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용성의 사상과 화과원에서의 저술활동

        이수창(마성) 대각사상연구원 2017 大覺思想 Vol.28 No.-

        백용성의 사상은 한마디로 ‘大覺思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이 터득한 ‘깨달음(覺)’을 세상에 널리 펼치기 위해 ‘大覺敎’라는 새로운 교단을 창립했다. 그가 말한 ‘大覺’이란 곧 本覺, 始覺, 究竟覺을 일컫는다. 본각이란 佛과 祖師가 나기 전부터의 본래 깨달음 자체를 말하고, 시각이란 일체중생의 성품은 본래 깨달음임을 깨달았다는 것이며, 구경각이란 본각과 시각이 둘이 아닌 하나로 완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것이 백용성의 大覺思想이다. 백용성은 자신이 터득한 이 대각사상을 전파하는데 일생을 바쳤다. 화과원은 농장이나 과수원이라기보다 수행도량, 즉 ‘수도원’이나 총림의 성격에 가깝다. 백용성이 꿈꾸었던 화과원은 禪․敎․律을 兼修하는 청정한 수행도량, 즉 叢林이었다. 실제로 이곳에 禪院이 개설되어 운영되었다. 조선불교선종총림 종주 백용성이 1938년에 발급한 安居證書가 남아있다. 이러한 증거을 통해 볼 때 화과원은 외부와 차단된 ‘수도원’과 같은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용성이 입적한 이후에도 화과원은 그 제자들이 치열하게 수행하고 佛學을 연찬했던 수행도량이었다. 백용성이 만년에 저술한 세 가지 종류의 책을 통해 그의 불교관을 엿볼 수 있다. 그는 『晴空圓日』에서 자신이 창립한 대각교의 핵심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그리고 『吾道의 眞理』와 『吾道는 道』라는 소책자는 대각교에서 말하는 大覺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보다 쉽게 서술한 것이다. 특히 『오도의 진리』와 『오도는 각』은 대각교가 해체된 이후에 저술되었다. 대각교는 1936년 경 해체되었고, 1938년 朝鮮佛敎禪宗에 편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용성은 병든 몸으로 자신의 대각사상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오도의 진리』와 『오도는 각』을 저술했다. 이를 통해 백용성이 비록 당시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대각교』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지만, 끝까지 대각사상에 대한 신념을 버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Baek Yongseong's thoughts can be described ultimately as 'Daegaksasang(Supreme Enlightenment)'. He established a new Buddhist order 'Daegakgyo(Supreme Enlightenment Foundation)' for the purpose of propagating 'enlightenment' he had reached. 'Supreme Enlightenment' he mentioned contains bongak(本覺), sigak(始覺) and gugyeonggak(究竟覺). Bongak means the original enlightenment itself before Buddha and the buddhist master were born. Sigak indicates we have grasped that the nature of all sattva(sentient beings) is originally enlightenment. And gugyeonggak signifies that bongak and sigak are not two but one complete state. Baek Yongseong dedicated his whole life to the propagation of Daegaksasang he had mastered. Hwagwawon is rather similar to a 'Buddhist monastery' or monastic teaching center than to a farm or orchard in its nature. Hwagwawon Back Yongseong dreamed of was a pure and immaculate practice hall, a monastic teaching center in which zen meditation, doctrines and vinaya(orders) were trained and taught all together. In fact, a meditation hall was opened and operated there. A retreat certificate issued in the year of 1938 by Baek Yongseaong, the supreme patriarch of Seonjong Chonglim of Joseon Buddhism, has been handed down to date. With these evidential documents, it seems that Hwagwawon played a role of 'monastery' secluded from the outside. Even after Baek Yongseong passed away, Hwagwawon was a practice hall where his disciples intensely cultivated and pursued Buddhist studies. His view of Buddhism can be grasped through the three books Baek Yongseong wrote in his late years. He put systematically in order the core doctrines of Daegakgyo he had established in Cheonggongwonil(Pure Sky and Round Sun). And in booklets The Truth of Odo and Odo Is Do, he plainly described the meaning of Supreme Enlightenment preached in Daegakgyo. It is needless to say these were written to propagate the idea of Supreme Enlightenment widely. The Truth of Odo and Odo Is Do were especially written after Daegakgyo had been dissolved. Daegakgyo was disbanded around the year 1936 and incorporated in Joseon Buddhism Seonjong in 1938. Nevertheless, Baek Yongseong created The Truth of Odo and Odo Is Do on his sickbed in order to spread the idea of Supreme Enlightenment. We understand from these facts that though Daegakgyo had to be dissolved due to various unfavorable circumstances, Baek Yongseong didn't give up his belief in Supreme Enlightenment to the end.

      • KCI등재

        백용성 대각사상의 생사관 연구

        문현공 대각사상연구원 2019 大覺思想 Vol.31 No.-

        Yongseong(龍城), one of the representative Seon(禪) masters of modern Buddhism, emphasized Daegak(大覺) thought and established the theory and practiced it in reality. Daegak means beopseong(法性), jeonggak(正覺), and the Buddha.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Beopseong and searched for life and death perspectives of Daegak Thought. First, I looked at Daegak's definition of death. In Daegak Thought, death is defined as the separation of the hun-p'o(魂魄) by a view of Confucianism, including the halting of the physical function of breathing arrest and the collapse of sadae(四大). However, Yongseong defines death as taking the two dimensions of saengmyeolsim(生滅心) and jinmyeongsim(眞明心) and denies both of annihilationism(uccheda-vādin) and eternalism(śāśvata-vāda) so that the body is born or disappears but jinmyeongsim is not. Second, I looked at the background of life and death by looking at Daegak Thought's reincarnation, and the inheritance process after birth. Yongseong says that reincarnation occurs because of karma, and that the endogenous life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ction of body temperature and vijñāna. He explains that if body temperature goes down and disappears, it is born in evil destinies, when body temperature rises and disappears, it is born in good destinies, but vijñāna acts in the flow of body temperature. He said, when the body is destroyed in the process of inheriting life after death, jeongmyosaekgeun(淨妙色根) becomes the foundation of inheritance, and based on ālayavijñāna, the seed of good and evil is ripe and antarā-bhava inherits with seeds. However, Yongseong emphasizes that such processes are vanity in the ultimate view of Daegak and ultimately the function of avidyā. Finally, I searched Daegak thought's perspective on the solution of death in theory and practice. Yongseong points out that the cause of birth and death is karma caused by habits, and the power of karma arises from avidyā. He explains the working principle of avidyā through Dasheng qixinlun(大乘起信論), and says that he must go beyond avidyā and into the world of Daegak without death. The practical aspect is centered on Yongseong's book, Imjonggyeol(臨終訣), which says that everyday practices exert their power when dying. Also, Yongseong said that through karma's power of practices, we could get nirvāna from life and death if we faced the causes of various appearances at the moment of dying. Lastly, he said that even if one did not achieve enlightenment before one’s death, the power of practices will be manifested at the time of dying, and it is also the driving force behind achieving enlightenment after death. 근대불교의 대표적 선사인 용성은 대각사상을 강조하며 이론을 정립함과 동시에 현실 속에서 실천했다. 대각(大覺)은 도처에 편재하는 법성(法性), 정각, 석가모니불 등을 의미하는데 본 글에서는 법성에 초점을 두고 대각사상의 생사관을 탐색했다. 본문에서는 먼저 대각의 죽음정의를 알아보았다. 대각사상에서 죽음은 호흡정지 및 사대(四大)의 붕괴라는 육체적 기능의 정지를 포함해 유가의 관점을 빌려 혼백(魂魄)의 분리라 정의된다. 그러나 용성은 생멸심과 진명심(眞明心)의 두 차원을 들면서 단멸론과 상주론을 부정하고 육체는 생멸하나 진명심은 생멸하지 않는다고 죽음을 정의한다. 둘째로, 대각사상의 윤회설과 사후생의 상속과정을 보면서 생사발생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용성은 윤회가 업력으로 인해 일어나는데 내생처는 사망시의 체온의 이동을 관찰하면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체온의 흐름이면에는 식의 작용이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사후생이 상속되는 과정에서 육신이 소멸하면 정묘색근(淨妙色根)이 상속의 의지처가 되고 아뢰야식의 토대위에 선악의 종자가 이숙되고, 중음신이 종자들을 품고 상속이 진행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용성은 이러한 과정들은 결국 무명의 작용일 뿐이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대각의 생사해결에 대한 관점을 이론과 실천적 측면에서 탐색했다. 용성은 생사의 원인이 습관으로 인한 업력 때문이며 이는 무명에서 연유한다고 언급한다. 그는 무명의 작동원리를 기신론 사상을 통해 설명하면서 무명을 넘어 생사가 없는 대각본연성(大覺本然性)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실천적 측면은 「임종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용성은 평상시의 수행이 임종시에 그 힘을 발휘한다고 강조한다. 수행한 습기(習氣)의 힘을 통해 임종시 일어나는 여러 상들의 원인을 직시하면 생사해탈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생전에 깨달음을 얻지 못했어도 수행했던 힘은 임종시에 발현되며 또한 임종 이후 깨침에 이르게 할 동력이 될 것이라 말한다.

      • KCI등재

        백용성 스님의 大覺禪 연구

        한태식 대각사상연구원 2023 大覺思想 Vol.40 No.-

        용성 스님(1864~1940)의 일생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대각(大覺)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는 출가 후 대각을 위하여 끊임없는 참회와 화두참구 및 경전의 열람 등을 하였다. 깨달음을 얻은 후 그 법을 실천하기 위해 일생동안 노력한 것이 대각교운동이다. 이러한 열정이 나올 수 있었던 원인을 대각선(大覺禪)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용성 스님의 대각관은 어떠한 것인가. 경론상의 대각의 의미는 부처님을 뜻하기도 하며, 한편 부처님의 깨달음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러면 용성 스님의 대각관은 무엇일까. 시각, 본각, 구경각을 성취한 것을 대각이라 하고, 이는 자신의 깨달음인 자각(自覺)과 그 깨달음을 사회화하여 다른 사람도 깨닫게 하는 각타(覺他)를 구족하는 선(禪)을 대각선(大覺禪)이라고 하였다. 둘째, 용성 스님의 대각선 사상이 정립하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먼저 산중수행에서 4차에 걸친 깨달음을 성취한 것이 기본이 된다. 용성 스님은 불자 뿐만 아니라 비불자 심지어 타종교인들에게까지도 전법도생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적극성이 있다. 그 1차 계기는 1911년 경성에 입성하여 교회와 성당을 둘러보고, 그들의 외형적인 모습과 적극적인 포교방법에 감탄하고 위기의식을 느끼게 되었다. 이때를 1차 대각선 사상 정립기로 볼 수 있다. 2차 계기는 1919년 3·1독립운동 민족대표 33인으로 서대문 감옥에서 타종교인들과 한방에서 생활하면서 그들의 신앙생활과 포교방법을 보고 불교의 나아갈 길을 모색하게 되었다. 만약 용성 스님께서 서대문 감옥생활이 없었다고 한다면, 출옥 후 많은 변화는 없었을 것이다. 이때가 2차 대각선 사상 정립기라고 볼 수 있다. 셋째는 대각선의 실천이다. 대각선을 대중화, 민중화, 사회화하는 깨달음의 사회화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선포교의 대중화이다. 대각선은 누구나 깨닫게 하는 선이다. 그의 포교방법은 참선으로 포교하는 것이었다. 대각선의 화두는 민중대각화사업이었으며, 마지막으로 대각교운동이다. 대각선을 실천하기 위하여 대각교라는 공동체를 만들었다. 각 처에 대각교당을 세우고, 그 목적을 민중대각화사업(民衆大覺化事業)에 두었다. 따라서 용성 스님은 대각을 성취한 대각인(大覺人)으로 대각사상을 정립하고, 대각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조직화 한 것이 대각교운동이다. 기본 바탕은 대각선이라는 독특한 선수행과 선포교방법인데 그 목적은 깨달음의 사회화인 민중대각화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e life of Venerable Baek Yongseong is defined by his unwavering pursuit of Great Enlightenment(大覺). After renouncing secular life, he dedicated himself to endless repentance, hwadu concentration, and scripture reading to attain Great Enlightenment. Following his enlightenment, he devoted his life to practicing the Dharma and founded the Movement of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driven by his passion for Great Enlightenment Meditation. First, what is Yongseong’s view of the Great Enlightenment? The meaning of Great Enlightenment in the Buddhist scriptures means Buddha; on the other hand, it symbolizes Buddha's enlightenment. He construed the concept of Great Enlightenment as the realization and culmination of innate enlightenment(始覺), primal enlightenment(本覺), and ultimate enlightenment (究竟覺). This interpretation led Yongseong to define Great Enlightenment Seon as Seon(禪), emphasizing the amalgamation of personal enlightenment, self-realization, and the practice devoted to guiding others toward similar levels of enlightenment. Second, w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Yongseong’s philosophy of Great Enlightenment Seon? The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achieved through mountain meditation were the basis. His proactive approach aimed to impart teachings not only to Buddhists but also to non-Buddhists and followers of different faiths. Interactions with various religious representatives in Gyeongseong's churches and cathedrals reinforced his commitment to advancing Buddhism through meditation and propagation. This marked the initial phase of establishing the ideology of Great Enlightenment Seon. His involvement i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led him to reside in Seodaemun Prison alongside 33 representatives from diverse religions, enabling him to study their religious practices and missionary methods. This period marks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phase of Great Enlightenment Seon thought, evolving notably due to his experiences in prison. Third, he emphasized the practice of Great Enlightenment Seon. By popularizing the Great Enlightenment Seon, he sought to socialize enlightenment. Also, he emphasize the popularization of seon practice propagation. The topic of Great Enlightenment Seon was the project to enlighten the people. Lastly, he founded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Movement. He created a community called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to practice Great Enlightenment Seon. To summarize, his legacy as a great guardian of Great Enlightenment lies in his establishment of the Great Enlightenment thought, development of the Great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His unique meditation practice and propagation teachings were the foundation of this movement, with the ultimate goal being the socialization of enlightenment. Daegak-sa temples were erected in numerous locations to support the Project of the People's Great Enlightenment.

      • KCI등재

        김성숙의 불교사상과 그 變容

        차차석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6 No.-

        운암 김성숙의 정치관 속에 투영된 불교사상과 그 변용은 어떠한 양상 일까. 김성숙은 출가하여 전통적인 불교교육을 받고, 중국으로 유학을 떠 난다. 이후 현대적인 정치경제학을 공부하고 사회주의 운동, 독립운동, 그리고 해방 이후 통일운동을 통해 일생을 국가와 민족에게 헌신하며, 동시에 일생을 통해 다양한 스펙트럼의 사상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의 정치사상에 불교적 영향이 다양하게 투영되어 있다. 자료 적인 근거를 가지고 특정한 불교사상의 영향을 받았다고 논할 수는 없지 만 그의 정치사상에 불교적 가치가 강하게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다양한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가 추구한 것은 민본과 무저항 비폭력의 민주공화국을 건설하는 것 이었다. 그러한 국가 건설의 전제조건이 민족의 독립과 자존이며, 해방 이후에는 민족적 정치적 통일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김성숙의 사상 속에 서 불교의 자비사상에 입각한 정치관, 사회관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다 른 한편으로 화엄사상이나 선사상에서 중시하는 원융사상의 영향도 살펴 볼 수 있다. 그것은 대립과 갈등을 넘어 통합과 회통을 지향하는 것이었 다. 그의 정치사상에 투영된 불교적 영향은 순수한 불교, 그 자체라 말할 수는 없다. 서구에서 들어온 현대적인 학문 내지 정치철학과 불교가 결 합한 것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불교사상이 현대사회에 필요한 만큼 변 용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무상한 현실을 감안한다면 훈고학적 전통 에 묶여 있는 것보다는 실용적으로 변용되는 것이 필요하며, 그것이 대 중의 요구와 구원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오히려 그것이 부처님의 가 르침에 한 발자욱 더 다가가는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김성숙의 일생은 다사다난했지만 불교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평생을 헌신했다고 평가하더라도 결코 손색이 없는 훌륭한 불교운동가였다고 평 가할 수 있다. I tried to look into about the Buddhism thought reflected in the politics of Unam Kim seong suk and the metamorphosis. He became entering the priesthood and took traditional Buddhism education and then he left to study abroad to China. After studying modern politics, economics, socialist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n He devoted himself to a nation and race through the unity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At same time, He showed the thought of various spectrum through the all his life. But Buddhism influence is reflected at his politics thought variously. I can not discuss with the basis to be the data in that he took the influence of specific Buddhism thought. His politics thought is inhered Buddhism value strongly and I can confirm the point through various analysis. His politics thought might have been erected at the foundation of Buddhism thought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be a pointless argument. His pursuit was to build a democratic republic of democracy and non-violent and non-resistance. The prerequisite condition of such nation construction is the self-respect with the independence of the race. It was a national and political unity after the liberation. In the thought of such Kim-seong suk, I could look into a political and social view which bases on at the mercy thought of Buddhism. On the other side, I could look into the part of a complete fusion with considering the value of The Avatamska sutra or Zen thought. It was to intend the unity and fusion over opposition and trouble. Buddhism influence which is reflected at his politics thought was genuine Buddhism but it could not say itself. Modern study in Western Europe or political philosophy may be combined Buddhism and either the Buddhism thought can be the metamorphosis as much necessary to the modern society. but considering evanescent actuality, it need to become the metamorphosis practically than in binding exhortation tradition. If it is to need for masses's requirement and salvation, Rather it is considered to approach one step more for teaching of Buddha. In that sense, the life of Kim-seong suk was eventful, but he devoted to realize Buddhism value through his lifetime. I can evaluate that he was ever great Buddhist activist and it would never be inferior to evaluate.

      • KCI등재

        백용성과 대각사 연구

        허정선 대각사상연구원 2020 大覺思想 Vol.34 No.-

        백용성(1864∼1940)은 19세기 말 일본의 한반도 강점기에 활동했던 불교의 선수행자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백용성은 전법의 땅이며 3․1 독립운동의 성지인 대각사를 창건했다. 백용성은 그 암울했던 시대에 한국 전통불교의 중흥과 독립을 위해 크게 노력했다. 당시 조선 사회는 동학 민란 및 유교의 쇠퇴로 혼란스럽고 어수선한 사회였다. 불교 또한 조선왕조 초기부터 억불숭유 정책으로 극심한 탄압을 받아 왔으며 그 결과 겨우 법통을 이으며 명맥만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출가한 백용성은 전국의 여러 사찰과 선원에서 수행한 후 1911년 서울로 상경하여 한국 전통불교의 중흥과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헌신하였다. 1916년 백용성은 그의 대각사상과 민족의 독립을 위한 활동 그리고 대중포교 활동의 거점이 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봉익동 1번지에 위치한 대각사를 창건하였다. 또한 백용성은 삼장역회를 출범시켜 수많은 역경 사업, 한글 대각교 의식집을 포함한 활발한 저술 활동 등 불교 포교 활동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백용성과 대각사 연구를 위해 필자는 세 시기로 구분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백용성이 상경한 1911년부터 백용성이 3․1 독립운동 민족대표로 옥고를 치르게 되는 1920년까지를 첫 번째 단계로 구분하였다. 1기에서는 대각사의 창건과 불교계 독립운동의 중심지로서 대각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백용성이 경성 감옥에서 출옥한 해이면서 삼장역회를 출범시킨 해인 1921년부터 대각사의 소유권이 범어사로 인계되는 1936년 전해인 1935년까지를 두 번째 시기로 구분하였다. 2기에서는 역경사업과 저술사업의 장, 저항으로서의 대각교 선포의 장, 그리고 대중 포교를 위한 중심이 되는 場으로서 대각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936년부터 백용성이 입적하는 1940년까지를 마지막 세 번째 시기로 구분하였다. 3기에서는 대각사의 범어사로 소유권 인계, 계속된 번역과 저술사업의 場, 그리고 대각사의 조선불교 선종 총림으로의 전환을 다루었다. 백용성이 한국 불교사에 길이길이 기념되듯이 대각사가 한국불교발전에 끼친 영향도 백용성과 더불어 길이길이 기억될 것이다. Rev. Yongseong Baek(1864∼1940) was a Buddhist monk and independence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great master built Daegaksa Temple, which would become a mecca for Buddhist teaching and a fulcrum of the March 1st Liberation Movement. In that gloomy period, Yongseong tirelessly strove for the independence and the revival of traditional Korean Buddhism. At that time, Joseon society was in a chaotic and disordered state, largely because of the Donghak Civil War and the decline of Confucianism. Buddhism was also severely oppressed by hegemonic dynastic rule; nevertheless, the religion was strong enough to prevail for monks like Yongseong to succeed to the abbacy. In this social atmosphere, Rev. Yongseong, who had been ordained as a Buddhist monk, moved to Seoul in 1911 after practicing in various temples and meditation halls across the country. It was here in the capital where he devoted himself to the revival of traditional Korean Buddhism and its growing popularization. In 1916, he established Daegaksa Temple, which would not only act as the intellectual hive for his Daegak ideas but also as the center for his national independence and mass proselytization activities. In addition, in 1921, Rev. Yongseong organized the Samjang Translation Society, thus initiating a fully∼fledged translation project that would translate and publish in earnest Buddhist scriptures. The first period was between 1911 and 1920. The great master Yongseong was sentenced to prison for signing the famous March 1st 1919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e was released from Gyeongseong Prison in 1921. The first phase examines the founding of Daegaksa Temple as well as the role the temple would play as center for the Buddhist independence movement. The second period was between 1921, the year in which the Samjang Translation Society was launched, and 1935 when the ownership of Daegaksa Temple was transferred to Beomeosa Temple. In the second phase, I examine the role Daegaksa Temple played as the center of public mission; for instance, as loci of translation and writing projects, of resistance (vis a vis the declaration of Daegakgyo), and of mass proselytization. Finally, the third was between 1936 and 1940 (Rev. Yongseong passed away in 1940). The last phase covers the ownership of Beomeosa Temple, wherefrom he continued his translation and writing projects, including the transition to the Chongrim (a comprehensive monastic training system) promulgated by the Joseon Buddhist seon order. Just as Yongseong is justly celebrated in the annals of Korean Buddhist history, people will likewise remember Daegaksa Temple for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후보

        『각해일륜』분석 - 동북아사아불교의 전통과 관련하여 -

        신규탁 대각사상연구원 2008 大覺思想 Vol.11 No.-

        이 논문은 용성스님이 쓴 『覺海日輪』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 분석을 시도함에 있어 필자는 동아시의 불교의 전통이라는 시야를 적용하였다. 이 책은 모두 4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권과 제2권에서는 인간 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교리적으로 설명했고, 제3권에서는 참선 수행에 필요한 실천적인 방법을 설명했고, 제4권은 『육조단경』의 요점을 추려서 한글 번역하고 해설했다. 이 책의 제1권과 제2권에서 사용한 교리는『화엄경』속에 나오는 ‘一心 緣起’ 철학과, 『기신론』에 나오는 ‘一心二門’ 철학과, 『능엄경』및『원각경』에 나오는 ‘圓覺妙心’철학이다. 이 철학을 하나의 용어로 표시하면 ‘法性의 철학’이다. 그리고 3권과 4권에서는 간화선 수행에 필요한 ‘의심’ 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용성의 이런 사상은 동북아시아 특히 중국과 한국의 전통적인 불교 역사와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는 그의 이런 사상을 이런 전통 위에서 사상사적 위치를 분명하게 했다. 용성스님이 동아시적인 법성의 철학을 수용하게 된 출발점은 자신의 선불교적인 체험에서 시작한다. 이런 선불교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용성스 님은 당시 한국에 유행하는 법성의 철학 체계로 구축된 전통 강원의 이력을 본다. 이렇게 이력을 보면서 터득한 자신의 철학을 그는 ‘大覺思想’ 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리하여 그는 일생을 통하여 이 ‘大覺思想’을 보급 하는 운동을 펼쳤다. The thesis which is the analysis of The Kak-hie-il-ryun; 覺海日 輪by Bek, yiong-sung; 白龍城(1864-1940) who were a monk. As the practice through the analysis, it is used traditional sight of East-Asia Buddhism. The book is consist of 4 volumes, the first and second volume: explain about "What is the human-bing?" through Buddhist doctrine method, the third volume: explain about practical method of Zen-meditation, the forth volume: translate and interpretation of The yuzutuanjing; 六祖壇經from the focus. The using theory of the first and second volume that 'The philosophy of 'Yixinyuanqi; 一心緣起'of The Huayanjing; 華嚴經and 'The philosophy of One mind's two dimension; 一心二門' of The Qixinlun; 起信論, also 'The philosophy of Pure Mind; 圓覺妙心'of The lengyanjing; 楞嚴經and The yuanjiaojing; 圓覺經. These philosophy indicate of the one term which is called 'The dharmatā philosophy; 法 性哲學'. And the third and forth volume that emphasize 'doubt' of the needs to 'The kanhua-meditation; 看話禪' ptactice. The idea of Bek, yiong-sung is equally blows East-North Asia especially China and Korea traditional Buddhism history. The thesis tried that his idea located over above tradition clearly. The start of accommodation about East-Asiatic 'The dharmatā philosophy; 法性哲學' by Bek, yiong-sung which is following personal experience of Zen-Buddhism, he had finished the traditional buddhist academy's curriculum at that time in korea. As the getting theory of finishing master, he is called 'Dai-kag-sa-sang; 大覺思想'. Therefore he was come into spread all over that sang throughout his whole life.

      • KCI등재

        『백용성 대종사 총서』 발간 경위와 성격

        이재수 대각사상연구원 2017 大覺思想 Vol.27 No.-

        본 논의는 근대시기의 불교계의 고승인 백용성이 남긴 자료를 조사 수집하여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백용성 대종사 총서』 발간을 수행한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아울러 총서의 성격과 향후의 과제는 무엇인지를 규명할 것이다. 백용성의 사상을 계승하고 실천하는 (재)대한불교조계종 대각회의 활동과 실천적 토대 위에서 『백용성 대종사 총서』가 발간되었다. 이는 1991년 도문스님이 주도한 『용성대종사 전집(18책)의 출간과 1998년 대각사상연구원의 연구사업이 토대가 되었다. 2012년 2월 한보광에 의해서 『용성 대종사 전집』을 전면 재조사 및 번역을 통하여 『백용성 대종사 총서』 발간 및 전산화 사업은 시작되었고, 대각사상연구원과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의 협력사업으로 추진되었다. 2013년부터 관련 연구자들이 백용성의 저술을 번역하고, 총서편찬위원회에서는 원고를 증의하고 교정하였다. 2년 동안 증의와 윤문을 통해 원고를 정비하였다. 31종의 문헌과 20,533.6매와 신발굴자료 2,705매, 총 23,238.6매의 원고를 가지고 발간 작업을 수행하였다. 2016년 10월 말에 『백용성 대종사 총서 Ⅰ그룹은 8권, 4,898쪽, Ⅱ그룹은 12권 9,222쪽, 총 20권 14,120쪽의 총서를 출간하였다. 논자는 『백용성 대종사 총서』의 성격과 가치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첫째, 『백용성 대종사 총서』는 백용성의 업적을 선양하고 그의 사상을 실천하려는 공동체의 협력 사업으로 발간이 진행되었다. (재)대한불교조계종 대각회가 주관하고 대각사상연구원, 동국대 불교학술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동국대출판부가 4년간 정성을 기울인 조직적, 협력작업의 성과이다. 둘째, 현재 한국불교가 나아가야할 좌표를 담았다. 과거 근대시기에 불교개혁, 대중화와 대각교 운동을 펼친 백용성의 가치를 발견하고, 현재에 이를 계승하고, 미래에 전승하기 위한 사상을 담았다. 이를 위해 전문가에게 우리말로 풀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을 맡기고, 총서의 통일을 기하기 위하여 증의 및 윤문을 하였다. 셋째, 기존의 자료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신발굴자료를 집대성하여 기 고문을 비롯한 9항목 163종 339건을 발굴하여 수록하였다. 여기에 백용성 관련 연구의 권위자인 김광식의 연구역량이 발휘되었다. 넷째, 『백용성 대종사 총서』의 발간에 그치지 않고 총서의 가치를 배가하고 확산하기 위해 전산화 사업과 함께 하였다. 색인, 총목차, 해제, 연보와 참고문헌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백용성 관련 연구를 총망라하였다. 다섯째, 『백용성 대종사 총서』는 불교학 연구의 새로운 기반을 구축하였다. 백용성 관련 원전연구 및 번역본을 통한 사상의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근대불교 및 한국불교 고승의 수행과 관련 인물 및 사건 정보 등 다양한 분야로 연구를 확산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였다. 향후 총서에 담긴 신발굴자료는 백용성 관련 연구 및 근대불교연구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총서의 결과를 아카이브로 구축해 인터넷 서비스를 하여 총서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백용성과 불교고승 및 근대불교는 물론 관련 인문학 연구의 확산에 기여할 것이다. 본 논의를 통해 『백용성 대종사 총서』 발간의 과정과 성격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연구와 다양한 활용에 이바지하기를 기원한다. 앞으로 전산화 사업을 통해 백용성의 가치가 불교계를 넘어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하는데 함께 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esents an arrangement of processes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which was published through the investigation, collection, identification, and systematic arrangement of the materials left by him, who was a high Buddhist priest during the modern time. This study further set out to examine its nature and future tasks. The Series was published based on the activities and practical foundation of Daegakhoi under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hich was formed to inherit and practice Baek's ideas. Its publication was on the basis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Grand Master Yong-Seong(18 volumes), whose publication was led by Buddhist Priest Domun in 1991, and the research project of 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in 1998. In February, 2012, the project of publishing and computerizing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began as Han Bo-gwang conducted a full-scale re-investigation into The Complete Collection of Grand Master Yong-Seong and translated it. The project was carried out as a joint project with 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and Institut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 Culture Content. In 2013, the researchers involved in Baek's works started to translate them with the publication committee of the Series reviewing and proofreading the manuscripts, which were sorted out through reviewing and embellishment for two years. The publication work was based on total 23,238.6 pages of manuscripts including 20,533.6 pages of literature in 31 kinds and 2,705 pages of newly identified materials. It was in late October, 2016 that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was published in total 20 volumes of 14,120 pages, which include eight volumes of 4,898 pages in Group I and 12 volumes of 9,222 pages in Group II. The investigator further delved into the nature and value of the Series, an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ries was published through a joint project among communities that tried to enhance Baek's achievements and practice his ideas. It was the fruit of devoted and organized collaborations among 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Institut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 Culture Content under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Press over four years under the supervision of Daegakhoi. Second, it proposed the coordinates where the current Korean Buddhism should be oriented toward and contained the ideas to discover the values of Baek Yong-seong, who promoted the reform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developed the Daegakgyo movement during the modern days, inherit them in the contemporary times, and transmit them to the future generations. They thus asked some experts to translate his works into Korean so that the readers could easily understand them and made it sure that the Series would go through the stages of reviewing and embellishment for its unity. Third, they put together newly identified materials to overcome the old material limitation and identified and included 339 new materials of 163 types across nine categories including contributions in the Series. It was in this area that Kim Gwang-sik, an authority on the research of Baek Yong-seong, exerted his research capabilities. Fourth, the publication of the Series was accompanied by the computerization project to multiply and spread its values. The computerization project provided concerned information including the index, total table of contents, Haeje, chronology of his life, and reference, covering all the researches about him. Finally, the Series built a new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f Buddhist studies. Not only did it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his ideas through the research and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about him, but it also established a basis to expand his research to more diverse areas including the asceticism of high priests, related figures, and event information in the modern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In the future, the newly identified materials included in the Series will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new routes in the research of Baek and modern Buddhism. They also plan to build an archive of the results of the Series, provide the service on the Internet, and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Series, thus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research on the related humanities as well as high Buddhist priests and modern Buddhism. The discussions in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ation process and nature of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the related researches, and the various uses of the Series. In the future, its computerization project will help the values of Baek Yong-seong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ational culture beyond the Buddhist community.

      • KCI등재

        대각회 자료 DB구축의 성격과 전망

        이재수 대각사상연구원 2023 大覺思想 Vol.40 No.-

        백용성 대종사는 근대 시기 한국불교의 전통을 회복하고 정체성을 확립 하기 위해 헌신하였다. 그의 사상은 대각선에 담겨 있고, 그 실천을 위해 삼장역회를 조직해 경전을 우리말로 번역해 유포하였다. 대각회는 백용성 대종사의 사회적 실천을 이어온 조직이므로, 대각회의 자료에는 그러한 역 사적 증거가 담겨져 있다. 본 논의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대각회 자료를 전산화하고 아카이빙을 통해 한국불교 정체성 확립의 기초를 다지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2013년부터 5년 동안 수행한 『백용성 대종사 총서』 간행 사업의 성과를 살펴보아 논의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2021년부터 수행한 ‘대각회 자료 전산화 사업’의 과정과 성과를 논의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서 논자는 <대각회 아카이브>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한 과제로 첫째 대각회 문화유산의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의 장기 적인 마스터플랜 수립, 둘째 지속 가능한 아카이브 운영 기반 마련, 셋째 매체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확장성 구현, 넷째 대각사상의 역사적 사회적 확장을 담을 구술사의 도입, 다섯째 ‘개방형 연결 데이터’를 위한 표준화와 개방성, 여섯째 콘텐츠의 공유와 개방을 보장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본 논의를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대각선의 실천을 통한 사회적 확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Baek Yong-seong(白龍城) dedicated himself to restoring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and establishing his identity during the modern period. His thoughts are contained on the Daegakseon(大覺禪), and for that practice, a Samjang Yeokhoe(三藏譯會, the Association for Translation of the Tripiṭaka) was organized and the scripture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distributed. Since Daegakhoe(大覺會) is an organization that has continued Baek Yong-seong’s social practice, the data of Daegakhoe contain such historical evidence. This discussion looked at digitalizing the data of the Diagonal Conference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archiving. First, the results of the project to publish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which was carried out for five years from 2013, were examin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iscussion. Next, the process and achievements of the ‘Daegakhoe Data Digitalization Project’ carried out since 2021 were discussed. Through this discussion, the author proposed building a <Daegakhoe Archives>. The tasks for this are, first, establishment of a long-term master plan for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operation of Daegakhoe cultural heritage, second,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archive operation, third, implementation of scalability to cope with changes in media, and fourth, introduction of oral history that will contain the historical and social expansion of Daegak ideology, fifthly, standardization and openness for ‘Linked Open Data’, and sixthly, ensuring sharing and openness of content, etc. were proposed. This discussion aims to contribute to social diffusion through diagonal practice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 KCI등재

        백용성스님과 연변 대각교당에 관한 연구

        한태식(보광)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6 No.-

        용성스님의 활동 영역은 주로 서울과 남부지역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북부지역에 관심을 가지고 용정에 대각교당을 설립하게 된 배경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나, 직접적인 인연은 북청의 광산사업과 함흥의 대흥사 염불방 불사에서 시작되었다. 연변 대각교당은 용정지역에 1927년 3월에 시작하여 9월 11일에 봉불 식을 하였으며, 당시에는 300여명의 신도를 확보하였다. 용정시내에는 대 각교당이 있었고, 농장은 명월촌 일대에 있었으며 규모는 약 7만 내지 8 만평도로 보인다. 교당에는 학생회와 신도회 조직까지도 구성되었으며, 지속적인 법회와 넓은 공간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곳은 단순한 포교당이 아니라 백용성스님의 해외 민족독립운도 지원 사업지의 역할을 하였다. 독립운동가들에게 음식과 의복과 자금을 공급 하였으며, 그들의 쉼터역할을 하였다. 용성스님은 이곳을 중간기지로 하 여 독립자금을 지원하였으며,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로도 활용 되었다. 그러나 여기에도 일제의 마수가 뻗쳐 난관에 봉착하기도 하였다. 또한 조국을 떠나 살길을 찾는 이주민들에게 삶의 보금자리와 일자리 를 제공하였다. 그 운동이 바로 禪農佛敎이다. 받는 불교에서 주는 불교 로 변화를 시작하였으며, 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이 새로운 불교포교의 방법임을 실험한 곳이다. 이러한 용정 대각교당의 유지관리 및 사상적인 계승은 지속되었지만, 언제까지 유지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1941년까지 유지 되었으나 해방이 후 자산의 문제는 알 수 없다. 정확한 위치 조사와 발굴은 선결과제이다. 앞으로의 문손들이나 정부에 의해 발굴조사 복원하여 그 정신을 계승해 야 할 것이다. The destiny to establish the Yongjeong Daegakgyo Temple was originated directly from the mining business in Bukcheong and the Buddhist prayer for resembling Buddha in the Daeheungsa Temple in Hamheung. The Yanbian Daegakgyo Temple started in the Yongjeong district in Mar, 1927 and held the Buddha Worship Ceremony on Sep 11, which had secured about 300 believers at that time. Its land is said to have been as large for farming thousands of days or as 70 Hyang (晌), which was owned by the temple for the purpose of farmstead as well. The temple was consisted with the organizations of Students association and believers association, which looks to have had consistent Buddhist services in the large space. The temple was not just a propagation hall but it was the support project site as well for the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people. It not only supplied the independence campaign workers with food, clothing, and funds, but also played the role of their relaxation site. The Buddhist Priest, Yongseong, had supported the independence campaign fund from the temple as a midway base, which was also used as the place providing diverse information. He also had provided the living nest and jobs for the Korean immigrants seeking the way for living away from the fatherland. His campaign to achieve his goal is so called Seonnongbulgyo [Farming Priority Buddhism]. The temple is where he initiated the change from the receiving Buddhism to the giving Buddhism and practiced the experiment that the aid to livelihood is the new Buddhism propagation method. The maintenance and ideological succession of the Yongjeong Daegakgyo Temple has been continued persistently, but it is not known until when it has been sustained. It had been sustained until 1941, but it is unknown about its property after the liberation. It is the premise to survey and excavate its accurate location. The spirit must be taken over by his grandchildren of the family or by government after excavation, survey, and restoration. I wish that this seminar can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mission.

      • KCI등재

        일엽(一葉) 선사의 만공 사상 재해석과 독립운동

        한운진(경완)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29 No.-

        만공(滿空)은 암울한 시대적 분위기에 굴복하지 않고 선풍(禪風)을 드높인 근대 한국불교의 선지식이다. 서릿발 같은 수행자이자 걸림 없는 도인으로 무엇보다 비구니 제자를 평등하게 지도하였다. 그 가운데 일엽(一葉)은 만공에게 직접적인 가르침을 받았던 대표적인 비구니 중의 하나이다. 다채로운 삶의 궤적을 뒤로하고 감행한 그녀의 입산은 만공과의 인연이 결정적이었다. 출가 후에도 일엽은 만공이 주석했던 덕숭총림 수덕사내 비구니제일선원 견성암과 환희대에서 투철한 수행을 이어간다. 일엽은 만공의 가르침대로 절필하였을 뿐만 아니라 견성암 수행 내내 죽비를 들고 입승직을 지켰으며 만년에 주석했던 환희대에서 장좌불와의 정진을 이어간다. 일엽은 만공의 열반 이후에 집필활동을 재개하며 대중포교의 원력을 펼친다. 1960년 최초로 발간한 수상집 어느 수도인의 회상은 아쉽게도 독자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62년 몇 편의 작품을 추가하고 제목을 바꾸어 발간한 청춘을 불사르고가 당대의 베스트셀러에 오른다. 이 책은 호사가들에게 회자되며 ‘비구니’, ‘여류’, ‘문필가’의 작품으로 호도되어 대중에게 널리 읽혔다. 반면 작품의 가치는 일문잡사(逸聞雜事)로만 평가 절하된 면이 적지 않다. 사실 이 책이 쉽게 읽을 수 있는 은유된 불교 서적으로 일엽이 불교사상을 스토리텔링하고 만공의 사상을 재해석한 결과물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에 본고를 통해 일엽의 불교사상 스토리텔링과 만공 사상 재해석을 증명한다. 연구 방법은 두 선사의 문헌자료인 만공의 법어(어록)와 일엽 저서의 대조를 통한 구체적 근거의 제시이다. 구술 증언을 보충 자료로 활용하며 아울러 근래 발견한 일엽의 육성을 통해 만년의 생명 사상을 고찰한다. 더불어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일엽의 독립운동 기록을 공개하여 일제 강점기에 천명한 일엽의 민족정신을 제고한다. Man-gong is a Seon(禪) Master of modern Korean Buddhism who increase the Soen in the gloomy age. Man-gong is a monk and also a teacher who equitably educate Buddhist nuns. Iryŏp is a representative female disciple who received direct instruction from Man-gong. And this is the breakthrough of Iryŏp’s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leaving from varied life. Iryŏp stops writing after following Man-gong's guidance and meditates on the Gyeon-sung-am and Hwan-hee-dae. Iryŏp begins writing again after the nirvana of Man-gong and exerts the power of mission. Unfortunately, the first essay, “Reflections of a Zen Buddhist Nun”, was not noticed by the reader. But the following year, “After burning the youthful ardor” which was published after adding several works and changing the title, became a best seller. This book has sparked the curiosity of the world, but it is actually a metaphor for Buddhist books resulting from Iryŏp's storytelling about Buddhist thought and reinterpretation of Man-gong’s thought. Accordingly, this paper proves Iyŏp’s reinterpretation of Man-gong’s thought through comparison Man-gong’s Buddhist writings with Iryŏp’s literature. In addition, testimony and oral communication is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newly discovered content of Iryŏp's recording tape indicates that Iryŏp's thought on life is evolving from a Man-gong’s thought. This paper also consider Iryŏp's national sprit through the book which refer her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