeration on the targeted high schools that specialize in industry related fields. The survey targets were the directions of academic affairs, the directions of practical affairs, and the director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each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ies of having opportunities to gain specific skills in different industrial fields, having chances to get stable employment, and securing the industrial institution’s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ustomized nurturing and supply of human resources as the primary goals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Second, the teachers express the similar opinion that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their current system is inappropriate to achieve their goals. Third, the teachers claim that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emphasizes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must be developed and managed. Fourth, it was found that when schools plan their educational curriculum, they often do not implement the requests from industrial institutions. Fifth, major educational program implement methods that meet the requests of the industrial institutions include field trips or the introduction of other field-base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the application of customized curriculums based 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nvitation of industrial-educational personnel as teachers to school environments. Sixth, it was concluded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proactively seek companies for cooperation; they need to support, develop, and manage school programs that are based 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finally, institutions need to enthusiastically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s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that are founded up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Seventh, the enforcement of selective curriculum for the benefit of diversify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pursuit of balancing the specialized curriculum through shedding the national educational level provided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amendments on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effectiv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the vital factors that can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within high schools specializing in industry and that are closely related to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교에서의 산학협력 실태를 조사하고, 산학협력 활 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이다. 설문 조사는 공업계 고교를 모집단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은 각 학교의 교무부장, 실과부장, 그리고 교육과정 관련 업무를 교무부장이 담당 하지 않는 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담당부장도 응답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교에서 산학협력의 목적에 대하여 교사들은 산업현장 맞춤형 직업교육의 기회 제공, 공업계 고교 졸업생의 안정적 직업세계의 진출 확보, 맞 춤형 인력의 양성과 공급을 통한 산업체의 경쟁력 확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공업계 고교와 산업체간의 산학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 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공업계 고교에서 산학협력이 강조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공업계 고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산업체의 요구 반영 정도에 대 하여 공업계 고교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산업체의 요구를 잘 반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업계 고교에서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주된 교육과정 운영 방법으 로는 산업체 현장실습 및 현장 체험 학습 운영, 산학협력에 의한 맞춤식 교육과 정 개발 적용, 산업체 인사 참여에 의한 산학겸임교사 제도 운영인 것으로 나타 났다. 여섯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학교 교육 영역에서 노력해야 할 사항은 산 학협력 대상 기업체 적극 발굴, 산학협력에 기반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개발․ 운영 노력, 그리고 정부의 산학협력 기반의 직업교육 정책 사업 적극 참여로 나 타났다. 일곱째, 산학협력과 관련하여 공업계 고교 교육과정 선진화를 위해서는 교육 과정의 다양화를 위한 선택중심 교육과정 강화, 보통교과 중심의 국가 수준 교 육과정 체제 탈피를 통한 전문교과와의 균형성 추구, 원활한 산학협력을 위해 국가수준상의 관련 지침 개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고등학교 역할과 기능의 우선 순위에 관한 공업교육 전문가 인식

        오승균,김진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elements of the function of the role of industrial high schools that its experts perceived.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verify the function element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specialized education through content validity ratio(CVR). This research adopted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method, which is to collect and come to an agreement of the opinions of the 26 research panels. The first round is constructed by the semi-constructed questionnaire for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the panels by inductive method. The second round is to categorize the result of the first one into 7 domains, and asked each category by Likert's 5 scale checklists, and statistically analyzed mean, medium, standard deviation, and quartile. The third round is to statistically analyz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um, and validity ratio(CVR) to reassure the opinions of the panel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rst one. The categorized contents of the function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specialized education in this research is 'in-service visit and in-service training', 'licence acquiring education', 'employment counseling and job employment information', 'custom-made education connected with industry', 'career education' and 'enhancement of basic career competency'. The panels are divided into professors, teachers, professionals, and policy administrators, and they verified the validity rate of the function role and priority of empha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ndency of the education is converting from physical function-centered education to education of emotional attitude and competence of thought.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교육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식기반사회에서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현재와 향후에 대한 학년별 우선 순위 요인을 구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교수, 연구원, 행정가, 공업계열 교사 등 26명의 공업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3라운드에 걸쳐 델파이 조사 연구로 이루어졌다.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역할은 현재는 취업교육, 진학교육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타났으나, 향후에는 취업교육, 진학교육, 창업교육, 평생교육 등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취업교육’역할에 대한 기능으로서는 현재는 3학년 위주의 신체적 기능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현재와 역순으로 ‘직업기초능력’, ‘일의 가치와 태도’, ‘직업진로교육’, ‘취업상담 및 직업․고용정보 제공’, ‘산업체와 연계한 맞춤형 교육’, ‘현장체험 및 현장실습 교육’, ‘자격증 취득 교육’등으로 저학년부터 정의적인 능력과 태도 교육을 강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학교육’역할에 대한 기능으로서는 현재는 3학년 중심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후는 ‘전공분야의 지식, 태도, 기능’을 겸비하고 대학진학을 위한 준비교육을 1학년부터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역할에 대한 기능 영역으로서는 ‘창업관련 동아리 활동 지원’, ‘창업 마인드 및 리더십 교육’, ‘창업지원 교육’, ‘창업 컨설팅’등이 현재보다는 향후에 2, 3학년 순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역할에 대한 기능 영역으로서는 평생교육의 개념상 학년별 검증은 유의미하지 않으므로 검증에서 제외하였으나 ‘재취업자 교육’, ‘재직자 재교육’, ‘교양 및 여가· 취미 프로그램’, ‘평생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등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이상과 같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역할과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 요인의 우선순위를 구명되었으므로, 향후 공업교육기관에서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시 적극 적용되어야한다. 또한 역할의 하위 영역인 기능 요인 영역의 구체적인 요인 분석은 후속 연구로 진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한공업교육학회지의 출판 동향 분석: 1976년~2021년까지

        최계원,이영민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1

        The paper aims to analyze publication trend and research productivity, targeting papers published for the past 46 years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 in the industrial education. For the publication trend analysis,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nd research productivity of authors was investigated through Lotka’s Law.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19 papers published 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from 1976 to June 2021.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writing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co-authors over 2 was higher than a single author. Second, the authors were most likely to belong to the university, followed by universit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government agency, affiliated organization, and public institutions. Third, the flow of records in giving paper showed that the number of continuants has decreased from time and only a few writers have presented their papers. Fourth,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research productivity discovered difference in actual figure and revised, theoretical one, which indicates that Lotka‘s Law was not applied to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Based on findings as shown below, this study suggests plan to develo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and increase research productivit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공업교육분야의 대표 연구 학술지인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 지난 46년간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출판 동향을 분석하였다. 출판 동향 분석을 위해 학술지 내 용 분석을 실시하였고 Lotka법칙을 적용하여 저자의 연구 생산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자료는 1976년부터 2021년 6월까지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 게재된 1,019편의 논문이었 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술 유형 분석결과 단독 저술보다 2인 이상 공동 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저자의 소속기관은 대학교가 가장 많았고 대학교, 초중등교육 기관, 정부부처·산하기관·공공기관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논문 발표 실적 흐름은 시간 이 경과할수록 지속저자의 수가 감소하였고 소수의 저자들만이 지속적으로 다수의 논 문을 발표하였다. 넷째, 연구 생산성 분석결과 실제치와 수정 이론치의 차이가 있어서 대한공업교육학회지는 Lotka법칙을 적용할 수 없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 후 대한공업교육학술지의 출판 활성화와 연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제언하 였다.

      • KCI등재후보

        공업교과 교육학의 개념 구조 탐색을 위한 이론적 접근

        류병로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study of industrial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1)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was proposed as 'subject for occupational competence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on the educational purpose. 2)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was proposed as 'subject for practical knowledge in the industrial/engineering technology'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3)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as was proposed as 'subject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 the system design and engineering context' on the educational methodology 4)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was proposed as 'design, building, testing and troubleshooting' on the educational process. 이 연구는 공업교육학의 학문적 기반이 될 공업교과 교육의 정체성 차원에서 공업교과 교육학의 개념 구조를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에 바탕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교과 교육의 개념은 기능 기술과 엔지니어링 응용 능력을 가진 공업기술인을 기르기 위하여 공업 기술의 지식체계에 근거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고, 평가하고, 고장해결 하는 일련의 엔지니어링 과정활동에 기초한 실천적 학습 방법을 통하여 창조적 문제해결을 경험하는 교과교육으로 정의 하였다. 둘째, 공업교과 교육의 성격은 교육 목표의 관점에서 직업 능력 교과, 지 식 구조의 관점에서 실천적 지식 교과, 교육 방법의 관점에서 시스템 설계와 엔지니어링 맥락에서의 기술적 문제해결 교과로 제시하였다. 셋째, 공업교과 교육의 개념적 모형은 공업교과 교육의 개념 정의에 따라 교 육의 목적, 내용, 방법을 논리적인 부수 관계로 도식화하고, 이 구조를 바탕으 로 공업교과 교육의 세 가지 성격 요소를 관련지어 나타내었다. 공업교과 교육학 의 이론적 틀은 교과에 대한 내용적, 설명적, 교육적 이해의 관점에서 구조화 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문가 패널들이 인식하는 공업계고등학교의 전문교육 역할

        오승균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elements of the function of the role of industrial high schools that its experts perceived.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verify the function element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specialized education through content validity ratio(CVR). This research adopted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method, which is to collect and come to an agreement of the opinions of the 26 research panels. The first round is constructed by the semi-constructed questionnaire for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the panels by inductive method. The second round is to categorize the result of the first one into 7 domains, and asked each category by Likert's 5 scale checklists, and statistically analyzed mean, medium, standard deviation, and quartile. The third round is to statistically analyz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um, and validity ratio(CVR) to reassure the opinions of the panel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rst one. The categorized contents of the function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specialized education in this research is 'in-service visit and in-service training', 'licence acquiring education', 'employment counseling and job employment information', 'custom-made education connected with industry', 'career education' and 'enhancement of basic career competency'. The panels are divided into professors, teachers, professionals, and policy administrators, and they verified the validity rate of the function role and priority of empha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ndency of the education is converting from physical function-centered education to education of emotional attitude and competence of thought. 이 연구 목적은 전문가 공업교육 전문가 패널들이 인식하는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전문교육 역할에 대한 기능 요인이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전문교육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 요인에 대하여 내용 타당도(CVR)를 통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과 대학교수, 공업계열 교사, 정책 행정가 등으로 구성한 26명이 패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하는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였다. 제1라운드는 반구조화한 질문지로 패널들의 의견을 귀납적으로 내용분석하였다. 제2라운드는 제1라운드의 결과에 기초하여 7개의 영역으로 범주화하고 5단계 Likert 평정 질문으로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사분범위 등의 값을 통계처리하였다. 제3라운드는 제2라운드의 결과에 기초하여 패널들의 의견을 재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내용 타당도, 합의도 및 수렴도 등의 값을 통계처리하였다. 이 연구에서 전문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범주화한 내용은 ‘현장체험 및 현장실습 교육’, ‘자격증 취득 교육’, ‘취업상담 및 직업․고용 정보 제공’, ‘산업체와 연계한 맞춤형 교육’, 직업진로 교육‘, 직업기초능력 함양’ 등의 기능요인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교수 패널, 교사 패널, 전문가 패널, 정책 행정가 등의 패널로 구분하여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전문교육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 요인의 타당도 및 강조 우선 순위를 검증한 결과는 신체적 기능 중심 교육보다는 정의적인 태도 및 사고 기능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전문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 요인의 구명으로 향후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의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국내외 고등학교 공업기술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이한규,진의남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etween foreign curriculum and our high school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curriculum, to review trend and stream of curriculum revision, and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subject-mat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research reference, journal, book, and Web materials. in this study, comparative target country was restricted to Japan, U. S. A., U. K., and N. Z., Australia that administer to similar subject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similar subject-matter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0matter was Japan' 'found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and etc, U. K.' 'design and technology', and N. Z.' 'technology',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design and technology'. 2. The result of analysis to purpose and strength of subject-matter,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was oriented to knowledge, understanding and career search in industrial area. but, the other was emphasize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by process-based method with thinking and action. 3. In the curriculum content, our country was treat to content area of a broad industrial world. on the other hand, Japan;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environment, process technology and product technology,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content standards by knowledge, process and context, U. K., N. Z., and Australia were focused 'design process'. Based on above results, the recommendation can be established as follows: 1.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curriculum. 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assessment of expert and stakeholder about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 성격과 내용이 유사한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방향, 그리고 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하여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들이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일본, 미국, 영국, 그리고 뉴질랜드와 호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으로는 일본의 ‘공업기술기초’와 ‘과제연구’, 미국의 ‘기술’, 영국의 ‘설계와 기술’, 그리고 뉴질랜드의 ‘기술’,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설계와 기술’ 등이 있었다. 둘째, 교과의 목표와 강조점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공업기술은 공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 그리고 진로탐색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일본, 미국, 영국, 뉴질랜드, 호주의 경우에는 과정적 접근 방법에 의한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고 있었다.셋째,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반적인 공업 세계의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나, 일본은 인간과 기술 및 환경의 관계, 가공기술과 생산기술, 과제연구를 다루고 있었으며, 미국은 지식과 과정, 그리고 맥락에 의한 내용표준을 제시하고 있었고, 영국, 뉴질랜드, 그리고 호주의 경우에는 설계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공업기술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태분석이 필요하다.둘째, 공업기술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분석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