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활성화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부천시를 중심으로

        이수일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ABSTRACT Regional Revitalization and Urban Regeneration for Community's Residential Satisfaction : Focused on Bucheon City Lee, Soo Ill Dept. of Urban Planning and policy, graduate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s an active spa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functions,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ing to urban regeneration to recov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w functions, breaking away from the framework of new city development and urban maintenance projects. Considering that this is a series of processes to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regional revitalization in cities that have been stagnant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effect of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specific analysis of this was insuffici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and substantially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local revitalization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urban regeneration studies to revitalize the region and improve community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ly, based on practical empirical analysis to improve sustainable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regional revitaliza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effici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the policy direction and policy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specifically set as follows to understand these factors, as regional revitalization will lead to improvemen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framework of restoring local communities and improving residential satisfaction. First,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ich is a parameter. Second,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a parameter. Third, it was attempt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urth, residents' participation was intend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parameters would be effectiv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resident satisfaction by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Fifth,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resident participation will affect resident satisfa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 particip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Sixth,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will affect residence satisfa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Seventh, community consciousness was intended to be verified by judging that the parameters would be effectiv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Finall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each route was judged to differ according to the general neighborhood and economic-based area.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to compl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discussing and theoretically examining regional vitalization factors,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ty spirit, and residence satisfac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nd Chunui-dong, Wonmi 1-dong area, of Sosabon-dong and Sosabon-3-dong, Wonmi-2-dong and Simgok-2-dong, Bucheon c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designed and proposed in the Chunui-dong, Wonmi 1-dong area, a survey method was used for each region to the residents of the target area. The survey period was from August 20, 2022 to October 20, 2022.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5 residents in each dong, 6 dongs, 420 copies were collected, 398 copies were used as valid samples, an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wanted to secure.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questionnaire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 of 39 people were analyzed by data.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activation factors, community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after going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measurement model validity test for valid research model test. In this study, variables consisted of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data analysis col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as used by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or each variable,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use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MO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r research model test. Looking at the main researc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14 out of a total of 17 path hypotheses were adopted, and 3 hypotheses were rejected. Based on th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also increased residents' particip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also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increasing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also increases community consciousness. Third,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but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confirming that increasing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increases residential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meaningful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that high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lso increased resid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n resident satisfac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 and the economic-based area. First, it was foun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increased by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nd there was no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 economic-based areas.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creases resident particip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but there is no change in resident participation in economic-based area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lso increased community consciousnes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economic-based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social activation in economic-based areas lowered residential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ocial activ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general neighborhood area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gh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increas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re was no change in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economic-based areas. Summarizing the above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are emphasized because they are found to affect resi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olidarity. Therefore, public roles are important to improve resident satisfaction, bu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re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resident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cooperative governance is needed based on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is, continuous residential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only when the local community is centered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le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ddition, both neighborhood regeneration and economic base have a policy commonality of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so even if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regardless of the type of project, the local community must lead the project. Keywords :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residential satisfaction. 국문초록 지역 활성화와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 부천시를 중심으로 도시는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으로 중추적 기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동공간으로서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는 과정에 신도시개발과 도시정비사업으로 전면철거방식인 물리적 측면의 활성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수단을 수반하는 틀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기능의 거주환경을 회복하고자 도시재생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고 있다. 이는 거주환경 악화로 침체 된 도시에 지역 활성화를 통하여 거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라고 볼 때,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 활성화와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연구로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실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지역 활성화에 따른 지속 가능한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해 실질적인 실증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도시재생의 정책적 방향과 정책과정 연구에 참고자료로서 효율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재생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지역공동체 회복과 거주만족도 향상이라는 큰 틀에서 볼 때, 지역 활성화가 곧 거주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활성화요인이 매개변수인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지역활성화요인이 매개변수인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지역활성화요인이 종속변수인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넷째, 주민참여는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주민참여와 주민 거주만족도와의 관계로 주민참여는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공동체 의식과 거주만족도와의 관계로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일곱째, 공동체 의식은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일반근린형 권역과 경제기반형 권역에 따라 각 경로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목적을 완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시재생사업의 지역활성화요인,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에 대한 논의와 이론적 고찰 후 연구대상지인 부천시 소사 본동·소사본3동 일원, 원미2동·심곡2동 일원의 일반근린형 권역과 춘의동·원미1동 일원의 경제기반형 권역에서 설계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지 지역주민들에게 권역별로 설문방식을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22년 8월 20일부터 2022년 10월 20일까지 동별 주민 약 75명씩 6개 동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총 450부를 배부하여 420부를 회수 398부를 유효표본으로 하고 최종분석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의 부족한 설문을 보완하기 위하여 39명의 심층 면담한 조사내용을 자료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활성화요인과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타당성 있는 연구모델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분석, 측정모델 타당성 검정 과정을 거친 후 연구모델을 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변수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활성화요인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와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특성과 같은 빈도분석과 변수별 기술통계분석결과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모형검정을 위한 SEM 분석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설정한 가설검정 결과 총 17개의 경로 가설 중 14개의 경로는 채택되었고, 3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를 토대로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는 주민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주민참여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역활성화요인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는 공동체 의식에도 의미 있는 영향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공동체 의식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는 거주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는 거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거주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이 높으면 거주만족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가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의 매개 효과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민참여는 부분 매개 효과가 있고,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민참여는 완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완전 매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일반근린형 권역과 경제기반형 권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 주민참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와 주민참여 간에는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가 높아지지만,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공동체 의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와 공동체 의식 간에는 의미 있는 영향 관계가 없었다. 셋째,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사회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거주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사회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일반근린형 권역에서 물리적 활성화가 높으면,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이 높아지고,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지역활성화요인은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에 대한 지역공동체 결속력에 따라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그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공공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 향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기 때문에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민·관이 서로 노력하는 협력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거주만족도 향상 차원에서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지역공동체가 중심이 되어야 지속적인 거주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근린재생형과 경제기반형 모두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라는 정책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업유형과 관계없이 사업추진과정에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민간, 기업, 행정이 협업하는 가운데 지역공동체가 주도하여야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다. [주제어: 도시재생사업, 지역 활성화 요인,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 감성 언어를 통한 한국 禮式용 花卉디자인 선호도 연구 : DCPS 분석의 감성 언어를 中心으로

        김록영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화훼산업이 발달하고 예식용(禮式用) 화훼디자인의 변화와 역할이 다양해지면서 인간의 삶과 죽음에서 필연적으로 거치는 통과의례인 혼례와 장례용 화훼디자인 변천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 및 전문가가 인식하는 禮式用 화훼디자인 감성 언어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향후 화훼디자인의 트렌드를 연구하는데 초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혼례용 화훼디자인과 장례용 화훼디자인에 대한 감성 언어와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며, 이러한 감성 언어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화훼디자인의 감성 언어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개발한 DCPS 감성 언어 중 화훼디자인 전문가가 예식용 화훼디자인에 가장 적합한 12개의 감성 언어를 추출하였고,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예식용 화훼디자인에 대한 감성 언어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는 데이터 크리닝 작업을 거쳐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례용 화훼디자인(신부 부케)에서 추출된 감성 언어는, 일반인의 경우 ‘사랑스러운’ 감성 언어를, 전문가는 ‘순수한’, ‘아름다운’ 감성 언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혼례용 화훼디자인(꽃길) 일반인의 경우 ‘아름다운’ 감성 언어를 선호함에 따라 아름다운 이미지를 갖도록 디자인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문가의 경우 ‘감동적인’ 감성 언어를 선호하고 있으며, 신랑과 신부가 만나는 장소로서 감동적인 상황을 연출하기 위한 꽃장식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혼례용 화훼디자인은 부드럽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례용 화훼디자인(관장식) 일반인의 경우, ‘편안함’ 감성 언어를 선호하고 있으며 편안함의 이미지를 갖도록 디자인해야 한다. 또한,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 동일한 ‘편안함’의 감성 언어를 선호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과 전문가가 느끼는 감성 언어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례용 화훼디자인(제단장식)의 경우 일반인과 전문가 간의 감성 언어의 차이가 없었으며, 점잖은, 편안함, 감동적인 이미지를 갖도록 디자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장례식장의 화훼디자인은 점잖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반인과 화훼디자인 전문가가 느끼는 선호도에는 일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예식용 화훼디자인의 경우 전문가에 의해 구성되므로, 전문가는 전문가적 지식 및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을 하되, 추후 일반인 결혼식 하객 및 장례식 조문객들의 감성 이미지나 선호도를 고려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례 및 장례의 예식용 화훼디자인에 대해 일반인이 인지하는 감성 언어와 선호도를 하객 및 조문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감성 언어와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미래의 혼례 및 장례 등 예식용 화훼디자인의 방향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수치지도에서 건물레이어의 일반화에 관한 연구

        정수호 仁川大學校 一般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수치지도는 지형공간정보체계 공간데이터베이스로서 1990년대 중반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되고 있으며 각종 응용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초자료로 그 활용성이 광범위하다. 지금까지의 수치지도제작은 그 축척이 1:1,000, 1:5,000, 1:25,000의 세가지의 단축척으로 제작되어 활용되었으며 이와 다른 축척의 공간자료를 원할 경우 독립적으로 다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축척 수치지도를 원시데이터로 하여 다양한 소축척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도 일반화(Map Generalization)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많은 일반화 처리 요소 중 건물 레이어의 선택 및 삭제, 건물의 단순화, 건물의 집단화, 건물의 과장화 연산자를 적용하여 건물 레이어의 소축척 변환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건물 레이어의 일반화 처리를 위한 연산자 및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1:5,000 수치지도의 1:25,000 수치지도로의 변환에 이를 적용, 건물 레이어의 일반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After the midway of the 1990s, the digital map has been builded as a part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o, it is very useful to the basic data which used to the various kinds of application system. Up to now, the digital map was generated and utilized only three types such as, 1:1,000, 1:5,000, 1:25,000 in Korea. Therefore, whenever we want to obtain the spatial data which builded on other scale, we have to generate the digital map independently. Also, it always brings about time-consuming and economical loss.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for the map generalization to make the various digital map of small scale from the master data of large sca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mall scale conversion characteristic of building layer using the operators map generalization such as, selection and elimination of building, exaggeration of building, simplification of building and aggregation of building. For this purpose, It is proposed the algorithms of building layer for the generalization process. Finally, It could be investigated the generalization characteristic of building layer through the transferring the digital map of 1:5,000 scale into 1:25,000 scale.

      • 공공도서관 시니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인천 공공도서관 평생학습 프로그램 중심으로

        홍지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시니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으로 공공도서관 시니어 프로그램의 사례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대개 공공도서관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은 학령기 연령을 대상으로 한 어린이와 학부모 세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니어 평생학습 프로그램은 거의 개설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기대수명도 증가하는 상황에서 시니어 이용자를 위한 평생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 먼저 시니어의 특성 및 고령 인구 추이, 시니어 교육의 필요성, 공공도서관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을 고찰하였고, 공공도서관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사례를 서울,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수강경험이 있는 시니어 이용자의 참여목적, 프로그램 이용자 요구, 만족도, 만족 이유와 불만족 이유,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인지도, 필요성 등을 프로그램 운영의 성공사례와 연계하여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 이용자들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지적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니어 이용자의 주된 활동과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외활동 그룹이 비활동 그룹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 문화, 예술은 프로그램 요구와 수강경험의 수치가 비슷하나, 건강, 재취업 재산, 생활정보는 프로그램 수강 경험보다 프로그램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시니어 수요자의 요구를 세밀히 반영한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둘째,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만족이유를 조사해 보면 프로그램 내용과 프로그램 강사가 만족도에 주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민관협력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램 내용 구성과 강사의 전문성 제고가 프로그램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평생학습 민관협력 프로그램의 인지도는 5점중 3.28점으로 환산되었다. 경험여부는 경험이 상대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미경험의 비율도 낮은 수치는 아니므로 민관협력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넷째, 시니어 이용자들은 민관협력 프로그램을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필요이유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서가 가장 높았다. 민관협력 프로그램이 시니어 이용자들에게 교육 후 활동을 제공하고 있고, 경제활동과 연결된 경우도 많아 시니어 이용자들은 자신에게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필요이유와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필요하다는 이용자가 프로그램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민관협력 프로그램의 증가는 공공도서관 시니어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다섯째, 평생학습 민관협력 프로그램 참여성과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취감과 자존감이 높아졌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는 민관협력 프로그램의 교육 후 활동으로 인해 노년기의 생활에 활력을 되찾고 세대 간 소통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는데 도움을 준 것이다. 여섯째, 평생학습 프로그램과 민관협력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민관협력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시니어 이용자들이 민관협력 프로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공공도서관 평생학습 프로그램 활성화에 민관협력 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공공도서관은 자원적 제약(예산 및 인력부족)을 사유로 시니어 대상 프로그램에 소극적인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과 기대수명의 증가로 공공도서관의 시니어 이용률은 급속도로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은 고령화 사회를 넘어 고령사회로 진행되는 대한민국의 인구구성 형태 변화에 맞추어 시니어들의 요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 원격연합이론기반 문제해결 및 문제발견형 창의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진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창의성 검사 도구에 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앞으로 이루어질 수많은 창의성 관련 연구와 질적으로 우수한 창의적 인재 개발 및 영재 학생 판별을 위해서는 최근 경향과 흐름을 반영한 창의성 검사도구의 개발이 매우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원격연합이론기반 문제해결 및 문제발견형 창의성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기존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창의성 검사도구 개발에 있어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된 두 가지는 Mednick(1962)의 원격연합이론과 문제발견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집단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문항개발을 위한 개발준거틀을 바탕으로 기초 문항을 개발하였고, 기초통계분석을 통해 8개의 문제해결형 문항과 1개의 문제발견형 문항, 총 9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문항은‘독창성’과 ‘유창성’요인을 구분하여 채점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초등학교 5,6학년 32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뒤, 기초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통해 창의성 검사도구를 최종 구성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신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G연구를 통해 창의성 검사도구 측정오차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D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평가측정 확보 조건을 탐색하였다. 개발된 창의성검사도구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타당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내용타당도 지수를 산출하여 전문가 의견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내용타당도 검증하였다. 둘째, KEDI 창의인성검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적합한 수준의 공인타당도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창의성 검사도구의 유형이나 요인에 따라 5개 군집 특성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으며, 각 집단이 KEDI 창의인성검사 하위 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 이를 통해 유창성만 높은 집단보다는 독창성이 높은 집단이, 독창성 중에서도 문제해결형 독창성보다는 문제발견형 독창적 사고집단이 새로운 경험이나 생각을 기꺼이 수용하려는 성향이 있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셋째, 개발된 창의성 검사도구와 TTCT, K-RAT와의 분석에서는 검사도구간 낮은 상관값을 통해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검사도구간의 다른 특징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비교에 사용된 두 검사도구에 대해 각각 추가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TTCT와 원격연합이론기반 문제해결 및 문제발견형 창의성 검사 대상 학생들의 소감 문장에 대한 네크워크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두 검사도구에서 체감하는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심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RAT의 경우 연구대상을 추가하여 학업성취수준과 학년발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개발된 검사도구와 K-RAT검사의 부적상관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의 창의성검사도구의 핵심적 측정변인인 ‘독창성’에 대한 예측성이 높은 검사도구로서의 타당성을 반증하였다. 넷째, 또래 및 교사로부터 창의성이 높다고 지명된 학생집단과 일반집단, 영재학생집단과 일반학생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도출함에 따라 개발된 창의성검사도구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도와 타당도 검증을 통해 피험자가 문항에 반응하게 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문제발견’을 통해 좀 더 능동적인 창의적 사고력까지 측정해낼 수 있는 검사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문제해결과 문제발견의 독창성요인의 질적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원격연합이론기반 문제해결 및 문제발견형 창의성 검사가 영재학생 판별 시 유용한 검사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이루어질 수많은 창의성 관련 연구와 질적으로 우수한 창의적 인재 개발 및 영재 학생 판별을 위한 교육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s necessity of creativity education is on the ris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and demand for creativity test. Henc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est that reflects recent trends in the field is necessary prior to conducting numerous creativity-related researches, developing qualitatively better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identifying gifted stud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 Finding Creativity Test based on Remote Association Theory’ and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wo most considered factors during the development of new non-traditional creativity test were the applications of Mednick's (1962) remote association theory and problem finding. Based on development criteria for item development, basic questions were creat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After basic statistical analysis, eight problem-solving questions and one problem-finding question were selected, for a total of nine questions. ‘Originality’ and ‘fluency’ variables were scored separately. After testing on 327 fifth and sixth graders, the creativity test items were conclusively evaluated by basic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veloped items were reliable. The relative influence of measurement error of creativity test was shown through G-study, and the conditions for ensuring efficient evaluation measurement was searched through D-study.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study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creativity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validity index of the experts was calculated,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ere objectively analyzed,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Second, correlations with the KEDI test were used to confirm appropriate levels of concurrent validity results. At the same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creativity test are classified into five conges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and factors. And each popu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EDI test subfactors. As a result, we derived meaningful results which showed that high originality group, especially problem-finding subjects than problem-solving subjects among the group, is more willing to accept new experiences and ideas than high fluency group.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developed creativity test tool and TTCT and K-RAT, the test also verified the discrimination validity using the low correlation value of the interval. The test also conducted additional studies on two tests used for comparison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other features of the section. We were able to see in detai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students experienced with the two test through network analysis of impressions of students subject to TTCT and ‘Problem Solving and Problem Finding Creativity Test based on Remote Association Theory’. In the case of K-RAT, the creativity test in this study shows that the amulet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ed test and the K-RAT test increases as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grade development level increase with the addition of research subjects. We disproved the validity of the test as a highly predictable inspection test for ‘originality’, which is the core measurement cause of the test. Fourth, it was developed by deriv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group of students of the same age and teachers nominated as highly creative and a general group, and a group of gifted students and a group of general students. We verified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creativity test. Based one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e test to measure not only the subject's mere reaction to the questions through fit and validation, but also the subject’s proactive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problem finding’ process. Second,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and theoretical basis for creativity by confirming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f problem- solving and problem-finding originality. Third, Creativity test has the potential to be a useful test when identifying gifted student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in many upcoming creativity-related researches, qualitatively crea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ettings for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 고령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정보화 프로그램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성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고령자는 현대 사회의 대표적인 정보취약계층이다. 일반 국민에 비해서는 물론, 다른 정보취약계층과 비교할 경우에도 정보화 수준이 낮게 측정된다. 따라서 고령자를 위한 정보화 교육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는데, 고령자들은 정규 교육과정을 벗어난 연령층이기 때문에 공공기관, 그 중에서도 공공도서관이 고령자들의 정보화 교육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공도서관은 정보취약계층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으며, 비용과 접근성 등의 측면에서 고령자에게 정보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에 알맞은 기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자가 정보화 프로그램을 수강할 때 어떤 요소를 중시하는지 파악하여, 공공도서관에서 고령자에게 어떤 정보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정보화의 의미와 여러 정보취약계층의 상황, 그리고 정보화·고령화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며 고령자에게 공공도서관의 정보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탐구했다. 이어서 선행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정보화 수준과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더하여, 각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최근 인천광역시의 공공도서관에서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어떤 정보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지 그 사례를 조사했다. 연구모형은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설계했다. 독립변인으로는 유용성, 이용 용이성, 그리고 사회적 규범을 설정했다. 이 중 유용성은 다시 기본 활용, 생활 편의, 그리고 소통이라는 하위 항목 3가지로 나눴다. 종속변인은 고령자들의 이용 태도로 설정했다. 설문지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고령자들의 인적 사항을 물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고령자들이 유용성, 이용 용이성, 그리고 사회적 규범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측정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부분에서는 고령자들의 이용 태도를 조사했다. 설문 문항은 총 34문항이며, 리커트 7점 척도를 사용해 고령자들이 느끼는 중요도를 점수 매기도록 했다. 설문 대상은 공공도서관에서 정보화 수업을 수강한 이력이 있는 고령자로 설정했다. 설문조사는 6개 도서관에서 진행하였으며, 회수한 81부의 설문지 중 유효한 설문지는 77부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가지고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그리고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정보화 프로그램 수강생 성비는 남성이 58.4%, 여성이 41.6%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71.4%로 가장 많고, 70대가 26%로 두 번째로 많았다. 앞선 연구들에서는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보통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수강하며, 연령대별로는 70대가 가장 많이 수강한다고 조사되었다. 고령자들이 정보화에 가지는 심리적 거리감은 성별과 연령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여성 고령자보다 남성 고령자가, 70대 이상 고령자보다 60대 고령자가 정보화 프로그램에 거부감을 덜 느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와 앞선 연구 결과들의 차이는 정보화 프로그램이라는 특성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에 의하면, 고령자들이 정보화 프로그램을 수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사회적 규범이다. 고령자들은 가족·친구들이 이용하거나 추천하는 기술을 배우는 것과 타인이 그들을 진취적인 사람으로 보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령자들이 두 번째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이용 용이성이었다. 고령자들이 공공도서관 정보화 수업을 쉽고 쾌적하게 들을 수 있는지, 즉 등록 방법의 편리함 정도와 도서관까지의 거리, 그리고 도서관 시설 등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보화 프로그램을 홍보할 때 프로그램 수강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 즉 주변인들과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하며, 도서관에서 고령자 전용 PC나 큰 활자 책 등 고령자를 위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을 자세히 알릴 필요가 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고령자들의 정보화 프로그램 수강 여부 결정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사회적 규범과 유용성이었다. 따라서 고령자들은 정보화 수업 수강 여부를 결정할 때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며, 동시에 본인에게 수업 내용이 얼마나 유용한지 고려하여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령자들이 유용하다고 느끼는 기술에 대한 교육을 위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야 하며, 주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고령자들의 특성을 고려해 프로그램을 홍보할 때 다른 고령자들의 프로그램 수강 후기 등을 이용해 고령자들이 정보화 프로그램에 가지는 거부감을 줄여야 한다.

      • 동재하시험을 통한 암반 근입 초고강도 매입 PHC말뚝의 선단지지력 평가

        김락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내의 기초공사는 소음, 진동 등의 환경규제로 인해 주로 매입공법을 통해 PHC말뚝을 시공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초고강도 PHC 말뚝을 적용하여 이후 초고강도 PHC 말뚝의 사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강도 PHC 말뚝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80 MPa인 반면, 초고강도 PHC 말뚝의 압축강도는 110 MPa에 달한다.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증가로 인해 항타공법 시공시 허용항타응력이 증가되었다. 또한, 초고강도 PHC 말뚝 매입공법 시공시에는 풍화암 이상의 견고한 지층에 선단을 근입할 경우 증가한 말뚝구조내력으로 인하여 더 큰 축하중을 받을 수 있고, 지반관점에서의 증가된 선단지지력을 평가할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초고강도 PHC 말뚝의 향상된 허용항타응력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반 고강도 PHC 말뚝과 동일한 항타에너지로 시험말뚝을 시공한다. 이렇게 낮은 항타에너지로 시공된 초고강도 PHC 말뚝에 더 낮은 항타에너지(경타)로 동재하시험을 통해 설계지지력을 산정하여 말뚝의 극한지지력을 과소평가하게 된다. 매입말뚝의 경우에도 초고강도 PHC 말뚝에 대해서도 높은 항타에너지로 동재하시험을 할 수 있지만, 경험적으로 초고강도 PHC 말뚝 동재하시험 기준에 따라 시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초고강도 PHC 말뚝에 대해서는 시공시 또는 동재하시험시 높은 항타에너지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설계지지력식의 제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강도 PHC 말뚝이 매입공법으로 시공된 4개 현장의 동재하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선단지지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동재하시험 결과의 검증을 위해 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검증하였다. 동재하시험에 대한 분석시 선단지층의 N 값, 항타에너지, 말뚝의 근입깊이 등이 EOID 및 Restrike의 선단지지력 또는 주면마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매입공법으로 시공된 초고강도 PHC 말뚝에 대한 동재하시험시 지지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도출하고, 재하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선단지지력 산정 방식과 비교/평가하였다. In Korea, pre-bored installation of PHC piles is carried out mainly due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such as noise and vibrations, etc. Since 2011, super strength PHC piles have been applied and the use of super strength PHC pile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Generally,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igh strength PHC pile is 80 MPa, whil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uper strength PHC pile is 110 MPa. Due to the increase in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the allowable driving stress is also increased in driven pile. In addition, super strength PHC pile can support greater axial load due to its higher structural capacity. Despite of the higher compressive strength of super strength PHC piles, current practices of pile installation in Korea apply the same amount of driving energy on both super strength PHC and normal high strength PHC piles. For a higher driving energy, larger end bearing capacity tends to be mobil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increased end bearing capacity of super strength PHC piles since they can accommodate a higher driving energy than those of normal high strength PHC piles. In this study, the end bearing capacity of pre-bored super strength PHC piles driven with higher driving energies than those normally adopted for normal high strength PHC piles is analyzed using the results from high strain dynamic load tests(PDA tests) performed in four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dynamic load test results, static load tests and bi-directional load tests were performed. The effects of SPT-N value, driving energy, depth of the pile on the end bearing capacity and skin friction in both EOID and Restrike tests were studied. Findings from the studies are factors that influence bearing capacity of pre-bored super strength PHC piles. Finally, end bearing capacity of pre-bored super strength PHC piles was compared with that from existing bearing capacity determination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for normal high strength PHC piles.

      • 한국의 외국인 대상 재난관리정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와야 사토미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전지구적인 기후변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재난이 대규모화, 다양화, 복잡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국내에서는 대규모 지진재난이 빈발함에 따라 지진재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6년 이후 규모 2.0 이상의 지진 발생 횟수가 급증하였으며 규모 5.0 이상을 기록한 2016년 경주지진, 2017년 포항지진에서는 큰 피해를 초래하였다. 해외에서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을 중심으로 2018년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60회 발생하였으며 대규모 지진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재난관리정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에 3개월 이상 체류하는 외국인은 2017년 200만 명을 돌파하여 최근 5년간 연평균 8.5%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들 국내 거주 외국인은 일반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하고 문화적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재난취약계층으로 볼 수 있으며, 그들의 재난취약성을 고려한 재난관리정책의 필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외국인 대상 재난관리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지진재난을 중심으로 일본의 외국인 대상 재난관리정책을 분석하였으며, 실제 지진재난 발생시 이러한 정책들이 어떤 효과를 보이고 어떤 과제를 남겼는지 외국인 유형별 및 재난관리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외국인 유형은 국내 거주 외국인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결혼이민자와 이민노동자, 최근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외국인유학생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난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정보수집·판단능력의 제한, 행동능력의 제한, 문화·생활의 제한, 경제적 제한, 네트워크의 제한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외국인 유형별 일반적 특징을 살펴보면 낮은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경제적 취약성, 자국인 중심의 커뮤니티 위주 등의 공통점이 나타났으나 한국어능력 및 한국문화에 이해 및 적응 정도는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행정서비스와 고용기업, 소속 교육기관 등 사회적 네트워크는 유형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의 재난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일반적으로 정보수집·판단능력의 제한, 문화·생활의 제한, 경제적 제한, 네트워크의 제한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요소들이 재난취약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는 외국인 유형이나 그 외 거주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바탕으로 각종 법령 및 관련 계획, 지침 등에 재난발생시 외국인 지원의 근거가 명시되어 있으며 외국어 재난정보 제공, 외국어 교육자료 제작, 외국사절 대상 재난안전 정책설명회 개최 등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지원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재난안전 기본조례 제정이 미흡하고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고는 긴급정보 및 복구지원정보 전달체계가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한편 일본에서는 재난발생 이후에도 복구지원 관련정보를 외국인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체계를 갖추며 외국인 대응 매뉴얼과 외국인 대상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지방정부 주도로 개발 및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매뉴얼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표준화가 미흡하며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국내 거주 외국인에 대한 지원정책이 상대적으로 미비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일본에서는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에서 외국인 피해가 확대되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이후 외국인 대상 재난관리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시 외국인 지원체계가 거의 없는 가운데 외국인들의 재난취약성이 재난발생 직후뿐만 아니라 장기적 복구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에서는 방재계획에 따라 지방정부와 유관기관의 협동으로 재해 다언어지원센터가 설치·운영되어 재난정보의 통역·번역은 물론 각지의 대피소를 순환하여 외국인의 피해상황을 확인하면서 외국인의 수요에 맞춘 정보와 지원을 제공하는 등 외국인지원의 거점으로 기능하였다. 동일본대지진 발생 이후 일본에서 재난관리정책 전반에 대한 재검토 및 정비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2016년에 발생한 구마모토지진에서는 방재계획에 따라 외국인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외국인대응피난시설이 설치·운영되었다.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한국의 외국인 대상 재난관리정책의 발전방안은 첫째, 유관기관 중에서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 고용기업, 외국인유학생이 소속하는 교육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각 기관에서 외국인의 대피지원 및 안부확인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재난관리 단계별 외국인의 재난취약성을 고려한 재난관리정책의 개선방안은 예방·대비단계에서는 지방정부의 재난안전 관련 조례 정비 추진, 외국인 대상 교육·훈련 콘텐츠 및 프로그램의 표준화와 지역별 활용 등이 있다. 대응단계에서는 긴급정보 전달체계 구축, 복구단계에서는 외국인들에게 재난정보 및 복구를 위한 지원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Recently, South Korea has experienced an increased number of earthquakes. Due to this increase, there is a general growing importance for bette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policy. As well,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s this population is regarded as a disaster vulnerable group because of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unfamiliarity, there is a heightened special importance for disaster management policy development to address the needs of this population. This study deduces improvements to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for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through considering the already existing policies of Japan, a country famous for its earthquake preparedness. In this study, elements of disaster vulnerability are categorized as: limitations of collecting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physical ability, culture and lifestyle of the resident, economic status and condition, and an existing network of people. As a result, the suggested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policy improvements for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 with established organization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corporations and companies that hire foreigners, and educational facilities that have foreign stud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make an evacuation support system for foreign residents that can be used by each organization. Second, the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for foreign residents need to be adjusted to address the various stages of the disaster management cycle. At the "prevention and preparedness" stage of the cycl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saster management ordinanc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o develop and manage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for foreign residents. Each program needs to be standardiz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have the local governments reflect their own jurisdiction's unique characteristics. At the "response" and "recovery" stages of the cyc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mergency information transfer system that can inform the foreign residents of a disaster and give crucial information over the recovery efforts following the disaster.

      • 인천항의 조석조화상수의 변동특성 및 조위예측 분석

        조길문 仁川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조석을 조화분해하면 주기성분을 갖는 분조들을 분석해 낼 수 있으며 이 분조는 진폭과 위상 두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폭과 위상은 주위조건에 대하여 여러가지 크고 작은 변화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조화상수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요인들 중에서 분석자료의 연별 및 분석기간별(1년씩 누적) 조화상수의 변동특성을 4가지 주요분조 즉, M₂, O₁, S₂, K₁분조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으며, 분석시 인천항의 17년간(1980년∼1996년)의 조위관측자료를 이용하였고, 조석조화분해는 국내의 연구에도 여러번 적용되어 그 신뢰성이 입증된 바 있는 영국해양조사원의 TIR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 산출한 연별, 기간별 조화상수를 조위예측에 적용하여 분석자료의 연별변화와 누적기간별변화가 조위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분석자료의 연별변화에 따른 조위예측치의 정확도가 연별변화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동하는 반면, 분석자료의 기간누적에 따른 조위예측치의 정확도는 기간의 누적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조위를 예측함에 있어 연조위관측자료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누적조위자료를 이용했을 때 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위관측지점의 변동에 따라 조화상수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 조위관측지점의 변동시는 조위관측을 통한 조화상수를 분석한 후 조위예측이 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인천항의 17년간의 조위관측자료만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이기 때문에 장기간 조위관측자료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분조의 종류 및 개수의 결정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 진다면 현재보다 정도가 높은 조위예측을 가능케 할 것이다. Amplitude and phase lag are comprised of the constituent which is made by tidal harmonic analysis. These two components are depended on surrounding conditions. In this study, among the many elements which influencing on the harmonic constants,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harmonic constant which accompanied by each year and each period of analysed data were analysed to the four main constituents such as M₂, O₁, S₂, and K₁.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was obtained from the 17 years observation of Inchon habor from 1980 to 1996. TIRA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sis the variable characters of harmonic constant. At first, the harmonic constants of each year and each period to the tidal prediction, was applied and then analysed the fluctuation of each year and accumulated period of analysis data to the tide level prediction. Although the accuracy of tide level observation by monthly changing of analysis data was transferred irregularly, the accuracy of tide level observation as accumulated period was improved. Therefore, in case of the prediction the level observation by using the accumulated level data is more reliable than the data by using the year level.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rmonics constants were changed with the transferred where level observation spot. Therefore in case of transferring the level observation spot, the prediction should be performed after analysed the harmonics constants through the level observation.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only 17 years level observation data. The accuracy of level prediction would be improved if the analysis is performed by using the long-term level observation data which is accompanied with kinds of constituent and determination of number.

      • 합리적 양형을 위한 양형자료조사제도에 대한 연구 : - 양형자료조사제도의 주체를 중심으로-

        김성용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양형에서 불균형과 부적정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양형에 대한 불신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형의 정형화된 시스템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2007년 대법원은 양형위원회를 조직하여 양형기준제를 도입하였고, 이와 함께 양형기준제를 합리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전국 7개 지방법원에 법원직원 21명을 양형조사관으로 선발․배치하여 양형조사제도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의 양형조사제도 운용에 있어 권한의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었고, 이에 대법원은 법원조직법 제54조의3을 근거로 하여 형법 제51조의 양형사항들을 조사할 수 있다는 판결(대법원 2010. 4. 29 선고 2010도750 판결)을 근거로 하여 이를 무마시키려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여론의 반대와 여러 기관에 의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기존의 판결전조사제도와의 충돌되는 부분을 놓고 양형조사제도 운용의 적합한 주체는 누구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법원조사관을 주체로 한 양형자료조사제도는 현행 형사소송구조와 공판절차원칙에 있어서 갈등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공판절차가 유․무죄 판단절차와 양형심리절차로 이분화 되지 않은 우리 형사소송구조하에서 법원조사관에 의한 조사개시 시기 및 보고서제출 시기는 무죄추정의 원칙을 훼손할 우려가 다분하다. 또한 우리 형사소송법상 변론절차에서 당사자주의를 관철시키는 것이 옳고, 실체적 진실의 발견과 피고인의 반대 신문의 기회를 보장하여 공정한 재판을 실현한다는 의미인 직접주의 원칙을 유지해야 한다면 현재의 조사주체를 반드시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현행 양형자료조사제도의 법이론 및 법체계상 적합성, 전문성, 공정성, 경제성이라는 네 가지 기준과 외국의 양형자료조사제도의 고찰을 통하여 법원이 직권으로 법원조사관에게 양형자료를 수집․제출하게 하는 것이 법리적으로 문제가 있고, 보호관찰관에 비해 경험과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이 명백하며, 또한 법원조사관이 형식적으로 검사나 변호인 어느 측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객관적인 주체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절차진행에 있어 법원의 중립성과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의구심을 높일 우려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호관찰 조직이 1988년 도입한 소년형사범에 대한 판결전조사와 1997년 성인형사범에 대한 숙련된 경험은 단시간 내에 얻을 수 없는 무형의 자산이며, 보호관찰관에 의한 양형조사는 양형의 합리화뿐만 아니라 교정·보호활동의 합리화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천문학적인 국민 혈세의 낭비를 막는데 효과적이므로 보호관찰관이 양형조사를 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problems of imbalance and improperness of sentencing have constantly been raised, and the need for a formalized system of sentencing has been stressed to resolve doubts about sentencing. In 2007, the Korea Supreme Court has organized the Sentencing Commission in an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and implemented the Sentencing Factor Investigation System by placing twenty-one court staff members as sentencing investigators in seven district courts across the country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sentencing guidelines. However, disputes over the authority problem regarding the Supreme Court’s operation of the Sentencing Factor Investigation System have continued, and the Supreme Court tried to cover up the matter based on their decision (Supreme Court Decision 2010. 4. 29. 2010 Doh 750). Nevertheless, there has been continuous opposition and criticism on this matter, the debate over who is going to be in charge in regard to the part conflicting with the existing Presentence Investigation System has continued. It shows in the results based on four criteria - suitability for legal theory and legal system, professionalism, fairness and affordability – which are applied to the Sentencing Factor Investigation System whose main agent as the current Supreme Court. Considering the outcomes of the Sentencing Factor Investigation System in other countries, both the presentence investigation introduced for juvenile criminal cases by a probation organization in 1988 and the long experience in adult criminal cases in 1997 are valuable intangible assets that cannot be obtain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sentencing investigation by probation officers can work for the rationalization of sentencing, and also can be actively used for proper correction or protection activities, and is an effective method to prevent from wasting the tax-payers’ precious money, thus it brings to a conclusion that sentencing investigation by probation officers is the most reasonable choice at current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