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近代詩의 背景硏究Ⅰ : 金石文을 통해 본 西學의 韓國的 受容樣相

        咸東鮮 中央大學校 韓國藝術硏究所 1985 中央大學校 藝術大學 創論 Vol.4 No.-

        지금까지 금석문을 통한 서학의 조선적 수용양상을, 조선의 지배체제를 확립 지속시킨 성리학과의 갈등, 교란, 근대지향으로 대응시켜 역사발전의 상황으로써 고찰하고, 이러한 시각에서 "근대지향 그것부터가 민족의 주체성 내지 자주성을 전제로 시작된" 것이라 할 때 '근대지향'과 '주체성'이라는 내적 소인이 한국근대시를 형성, 전개하는데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정립을 위한 배경연구이다.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일반적으로 근대지향이라고 한다. 근대지향이란 무엇을 말하는가에 대해서 많은 견해가 나왔지만, 대체로 서양과학기술의 우위성 인지, 서교의 사회적 신분적 평등윤리 등과 주체적 민족의식의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정신사적인 맥락에서 서양과학기술의 우위성 인지를 배제하면, 서교의 사회적 신분적 평등윤리와 주체적 민족의식은 서학과의 갈등, 교란이라는시점에서 몰사회적 신분적 평등윤리를 탈하고자 하던 종교적 신앙적 지향과 몰모화사상에서 탈피하고자 하던 주체적 민족의식이 그 특징이라 지적될 수 있다.

      • 한국 漢詩의 넓이와 중국 漢詩의 깊이

        이승하 中央大學校 韓國藝術硏究所 1999 中央大學校 藝術大學 創論 Vol.18 No.-

        2천 년 가까이 수많은 사람들에게 가르침과 감동을 주어온, 도가사상을 집대성한 『莊子』는 이렇게 시작된다. "북명(北冥)에 고기가 있으니 그 이름은 곤(鯤)이다. 곤의 크기가 몇 천리가 되는지는 모른다. 곤이 변신해 새가 되니 붕(鵬)이라 한다. 붕의 등 넓이도 몇 천리가 되는 알 수 없다. 붕이 노해서 날면 그 날개가 마치 하늘 한 귀퉁이를 덮은 구름 같다. 이 새는 해류의 흐름이 바뀌면 남명으로 옮겨간다. 남명은 하늘의 연못인 천지(天池)이다.

      • 관현악 이야기 "별주부와 토끼"

        全仁平 中央大學校 韓國藝術硏究所 1989 中央大學校 藝術大學 創論 Vol.8 No.-

        국악 작곡입문이라는 책을 쓰면서 갈등이 있었다. 과연 국악을 어디까지 국악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우리나라 사람이 작곡한 음악이라는 뜻으로 해야 하나? 아니면 한국적인 정서를 담을 음악이란 뜻으로 해석해야 할 것인가? 궁리끝에 국악이라는 것은 국악기를 연주하는 음악이라는 정의로 일단 시작을 하였다. 그러나 국악기에는 고구려시대에는 서역의 악기가 들어왔고 신라시대에는 당악기가 들어왔으며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악기가 들어왔고 조선조에는 양금이라는 유럽의 악기가 들어왔다. 이를 보면 사실 내 악기 남의 악기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어떤 악기를 쓰던지 간에 그 악기로 무슨 음악을 담을 것인가 하는 내용이 문제가 된다고 하겠다. 더구나 서양사람들은 자연스레 동양의 악기를 쓰고 있지 않은가? 이런 생각으로 이 곡에서는 우리국악기에 서양의 타악기를 함께 편성해 보았다. 사실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혼합편성은 한양합주라는 용어로 이미 오래전에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한 한양합주가 성공한 것이 몇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서양악기라는 그릇에 국악을 담아야 되는데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곡은 판소리 수궁가의 이야기를 조곡형식으로 써 본 것인데 계획된 여러 악장 중에서 우선 세 악장만 작곡하였다. 판소리적인 요소는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묘사음악적으로 전개하였다. 열 악장은 신비하고 장엄한 용궁의 모습을 그려본 것이고 이 악장은 별주부가 토끼의 간을 구하려 세상에 나와 세상 구경에 심취한 모습이고 삼 악장은 용왕이 병을 고치고 이룩한 태평성대의 활기찬 모습을 그려 본 것이다. (KBS 국악관현악단 위촉작품. 1988. 11. 20) When I wrote my Guide to the Composition of korean Music, I had to decied how far the term 'Korean music'(Kugak) could be stretched. Does 'Korean music' mean all music composed by Koreans? Or should we interpret it to mean music which expresses by Koreans feeling? Eventually I decided to define 'Korean music' as music performed on Korean instruments. Yet among Korean instruments there are those that came to Koguryo from central Asia, to Shilla from T'ang dynasty China, and to Koryo from Sung dynasty China ; While during the Choson period the yanggum arrived from Europe. Hence, our task is not to distinguish between our own instruments and those of others, but to ask what kind of music should be written for whatever instruments we happen to be using. And we should not forget that westerners have written convincingly for Oriental instruments too. With these thoughts in mind, I orchestrated the present work for both Korean instruments and western percussion instruments. Actully, the combination of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has already been known for a long time under the designation of 'Korean-western fusion' (hanyang hapchu). But there are few successful examples of the fusion, since Korean music cannot be poured into the vessel of western instruments. This piece is in the form of a suite based on the story of the p'ansori(epic song) 'The Underwater Palace' Of the many possible movements I have begun by composing only three. Rather than use the musical elements of p'ansori itself, I have written a freely descriptive piece using only the story of the original p'ansori. The first movement depicts the mysterious and imposing underwater palace ; the second, the frantic search of the tortoise for the liver of a rabbit ; and the third, the peaceful reign of the Dragon King after recovering from his illness. (Commissioned by KBS Traditional Music Orchestra 20 Nov. 1988)

      • 한국형 방탄 헬멧 디자인 연구

        洪聖洙,鄭錫佶 中央大學校 韓國藝術硏究所 1996 中央大學校 藝術大學 創論 Vol.15 No.-

        a study on the ballistic helmet design of korean style : For this study we analyzed helmats which got from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bout structure, function, materials, design, etc.. To determine idel coverage, we examined anthropometry data of korean adult. Also we developed helmet design for the maximum performance. As we offered three types of helmat size, ninety nine percent of soldier will use this helmat comfortably. The weght is very light and ballistic function is excellent because material is polythlene. For more develop this study in the future, we need anthropomety data from population of soldier and we have to make mathematical model of soldier before we design helmat, futhermore we need ballistic testing which is very important data for the dcision and evaluation.

      • 佛陀여! 佛陀여! : 四章九場

        鞠守鎬 中央大學校 韓國藝術硏究所 1985 中央大學校 藝術大學 創論 Vol.4 No.-

        이 땅의 불교가 전래된 지 1400년이 지난 지금, 국민의 대다수가 그 믿음을 따라 행하고 가름친을 받아왔다. 뿐만아니라 한국인의 의식속에 끼친 불교의 영향은 지대하다고 하겠다. 작금 현세대는 서구의 문물에 지나친 편견애로 인하여 한국적인 전통에 의한 새로운 의식의 탄생이 없이 방황하는 생활문화가 흑사탕처럼 달콘하게 사회깊이 뿌리박혀 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보면서 이제부터라도 자아의식을 고취시킬 정신적 문화의 탄생이 이에 대응ㅇ하는 예술가적 수단이요 임무라고 생각되었다. 이 작품 ‘부처여! 부처여!’는 우리땅에 불교를 전래시키기 위하여 신라 23대 법흥왕 14년에 순교한 이차돈 <서기 506(지증왕7)~527(법흥왕14)>의 짧은 세계를 무용극화 한 것이다. 짧은 생애였지만 이땅에 꺼지지 않는 빛을 안겨준 살신성인이었다. 이차돈은 영원히 가셔지지 않는 미소를 천대 이천대를 물려 주었다. 이 작품은 지금에 그 옛 빛을 상고시키고 후대에 더 큰 빛을 줄 수 있는 민족 고유의 자주정신을 갖게하며 슬기와 예지의 정서를 일개우는 현대 의식회복에 역점을 두어 오늘의 시각에 맞도록 무용극화 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