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etabolic Patterns of Middle-Age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Korea

        강민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is characterized by a heterogeneous metabolic disorder, requiring proper management of metabolic indicators. In diabetes patients in Asia, even with lower body mass index (BMI) than that in Western, the body fat rate is high and insulin secretion ability is reduced. Despite these racial differences, the majority of studies that identify patterns of metabolic heterogeneity primarily focus on Western populations, with limited research conducted on T2DM patients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etabolic patterns in middle-age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South Korea and determine the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complications according to patterns. From 2008 to 2020, a total of 6,603 patients with T2DM aged 30 to 64 who visited three medical centers in South Korea more than once were analyzed. Twelve parameters, including weight, blood pressure, and blood markers, known as risk factors for vascular complications, were selected. Diabetes-related complications included seven vascular complications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cancer. To identify metabolic pattern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arameters. The Cox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isk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each pattern. Three metabolic patterns were derived: Obesity and Hypertension pattern (OH-P), Liver Function-related hyperglycemia pattern (LF-P), and Decreased Kidney function pattern (DK-P). The highest tertile of the OH-P had a higher risk of peripheral vascular disease than the lowest tertile (HR = 1.26, 95% CI = 1.02-1.57). The highest tertile of the LF-P had a higher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HR = 1.79, 95% CI = 1.13-2.82) and atrial fibrillation (HR = 1.54, 95% CI = 1.07-2.23) than the lowest tertile. No association with vascular complications was found in the DK-P. In this study, three metabolic patterns, namely OH-P, LF-P, and DK-P, were identified among T2DM patients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discerned the specific risk of developing complications, which were distinctly associated with the three identified patterns. Developing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for each pattern will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gnosis of the patients. 제 2형 당뇨병 환자는 이질적인 대사 장애를 특징으로 하며 대사 지표의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아시아의 당뇨병 환자는 서양인에 비해 낮은 BMI에서도 체지방률이 높고,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감소되어 있는 등 대사 특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종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사 이질성의 패턴을 분석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서양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있으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년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의 대사적 패턴을 파악하고 패턴에 따른 당뇨병 관련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8년에서 2020년 사이, 경희대학교병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가천대학교길병원에 1회 이상 내원한 30세에서 64세의 제 2형 당뇨병 환자 6,6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변수에는 체중, 혈압, 혈액 마커를 포함한 12개의 매개변수가 선택되었다. 당뇨병 관련 합병증에는 대혈관 합병증과 미세혈관 합병증, 그리고 암이 포함되었다. 대사적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이 수행되었다. 각 패턴에 따른 합병증 발생 위험은 콕스 회귀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각 패턴의 요인 점수에 따라 삼분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세 가지 대사적 패턴이 도출되었다: 비만 및 고혈압 패턴 (OH-P, Obesity and Hypertension pattern), 간 기능 관련 고혈당 패턴 (LF-P, Liver Function-related hyperglycemia pattern), 신장 기능 저하 패턴 (DK-P, Decreased Kidney function pattern). 모든 보정변수를 조정한 후 OH 패턴의 점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말초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았다 (HR = 1.26, 95% CI = 1.02-1.57). LF 패턴의 경우, 패턴의 점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심근경색 (HR = 1.79, 95% CI = 1.13-2.82)과 심방세동 (HR = 1.54, 95% CI = 1.07-2.23)의 발생 위험이 높았다. DK 패턴은 합병증과의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세 가지 대사적 패턴을 제시하고 패턴과 합병증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각 패턴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및 중재 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환자의 삶의 질과 예후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국내 소아청소년 알레르기비염의 군집분석 및 비액 사이토카인, 케모카인의 특성 분석

        송정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Backgrounds Allergic rhinitis (AR), the most common allergic disease,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lthough many cluster analysis and biomark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phenotypes and endotypes of AR as a heterogeneous diseas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A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AR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nasal cytokines and chemokines. Materials and Methods Subjects were 173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R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Hospital, and CHA Gangnam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from November 2019 to December 2021, and were enrolled in the Korean Allergic Rhinitis Cohort study (KoARCo), a follow-up stud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 in Korea.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underwent blood tests during outpatient visits. Nasal fluid was collected using a polyvinyl alcohol sponge (Merocel™; Dae Myung, Seoul, Korea). Cytokines and chemokines in the nasal fluid were measured using Multiplex ELISA (Luminex, Austin, TX, USA). After K-means clustering, clusters were selected based on validation of the following variables: sex, age, body mass index (BMI), allergen sensitization, age of onset, total visual analog scale (VAS) symptom score, family history, past medical history, serum total immunoglobulin (IgE) level, and eosinophil percentage. After cluster analysis, the nasal cytokine and chemokine levels, rhinitis control control rs,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Korean Allergic Rhinitis Child-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neutrophil percentage, neutrophil-lymphocyte ratio (NLR), and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guideline classification in each clus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Chisquare and Kruskal-Wallis test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version 24.0 (IBM Co., Armonk, NY, USA), SAS9.4 (SAS Institute, Inc., Cary, NC), and R (version 4.0.0,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esults After excluding subjects with missing data, 122 subjects were subjected to K-means clustering analysis. The following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early-onset, female-dominant, indoor allergen dominant-sensitized, low total IgE, low symptom score (cluster 1); male-dominant (cluster 2); older age, late-onset, high total IgE, high symptom score (cluster 3); and early-onset, indoor and outdoor allergen-sensitized (cluster 4).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lusters were found in sex, age, BMI, allergen sensitization, age of onset, total VAS symptom score, total IgE, and family history. Regarding nasal cytokines and chemokin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were identified in CCL11/eotaxin, CCL4/MIP-1β, and TNF-α levels (p = 0.0084, p = 0.0479, p = 0.0010). Bonferroni post hoc tests, however,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CCL11/eotaxin in clusters 1 and 4 (p = 0.0486)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usters for CCL4/MIP-1β.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 1 and each of clusters 2, 3, and 4 for TNF-α. TNF-α was lower in cluster 3, which had higher total IgE and higher total VAS symptom scores. Cluster 3 had a significantly higher NLR and significantly more subjects with moderate-to-severe symptoms according to the ARIA guideline classification. Conclusions AR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cluste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sal CCL4/MIP-1β and TNF-α between clusters. In addition to the Th2 allergic response, a well-established pathogenesis in pediatric AR,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tential role of heterogenous inflammatory mechanisms in pediatric A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cluster and endotype analyses of A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연구배경: 알레르기비염은 알레르기질환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으로 소아청소년의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알레르기비염은 이질적인(heterogenous) 질환으로 표현형, 내재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군집분석연구와 생체표지자를 분석한 연구들이 있으나 국내 소아청소년에서는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자는 단면연구를 통해 국내 소아청소년 알레르기비염의 군집분석과 각 군집별 비액 사이토카인, 케모카인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1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병원, 인하대학교병원, CHA의과대학교 강남CHA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국내 알레르기비염의 유형 및 특성 분석을 위한 추적관찰 연구 (Korean Allergic Rhinitis Cohort study; KoARCo)에 모집된 알레르기비염 소아청소년 1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외래진료 방문 때 설문조사와 혈액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비액을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재질인 메로셀 (Merocel™ Dae Myung, Seoul, Korea) 스펀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여 비액 내 사이토카인, 케모카인을 Multiplex ELISA (Luminex, Austin, TX, USA) 측정하였다. 군집분석으로 K-means clustering은 성별, 연령, BMI, 알레르겐 감작, 발병연령, 총VAS (Visual analogue scale: 시각아날로그척도) 증상점수, 가족력, 과거력, 혈청 총 Immunoglobulin (Ig) E (total IgE), 호산구 분율 (eosinophil %)을 변수로 수행하여 검증 (validation)을 통해 군집 수를 선정하였다. 군집분석 후 비액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수치, 총비염증상조절점수, 소아 주간 졸림 척도, 한국 알레르기비염 소아-특이적 삶의 질 설문, 호중구 분율 (neutrophil %), 호중구-림프구 비율 (Neutrophil-lymphocyte ratio, NLR),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가이드라인분류와의 비교 등 각 군집의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ver. 24.0 (IBM Co., Armonk, NY, USA), SAS9.4 (SAS Institute, Inc., Cary, NC), R (version 4.0.0,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통계기법은 Chi-square test, Kruskal Wallis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173명 중 결측치가 있는 대상자를 제외하고 122명을 K-means clustering 분석한 결과, Early-onset, female-dominant, indoor allergen dominant sensitized, low total IgE, low symptom score 군집 (cluster 1), Male-dominant 군집 (cluster 2), Older age, late-onset, high total IgE, high symptom score 군집 (cluster 3), Early-onset, indoor and outdoor allergen sensitized군집 (cluster 4)의 4개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성별, 연령, BMI, 알레르겐 감작, 발병연령, 총 VAS증상점수, 총 IgE, 가족력이 각 군집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액 사이토카인, 케모카인을 각 군집 간의 차이를 분석했을 때에는 CCL11/eotaxin, CCL4/MIP-1β, TNF-α가 군집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p=0.0084, p=0.0479, p=0.0010). 그러나 Bonferroni 사후검정에서는 CCL11/eotaxin의 경우 cluster 1과 cluster 4 사이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0486), CCL4/MIP-1β는 군집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NF-α는 cluster 1과 cluster 2, 3, 4 각각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총 IgE가 높고 총VAS증상점수가 높은 cluster 3에서 TNF-α가 낮았다. cluster 3에서 NLR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증도도 ARIA가이드라인 분류에서의 중등증-중증이 유의하게 많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국내 소아청소년의 알레르기비염을 4개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 군집에서 비액 내 CCL4/MIP-1β와 TNF-α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아청소년 알레르기비염에서도 발병기전으로 이미 잘 알려진 Th2 알레르기 반응뿐만 아니라 이종성 염증기전 (heterogenous inflammatory mechanism)의 역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소아청소년 알레르기비염의 군집 및 내재형 분석에서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원자력발전소 백색 비상 시 비상 조직 소집 시간 분포 연구

        김건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우리나라는 원전부지별 독립된 비상대응거점 구축을 추진해, 거점 내 설치될 비상대응시설의 운영기준을 확립하고자 했다. 기존 연구에서 경희대학교는 행위자 기반 모델을 이용해 방사선 비상 통합 시뮬레이션(Platform for Radiological Integrated SiMulation, PRISM)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방사선 비상 시 주민들의 소개 시간 분포를 알 수 있고, 최단 경로를 이용해 대피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백색 비상 시 소집시간은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값으로 사고관리계획서에 설정 되어있다. 본 연구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소집시간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도구를 수정하여 이용했다. 주민들의 소개 시간이 아닌, 방사선 비상 시 원전 근처로 소집하는 시간, 즉 반대인 상황을 가정하고 진행했다. 먼저, 시뮬레이션 도구를 수정 및 개발을 진행했다. 사용하는 지리정보데이터 및 경로가 모두 다르므로 전체적인 수정을 통해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비상조직의 소집 상황을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평균 소집 완료 시간 분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로 파괴 및 차량 속도 제한 상황을 반영한 소집 시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ollowing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South Korea has been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emergency response centers for each nuclear power plant site. The objective is to establish operational standards for emergency response facilities within these centers. In previous research, Kyung Hee University developed a Platform for Radiological Integrated SiMulation (PRISM), utilizing an agent-based modeling approach. Through PRISM,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evacuation times for residents during radiation emergencies and observe real-time evacuation processes using the path-finding. Currently, the emergency call time during facility emergencies in South Korea is set based on values confirmed through stress tests and documented in the accident management plan.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current emergency call time criteria by examining whether they meet the standards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To achieve this, the simulation tool developed in previous research was modified and utilized. Instead of residents' evacuation times, the focus was on the time taken for the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 to emergency call near the nuclear power plant during a radiation emergency, simulating the opposite scenario. Firstly, modifications and developments were made to the simulation tool due to the differences in geographical data and routes used. Subsequently, the simulation was repeat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average emergency call completion times for the emergency organization. Finally, the study determines the emergency call time considering road destruction and vehicle speed limitations.

      • 대학교 주변 소형주택 수요 및 공급 방안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홍종훈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439

        2012년 기준 서울특별시에만 48만 명의 대학생이 재학 중이며, 이 중 13만 명이 수도권 외에 거주지를 둔 지방학생으로 파악되고, 대학 기숙사는 이 중 30%정도인 3~4만 명 정도를 수용하고 있다. 즉, 10만 여명의 대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다른 거주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저렴한 원룸 또는 하숙이나, 고시원 등이 학교 주변에 산재해 있어서 학생들의 주거에 큰 부담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서민들의 주택 부족으로 인해서 정부가 주택 건축 규제를 완화함과 동시에 준주택의 개념 도입과 주택법 개정을 통해 도시형생활주택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주택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학가에 있는 기존의 주거 시설들은 도시형생활주택으로 재건축 되었다. 새로운 주택의 건설은 주거비용의 상승을 불러 왔으며, 이에 대학생들은 과거와는 달리 매우 비싼 거주 비용을 필요로 하는 주거시설에 입주해야 하거나 아니면, 통학이 매우 불편한 외곽으로 나가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정부는 대학생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주택보급 정책을 발표하였다. 공공 기숙사와 행복하우스, 대학 협력형 기숙사 등은 정부와 지자체, 대학교 등이 협력하여 대학생들에게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고자 만든 주택공급정책이다. 이러한 소형주택의 공급은 대학교 주변에서 대학생들에게 주택을 공급 중인 기존의 임대사업자들의 불만을 야기 시켰다. 또한 정책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대학교 앞의 대학생들의 주택공급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교주변 대학생들의 주택거주 현황과 상태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둘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한 대학생과 임대사업자간의 인지도 차이가 있는지, 셋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한 임대사업자의 대처 방법, 넷째, 추후 정부의 대학생 지원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소는 서울 경희대학교 주변에서 거주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학생과 임대사업을 하고 있는 임대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현재 자신의 거주 공간에 대해서 건물의 노후도를 가장 민감하게 보았고, 그 결과 보통 정도라고 판단하였다. 둘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잘 모르고 있었지만 도움이 된다라고 판단하였다. 셋째, 기숙사는 학생들의 선호 대상은 되지만 거주 비용에 있어서 학교 밖의 소형주택에 비해 가격 경쟁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대사업자는 정부의 주택공급정책보다는 해당 학교 주변 즉 학교 안의 공급인 기숙사정책에 매우 민감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대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로 분석해 본 바, 첫째, 실질적으로 학교 주변의 임대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소형주택의 공실률은 높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 주변 임대사업을 하는 임대사업자는 학생들의 주거 만족도가 건물 노후도와 가장 큰 관계가 있는 만큼, 임대료 인하보다는 우선적으로 리모델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둘째,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택공급정책에 대해서는 임대사업자와 학생 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그 공급 방법과 홍보 방법에 있어 문제가 있으므로 향후 공급 시 보완해야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급의 규모 자체가 소규모인 만큼, 많은 학생들에게 효과가 돌아가기 위해서는 바우처 등의 지급이 효율적 일 것이다. 셋째, 정부의 규제 완화로 인한 대학교 안 기숙사 건축에 있어서는 대학교 주변의 임대사업자들과의 공청회를 통해서 공생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정부는 무리하게 주택공급을 하지 말고, 삶의 질을 고려한 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해야할 것이다. 한 동안 민간에 맡겨져 있던 대학생들의 주거에 대한 문제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된 소형주택의 멸실이 최근 십여년 간 급속도로 진행된 결과다. 정부⦁지자체 및 대학교는 주택 공급에 있어서 그 간의 주변 임대사업자들이 수행해 온 대학생들에 대한 주택공급에 대해서 인정하고, 앞으로의 주택공급에 있어서 이들과 함께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임대사업자들은 지금까지 보여준 양적인 공급을 지양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주택을 대학생들에게 공급해야 할 것이다. As of 2012, there are 480,00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130,000 of which are residents outside of the Greater Seoul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dormitories in Seoul are accommodating 30,000~40,000 students, which represent only 30% of the students living outside Seoul. This means approximately 100,000 students live in facilities other than university dormitories. In the past, there were a number of alternative residents such as home stay and commercial dormitory nearby universities, in which the students did not go through much trouble settling. Recently, however, Korean government softened the regulation of house construction to overcome housing shortage problem and amended the Housing Law,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housing, called the Urban-lifestyle House. Pursuant to the amended law, all existing resident facilitie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were re-constructed as the Urban-lifestyle House. The reconstruction caused a rise of housing cost, and the students are left with only two options, either to pay more for very expensive housing or to move out to the city perimeter where commuting to the school is highly inconvenient. In response, the government announced a number of housing supply policies to stabilize university students’ housing needs. To provide low cost housing, the policies include employment of public dormitory, “Happy House”, and the university COOP dormitory as a result of close coordin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However, the new policy of supplying small houses provoked a strong objection from landlords, the previous main suppliers of student resident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Also, despite the policy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available student residents nearby universities is still insufficie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ollowing: first, the status and condition of student resident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second, the discrepant understanding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landlords in regards to the current house supply policy, implemented by the region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ird,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landlords in response to the current house supply policy; fourth, possible ways for the government to support the students in need of housing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neighborhood of Kyung Hee University in Seoul focusing on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landlords. The following paragraph li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research reveals students are most sensitive to the building condition of their current residents and generally consider the condition to be normal. Second, most students are yet familiar with the new house supply polic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but deemed the policy helpful. Third, although most students prefer university dormitories, the study shows there is no cost advantage for dormitories over small housing in the neighborhood. Fourth, the landlords are more sensitive to dormitory policy within or nearby universities than to the government’s house supply policy. My analysis first reveals the vacancy rate of small housing, owned by the landlord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is not high. Because a student’s satisfaction with housing is mostly determined by the building condition, it appears the primary concern for the landlord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is renovation rather than discount of rent fees. Second, although both the landlords and students have a positive view on the house supply policy implemented by the region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policy still needs improvement on the marking and the actual house supplying process. To optimize the effect of the policy for students, supplying a house through voucher system is deemed efficient provided that the scope of supply is limited. Third, in regards to constructing a dormitory within a university campus as a result of softening of the government’s regulation, the research suggests engaging the landlords in the university neighborhood to a public discussion to search for a mutual understanding.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avoid blindfold oversupplying of residents, but instead develop a systematic way to support a good quality of life. It has not been long that the housing problem for university students caught public attention as the issue had been left to private sector until recently. This is attributed to the rapid disappearance of old small residents in the past 10 years. The region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all acknowledge the landlord’s efforts to supply housing to university students to date. They should engage the landlords into a discussion for developing future house supply plans. In return, the landlords should start supplying better quality housing to students as opposed to merely focusing on increasing the quantity of residents as they did in the past.

      • 캠퍼스 경계부 계획을 통한 지역사회 교류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를 중심으로

        이대준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439

        Nowadays, universities have come out to our general education facility, overcoming past`s education for a few elite clas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ra after Korean War, with an expansion of capacity of the facilities, universities faces new aspect that the capacity exceeds the student`s supply. University plays a role of educator of the studies for human society, and has to expand the function of cooperative research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center with its original duty. Kyung-Hee Univ. International Campus, as a second campus, was constructed in the outskirt of the Suwon City. And the situation what the campus stood alone in the initiative construction era has been changing that it faces the city itself In this study, I would focus to diversify university`s original function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campus and local society through Kyung-Hee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border configuration plan. And with this, I would find the way guaranteeing the enough spaces can satisfy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and the efficient method of the campus`s spaces as the facilities that is going to share with local citizens. So I studied as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studi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The meaning and function what the university has, is different from each period, and it has changed the function following itself, so I studied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and urban context, and next I studied its architectural form transition. The universities that started as the ‘guild form’ before Renaissance era were on the basis of cities, but had not enough architectural form and its receivers were so poor, too. After Renaissance era, it had been in the city after the recognition that university had an important connection with the city's benefits, also educational studies was executed with deep connection with daily life. The improvement of natural science connected to the university's gigantism and the university had played a role of campus and it's district. Second, after recognizing recent university`s feature and studying its examples I would put them to the base of this plan. Among nowadays university, they have been diversified the function with connection with companies, local society contribution program, and the door opening of university`s resources of life and properties. Third, after examining the growth process of each university and the efforts for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I studied the possibility with Kyung-Hee Univ. In domestic examples, choosing the universities in Seoul, and in international examples, chose Enric Miralles`s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 OMA`s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 Fourth, In the basis of the examples before, I recommended the plan on the site around the main gate. And before the zoning plan recommended, I thought that the border development must proceed them, so I planned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hat R&D Cluster needs. The more it clear the border when different thingsmeet each other, they isolated from each other. Universities have been changed by social needs. When we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when we share what I have, the border will collapse and by putting together what we had each it will make a synergy. In this study, by Campus border plan the universities open their resources, located in the middle of local society I tried to promote the chemical synergy between the university and its local society. 오늘날의 대학은 과거 소수의 엘리트 계층의 교육기관이었던 것을 벗어나 일반적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했다. 전후로부터 산업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대학입학정원, 시설의 확충 등 양적으로 팽창해온 대학은 20세기 말에 들어 대학정원이 입학하는 학생의 수를 초과하여 대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학은 국가와 인류사회에 필요한 학문 및 그 응용방법을 교육 연구하며, 지도적 인격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산업과의 협력적인 연구활동, 평생교육, 지역사회 중심시설 등의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는 제2캠퍼스로 수원시의 외곽에 건설되었으며, 시가지의 확장과 영통신도시의 개발로 인해 개발초기 도시의 외곽에 독립적으로 위치했던 상황이 현재는 도시와 접하는 상황으로 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경계부 계획을 통해 대학기능의 다변화를 꾀하고 지역사회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학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의 확보와 지역주민들과의 공유하는 시설로서 캠퍼스 공간의 효율적 활용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 대학의 형성과 그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대학이 갖는 의미와 기능은 시대마다 다르며, 그에 따라 기능 또한 변해왔다. 대학이 형성된 역사적 과정과 사회적, 도시적 관계를 살펴본 후, 그 건축적 형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 현대 종합대학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례를 연구하여 계획의 토대로 삼는다. 오늘날의 대학은 단순히 교육 · 연구의 기능에서 벗어나 산업체와의 연계, 지역사회 공헌프로그램, 대학의 인적, 물적자원 및 시설의 개방 등으로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국내외 대학의 성장과정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연계를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국내사례로는 서울시내 소재의 대학을 선정하여 지역개방 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배치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경계지 개발유형으로 지하개발과 담장개방 사례를 조사하였다. 해외사례로는 Enric Miralles의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와 OMA의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를 조사하였다. 넷째, 위에서 고찰된 건축적 내용들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정문 주변부지를 대상지로 삼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마스터플랜에서 제시된 권역별 개발계획에 앞서 정문주변의 경계부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지역주민 공유 프로그램과 학생편의시설, 그리고 R&D Cluster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서로 복합적으로 활용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경계가 분명 할수록 대학은 고립되며 캠퍼스 개발은 대학 내의 활동이 외부로 파급되고, 지역사회의 요구와 관심이 내부로 도입되는 형태로 행해져야 한다. 이와 함께 대학시설의 적극적인 개방과 아울러 주변지역이 갖고 있는 시설과의 네크워크가 필요하다. 필요성이다. 이러한 필요성의 일환으로 국내의 많은 대학이 캠퍼스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개발을 하고 있으며, 대학 내의 지역사회 공유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경계부분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한 대학의 기능이 변함에 따른 요구 공간의 면적과 개별공간의 크기도 달라지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 대학생협의 위기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우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4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협의 생성, 발전과정을 통해 대학생협이 처해 있는 위기요소를 분석하여 적절한 위기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소비자생활협동조합(경희대학교 생협) 사례연구를 통해 위기관리 전략을 탐색하였다. 그동안 대학생협에 대한 위기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특히 위기관리 이론을 적용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연구자료는 학생회와 생협 문서, 학교 신문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정보제공자로부터 얻은 구술자료를 통해 핵심적인 정보를 얻었으며 타 대학을 방문해 얻은 현장 중심 자료를 보조적으로 활용했다. 경희대학교 생협은 학생회 복지 담당부서(인복위)의 실무 과중, 전문적 복지 기구의 필요성 등의 이유로 2003년 설립되었다. 생협은 인복위가 담당했던 사업을 토대로 사업을 확장해 나갔으며 학생식당을 직영으로 운영하면서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그렇지만 현재 경희대학교 생협은 조직에 위험 요소를 안고 있었는데 이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문헌을 검토해 4가지 분석틀(구성원 복지향상, 민주적 운영, 사업의 영역, 외부환경)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가지 영역에서 모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운영, 구성원들의 인식, 사업의 참여도 등 내부적인 위험 요소가 드러났다. 또한 대학과의 소통이 부족하며 무엇보다 대학 내 상업시설의 유치에 따른 경쟁요소도 등장하였다. 대학생협은 적극적인 위기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미트로프의 위기관리 5단계 모델에 적용시켜 이론을 검증하였다. 현재 대학생협은 ‘대비와 예방’ 과정이 필요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협은 학생위원회 활동 적극화, 새로운 사업 영역 확장,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홍보활동 강화 등의 방안을 추진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대학생협은 이러한 적극적인 위기관리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university coopera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isk factors they are facing and establish appropriate risk management strategies. This research explores risk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onsumer Cooperative of Kyunghee University((hereinafter KHU COOP). There has been only a little research on the crisis university cooperatives are confronting, and risk management theory has hardly been applied to such studies. KHU COOP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case study because it has taken charge of substantial portion of student welfare businesses, and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has established in the university. There is also abundant data related to the subject. Necessary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via white papers written by the KHU student association, documents released by KHU COOP, and university newspaper. Core information was acquired through verbal data from 10 information providers. In addition, supplementary information collected by visiting five universities including KHU was utilized. KHU COOP was established in 2003 against the backdrop that a student welfare body in the student association (Student Welfare Committee, SWC) was facing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lots of work, a specialized operational entity was needed to cope with changing student welfare environment, and the possibility of university cooperatives as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was widen. KHU COOP has expanded its businesses based on projects formally led by SWC such as managing university stores and vending machines, providing buses for the Chuseock holiday, and granting scholarships to student. It also took over a medical cooperative previously managed by the university and has directly managed school cafeterias once run by large enterprises, drawing positive responses from students. The increase of cooperative’s members and sales have backed its stable growth. Also, the fact that the university has not been active in attracting commercial facilities contributed to a student welfare model centering on KHU COOP to take root . Meanwhile, commercialization in universities has taken place in earnest among private universities seeking way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because government subsidies and donations were insufficient. As government policies also guarantees profit-making businesses in universities, universities have actively used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including student welfare stores for profit. The interview with information source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commercialization in universities. Some claimed that commercial facilities are inevitable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nd can provide quality services. Others pointed out that commercialization in universities will ultimately burden students and the quality of welfare will deteriorate. University cooperatives have directly affected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trend, facing shrank businesses and decreased profit to name a few. The cooperative of Sejong University was even disbanded in February, 2015 due to the trend. KHU COOP also worries real threats posed by newly established commercial facilities . University cooperatives are required to improve awareness of members of universities, develop new business areas, seek a democratic operation by cooperative members, and encourage student membe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