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社會主義資本積累與擴大再生産硏究 : Study on the Chinese socialist capital accumulation and an enlarged reproduction

        이상만 中國人民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9663

        中國社會主義체제는 '民族解放을 통한 國家體制强化와 私的所有制를 철폐하고 社會主義成分을 確保한다'는 원칙하에 국가발전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발전전략을 모색하는 고정에서 中國社會主義成分의 적실성여부가 문제시되어 왔다. 따라서 本 學位論文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문제점을 규명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현존하고 있는 中國社會主義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視覺과 方法論이 적절한가? 둘째, 사회주의권해체 이후 현존하는 中國社會主義의 발전의 原動力은 무엇인가? 본 학위논문은 이러한 두가지 큰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新重商主義的 視覺과 全體論的 構造主義의 方法論을 견지하여 理論-歷史-實證의 3단계과정을 통해 중국사회주의 자본축적과 확대재생산문제를 기술하고 있다. 본 학위논문의 구성은 總7章32節로, 그 編成內容은 다음과 같다. 第1章은 중국사회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본개념들, 시각 그리고 접근방법을 기술하고 있는 바, 중국사회주의의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사회주의혁명의 역사적과정과 중국의 국가발전전략을 通時的으로 결합함으로서 그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중국사회주의혁멍을 정치적 民族解放運動, 分裂된 중국의 사회문화적 再統一 및 경제적으로 中國國內의 統一市場의 形成으로 요약될 수 있다. 第2章은 本 論文이 목적하고 있는 중국사회주의자본축적과 재생산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자본축적의 주요내용들을 기술하고 있는 바, 그 내용은 원시자본축적, 자본의 개념, 계급형성과 계급구조, 고전적 자본축적론의 재인식 및 사회경제적 후진국가들의 자본축적의 발전과정과 기원에 대해 논술하고 있다. 第3章은 社會主義原始蓄積과 社會主義資本蓄積과의 相關關係를 기술하고 있으며, 본장의 주요내용은 사회주의국가들의 사회주의공업화의 실현문제, 농업사회주의국가의 사회경제발전 전략의 선택, 후진사회주의국가들의 선진국 超越戰略에 대해서 기술함으로써 中國社會主義資本蓄積의 이론적 기초를 구성하고 있다. 第4章은 擴大再生産, 社會總資本의 循環 그리고 價値法則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으며, 특히 제Ⅰ,Ⅱ兩部門의 比例관계와 蓄積과 消費간의 比率을 논술하고 있다. 第5章은 중국사회주의의 자본축적의 사회경제적 접근을 통해 舊中國의 資本主義生産關係의 변화과정과 新中國의 原始社會主義 資本蓄積過程을 勞動-資本-土地 3자간의 상호관계를 고찰함으로써 中國社會主義의 政治經濟的 循環作用을 분석하고 있는 바, 그 순환과정을 資本主義世界體制로부터 離脫, 社會主義 프로그램의 實踐, 資本主義世界體制로의 再編入 이라는 3단계적 과정을 통해 중국사회주의의 運用메카니즘을 논술하고 있다. 第6章은 擴大再生産과 중국사회주의 新資本蓄積메카니즘과의 有機的 결합을 통한 중국사회주의자본축적과정을 持續可能한 再生産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다. 第7章은 상기한 개념, 접근방법을 통해서 중국사회주의발전의 可能性 및 展望을 하고 있으며, 중국사회주의가 持續的인 사회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市場메카니즘의 導入을 통한 生産力의 發展과 生産關係의 變革을 추구해야하며, 이러한 社會變革의 動力은 社會의 競爭力을 통한 중국사회주의 내부의 上部構造의 改革, 인민들의 可視的인 物質生活水準의 향상과 國際社會秩序의 신國際分業再編過程에 積極參與등을 진단하고 있다.

      • 20世紀50年代中國敎育"大躍進"的實踐及其敎訓 : 北京地區爲例 = 중국의 "대약진"운동(1958-1960)중 교육부문에서의 실행과 그 교훈 : 북경지역을 중심으로

        최만원 [中國人民大學] 2003 해외박사

        RANK : 249663

        1949년 10월 1일, 28년간의 혁명 투쟁 후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 체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사회주의 체제에 부합하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싸움을 시작하였다. 28년 전 소련공산당의 경험을 답습했던 것처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초기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경험을 모델로 사회전반에 걸쳐 정책을 집행하였으나 중국의 사회조건 및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 정책들을 비판 없이 전적으로 수용하여 집행하는 과정에서 적지않은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었다. 1953년부터 1957년에 실시된 제1차 국가건설 5개년 계획에서 나타난 중공업 위주의 경제발전 정책의 문제점과 1956년 2월 진행된 소련 공산당 20차 당 대회에서 후루시초프의 스탈린 비판을 계기로 시작된 중-소간의 이념분화 그리고 같은 해 가을 폴란드와 헝가리 등 동유럽의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발생한 일련의 반정부(반反공산정권) 투쟁은 중국공산 당의 지도자들로 하여금 28년 투쟁의 성과가 한 순간에 사라져 버릴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심어주었고 이는 곧바로 중국내의 정치、사상교육의 강화로 이어졌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3년간에 걸쳐 진행된 “대약진” 운동은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경제, 정치이념 등 제반분야에서 소련 배우기를 끝내고 중국식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진행되었다. “대약진” 운동의 주제가 중국의 상황과 조건에 적합한 경제개발 이었지만 교육분야에서의 “대약진”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이러한 중국 국내외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있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대약진” 운동 중에서도 교육분야에서 진행된 교육 “대약진” 운동을 실시 하게 된 배경과 진행과정 그리고 그 결과 등을 검토 해 보고자 한다. 먼저 논문의 1장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교육이론에 대한 간단한 검토, 그리고 당시 중국 공산당의 최고 결정권자인 동시에 “대약진” 운동의 실질적 주창자인 마오쩌뚱(毛澤東)의 교육사상과 그가 청년당원 시절부터 해방 전까지 교육 현장에서 실천했던 경험들 그리고 각기 다른 혁명시기에 서의 중국 공산당의 교육정책과 실천과정을 간략하게 검토 해 보았다. 제2장: 지금까지 대약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정치적인 요소(주로 미국을 위시한 서구 자본주의국가 학자들)와 경제적인 요인(주로 중국국내 연구자들의 입장)에 집중 되었을 뿐 다른 분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그러나 마르크스-레닌 주의의 기치를 앞세운 중국공산당에게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사상교육과 새로운 사회주의적 엘리트 집단의 양성은 아주 중요한 사업이었으며 따라서 “대약진”의 시작과 함께 전개된 교육방면에서의 전면적이고 급진적인 실천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장에서는 “대약진” 운동과 교육 “대약진” 운동을 유발시킨 당시 중국의 국내외 정치상황과 경제적 요인들에 대해 기존의 입장들과 더불어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 제6장까지는 본 논문의 주요 내용으로 필자는 교육 “대약 진” 운동을 크게 군중 교육운동과 각급 학교에서 진행된 학생들의 생산 노동에의 참여 그리고 정치사상 교육 등 세 분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제3장: 군중 교육운동은 전국민의 90%에 가까운 인구가 문맹인 상태에서 문맹퇴치 운동은 새로운 사회건설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였고 따라서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 이었다. 해방 전 학교 교육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던 일반 대중들에게 각종 형태의 교육기구를 설치하여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세상을 맛보게 한 문맹퇴치 운동은 철저한 준비 없이 급격하게 실시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공산당과 일반 대중 양자에게 모두 중요한 의미 를 가지고 있다. 문맹퇴치 운동은 특히 중국공산당의 취약지역인 도시지역 에서 지지기반을 확대시키는 역할도 수행했다. 그리고 문맹퇴치 운동과 동 시에 도시 지역에서 실시한 청장년을 주요 대상으로 한 각종 기술교육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각급학교(초,중,고등학교)에서 진행된 학생들의 생산노동 에의 참여 그리고 학습과정에서 “대약진” 운동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생 산 노동에의 참여방법은 주로 3가지 방식, 즉 1)개별학교와 공장이 협력 하 여 새로운 생산시설(공장)을 건설하거나 2)학생들이 지정된 공장으로 찾아 가 참여하는 것 그리고 3)공장의 일부시설을 학교로 이전하는 방식 등으로 진행되었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3)의 방식이 주로 채택되었다. 제5장에서는 전문대학 이상의 고등교육기관에서 행해진 방법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운동은 초,중,고등학교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르게 진행되었다. 그들은 전문지식과 독자적인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좀 더 현실적인 생산노동에 참여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주의 건설에 대한 당시의 열광적인 분위기에 휩싸여 현실 조건과 자신들의 능력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사업을 진행하였고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 제6장에서는 국내외의 정치적 이상기류로 진행된 각 분야에서의 정치사상 교육운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소련과의 정치적 이견은 정치 분야에서도 중국화를 재촉하였는데 대대적인 마오쩌뚱사상 학습 열풍과 정풍(整風) 반우파(反右派)투쟁 등이 동시에 격렬하게 진행되었다. 이 과정 에서 많은 지식인들 특히 교직에 있던 저명한 지식인들이 반우파로 분류되 어 숙청 당하거나 공개 비판을 받고 현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결론: “대약진” 당시의 열광적이고 맹목적인 분위기 아래 진행된 각종 정책들은 적지않은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훨씬 혹독한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 당시 정부의 각종 교육관련 통계수치를 보면, 대규모의 운동이 초래한 손실을 만회 하는데 최소7~8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지나간 모든 역사적 사건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3년 기간의 교육 “대약진” 운동에서 정반면(正反面)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현재의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라는 주제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처럼 자기자신의 조건과 상황에 부합하지 않은 그리고 일반적 규범에서 크게 이탈한 역사적 사건들이 그 사건 자체의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실패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40여년 전 베이징의 교육 “대약진” 운동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주요단어: 교육 “대약진”, 마오쩌뚱의 교육사상, 문맹퇴치, 생산직 노동자들에 대한 교육, 교육과 생산노동의 결합, 각급학교의 생산노동 노동참여, 학교와 공장의 협력, 정치사상교육.

      • 韓國企業與基他外商對直接投資的比較硏究 : A Comparative Study on FDI to China from Korean Enterprises and Other Multinational Enterprises

        김태식 中國人民大學 2005 해외박사

        RANK : 249663

        1992년 8월 韓-中 양국이 정식으로 수교한 이래, 현재 중국은 한국의 매우 중요한 경제 협력 파트너로 떠올랐다. 10여 년 간의 양국간 경제교류를 거쳐, 한국의 對中國 직접투자는 신속히 증가해서, 한국은 이미 중국의 제 7대 투자 流入國이 되었으며, 중국 또한 한국의 가장 큰 투자 對象國이 되었다. 중국이 改革 開放 政策을 시행한 1978년 이래, 중국 국내총생산은 연 평균 9.4%의 증가 속도를 유지해왔으며, 2003년 중국 국내총생산은 117252억 위안(元)에 달해,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에 이어 세계 6위를 점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발전 속도와, 성장 잠재력으로 인해 많은 외국기업들이 중국으로의 투자를 주저하지 않고 있다. 많은 외국기업들이 중국으로 투자하는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의 풍부하고 저렴한 勞動力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製造業 분야가 중국이 外資를 흡수하고 이용하는 중점 산업이 되고 있다. 여전히 製造業이 중국의 외국 자본 유입과 이용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긴 하지만, 점점 많은 외국기업들이 중국 진입 시, 시야를 방대한 중국의 消費市場으로 돌리고 있다. 한편, 1980년대 이후, 국제 무역의 자유화가 가속화 되고, 한국 국내 勞動賃金의 상승과 맞물려 상품의 경쟁력이 약화되자, 외국의 저렴한 노동력 자원을 활용하고자 한국 기업들도 점점 해외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한국의 초기 對中國 투자의 主目的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의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노동집약적 산업에 투자를 하였다. 바꿔 말하면, 중국의 풍부하고 저렴한 노동력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 한국의 對中國 직접투자의 주요 動機였으며, 그 결과 중소기업 중심의 노동 지향성 투자가 한국의 對中國 투자의 주요 형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근래 들어 한국의 투자방향은 노동 지향성 투자에서 시장 지향성 투자로 변모해 가고 있음을 여러 통계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삼성, LG, 현대 등 한국기업들은 이미 노동 지향성 투자의 한계성을 깨닫고, 對中國 투자전략을 조정하기 시작했으며, 한국의 對中國 투자는 전반적으로 보아 多元化 局面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이 全方位的인 對外 開放 政策과 적극적 外資 誘致 政策을 펴고 있는 동시에, 한국 또한 경제 국제화와 무역 多邊化 정책, 수출과 대외 투자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다. 중국은 방대한 소비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원 축적 또한 풍부하며, 저렴한 노동인구 보유 등 여러 방면에서 한국 기업들에게 있어, 매력적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했을 때, 한중 양국은 이상적인 경제 협력 동반자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양국의 경제적 상황하에서, 한국기업과 기타 외국기업의 對中國 直接投資의 비교를 통해서, 양국에 있어 좀 더 나은 상호 보완적 투자 방향과 문제점 등을 짚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 서론. 이 章에서는 본 논문의 주제 선택 배경과, 연구의 意義, 연구 방법, 혁신적인 부분, 그리고 연구 주요 내용 및 논문의 구조 등을 설명하였다. 제 2장, 대외 직접 투자 이론 분석. 이 章에서는 독점 우세 이론, 내부화 이론, 상품 생명 주기 이론, 비교 우세 이론, 국제 생산 절충 이론 등의 대외 직접 투자 이론의 진척에 대한 간단한 평가 및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찾고자 하였다. 제 3장, 중국의 투자 환경 분석. 중국은 13억 巨大 인구를 가진 시장이며, 아직 광대한 농촌 지역은 발전이 시작되지도 않은 국가이다. 세계 경제가 침체의 길을 걷고 있는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여전히 높은 成長勢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巨大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 소비 시장은 한국기업을 포함한 외국기업들이 對中國 직접 투자를 고려할 때, 가장 주목하는 요소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중국 시장은 巨大할 뿐 아니라, 복잡 다양하여 하나의 통일된 시장으로 볼 수 없어 각 지역마다 다른 투자 전략이 필요한 시장이다. 따라서, 이 章에서 중국의 일반 정치, 정책, 경제 형세와 법제 환경 등의 분석을 기초로, 대다수 외국기업들이 對中國 투자의 큰 목적으로 꼽는 製造基地로써의 환경, 消費市場으로써의 환경 등을 세밀히 분석하였다. 제 4장, 외국 기업의 對中國 투자 현황과 특징 분석. 이 章에서는 우선 외국기업들의 對中國 투자에 있어, 1979년의 初入段階에서 시작하여 2000년이래 현재까지의 安定的 發展段階까지 5 단계로 나누어, 홍콩, 미국, 일본, 대만 등 對中國 주요 投資國들을 위주로 투자상황을 분석하였으며, 외국기업들의 對中國 직접 투자의 구체적 특징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국 기업들의 대중국 투자의 지역별, 업종별 투자현황과 중국으로의 투자방식 등을 분석하였다. 제 5장, 한국 기업의 對中國 투자의 현황과 특징 분석. 이 章에서는 1988년부터 2000년 이후 지금까지의 한국 기업의 對中國 직접 투자 상황을 단계별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한국 전체 對外 直接 投資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과 한국의 대외 경제활동에 있어서 중국의 중요성 등을 짚어보았다. 이러한 기초하에, 본 章에서는 한국기업의 對中國 직접투자의 지역 분포와 업종별 분포, 투자 방식 등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 6장, 한국 기업과 기타 외국기업의 對中國 직접 투자 비교 분석과 종합 평가. 이 章에서는 한국기업과 기타 외국기업의 對中國 직접 투자 動機 및 각종 특징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全方位的, 多層面的으로 한국기업의 對中國 投資上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韓中 양국 경제 교류 및 투자 확대를 위해 한국 정부 및 중국 정부에 대해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고, 법제가 견실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투자 환경 또한 개선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경제 협력의 동반자로서, 본 논문에 記述한 현황과 특징들을 이해하고, 개선할 부분들을 공동 노력 하에 모색한다면, 韓中 양국의 경제 협력 전망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순항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1992年8月中韓兩國正式建交, 至此以後中國就成爲了韓國重要的經濟合作夥伴. 經過十多年的發展, 韓國對華直接投資迅速增長, 韓國已經成爲中國吸收外商直接投資的第七大來源國, 與此同時, 中國也成爲韓國的第一大海外投資對象國. 1978年以來的改革開放給中國帶來了巨大的變化, 提高了人民的生活水平, 也提高了中國在國際事務中的地位. 目前, 改革開放在中國已經民心所向, 成爲一種不可逆轉的曆史潮流. 正是這種體制改革指引着中國經濟向更好的前景邁進. 據中國商務部外資統計顯示, 到2004年底, 外商對華的實際投資額已超過5600億美元, 目前中國已經成爲吸引外資最多的發展中國家. 中國在國際上的地位也越來越重要. 中國改革開放的二十年以來, 國內生產總值保持了年均9.4%的增長速度. 2003年, 中國國內生產總值爲117252億元, 經濟總量居美國, 日本, 德國, 英國, 法國之後列世界第6位. 正是由于中國如此之快的經濟增長勢頭和良好的發展潛力, 許多外商紛紛來中國落戶投資. 這些外商對華直接投資的直接目的就是看中了中國龐大的消費市場和廉價勞動力資源. 所以, 制造業成爲中國吸引幷利用外資的重點. 與此同時, 中國的國內消費市場潛力很大, 它吸引着越來越多的外商來華投資. 進入20世紀80年代以後, 由于國際貿易自由化步伐的加快, 也因爲此時韓國國內工資的上漲, 產品競爭力下降. 因此, 利用他國廉價勞動力資源, 已經逐步成爲韓國對外投資主要動因之一. 韓國對華直接投資的初始目的在于利用中國的廉價勞動力資源, 注重投資于勞動力密集型產業. 中國是世界上最大的發展中國家, 不僅擁有豐富的勞動力資源, 而且其價格相對也比較低廉. 爲此, 中國成了韓國理想的海外制造基地. 換言之, 利用中國豐富的廉價勞動力資源, 是韓國對華直接投資的主要動因. 因此, 以中小企業爲中心的勞動力導向型投資成爲韓國對中國直接投資的主要形式. 不過, 最近一段時期, 韓國的投資方向已經從勞動力導向型逐漸轉換爲市場導向型. 三星集團, LG集團和現代集團等韓國企業已經發現了勞動力導向型投資的局限性, 開始調整對華投資的戰略. 可以說, 韓國對華直接投資總體上己呈多元化格局. 在中國國內, 有關中國投資環境問題的研究不在少數, 有關跨國公司對華直接投資的總體統計數據也十分詳細. 但是對于各個國家, 尤其是韓國對華直接投資的分析, 以及對中國的整體投資環境和外商直接投資傾向問題的研究等都略顯不足. 韓國國內也有一些中國經濟專家從事着中國的投資環境以及韓國對華直接投資傾向的研究. 但是在考慮中國龐大而複雜的市場, 中韓兩國經濟交流的頻繁, 投資規模增加速度以及韓國對華直接投資傾向轉變迅速的現狀時, 這些中國經濟專家所做出的資料及研究還不是很充分. 可以說, 在中韓兩國學術界, 韓國對華直接投資的研究還跟不上中韓兩國之間直接投資的實際發展的速度. 目前, 韓國對中國的投資規模正在迅速擴大. 中國在實行全方位對外開放政策, 積極引進外資, 發展外向型經濟的同時, 韓國也正在實行經濟國際化和貿易多邊化的政策, 大力擴展出口和對外投資市場. 中國龐大的消費市場, 豐富的資源儲備, 廉價的勞動力供給等等方面都對韓國企業有着很大的吸引力. 可以說, 中韓兩國是理想的合作夥伴. 本文的研究框架大體如下: 第一章, 導論. 在這一部分, 主要介紹本文的選題背景, 研究意義, 研究方法, 創新之處, 以及研究內容和研究框架. 第二章, 對外直接投資的理論分析. 在這一章里, 主要是結合有關對外直接投資理論的最新進展, 考察幾種主要國際直接投資理論的特徵, 幷做出簡要評價. 其理論有壟斷優勢理論, 內部化理論, 產品生命周期理論, 比較優勢理論, 國際生產折衷理論等. 第三章, 中國的投資環境分析. 中國是一個擁有13億人口的大市場, 而且廣大農村地區尚待啟動. 當世界經濟處于低潮時, 中國經濟却表現出了一枝獨秀的經濟增長勢頭, 使得市場規模和容量不斷擴大. 于是, 外商企業迅速進入中國市場, 擴大在中國的市場份額, 這已經成爲各大跨國公司的首要目標. 具有巨大潛力的中國消費市場是包括韓國企業在內的外商對華直接投資時最關注的因素之一. 但中國是一個非常龐大和複雜的市場. 各地情況很不一樣, 應當區別對待. 因此, 本章在分析中國的一般政治, 政策, 經濟形勢和法制環境分析的基礎上, 進一步分析了中國巨大消費市場的結構. 中國的廉價勞動力和豐富的資源是外商選擇向中國直接投資的另一個重要因素. 中國的廉價勞動力和豐富資源使得外商向中國制造業的投資顯得很突出. 基于此, 本章將仔細分析中國制造基地的優勢. 第四章, 外商對華直接投資的現狀及特徵分析. 本章首先分析從1979年開始的起步發展階到2000年以來的穩定發展階段的外商對華直接投資的整體五個階段的情況曆史回顧後, 再分析對華直接投資占據前列的香港, 美國, 日本和台灣等4個國家和地區的對華直接投資情況. 爲了準確把握外商對華直接投資的具體特徵, 本章進一步分忻外商對華直接投資的地區及行業分布情況與其投資方式等的特徵. 第五章, 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的現狀及特徵分析. 本章先分析了從1988年到2000年以來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情況的曆程. 此後, 進一步分析在韓國整體對外直接投資中中國所占的比重以及在對韓國貿易往來中中國的重要性. 在此基礎上, 本章再具體分析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的地區分布及行業分布情況與其投資方式等的特徵. 第六章, 韓國企業與其他外商對華直接投資的比較分析及綜合評價. 本章分析比較包括韓國企業與其他外商的對華直接投資動因, 及以上各種特徵. 通過全方位, 多層次的分析, 找出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上的問題幷提出有助于擴大中韓兩國經濟交流的幾個建議. 我們發現, 通過對韓國企業與其他外商對華直接投資金方位的比較, 我們能得知韓國具有對華投資區域的局限性, 投資項目的局限性和對華投資規模相對小等的問題. 同時, 我們也看到, 中國需要在制度上加強透明度, 中央和地方, 省和市之間的協調工作應該進一步加強, 向國際化邁進, 實施利用外資多元化的戰略, 加大吸收韓國對華直接投資的力度, 加強市場監督管理工作, 以此來提高民眾與企業對知識產權, 特別是與商品和市場相關的知識產權的意識和水平. 與此同時, 韓國也需要堅定對華戰略性投資, 全面考慮和分析中國的吸引外資政策, 預防韓國制造業空洞化現象及實現產業結構在新的層面的均衡, 進一步優化對華直接投資的產業結構. 另外, 中韓雙方都要努力優化韓國對華投資的地區布局, 培養優秀的管理人才和專家, 改進生產技術, 提高勞動生產率, 擴大勞動市場, 完善企業經營環境等. 本文的創新之處就在于, 從一個留學生的視角對中國的實際情況進行充分翔實的研究-分析中國的投資環境以及韓國企業和外商對華直接投資的傾向. 幷首次通過其他外商企業與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狀況和特徵的全方位的, 多層次的比較, 試圖摸索對中韓兩國雙贏戰略的互補性投資方向以及改進措施. 筆者還會利用手中掌握的一些統計資料, 對數據進行了綜合分析. 通過精讀和分析一些中國和韓國書籍試圖了解現中國的宏觀經濟情況及投資環境, 同時也了解到了其他外商和韓國企業對中國的直接投資狀況. 應當指出, 中國是一個地大物博, 人口稠密的國家, 各地區之間存在着明顯的差別. 不了解這種地區差距, 籠統地討論中國的整體經濟和投資環境是没有什麼意義的. 因此本論文着重于考察這些差臣與韓國企業和其他外商對華直接投資的多種特徵. 本文通過分析中國的投資環境及其他外商對華直接投資的狀況和各方面的特徵與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的狀況和其特徵, 試圖找到韓國企業對中國直接投資存在的問題以及投資方向上的指導思路. 本文在對國際直接投資理論與中國投資環境充分理解的基礎上, 通過全方位的其他外商對華直接投資特徵以及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特徵的比較分析, 對韓國進一步的在華直接投資提出建議, 對中國政府也提出進一步改革和完善的建議. 中國的經濟在發展, 法制在健全, 投資環境在改善. 中韓兩國雙方都需要對方作爲合作夥伴. 我們預期, 中韓兩國的合作前景將非常美好.

      • 鄧小平社會柱現代化發展戰略思想硏究

        이평식 中國人民大學 1999 해외박사

        RANK : 249647

        중국의 20세기는 하나의 거대한 변혁의 시대이다. 이 일세기 동안 중국은 두 가지 그들의 역사적 임무를 완성하였고, 지금도 그 길을 걷고 있다. 그 하나는 모택동 사상의 지도하에 신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하고 사회주의 독립국가를 이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등소평 이론의 지도하에 사회주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동시에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제2의 혁명, 즉 사회주의 현대화를 실천해 가고 있는 것이다. 70년대 말 이후 일련의 사회주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전환 및 그 이론적 규정, 그리고 사회주의 중국의 특수한 현실적 사회조건에 맞는 국가 발전 방안에 대한 기본입장과 이론체계를 규명한 것이 바로 등소평 이론이다. 이 등소평 이론이 바로 중국공산당과 중국정부의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사업의 기본이론이자 현대중국의 국가지도이념 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논문은 현재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중국의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 사업의 지도이념, 지도사상에 관한 총체적 연구이다. 하지만 현대화 건설 자체가 현실적 경제성장이라는 실천적 성과에 의해서만 객관적으로 검증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등소평의 사회주의 현대화 전략사상과 중국의 현대화 실천 현황 및 그 성과를 밀접히 결합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의 객관성과 과학적 체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화 발전전략의 기본이론, 현대화 일반이론 및 발전경제학의 기존 이론연구 성과를 연구 분석의 기본 틀로 설정하고, 등소평 이론 및 중국공산당과 중국정부의 공식 문건, 중국 현대화 건설 사업의 구체적 실천과정 및 그 성과 등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현대화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고찰과 모택동 시대의 현대화 건설 경험에 대한 비판적 평가로부터 착수하였으며, 주요 연구 내용은: 첫째, 등소평의 사회주의 현대화 발전전략 사상의 탄생과 그 형성에 대한 사회 역사적 배경: 둘째, 등소평의 삼단계 현대화 발전전략에 대한 기본 구상: 셋째 어떻게 전략 목표를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전략 방안에 관한 이론 사상 ; 넷째, 중국의 거시적 경제발전 규율과 지역 불균형 경제발전에 관한 총괄적 이론 및 구체적 전략 방안에 관한 이론 사상: 다섯째, 사회주의 국가 중국이 현대화를 실현하기 위한 조건 및 보장요소등 경제외적 환경요인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분석 작업을 통해, 본 논문은 사회주의 초급단계에 처해 있는 중국의 현대화 건설 사업에 대한 국가지도이념을 정확히 파악함과 동시에 그 이념이 구체적인 현실 상황 속에서 어떻게 실질적으로 체현되고 있으며, 어떠한 객관적 성과를 얻었는가를 살펴 보는데 충분한 이론 및 실천상의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중국 및 기타 사회주의 국가, 더 나아가 후발 현대화 국가의 현대화 건설 사업에 일정한 이론상, 사상상 및 실천상의 경험 교훈 및 비교 대상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韓中企業集團的公司治理結구比較 : Comparison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Business Groups

        최은영 中國人民大學 2005 해외박사

        RANK : 249647

        한중 기업집단의 기업지배구조 비교 20세기 90년대 이후 기업지배 혹은 기업지배구조가 전세계 이론계와 기업계가 매우 중시하는 "핫 이슈"가 된것은 기업지배구조가 기업경영실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경험적 실증때문이다. 서방 선진국의 경우 이미 상당히 정형화된 기업지배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한국과 중국 그리고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그 기업지배구조가 상당히 취약하다. 특히 한국의 지난 금융위기는 한국 기업집단의 지배구조의 취약성을 여실이 보여주는 일례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은 한중 양국의 기업집단의 지배구조를 그 연구대상으로 하고 대리인이론과 재산권이론을 연구방법으로 하여 두나라의 기업집단의 지배구조에 존재하는 문제, 낙후된 원인 및 개선방안에 대해 상세한 분석을 하였다. 먼저, 한중 양국의 기업집단 발전 연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두나라의 기업지배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내외부 경제환경과 조건을 알아본다. 다음으로 한중양국의 기업집단의 지배구조의 구체적인 상황과 특징에 대해 상세한 분석을 한다. 또한 기업소유구조에 입각하여 기업지배구조가 왜곡된 원인, 양국 기업지배기제 및 대리인문제를 분선한다. 그리고 일련의 최신통계데이터를 이용하여 불합리한 소유구조가 기업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초보적으로 양국 기업집단의 지배구조 모형을 구축하고 최적의 기업지배구조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한중 양국의 기업지배구조, 기업통제기제 및 대리인문제에 대해 비교하고 금융위기 이후 한국 대기업집단의 지배구조 개선과 경험에 비추어 향후 중국기업집단 지배구조의 개선방안을 제기한다. 본문의 연구결과, 한중 양국 기업집단의 지배구조가 취약한 원인은 불합리한 기업소유구조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기업주식소유가 과도하게 대주주에게 집중되어 있고 대주주는 강력한 기업소유권을 행사하므로써 기업지배구조의 구성과 운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심지어 결정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문은 이하의 내용을 제기한다. 현단계에서 한중 양국의 기업집단의 대주주의 기업소유구조의 개선과 효과적이고 실행가능한 기업지배구조의 도입이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관건이고 규범화된 기업지배구조의 구축이 기업경영실적을 제고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한중 양국의 현상황으로 볼때, 기업소유구조에서의 근본적인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이때문에 적극적으로 양국 국정에 적합한 실행가능한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양국기업집단의 지배구조개선에서의 기본 첩경이 될 것이다. 本論文的結構安排和內容如下: 導論, 是全文的緒論部分, 介紹了本論文研究背景, 研究意義, 創新和不足之處以及結構安排. 第1章是公司治理理論綜述, 主要回顧了有關公司治理的基本理論. 首先, 闡述了公司治理的淵源, 概念和涵義, 對公司治理的相關理論進行了回顧, 包括產權理論, 委托-代理理論, 然後分析了公司治理結構, 股權結構, 公司治理結構與股權結構之間的關系以及股權結構與企業績效間的關係. 公司治理理論綜述是本論文的理論基礎. 第2章主要分析了韓國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 首先, 通過韓國企業集團發展曆程了解韓國企業集團公司治理形成的背景和企業組織結構的特點及問題(第2章1). 然後對韓國公司治理結構的基本問題, 公司治理結構扭曲的原因及代理問題進行了概述性分析(第2章2). 最後, 通過有關企業集團的最新統計數據深入分析了企業集團的不合理的股權結構對公司治理的影響, 且通過可靠的公司治理結構評價機構對韓國公司治理結構進衍評價, 了解目前韓國公司治理結構的不足之處, 最後, 論述了韓國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的改善方案及其局限性(第2章3). 第2章主要分析了中國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 首先, 通過中國企業集團發展曆程了解中國企業集團公司治理形成的背景和企業組織結構的特點及問題(第3章1). 然後對中國公司治理結構的基本問題, 公司治理結構扭曲的原因及內部人控制問題進行了概述性分析(第3草2). 最後, 通過有關企業集團的最新統計數據深入分析了企業集團的不合理的股權結構對公司治理的影響, 且通過公司治理結構評價機構對中國公司治理結構進行評價, 了解目前中國公司治理結構的不足之處, 最後, 提出了優化中國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的方案(第2章3). 第4章是韓中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的比較. 在第2章和第3章分橋的基礎上,對韓中兩國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進行綜合比較. 首先, 對兩國公司治理結構的基本特點和現況進行比較, 然後從決定公司治理結構的股權結構對兩國公司內部監控機制進行比較, 最後從金融危機之後韓國企業集團公司泊理結構的改善方案和經驗, 提出了對今後中國公司治理結構優化的借鑒. 本論文的創新之處主要表現在以下幾個方面: 首先, 本論文是從企業理論着手, 爲大股東的所有權與公司治理結構之間的關係提供了一個理論框架. 國外對這一方面的研究, 是建立在國家層次上的, 基本上從法律對投資人保護的視角出發, 研究不同國家因爲法律體系對投資者利益保護的不同所導致的公司治理結構和企業績效的差(La Porta等人, 1998; 2000; 2002). 本論文將研究建立在企業層次上, 對企業所有權性質對公司治理結構的影響進行了詳細地分析. 其次, 本論文以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爲研究對象, 擺脫了限於以上市公司爲主要研究對象的公司治理結構研究. 目前在中國, 由於收集資料的困難, 對公司治理的研究限於上市公司的公司治理結構, 缺乏企業集團層次上的公司治理結構研究. 另外, 由於中國企業集團剛進入發展階段, 對企業集團的研究集中在企業集團組建方面的研究, 於是本論文填補了目前對企業集團研究的不足. 最後, 本論文除了對企業集團公司治理的理論分析之外, 還運用一系列的統計數據進行了實證分析, 通過兩國企業集團的最新統計數據深入分析了兩國公司股權結構對公司治理結構的影響, 這也是本論文的創新之處. 本論文的不足之處有兩個部分: 第一, 由於本論文從企業集團發展歷程作爲公司治理形成的背景詳细分听企業集團公司治理結構的问题和公司治理結構扭曲的原因, 於是論文涉及面較廣, 降低了論文的集中度. 第二, 缺乏對公司治理結構與公司績效的計量分析. 由於有關企業集團的统計資料的收集困難(尤其是企業集團績效的原始数據), 本論文注重於企業集團公司治理扭曲的理論分析, 未能进行企業集團治理結構與其績效的實證分析, 這是本與文另一不足之處.

      • 中國文化特徵對會計制度的影響 : 兼論中韓會計制度的比較

        이상직 中國人民大學 1999 해외박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문화와 회계제도의 관련성을 이론적으로 개괄하고, 이를 바탕으로 Hofstede-Gray모형을 이용하여 중국의 문화적 특징이 회계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중국의 회계제도개혁에 있어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중국의 문화적 특징은 권력편중이 심하고, 불확실성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도 비교적 높고, 개인주의적 경향은 아직 낮은 편에 속하며, 또한 비교적 남성적인 사회이며, 장기 지향적인 사회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평가를 통하여 중국의 회계제도를 전반적으로 평가한 결과 중국의 문화적 특징과 회계제도의 적합성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혁·개방 정책이후 사영경제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회계규범의 제정과 적용과정에 있어 통일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로 인하여 개별기업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요인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개별기업의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낮고, 또한 국가전체적인 회계정보생산비용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안으로는 회계제도에 있어서 정부의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와 통제기능을 점진적으로 중국회계사협회 등 관련 전문단체에 그 일부의 기능을 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 중국이 건설하고자 하는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의 설립이라는 정책과도 일부 부합한다. 따라서 공인회계사협회 등 관련 전문단체들과 회계담당자들의 수준향상과 적극적인 직업의식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회계제도는 회계정보의 객관성과 검증가능성이 높은 측면에서는 우수한 회계제도이나 목적적합성 측면에서는 정보로서의 가치가 낮다. 또한 향후 중국회계제도의 개혁이 필요할 경우 영미식 회계시스템보다는 프랑스식 회계시스템을 참고로 하는 것이 고려되며, 이는 영미의 문화적 특징보다는 프랑스의 문화적 특징이 중국의 문화적 특징에 보다 가깝기 때문이다.

      • 中國近代華北地區的民俗信仰 : 通過日常生活的探索

        李燦元 中國人民大學 2001 해외박사

        RANK : 249647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village cultures of modern china, especially, the people mentalities, is studying for the daily-life and folk-custom-belief of the chinese people. Why is it that I will put forward this subject, as for the historical circles, that will be comprehend the people mentalities in the modern chinese societies by means of grasping folk-custom-belief of people. Crisscrossing this content of studies: first, the daily-life; second, the folk-custom-belief. The daily-life is a thing of daily occurrence, namely, the base of social life. The village culture is formed and is evolved on the base of daily-life. The daily-life has a bifacial nature is, on the one hand, a surface, a repeatable, an outworn, a trivial: on the other hand, a deep-seated, a realistic. The attributes of daily-life is a conservative, an exclusive, therefore the daily-life is changed at last. The characteristic of daily-life is that has a structure of subsistence and inheritance. The dailylife consists of a family life, a productive activity, a life of leisure, and it is manifesting a totality of these threefold sides. This study is exploring the daily-life of people, comparing these threefold sides to the life of desire, the life of labor, the life of happiness. It is formed the consciousness of daily-life upon a daily-life. The consciousness of daily-life is a social mentality, it is a starting point of studying state of people mind, is higher than the human instinct but lower than the logical mental life in the human life, the human society, the human history. The social mentality of people is directly produced by the experience of the productive activity, the daily-life and the personal interaction, therefore, it is a powerful consciousness that determines the words and deeds of daily-life. As the power of spirits that give rise to agree on a matter, it unites a scattered people. The folk-custom-belief is a good instance of embodying these consciousness of daily-life, being make up along the daily-life of human, and being make use of the daily-life's belief, it gives service to the purpose of an overall daily-life. Even if the essential factors of the folk-custom-belief originated from a regular religion, it is also absorbed in the system of daily-life. All the folk-custom-belief is made up of the usual deeds and a creed of the human life. Its group is not an organization that has not an only purpose of religion, and it is but formed from a family, a clan, and a group of daily-life. Its creed is formed and maintained on the basis of a taboo, a folktale, a myth etc., namely, the social standards and the concept that the above mentioned communities shared with. The folk-custom-belief is the village mentality that created and handed down from the village daily-life group. The folk-custom-belief is the worship of a super human beings, embodying in the special ceremony and social customs, using a selfoverflow of social powers and a social-recognized forms, it act on the social members regularly. The conveyance of folk-custom-belief, first, is the behavior that peasants pray toward a birth, a oldness, a illness, a death or a disaster. Second, it is the folk-customgroups that villagers made up and formed according to the customary deeds, such as a temple fair (묘會), a incense society (香會) a variety show party (花會), these activities are open and loose, under the provisions of the ceremony, are engaged in the folk custom activities of a mutual aid and cooperation, a charities, a entertainment, a prayer etc. The folk-custom-group of a village society has a mentality and a custom that the people life consciousness is colored with the folk-custom-belief. For instance, as a prayer group, the incense society is linked by the belief ceremony, expressing the consciousness and situation that take with a belief colored. The basis of folk-custom-belief is the nature of the para-religion, and it sends the folk-custom-belief enveloping a mysterious atmosphere. Throughout the folk-custom-belief, one' s belief in super-natural being directly expresses the wishing of the people that prays for avoiding danger, its deeds and contents is intricate. Although one' s belief in supernatural being is an origin of folk-custom-belief, it is, in fact, not existing. All the result of the behavior through words and deeds, can not yield actual effects in the natural world and the human society, therefore, the mysterious character becom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folk-custom-belief. In addition, the natural world and the human society is the reality, and the utility that folk-custom-belief will pursues is embodied in the objective world, thus it receives the restriction of its object, it is reflected as social values. The folk gods has a great mass of god, they lively act in the folk custom activities. They came partially from the special religion, on the one hand the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Taoism, but the gods from the Buddhism and Taoism already qualitatively changed to a para-religional character, therefore, has not an original deity. The folk-custom-belief that consists of not a few custom-type is intersected with the mutual different factors of culture. For example, the bumper-prayer and the flood-drought-divination are interrelated with a folk-custom of farming. The childbearing-prayer and the wishing of longevity are interrelated with a custom of the life culture. The prayer for happiness and the avoidance of evil against the gods are interrelated with the supernatural being custom. The worship of the feast is interrelated with a folk custom of the season. In a word, it is takes a trace of the folk-custom-belief in the p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ll the field of life. For a lack of materials, a torture of disease, an occurrence of disaster, a strait of life, the folk-custom-belief of the ante-modern society has an useful fields.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daily-life and folk-custombelief, dividing the folk-custom-belief of the chinese people into three sides, it i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side of the desire consists of four contents. It takes the birth-dead that shows the pursuit of the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The marriage and the childbearing-prayer mean a wish of family maintenance. The land, the wealth, the life span, the happiness and the house-kitchen displays a wish of the life harmony. The pursuit of an auspicious event, the avoidance of an evil against the gods, the treatment of a disease and the worship of an ancestor show the prayer of a life safety. Second, the side of labor consists of the 24 solar terms and farming, the agriculture and feast, the natural phenomenon and collective action. Third, the side of the joyfulness consists of the temple fair(묘會), it show the ties of group and the satisfaction of spirit. The variety show party(花會) manifests show the removal of a life stress. Since the ancient society of china, a lot of people feel bewildered the birth-dead, the marriage and the childbearing-prayer, the life harmony, the avoidance of an evil against the gods, the treatment of a disease and the worship of an ancestor etc. These pursuits of life form the trunk of folk-custom-belief. It is that the people become a main part and the life become an object of pursuit, thus the plentiful factors of life is fused in the folk-custom-belief and it has a color of mentality. The pursuit of life is embodied in a belief of the life,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visibility of desire. Satisfying for the desire of people, it is rightly the labor that maintains the life of human. The farming is a basic labor and a work of the four seasons in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y. According to a rich or poor crop, it is decided that a life of people is good or bad, therefore, the prayer of a rich crop is important in the folk-custom-belief. In this respect, the festival of four seasons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farming. The folk-custom-belief of the sowing and harvest shows a thirst that maintains the life of the people. The external factors that affects the life of people, namely, the collective activity against a natural disaster can not be ignored It is showed in the pray for raining that the people avoids a natural disaster in the heart. The daily-life of the people is dull and uninterested, and they are usually hardworking. They can only participate in a time of the festival, the temple fair.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people feels his satisfaction at the daily life, and they achieve the link of the daily-life group, and they get rid of a stress of life.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ntents, this study understands as follows. First, the folk-custom-belief of the people projects the human nature about everything. Second, it progress and change with the other cultural factors, namely, it has a historicity. Third, it is showed in a nature of the non-science and non-logic, but it can not be ignored in the value of history. 이 논문은 근대중국의 향토문화, 특히 농민의 心性을 이해하기 위하여 농민의 일상생활과 민속신앙을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주제를 제기한 이유는 역사학적으로 말하자면 중국근대사회 농민의 민속신앙을 정확히 파악해야 중국농민의 의식상태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핵심주제는 일상생활과 민속 신앙이다. 일상생활의 개념은 매일 반복되는 생활이며 인간생활의 기초라는 것이다. 향토문화는 이러한 일상생활의 기초 위에서 형성되고 변천한다. 일상생활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는데 즉 한편으로는 표면적이고 반복적이며 진부하고, 사소하다는 측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심층적이면서도 실재적이라는 것이다. 일상생활의 속성은 보수적이며 배타적이기 때문에 사회변화에서 제일 나중에 변화한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의 특징은 주기적인 시간에 근거하여 생존과 전승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은 가정생활과 생산활동 그리고 여가생활로 구성되며 이 새 가지 측면의 총합으로 표현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측면을 욕망, 노동, 쾌락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대비해서 농민의 일상 생활과 민속신앙을 연구하였다. 일상생활의식은 일상생활을 통하여 형성된다. 일상생활의식은 일종의 사회심리이며 인생과 사회 그리고 역사에 있어서 생존본능에 대한 의식구조보다는 높고 논리적인 의식구조보다는 낮은 정신상태로서 향토생활의 의식상태를 연구하는 출발점이다. 농민의 사회심리는 생산활 통과 일상생활 그리고 인간관계의 경험을 통하여 직접 형성되며 인간의 공동의 생존조건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일상적인 언행을 통제하는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이 강한 의식이다. 따라서 사람들로 하여금 동조하게 하는 심층적인 심리구조로써 분산된 농민을 결집하는 역할을 한다. 민속신앙은 이러한 일상생활의식을 대표하는 콜은 실례로써 일상 생활의 맥락에 따라 형성되고 일상생활의 종교로써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민속신앙을 구성하는 요소는 불교나 도교 등 순수종교에서 유래하였지만 사람들의 일상생활체계에 흡수되면서 종교의 순수성이 희석되었다. 모든 민속신앙은 사람들의 관례행위와 생활신조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조직은 단일한 종교목적을 가진 단체가 아니라 가족, 종족, 친족과 지역사회 등 기존 일상 생활조직을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었으며 그 신조는 일상생활의 금기, 전설, 신화 등 상술한 공동체가 소유한 규범, 관념에 근거하여 형성되고 유지되었다. 민속신앙은 상술한 조직을 통하여 전승되고 창조되는 지방성과 향토성을 가진 심리상태이다. 민속신앙은 어떤 초인간적인 관념에 대한 심리적 숭배형태이고 특정한 의식과 풍속으로 나타나며 자발적인 사회 역량과 기성의 형식을 이용하여 사회구성원의 행위에 대하여 규범적으로 작용한다. 민속신앙의 표현양식으로는 첫째, 생로병사 혹은 어떤 재난에 대한 농민의 기원행위가 있고 둘째, 향리의 민중이 어떤 습관행위에 의하여 조직 형성한 민속집단 예를 들면, 민간의 廟會, 花會, 香火會등으로 개방적이면서도 느슨한 조직으로 의식과 규율의 통제 속에서 호조와 자선, 오락 혹은 기도 등 민속활동에 종사한다. 향리사회의 민속집단은 농민생활의식과 함께 용해되어 신앙색채를 띤 관념과 습관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도집단으로서 香會는 종교의식을 매개체로 하여 어떤 신앙색채를 가진 관념과 사상으로 표현된다. 민속신앙은 종교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민속신앙으로 하여금 신비한 분위기를 띠게 하고 迷信의 성질과 俗信의 성질을 갖게 한다. 미신은 비이성적이고 비과학적이며 일반적으로 비논리적 성질을 전제로 하고 사건, 사물, 현상의 인과관계를 존재의 필연성으로 간주한다. 俗信은 巫術과 사이비종교와 관련이 있지만 민간의 오랜 전승과정에서 습관성행위로 퇴화한 것이다 예를 들면, 섣달 그믐날 밤 春聯을 붙이는 행위와 까치설날을 쇠는 행위, 정월 초하루 문을 열고 폭죽을 터뜨리는 행위, 淸明에 버드나무가지를 머리에 꽂거나 문에 끼우는 행위, 단오에 龍舟를 타고 경기하는 행위 등은 모두 미신적인 색채가 없어져서 俗信으로 변화한 것이다. 과거의 귀신을 쫓거나 재해를 없애려는 신앙은 오자활동으로 전화하였지만 여전히 태평, 풍년, 화목의 기원을 포함하고 있다. 민속신앙에서 귀신에 대한 신앙은 농민이 재해를 피하려는 희망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환상적인 귀신과 기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공경은 민속신앙의 기초이지만 그것들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언어와 행동을 통하여 귀신의 보호를 받고자 하는 모든 행위는 자연계와 인간사회에서 실제적인 효험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귀신에 대한 신앙이라는 신비적 성질은 민속신앙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자연계와 인간사회는 실재적이고 민속신앙이 추구하는 공리적인 목표는 이러한 객관적인 현실 속에서 실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것은 필연적으로 그 대상의 제약을 받아서 어떤 하나의 사회가치관으로 구현된다. 민간의 귀신은 그 종류가 많고 민속활동 중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들은 대개 불교와 도교에서 유래하였지만 이미 원래의 종교적인 성질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민간에서의 귀신에 대한 제사는 하나의 사이비종교성을 가진 민속현상으로 나타난다. 민속신앙을 구성하는 일부 유형은 서로 다른 문화요소와 교차해서 하나의 유형이 된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풍년을 기원하는 것과 홍수나 한발을 점치는 깃은 농경민속과 관련이 있고 득남을 바라는 것과 장수하기를 바라는 깃은 인생과 관련되고 신에게 복을 기원하는 것과 재앙을 피하려는 것은 귀신의 신앙과 관련이 있으며 명절의 제사는 세시풍속과 결합되며 병이 들지 인기를 바라는 것은 건강에 대한 민속과 혼합된다. 결국, 인간의 물질생산, 생활의 자 영역은 모두 민속신앙의 흔적을 가지고 있으며 물질의 결핍, 질병의 발생, 재해의 발생, 인생의 곤혹, 귀신의 신앙, 巫術의 성행 등의 원인으로 인류사회의 민속신앙은 매우 광범위한 영역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일상생활과 민속신앙활동에 근거하여 농민의 민속신앙을 크게 세 가지 방면으로 나누어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욕망의 방면에는 첫째 '生死'가 있는데 이는 인생의 본능에 대한 추구로 표현된다. 다음에는 '婚姻과 求子'인데 이는 가족의 존속에 대한 희망을 의미한다. 그리고 '土財壽福과 조'인데 이는 인생의 화목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求吉, 禳解, 治病과 祭祖'인데 이는 생활안전의 희망을 표현한다. 노동의 방면에는 첫째 '二十四節氣와 耕種', 둘째 '農事와 節日', 셋째 '自然 現象과 集體活動'으로 구성되어 있다. 쾌락의 방면에는 우선 '廟會'인데 집단적인 유대와 정신만족을 표현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花會'로써 생활의 스트레스를 해소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고대로부터 사람들은 인구의 증가와 감소에 대하여 잘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자녀의 생육, 다산과 불임, 순산과 난산, 요절과 장수 등에 대하여 신비감을 느꼈으며 따라서 많은 신앙관념과 민속신앙행위를 만들어냈다. 고대중국에서는 득남, 장수, 화목, 안전 등 인생이 추구하는 내용이 민속신앙의 줄기를 이루고 있다. 민속신앙은 사람을 주체로 하고 인생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 내용 안에는 비교적 풍부한 생활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일정한 심리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 인생의 희구는 생명에 대한 신앙을 표현하고 있고 욕망의 노출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인생을 표현하는 말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생로병사'일 것이다. 불교는 그것이 인생의 내 가지 고통이라 하고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로병사는 자연계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것은 자연의 법칙이며 모든 생명체도 이러한 법칙에서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사람들은 자연에 대한 지각과정을 통하여 이러한 법칙을 인식하고 고대로부터 이러한 법칙에서 벗어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생에 대한 사람들의 집착이 표현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생로병사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자연의 법칙을 거스를 수 없다는 인식 아래에서 기본적으로 이러한 법칙 내에서의 생에 대한 추구로 표현된다. 이리한 인식의 대표성을 띠는 것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기인 즉 신령에 대한 기원을 표현되며 이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많은 민속활동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민속신앙에서 혼인과 득남이라는 공리적인 관념은 하나의 방대한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봉쇄적인 농촌경제를 바탕으로 하여 전통적인 윤리관에 의거하여 봉건가족제도를 형성하였다. 득남에 관한 습속은 경사나 오락의 요소 외에 생리적, 생태적, 사회적, 심리적인 측면에서 모호한 부분이 많아 민속신앙의 형태를 많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체계에서는 功利性과 隨意注이 결합되어 비과학적인 인식이 전제되고 있다. 전통사회에서 일상생활에 대한 농민의 가치관은 복, 수명, 재산, 토지와 부엌에서 표현된다. 이러한 가치의 목표는 福神, 壽神, 財神, 土地神, 조神이라는 민간의 신령에 대한 숭배로 나타난다. 이들 신령에 대한 신앙은 토지를 기점으로 해서 복을 추구하는 것으로 귀착되는데 이는 향리민중의 가치에 대한 심리상태를 반영하는 것이다. 吉運을 추구하는 것은 민속신앙의 독특한 형태로 의식, 행위, 언어, 문자 및 기타 상징물을 통하여 심리적인 만족상태에 이르게 한다. 길운의 추구는 순조로움을 종지로 하고 현상과 미래를 개조하려는 심리에 의지하여 비관적이거나 두려움이 없는 심리상태를 표현하며 낙관적인 감정으로 걱정이나 고통을 희석하여 현실생활에 기쁨과 명랑함을 더하게 한다. 액막이는 행복을 기원하고 재해를 피하려는 신앙행위로 有神觀이 전제이다. 이는 생식, 장수, 풍년, 재산, 평안, 건강, 순리 등에 대한 기원과 액운, 질병, 요절, 기근 등의 제거로 達현된다. 액막이는 비과학적 사유의 산물로써 그 기초는 신령관념이며 그 안에는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신앙을 포함하고 있다. 고대에는 질병이 귀신에 의하여 발생하는 깃으로 보았다. 병리와 약리에 대한 지식의 결핍으로 사람들은 미신과 무당에 의존하여 질병에 대처하였다. 질병을 제거하려는 행위는 계절과 관련하여 세시민속활동으로 변화하였다. 질병제거행위는 里든 사람이 참가하지는 않지만 그 활동의 규칙에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의식이 있으며 주로 巫術적인 의식의 형식으로 전승되어왔다. 조상에 대한 신앙의 가장 보편적인 의의는 고인에 대한 민간의 경배이다. 이것은 신령숭배 내에서의 망령관념으로부터 도출된 조상신 숭배이다. 고대사회에는 보편적으로 사람이 죽으면 귀신이 된다는 인식이 존재하였다. 천신, 지신, 人鬼가 혼합된 귀신세계에서 조상은 분명한 위치를 갖게되는데 이는 원시종교의 자연숭배가 조상숭배로 변화되어 조상이 신령과 인간의 사이에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이로서 조상숭배는 영혼관념을 바탕으로 하여 농후한 민속신앙의 요소를 갖게된다.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고 인류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바로 노동이다. 전통농업사회에서 耕種은 가장 기본적인 노동이며 사계에 걸친 사업이다. 경종의 풍흉에 따라 농가의 생활이 좋고 나쁜지 결정되기 때문에 풍년을 기원하는 민속신앙활동은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면에서 일년 내의 명절활동은 농사의 기초 위에서 형성된다. 파종과 수확에 관한 민속신앙은 농가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갈망으로 표현된다. 농사와 관련해서 인간생활의 외재요소 즉 자연현상에 대한 집단활동도 소홀히 다를 수 없는 내용이다. 자연재해를 피하려는 마음은 가뭄이 있을 때 祈雨를 위한 집단활동으로 표출된다. 농민은 하루 종일 들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토지와 농민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농민은 씨를 뿌리는 것으로 생계를 도모하고 토지에서 생활하는 전통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토지의 속박을 받는다 토지는 농민의 뿌리이며 그들은 토지가 최고의 신령으로 생각하고 있다 농민의 경종은 직접 토지에서 재물을 얻는다는 깃을 나타내는데 속어에 "사람이 토지에서 근면하여 게으름을 피지 않으면 황토가 황금으로 변하다" 라는 말이 있다. 자연계의 변화는 농민의 경종에 직접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경종과 관련하여 24절기가 매우 중요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농가의 일상생활은 단조롭고 무미건조하다. 그들이 오락활동에 참가할 수 있는 때는 명절기간으로 廟會나 花會에 참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활동을 통하여 농민은 일상생활 속에서 만족을 느끼고 집단적인 유대에 도달하며 생활상의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묘회는 일종의 특수한 소통행위로서 인간과 신령, 인간과 조상 또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집단적인 소통활동이다. 묘회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은 주로 기원과 분향, 그리고 오락활동이다. 상술한 농민의 민속활동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첫째, 농민의 민속신앙은 사물에 대한 人性의 투영이며 설사 그것이 역상으로 나타날지 라도 명확한 심리와 행위를 표현하고 있으며 농민사회의 실천과 검증을 반영하고 있고 농민의 정신세계를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농민의 민속신앙에 대한 시각은 완전한 사유체계를 갖춘 것으로 봐야 한다. 둘째, 농민의 민속신앙은 기타 문화유형의 발전에 따라 변화하며 사회에 해롭지 않은 신앙으로서 일상생활의 관습으로 전화되어 계속 답습 발전하였다. 이것은 민속신앙이 역사성을 갖추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로 일상사회심리사의 연구에 있어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농민의 민속신앙이 비록 쇠퇴한 문화형태라고 할지라도 일정한 역사조건 하에서 광범한 응용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문화요소와 상호 교차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농민의 문화전통을 알 수 있는 표지이다. 셋째, 농민의 민속신앙은 신앙문화의 영역으로 비록 비 과학적이고 비논리적인 활동이라고 할지라도 농민의 생존, 발전, 행복의 기원을 굴절하여 반영한 것으로 자연과 사회에 대한 농민의 노력을 표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