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들의 환경 교과 내용에 대한 관심도 조사 : 대구지역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행 학교 교육과정은 학문중심의 내용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고, 학습이론에서도 탐구 이론적 접근이 부족하다는 점, 교과내용 중에서도 교과서 작성자의 미래 환경의식에 대한 사고와 대응의 미진, 내용상호간의 불일치, 재미있는 환경교육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학생들로 하여금 재미가 없어 호응도가 크게 저하되고 있다는 점과 다양한 교육개발의 부족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기에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김무식 외, 1998). 본 연구의 의의는 대구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환경 교과 내용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보고 관련변인을 밝혀내어 보다 효과적인 환경교육의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고등 학생으로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내용은 국가수준(교육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독립교과로 신설된 고등학교 환경교육 교재인 「환경과학」 에 제시된 내용에서 선정하였다. 「환경과학」 교과는 7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의 설문내용은 7개의 단원에 맞춰 각 내용을 교과 내에서 선정하였다. 총 문항은 50문항으로 49문항은 환경 교과 내용에 해당하고 마지막 문항은 전체 환경 교과 내용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보는 문항으로 하였다. 환경 교과 내용에 대한 관심도는 빈도와 백분율로 제한하였다. 설문지는 총 538부가 배포되었으나 응답에 있어서 무성의한 응답이 많아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분석에 사용된 것은 476매였다. 그래서 유효매수비율은 88%정도였다. 회수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적용된 주요 통계방법은 기본적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각한 환경문제의 해결책의 일환으로 새로운 가치체계의 대전환을 시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또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논리가 강조된 것으로 학습자들이 관심 있어 하는 환경내용을 알아내어 그 결과를 환경교육에 반영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분석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 내의 환경 교과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정도에 따른 환경 교과 내용들을 살펴보면 환경 교과 내용에 관심이 있는 학생의 경우 전체 49개의 문항 중에서 28문항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며 환경 교과 내용에 관심이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의 경우 14문항에 그리고 환경 교과 내용에 관심이 없는 학생의 경우 7문항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즉 위의 <표 IV-5, 7, 9>내용을 살펴보면 환경 교과 내용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든, 없는 학생이든, 또한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이든 모든 학생이 관심 있어 환경 교과 내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문항은 전체 49문항 중에서 23문항으로 모든 학생이 관심 있어 하는 환경 교과 내용은 환경 교과 내용에 관심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관심 있어 하는 환경 교과 내용들이었다. 그 중에서 악취로 인한 대기오염에만 환경 교과 내용에 관심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관심 있어 한 내용이고 나머지 모든 내용은 모든 학생들이 공통으로 관심 있어 한 내용이었다. 이것을 보아 학생들의 관심사는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환경 교과 내용을 단원별로 살펴보면 3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있는 I단원(환경과 인간)에서는 지구환경, 오존층파괴와 같은 생태계변화,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오염과 경제성장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전체 I단원(환경과 인간)에서 가장 관심이 많은 것은 세 번째 소단원(환경문제의 발생)에 속하는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오염이다. 그 이유는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인간이 피할 수 없는 피해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으로 본다. 전체 7개의 단원 중에서 I단원(환경과 인간)에 대하여 학생들이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II단원(수자원)에서는 물의 특성(중요성), 기름과 중금속으로 인한 수질오염, 화학운반선 사고로 인한 수질오염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며 수질오염현상인 적조현상에 대하여 학생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2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III단원(대기)에서는 대기의 특성(조성), 온난화현상, 스모그현상, 오존층파괴현상, 황사현상, 입자, 가스상오염(먼지, 매연), 액체상 오염(산성비), 도시열로 인한 오염(열섬효과)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III단원(대기)에서는 악취를 제외한 모든 내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며 그 중에서 황사현상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관심있다고 응답하였다. IV단원(토양)인 토양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왔다. 또 한 V단원(폐기물)의 폐기물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2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VI단원(소음과 진동, 방사선)에서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생리적 영향과 지진으로 인한 피해, 대량방사선으로 인한 피해, 세포파괴와 유전자변화와 같은 방사선오염현상, 핵폐기물 처리 미숙으로 인한 방사선오염에 많은 학생들이 관심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방사선에 대해서는 대체로 학생들이 개념적인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든 내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방사선오염에 대한 피해 사례를 여러 매체를 통해 들어왔던 걸로 예상된다. 2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VII단원(환경 보전대책)에서는 오염원의 제거와 방지대책 마련, 대체에너지 개발, 환경 보전 생활의 정착화, 환경 보전 정책 마련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전체 7개의 단원과 비교해 볼 때에 VII단원(환경 보전대책)에 관심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7개의 단원 중에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관심 있다고 응답한 단원은 III단원(대기)으로 거의 모든 대기에 관련된 모든 환경 교과 내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남녀별 환경 교과 내용에 대한 전체 관심도를 비교해 보면 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왔다. 또한 남녀 학생별 관심 있는 환경 교과 내용을 비교해 보면 남학생은 여학생과 달리 폐기물오염에 관심이 더 있었고 여학생은 남학생과 다르게 해양오염과 진동으로 인한 만성장해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그 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남녀 학생의 관심 있는 내용은 일치하였다. 그 내용은 위의 <표 IV-22>와 같다. Recently learner-centered educational logics has been focused on in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pay attention to students' participation and role as a demander of education. So, such researches as taking that educational current are need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research tried to take in learner-centered educational logics, just limited to the contents of a textbook 「Environmental Science」. For that, 49 contents in a textbook 「Environmental Science」were asked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interest on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dicates that all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I . Environment and Human, Ⅱ. Water Resource, Ⅲ. Atmosphere, Ⅵ. Noise?Vibration?Radiation and Ⅶ. Environmental Conservation Solution. Second, the analysis of contents shows that students are most interested in the Atmosphere unit. Thir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s that mal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than female students about the contents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mal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in Waste pollution, and femal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in Vibration and Sea pollution. All students have more interest in Environment pollution problem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solution. This research may be significant because it's an attempt to reflect students demand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significantly through the process of cumculum. So, it can be qualitative approach, considering students' right of learning of curriculum. I hope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 ICT를 활용한 음악교과 수업의 현황분석 연구 : 경기도 수원소재 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은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ICT를 활용한 음악교과 수업의 현황분석 연구 -경기도 수원소재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은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 정 순)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의 실태를 설문 조사하여 중등 음악 교육의 현 주소를 짚어보고 음악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 시내 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정한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 사항 면, 설문대상의 컴퓨터 활용능력 면, 교육환경 면, ICT활용 수업실태 조사 면, ICT활용 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면,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의 효과 연구 면, 개선방안 연구 면,전체 7개 항목으로, 문항 수는 세부문항까지 총 40문항이다. 설문지는 수원시 교육청 관내 사교육 현장을 임의로 선정하고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을 고려하여 관내 소속 시립도서관을 임의로 1개씩 선정하여 배부하였으며 회수율은 100%이나 본 설문조사에 활용된 설문지는 98%이다. 분석결과를 보면 학교에 설치된 컴퓨터는 사용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과 부정적인 응답이 반반으로 양분화 되는 현상을 보였고 ICT활용 수업의 인지도에 대한 응답은 부정적(43.6%)이었다. 학교에서의 ICT활용 수업 실시유무에 대해서는 부정적 응답이 전체의 과반수를 넘어서 (60.7%) 교육과정에서의 ICT 활용도가 떨어짐을 볼 수 있다. 또한 음악수업 시 자주 사용되는 기기에 대한 결과에서는 컴퓨터(43%), 프로젝션 TV(36.6%)로 조사되었으며 음악수업 시 자주 사용되는 학습 자료는 인터넷사이트(40.4%),교사가 직접 제작한 ppt자료(33.5%)가 조사되었다. 파워포인트로 제작한 프리젠테이션 활용 수업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의 응답은 부정적이었으며(77.4%) ICT활용이 수업의 질을 높이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도 부정적인 응답(60.6%)을 나타내었다. ICT 활용한 수업 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인터넷 속도(36.7%), 주변기기 부족 (25.9%)으로 조사되어서 교육환경의 개선이 시급한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수업방식은 설명식 수업에 약간씩 ICT활용수업을 한다(43.7%)로 조사되어 교사들의 ICT활용 수업방식에 문제점이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학생들의 생각하는 ICT 활용수업의 가장 좋은 점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습득이 가능해 지루하지 않다(44.6%) 많은 자료를 제공하여 음악을 이해하기 쉽다(25.3%), 학생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다 (24.1 %)로 조사되어 ICT활용 수업자체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ICT 활용수업이 활성화 되려면 교사의 인식개선이 뒤따라야 하고 인터넷과 전자기기로 대체되고 있는 반주대신 실음을 중시하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ICT를 활용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 져야하고 교육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해본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소재 4개 교육청 내 대표 군을 1개씩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전국적인 상황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부득이하게 실제 교과를 운영하고 계시는 교사의 의견은 배제되었음을 밝히는 바이다. A study in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n music class used ICT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in Suwon, Gyeonggi Province- by Kim, Eun Jung Music Education Major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 gu ( Supervisec by Professor Jang, Jeong Soon ) (ABSTRACT) This study has purpose on recognizing today's condition of the middle musical education through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class applying ICT at a middle school and finding the solution to what to do for the revitalization of mu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the survey aimed at th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in Su-won and divid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into the general things and the respondents' computer skill 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pplying ICT and research on the students' awareness about the class applying ICT and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music class applying ICT and the study about the plan to improve the class applying ICT. So, this survey consists of total seven items, fourty questions including details. We chose a private education site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Su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one city library within the jurisdiction randomly considering students who do not take a private education and handed out the questionnaire to the respondents of this survey. All of this questionnaire was got back but 98percent of whole questionnaire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it indicates two opposed opinions whether it is effective enough for us to use the present computer in schools. one is positive and the other is negative with roughly 50 vs 50. However, the response to the grade of the recognition in the class applying ICT is negative with 43.6% It is said that 60.7% is the negative response to whether the class appyling ICT is done or not in schools. In other words, we can see that ICT is not used that much in schools. For being frequently used equipments in music class, it is said that computer is 43% and projection TV is 36.6%. For being frequently used materials of studying, it is said that internet site is 40.4% and ppt which made by teachers is 33.5%. The response to the class applying presentation made with powerpoint is effective is negative (77.4%) the response to does the ICT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is mostly negative(60.6%) It is said that the biggest problem during the class applying ICT is internet speed(36.7%). This shows that the method of the class applying ICT has problems. In students' opinion ,however, there are some good things of the class applying ICT. First, it is not boring because of making student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using defferent method.(44.6%). Second. it is very easy to understand because of using a lot of materials(25.3%). Third, it cause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by inducing the motive of the studying(24.1%). By this, we can see that the awareness of the class applying ICT is posit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urvey, it suggests that we improve the teachers' awareness to revitalize the class applying ICT and implement the education using the real sound instead of the sound in the internet or an electronin equipment and conduct teacher-training program actively to improve their ability and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education. This study has a limit that it is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results to the whole country because of choosing and surveying each representative area within four offices of education in Suwon, Kyuong gi province. Also, it excludes present teachers' opinions inevitably.

      • 인간형성에 미치는 음악교육의 영향 : 대구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승아 大邱가톨릭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과학문명은 그 진보의 속도를 추측하지 못할 정도로 급속히 발전해 가고 사회구조도 복잡해졌다. 이런 사회에서 인간의 내재적인 면을 키우는 일에 음악교육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의 마음에 음악을 심어줌으로써 조화롭고 원만한 인간으로 인격을 갖추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음악교육의 목적이 된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사람들은 지나치게 현실의 이익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학생들마저도 예술을 멀리하고 음악교과를 기초과목에서 제거된 오락적인 교과로 전락시켜버리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의 음악교육이 국가 및 사회가 요구하는 지적·정서적·도덕적으로 올바른 인격을 갖춘 인간 육성에 얼마나 중요한가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역사의 흐름 속에 음악교육이 얼마나 중요했었던가를 보아 음악교육의 본질과 목표를 살펴보고 현 음악교육이 인간형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문헌조사와 대구지방 중학교 2학년들의 음악교육 영향에 대한 실태와 학생들의 음악 교과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하였다. 서양 역사에서 보아도 음악을 멀리한 민족들은 빨리 멸망하였다. 이는 인간의 내재적인 면을 키우지 못하여 그렇게 되었다. 구한말 우리 나라에서도, 음악교육을 일본의 독소를 받아들이는 정서교육을 하여 오늘날까지도 왜색적인 가요와 음악을 버리지 못하고 방송 등 매스컴의 무질서한 음악프로그램에서 이런 노래들이 범람하고 있는 것은 한심한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이것은 오랫동안 그들의 침략적인 수법이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단단히 뿌리 내려져 있음을 확인하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음악교육은 인간에게 음악을 접하게 함으로써 보다 인간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이다. 음악을 접한다는 것은 음악적 사고를 통하여 음에 내재되어있는 정신적인 힘과 우리의 삶이 융합을 이루고, 나아가 인간을 안정되고 조화로운 생활의 소유자로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로 인해 학생들의 최대 안식처는 음악인 것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음악만으로도 안정된 생활을 한다는 학생들이 많았고, 명랑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학생들도 있었다. 이로써 음악이 우리 생활 속에 정신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음악 교육자들은 음악을 통하여 미적인 감각을 극대화하고, 나아가서는 학생들에게 활기를 부여하는 음악교사로서의 직책을 이해하고 자기발전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음악을 인간성 완성의 수단으로서 그 사명을 다하려는 교사의 임무는 중대하다. 늘 한결같은 음악은 인간에게 강한 감동과 감화력을 주어 정신적인 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인간 본연의 미적 작용으로 음악교육이 인간교육의 출발점이 되며 창조적이고 자주적인 인간으로 만들기 위한 교육임과 동시에 생활교육임을 명심해야한다. Modern technology so rapidly develop that we cannot pressure the speed of progress and the social structure is very complexes. Therefore, music education play a important role to grow immanent personality. The ultimate purpose of music education to make harmonious and affable person. But nowadays people pursuit only practical interests excessively and students also keep away from art. Music subject is excluded from basic subject and degrade in this thesis, I focus that music education have an effect on building up personality. Through the study in history, I emphasize on the importance, nature and purpose of music education. And I examine the documents about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questionnaire to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Taegu to look into the pinion of students about music subject. If you see western history, you will find that the people who didn't appreciate music much destroyed early.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music education was distorted to take Japanese style songs and music and it is so undesirable that we can see these kinds of Japanese songs are broadcasted a lot through station and others mass communication. It also can be an evidence that Japanese invasive method was deep-rooted through these education. Music education helps people to enjoy their life more by helping people to appreciate music. Appreciating music makes the spiritual power which exists in music and our life be merged and makes people to be the owner of their settled and harmonious life. It was surveyed that student's the best refuge to take a rest is music. Students can maintain stability only by music and they can be exhilarated by music too. Now we can conclude that music. Influences our life spiritually very much. Especially, music educator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ir job to boot their students up and to make effort to self-development and they should develop esthetic sense. The teacher's duty to do their best to use music as the means of perfection of personality is very important. The music which is always same can give strong touch and influence to human being and it comes to be mental operation. We should remember that music education which is esthetic work of human nature should be the beginning of human education and that is the education to make people creative and independent and that is life education.

      • 中學校 美術敎育의 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大邱廣域市 中學校를 中心으로

        기영호 大邱가톨릭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methods of effectively administering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by investigate the reality of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examining and analyzing problems and improve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on understanding the art class, 44.7 percent of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purpose of art education is emotional purification. Second, 47.6 percent of them recognized that art curriculum is need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53.3 percent recognize that the central object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student-centered curriculum. Third, on the interest of student in art class, 55.2 percent of the students replied they do interested in art class. Fourth, on the reality of art education, teachers who stress on drawing in their art classes were the most at 46.7 percent. Fifth, on the environments and facilities for art education, art room was available for one class at a time. Sixth, on art teachers' training, most of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art guidance training or self training, and 61.9 percent of them recognized guidance training for art teacher is needed. Finally, on the problems and things that need improvement in art education, 31.7 percent of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lass subject and teaching method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art class.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upcoming twenty-first century, art education requires improvements as follow. First, the art curriculum should be rearranged for the guidance in appreciation part because of insufficient explanation of works in textbook and lack of understanding the idea and substance of a work. Second, considering the high interests of students in appreciation part, that is, the substance and subject of a work, teachers should lead student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interpret and appreciate a work, rather conceptional knowledge about the work. Third, almost all the school has art room but the place is not large enough that thoughtful concer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is problem is needed. Fourth, to improve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teachers should have more opportunity of training so that they can extend their specialty. Fifth, measures for actively using teaching hours such as securing hours necessary for actual classes are needed to be hammered out. Finally, art education should put its emphasis on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Therefore, with such an educational viewpoint, teachers, school and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of education as well as students themselves should make efforts together for students to cultivate sound mind.

      • 가톨릭계 유치원의 Montessori 종교교육 실태분석

        권영자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eachers who try to carry out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facilities of infant education with more reasonable, desirable content and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of Montessori, so that they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little children, in terms of developing disposition, cultivating religion and establishing healthy sense of value. Also this study will serve religious education effectively, by offering teacher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fields of Montessori and religious education for them to use it in real situation, and by connecting religion with daily life. Following subject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such purposes ; First, what . is the necessity and reality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originated kindergarten? Second, what is the reality of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out of Montessori education programs? Third, what is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originated kindergarten? Fourth,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five fields of Montessori(routine, sensibility, number, language and culture) and religious education? For dealing with such subject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9 Catholic-originated kindergartens nationwide. Responded kindergarten teachers were 626 from 157 facilities, of which faithfully responded 553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inally for data.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s for 4 categories ; the necessity and reality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originated kindergarten, the reality of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out of Montessori education programs,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originated kindergarten and the relation between five fields of Montessori and religious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are as follows ; Firstly, as for the necessity and reality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originated kindergarten, a great majority of teachers showed positive opinion. However, the real time spent for religious education was very short. That suggests religious education is accompanied with actual difficulty, despite the high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he necessity. Secondly,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program, among other programs, was found to be used most frequently in Catholic-originated kindergarten. Nevertheless, teachers evaluated themselves for lacking of understanding both theory and practice of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The teachers also pointed out that is most difficult thing in carrying out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Thirdly, the environment of religious education was also found out to be very poor. In most case, kindergartens were not provided with small sanctuary or atrium. That means the absolute shortage of space for practicing religious education. Lastly, most teachers recognized in general that five fields of Montessori are correlated a lot with religious education. Especially they thought the cultural life, out of five fields of Montessori, has the closest relation with religious education, then language and routine life in order. But in practical education, they barely linked each Montessori education program with religious education, against their recognition. This suggests that in spite of high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Montessori religious education, the shortage of theory and practice of it and the poor environmental condition keep teachers from performing it. So Catholic authorities needs to establish som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research institute within perish, in order to activate and change the entire aspect of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 중학교 1학년 창작영역 비교분석

        이현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사회ㆍ문화는 급속도로 변해간다. 거기에 맞춰 음악교과서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학생들의 학습수준과 창의성 계발에 적합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중학교 학생들은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음악적 능력과 음악에 대한 즐거운 경험을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교사는 음악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력과 표현력을 향상하는데 힘써야 한다. 따라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16종 창작영역을 분석하여 교육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과학기술부의 총론ㆍ해설서와 관련논문을 토대로 2010년 3월부터 시행되는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16종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음악과 내용체계에 의하여 활동ㆍ이해ㆍ생활화영역으로 구성되며 그 중 활동영역은 ‘노래부르기ㆍ악기연주하기ㆍ음악만들기ㆍ감상하기’의 네가지로 구성된다. 중학교에서 음악만들기(창작활동)는 ‘즉흥적으로 표현하기ㆍ간단한 형식의 가락 짓기ㆍ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음악 재구성하기ㆍ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중학교 음악과 창작영역 내용체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분포율을 제시하였으며, 교과서마다 각 영역에서 중요시되는 점과 미흡한 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창작영역의 내용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16종을 분석한 결과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위주로 제시되었으며,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음악은 전체적으로 많이 부족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중학교 음악과(音樂科) 교육과정은 창작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 수준과 학교 상황에 맞는 교과서를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의 음악적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ace of change in society and culture has been fast nowadays, and musical education should consider levels of students an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reflecting the times. Also it should lead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musical activity with positivity and enhance their basic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through cheerful experiences.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omprehensive faculty and power of expression by making good use of musical textbooks and elicitting their musical potentials. Therefore it is needed that we should focus on analyzing the part of Creativity in 16 versions of 1st grade's musical textbooks. This study analyzes 16 versions of 1st grade's musical textbooks into 4 categories, ‘expressing impromptu, making simple notes, reconstructing notes with utilizing various tools, creating music with digital tools’. And it shows the distribution chart by a method of analyzing the part of Creativity, and crucial/insufficient parts of each textbook are laid out in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16 versions of musical textbooks are leaning toward ‘expressing impromptu’ and contens of ‘utilizing digital tools’ are intensely deficient through this analysis. Now musical curriculum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creative education and enhance students' desire of exppressing music by enabling them to select a textbook in a wide range, which is suitable for students' level and a situation of a field of school.

      • 유아 국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법 연구

        정남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유아 국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법을 연구했다. 동시에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우리나라 유아 국악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으며, 유아기의 성장 발달 단계에 적합한 음악적 특징 및 능력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오늘날 유치원에서의 국악교육은 체계적인 교수법이나 교육 방법론으론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의거, 유아 국악교육현장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여건과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유아들에게 리듬, 노래, 율동을 종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국악 수업의 지도법과, 유아 교육 현장에서 더욱 흥미롭고 효율적인 수업이 되기 위한 지도법과 수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들에게 흥미롭고 효율적인 국악교육이 되기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경상북도 청도군 ‘ㄱ’ 유치원에서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 직접 수업한 곡을 중심으로 흥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유아 만 3∼5세의 총 32명에게 각각 5곡을 제시하여, 흥미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각 2곡씩 선별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만 3세 유아들은 느린 장단인 중모리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의 곡보다, 빠른 세마치장단이나 자진모리장단의 곡에 흥미로워 했으며, 이는 수업에 더 용이했다. 만 5세 유아들은 지금까지 접해오던 민요나 전래동요가 아닌 판소리와 같은 새로운 분야에 흥미가 많았다. 또한 다양한 음높이와 좀 더 복잡한 리듬으로 구성 된 곡도 소화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반주 역시 장구가 아닌 북을 바탕으로 하여, 국악 수업의 질을 향상시켰다. 주의집중 시간은 만 3세 유아들에게 20분의 수업 시간이 적당하였으나, 만 4, 5세의 유아들에게는 20분의 수업 시간이 부족했다. 결국 곡의 난이도에 따라 수업 시간 배분을 보완했을 때, 좀 더 향상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오르프(Carl Orff) 교육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율동은, 유아들 자신의 표현 욕구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교육 수단이다. 이는 장구나 소고, 한삼 등을 이용해, 가사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 활동이 좀 더 자유로워져 표현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국악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도와 성취도는 개인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실행 연구가 시도되어야 한다. 최근 들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국악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음악활동 수업이 아닌 발표회와 같은 형식적인 목적이 대부분이다. 여기서 유아들은 국악과 친해지기도 전, 선입견을 먼저 가지게 되어 국악 시간을 지겨워하고, 교사도 즐거움을 주기에 다소 어려움을 느낀다. 유아들에 있어 소리와 율동을 통합한 국악 수업은, 흥미를 유발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유아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율동이나 장단, 노래 습득을 용이하게 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때문에 교사는 유아의 선입견 해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들이 앞으로 자연스레 국악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 성장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국악 수업을 연구하고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오늘날 유아 국악교육현장에서, 우리 음악을 좀 더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then groped after the utilization strategy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focusing o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that were appropriate for the stage of early childhood growth and development. Current Korean music education at kindergarten has not been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ystematic teaching methods or educational methodologies.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s and statuses,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music in the actual scene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groped after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music education with which young children could be taught with rhythms, songs and rhythmic movements, comprehensively, together with teaching methods and lesson plans for interesting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ctual scen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for the interesting and efficient Korea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degree of interest, focusing on the songs actually used by the investigator at ‘ㄱ’ Kindergarten i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as a curricular program, from 2010 to 2012. And 32 children in their 3∼5 years of age were proposed with 5 songs, respectively and then 2 songs of which degree of interest was higher were selected from each of them, respectivel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hildren in their 3 years of age took a more interest in a slow jungmori jangdan or gutgeori jangdan than in a fast semachi jangdan or jajinmori jangdan. And the latter jangdans were easy for them to learn. Children in their 5 years of age took a more interest not in folk songs or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y accustomed to, but in new areas of music, such as pansori. In addition, they could perform songs that were composed of various pitches and more complex rhythms. Therefore, accompaniment was carried out not by janggu but by buk (a drum), thus enhancing the qu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s for attention-concentration, 20 minutes were appropriate for children in their 3 years of age, but it was not enough for children in their 4∼5 years of age. Eventually, class hours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of songs and thus a more improved lesson could be realized. In the application of Carl Orff’s educational method, rhythmic movements are important educational means of young children’s realization of their expressive desires. When janggu, sogo (a small drum) and hansam were used, physical expressions that harmonized with lyrics were more unconstrained and expressiveness was improved. However, since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achievement in Korean music education vary by individual differences, a practice study must be carried out based on diverse study methods in the future. In recent times,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carry out Korean music education, but most of them aim not at a musical activity but at a formal event, such as a recital. On this account, young children get a biased view of Korean music, even before they are familiar with it. And they are bored with the Korean music class and teachers also get some troubles in making the class interesting. Korean music education that integrates sounds and rhythmic movements can induce young children’s interest. In addition, when young children take part in it voluntarily, they can learn rhythmic movements, jangdans or songs more easily and carry out activities more creatively.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rope after strategies to get rid of young children’s biased view and carry out researches and studies on a variety of Korean music genres, in order to make young children be proud of Korean music naturally and achieve a proper growth. The investigat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the data for more interesting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raditional music in the actual scene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 철학적 관점에 본 인성교육의 의미

        채창석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성”(human nature)은 성격(character) 혹은 인격(personality)과 구별된다. 성격은 기질적이거나 생리적인 것이며, 생명적 삶을 효율적으로 살기 위해 갖추어진 생명적 기제이다. 한편 “인품”, “품성”, “성품”으로 이해되는 “인격”은 우리 인간의 정신생활에 어떤 방향을 부여하며, 새로운 세계에 대한 정신 내지 의식의 지향에 적극적으로 간섭하고 있는 것으로 정신 작용의 토대가 된다. 인성은 이런 인격 작용의 배경 내지 장(場)이 되어준다. 철학적으로 “인성”이란 인간의 본성 개념과 연관이 있다. 철학사 안에서는 ‘인간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인간에 대한 이해가 달랐으며, 상이한 인간이해에 따라 인성교육의 의미도 달랐다. Platon과 Aristoteles에게 있어서 인간 본성은 영혼이었으며, 교육 또한 영혼의 교육(paidea)이었다. Kant는 인간의 본성은 인격으로 이해했다. 이 인격은 자유로운 이성적 활동의 중심으로써 실천행위의 주체이면서 물체에 대립하며, 그 자체 고유한 가치와 존엄을 가지는 그리고 자유를 실행하는 자를 뜻했다. 그러므로 칸트에게 있어서 교육이란 감각과 감성의 의한 속박에서 벗어나 이성의 자발성, 즉 자유를 실현하여 도덕법칙을 따름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격적인 존재가 되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다. M. Sheller 역시 인간의 본성을 인격에 두고 그의 인격개념을 전개해 나간다. 그는 인간의 모든 정신적 활동("Akt")의 중심을 인격으로 보았다. 인격은 구체적인 활동 가운데 일어나는 것으로 이 인격을 통해서 동, 식물과 구분되며,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여 인간이 더욱 인간답게 된다. 그는 이러한 인격의 발로가 ‘의욕함’, ‘애착함’이며 이는 곧 사랑임을 확신했다. 이러한 그의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교육은 ‘본보기 교육’으로 일괄된다. 교육이란 보다 높은 가치를 담고 있는 자를 추종(사랑, 의욕)하는데서 시작하여, 추종하는 인격은 한 가치 담지자의 모든 인격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셸러의 인간이해와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셸러적 인성교육을 정리 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이란 바로 사랑의 교육이다. 어떠한 인식보다 사랑함이 먼저 선행한다고 본 셸러에 의하면 자신을 넘어 세계에로 무한히 성장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펼치기 위해서는 먼저 사랑이 발동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인성교육을 포함한 모든 교육의 출발점라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 본보기가 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사는 스스로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는 인물, 더 넓은 세계에로 개방된 인물이어 한다. 그러는 가운데 학생은 교사에게 담긴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게 되고, 그 가치를 사랑하며 성장하게 된다. 인성에 관한 이러한 철학적 탐색이 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에 대한 이해는 실증적인 지식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실증적 지식만으로 인간을 이해할 때 인간은 외면화, 수량화, 평균화, 물화(物化)되어 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올바른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형이상학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둘째, 인성교육이란 특정한 시대와 상황에 따른 그때 그때 적합한 인간상을 그려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인성교육이 아니다. 동양적으로 볼 때 인성은 “마음(heart)”을 뜻하는 것으로, 마음 자체는 무엇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무엇에 의해 가꿔지거나 길러질 수 있는 것도 아니요, 사람들 각자에게 동일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성을 교육한다는 것은 도덕법칙의 준수, 윤리적 행동요령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것 보다는 근본적으로 이러한 모든 것을 스스로 지키고 준수 할 수 있는 인성을 갖추게 하는 교육이 바로 인성교육이라 하겠다. Human nature is separated into “Character” and “Personality”. Character is temperamental or physiological. It is a life mechanism to live life efficiently. On the other hand, 'personality' is understood as 'nature' or 'temper', that gives some direction to the human spirit. And the 'personality' becomes the foundation of our spiritual process which interferes in spirit or conscious concerns to the world positively. Human nature becomes the background or playground of this characteristic process. Philosophically, "Human nature" i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human natur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understanding of the human was different according to 'how do you understand the human?' and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human. To Platon and Aristoteles, human original nature was the soul. Also education was the education(paidea) of soul. Kant understood the human original nature as personality. This personality is the center of a free rational activity and the main body of practical behavior opposed to the objects, and has its own inherent value and dignity and the thing which is performing the freedom. Therefore, education to Kant is the escape from the bondage of emotion and sense. That is the leading thing to be an personal existence ultimately by obeying moral rules. M. Sheler also expands the concept of his character based on the nature of human personality. He regarded the center of all human mental activity(Akt) as personality. Personality happens among the specific activities. Through the personality human is discriminated from animal and plant, and that makes human more humanized by pursuing highly value. He thought of manifestation of this personality as 'will', 'affection' and soon convinced that was lov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humanity, his education is summarized as 'exemplary teaching'. Education is started to follow(love and will) the people who holds higher value. Following personality accepts every personalities of the holders, which is very educational place. If I summarize Sheller's education of personality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theory and understanding of human, as follows: The education of personality is the education of love. According to Sheller who thought loving was preceding more than any recognition, love had to be active to spread the possibilities that can grow endlessly beyond himself to the world.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education, including character education. Here is that the teacher's role is important as an example. Teacher must be the people who pursue a higher value on their own and open to the wider world. Meanwhile the students discover the unique value contained in teachers, and love the value and will grow. These philosophical navigation on human nature can give some significance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s impossible by only empirical knowledge. When we understand human beings only by empirical knowledge human will become outward appearance, quantification, averaging and goods. For this reason, the correct character education about human nature needs the help of metaphysics about human nature. Second, the character education is not to describe the proper human figure according to the state or specific time period. It is not the character education in the strict sense. According to the Orient, personality means 'heart'. Heart, itself cannot be changed by something, cannot be decorated or grown by something, is not the same thing to each people. To educate this personality is containing the meaning beyond action tips and obedience of moral rules. More than that, education to equip the personality to obey these everything fundamentally by themselves is called the correct personality education.

      • 중학교 음악 교육 과정 연구 : 4차 교육과정 이후 가창곡을 중심으로

        김은정 大邱가톨릭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deals with the fourth through the seventh curriculum which show the must outstanding changes in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he changes of the contents in vocal the selection of vocal music in music text. Education course is compared in detail. The vocal music of each curriculum is analyzed by the school grade. The contents of text hasn't changed much in tonality, meter, nation, music form. However, some contents has been distributed well, some parts were one-sided.(Especially in nation part). The distribu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xt text compilation. The better quality in music education is required about and the theoretical contents are various and subdivided but the education environment is not good enough for the better. In the analysis of curriculum and vocal music, we need to increase the class of music per number of students on one teacher for the better education. Most of songs are out of date and th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had trouble so the students feel music class difficult. The students cause a complication between popular songs and music text book songs and in real life they never use the letters and they make it taboo for signing that difficult songs. In the selection of songs we need to consider their senses and make them a chance to study the history of popular songs so they can have their opinion about popular songs.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the basic system for the effectual teaching method in music education classroom. Furtherm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up the necessary groundwork, for the continuous changes in music curriculum of middle school.

      • 현대미술교육에서 입체적 조형양식 중 Object 을 이용한 수업에 관한 연구

        박우열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Contemporary Art education has been changing with the currents of the time. And Now a great emphasis has been put on a creative education, which respects the personality of the students who will lead the society and are capable of meeting a mechanical civilization. The aim of this poper shall b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otential power in the formative arts, in helping them become interested in an esthetic experiences. In this paper I will try to fi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Object' It's the material students havn't used up to now, and they havn't been familliar with it, "Object'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But it would be a great method of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to learn how to use the material 'Object' getting out of the existing simple school teaching in Art Education. Until now students havn't had a chance to meet with new educational circumstances. They have just been in a stereotyped structure of education. The course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has given way to a technical one, which may have a bad effect on the diversity of students learing styles. According to my research, students want to express something more, with the different materials from which they have used up until now(91.8%). Than with the existing materials like crayons, patels, dyes and so on(21.5%). I want to present a direction of Art education with an 'Object' which will open the way of new expressions in Art. Furthemore I want the students to have three-dimenfional formativeness, esthetic visual development, comprehension of the formative principles, discovery of new shape and education from one's environment(recyle), not satisfying with the old conception a plane Art, paintings as a result of teaching how to use 'Object'. In this way the students are able to experience and cheate a new Art world. I hope this paper will be useful to teachers so that they can develop various media and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 work, which will lead to a creativ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