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OW TO EVOLVE ECONOMICS AT FIRST STEP: DISMANTLING IDEOLOGIES

        Yongshik Choe,Seong-yop You 한국경영학회 2023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8

        Economics is losing people’s trust because it is rarely useful in the economic lives of people. Even its price theory, mainstay of economics, is scarcely utilized to invest into the stock market which nearly meets its stringent prerequisites such as perfect competition, full information, and strict balanc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why economics has hardly evolved to be useful would be due to the fierce opposition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which causes a keen confrontation between neoclassical economics and Marxian economics. As a result, both the economics inordinately take scientific rigor only for the logical competition between them to defeat each other, not for the practical usefulness of people’s living and not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s of company and national economy. So, it is essential to scientifically dismantle both the ideologies in order to evolve contemporary economics further. To do this, both neoclassical economics and Marxian economics which are the scientific base of each ideology, respectively, should be disorganized, and both the theorem of equilibrium price and that of labor value which are the foundation of each economics, respectively, should be dissolved. So, this paper dissolves both the value theorems to create a new theorem of relative value, disorganizes both the economics to establish a new paradigm, and thereby dismantles both the ideologies. This paper would be the first trial to scientifically dismantle both the ideologies and to create a new theorem of relative value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evolution of economic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에 대한 전망 분석

        주용식(YongShik Choo)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5 국제정치연구 Vol.18 No.2

        Recently, China has pursued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It is a China’s grand national strategy that aims at establishing an Economic Community or further a Community of Destiny in Eurasia by constructing the northern overland route of ‘Silk Road Economic Belt’ and the southern route of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The purpose of the strategy is internally to open the era for China’s second economic growth by creating economic driving forces and securing energy resources outside. Externally, it is a strategy of expansion to lead a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the Asia-Pacific area. To be fruitful, the ‘One Belt, One Road’ must be accepted by states on its line of connectivity. This paper analyzes the receptivity of the ‘One Belt, One Road’ by the ASEAN states by exploring its economic interdependence with China and its geo-economic structure that might constrain it. The ASEAN countries’ trade is highly dependent on China. The ‘One Belt, One Road’ would complement the ASEAN Connectivity project. In that aspect, the receptivity for the strategy in Southeast Asia is potentially high. However, in light of the concept of the ASEAN Centrality, its receptivity could be circumscribed by the mechanism of a complex balancing stemming from the great power game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overcome it, China must approach the ASEAN countries not for pursuing its hegemony in Southeast Asia but for the co-survival and co-progress with them.. That is a way to make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effective and fruitful

      • KCI등재

        제주도 연물의 남방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찰

        이용식(Lee Yongshik) 한국무속학회 2012 한국무속학 Vol.0 No.24

        우리나라 무교(巫敎)는 일반적으로 북방아시아 샤머니즘의 한 지류로 여겨진다. 그러나 무교가 북방아시라로부터 일방적으로 전파된 것이 아니라 남방아시아의 영향을 일정 정도 받았을 것이라는 주장이 이미 제기되었다. 또한 역사학계에서는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는 고고학적 유물을 통해 우리 문화에 잔존하는 남방아시아와의 문화적 교류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고 있다. 음악학에서도 아시아 음악문화와의 비교음악학적 관점에서 남방아시아에서 유입된 음악문화의 교류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도 문화는 ‘뭍’의 문화와는 매우 다르다. 제주도는 오랜 기간 동안 독자적인 국가를 유지했고, 남방아시아 제도(諸島)와 문화교류를 했었다. 그러나 제주도 문화에 대한 남방아시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심도있는 논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글은 제주도 굿에서 사용되는 연물을 중심으로 제주도 문화와 남방아시아 문화와의 관련성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주도 굿판의 연물은 악기의 구조나 연주법이 뭍의 악기와 차별성을 갖는다. 장귀는 몸통이 작은데, 이렇게 몸통이 작은 장구형 악기는 본래 인도에서 전해진 악기로서 일본 궁중음악에서도 연주된다. 구덕북은 양면의 가죽을 끈으로 묶은 점에서 농악북과 같은 계통이고, 양면의 가죽을 못을 박아 고정시키는 궁중의 북이나 소리북과는 악기학적으로는 다른 계통의 것이다. 구덕북은 나무통 위에 얹어놓고 양면고(兩面鼓)이지만 양손에 채를 들고 북의 한 쪽 면만을 치는 단면고(單面鼓)의 실제적 기능을 하는 점에서는 농악북과 다르다. 이런 악기구조는 일본이나 동남아시아의 민간에서 쓰는 북과 유사성을 보인다. 설쉐는 나무판 위에 얹어 놓고 연주하는데, 이는 악기의 음향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밥그릇 모양의 금속성 악기를 나무판위에 얹어 놓고 연주하는 악기는 동남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연주하는 악기이다. 대양은 현재는 뭍의 징과 별반 차이가 없지만, 유물로 전승되는 악기의 형태는 남방아시아의 동고와 관련성이 있다. 결국 제주도의 연물은 뭍의 악기들과는 구조와 연주법에서 다른 계통의 악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제주도 연물은 남방아시아의 악기와 구조와 연주법에서 악기학적으로는 같은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주도 연물이 남방문화적 성격을 갖는 것은 제주도가 오랫동안 남방아시아의 섬문화와 교류를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도 연물은 남방아시아적 성격을 갖는 것이다. Korean Shamanism has long been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Asian Shamanism.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Korean Shamanism has also influenced from the Southern Asian Shamanism. Historians have found remains of Southern influence in Korean culture. Musicologists also have discussed about the Southern musical influence and relationships into Korea. It has been known that the culture on Jeju Island is peculiar to the culture of the mainland Korea. The Island has long been an independent state and has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slands in Southern Asia. However, the Southern influence on Jeju Island has not been discusses seriously.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Jeju Shamanism and neighboring Asian culture.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shaman ritual on Jeju Island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mainland Korea. The hourglass drum has a small body with a shallow waist. This kind of drum has originated from India and found in the Southern Asian including Japanese court instruments. The drum on Jeju Island is similar to that used in nong’ak (farmer’s band music); the double sides are tighten with strings. It is different from the drum used in pansori (epic vocal genre) and other court drums of which the double sides are tighten with nails. Although the Jeju drum is a double-headed drum, the player strikes only one side with two sticks. This playing method is found in other Southern Asia. The small gong is placed on a wooden frame and struck from the top. It is similar to the gongs of Southeast Asia, e.g., Indonesian gamelan, Filipino kulintang, and so forth. The large gong is related to the Southern Asian bronze drum culture. In short,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Jeju Island shaman rituals are different from those used in the mainland Korea. They show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of the Southern Asia. Because the Jeju Island has a long relationship with other Southern Asian islands, the Jeju musical instruments must have a close tie with those of the South Asia.

      • KCI등재

        문화신학의 해석학적 과제에 대한 고찰 ―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과 김광식의 “토착화신학”의 비교 연구

        신용식 ( Shin Yongshik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2 No.-

        본 연구는 우리 교회의 현재적 과제를 문화신학과 관련하여 상술하기 위해서 필자는 문화적 현실에 대한 서양적 관점과 동양적 관점을 신학적으로 종합하고자 했다. 하나님에 관한 신학적 진술을 위해서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이야기를 문화적 특수성에 가두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을 각 인간적 현실을 포괄하는 존재로서 진술하는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서양적 사유방식과 동양적 사유방식을 종합적 지평에서 개관할 수 있는 포괄적 관점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지평을 위해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면서도 그것을 완성으로 이끄는 지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바로 이 지점을 우리는 신율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신율을 주제화하기 위해서 필자는 두 가지의 문화신학적 작업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그리고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것은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과 김광식의 토착화신학이다. 하지만 이 과제와 관련하여 필자의 관심은 틸리히의 문화신학과 김광식의 토착화신학의 신학사적 의미를 자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둘을 포괄하는 해석학적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의 정신적 상태에 대한 상호문화적 고찰을 위한 조직신학적 요구들을 간략히 진술하고자 한다. Damit gegenwärtige Aufgabe unserer Kirchen hinsichtlich der Kulturtheologie eingehend erörtert wird, unternehme ich eine grosse theologische Synthese von einer westlichen und einer östlichen Perspektive zu kultureller Wirklichkeit. Für das theologische Reden von Gott geht es in Wahrheit nicht um eine Begrenzung des göttlichen Storys auf den kulturellen Spezifikum, sondern darum, Gott als den jede menschliche Wirklichkeit Umfassenden zu reden. Also handelt es sich um eine übergreifende Perspektive, welche sowohl die westliche als auch die östliche Denkweise in den synthetischen Horizont einführen kann. Für diesen Horizont ist es nötig, den die kulturellen Unterschiede überschreitenden und sie sinnvoll in die Erfüllung führenden Punkt deutlich zu machen. Diesen Punkt kann man als Theonomie verstehen. Um diese Theonomie zu thematisieren, möchte ich zwei kulturtheologische Arbeite analysieren, vergleichen und umfassend in Betracht ziehen: Kulturtheologie Paul Tillichs(1886~1965) und Indigenisierungstheologie Kwang-Shik Kims(1939~). Aber im Anschluss an dieser Aufgabe ist es gar kein mein Interesse, die theologiegeschichtlichen Bedeutungen der Kulturtheologie Tillichs bzw. der Indigenisierungstheologie Kims ausführlich zu analysieren. Sondern ich möchte nur die systematisch-theologische Forderung zu einer interkulturellen Betrachtung unserer geistlichen Lage der Gegenwart durch eine umfassende hermeutische Perspektive entwerfen.

      • KCI등재

        황해도 무악의 역사성

        이용식(Lee Yongshik)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6

        무교 의례의 기원은 삼국지「위지」 「동이전」 등에 기록된 고대부족국가의 제천의식에서 찾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무당과 악사라는 전문음악인에 의해 연행되는 굿은 삼국지에 기록된 고대의 무교 의례와는 다른 형태의 것이다. 오늘날 연행되는 굿은 무악의 반주악기로 주로 쓰이는 장구, 해금, 아쟁 등의 악기가 수입된 고려시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구전으로 전승되는 무악의 역사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단지 굿을 둘러싼 물질문화와 무악의 특징을 옛 음악과 비교하여 오늘날 연행되는 무악의 역사성을 추정할 수 있다. 황해도 굿은 강신무당이 연행하는 전형적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무당의 강신체험이나 강신체험을 유발하는 음악과 춤, 그리고 무당의 각종 복색, 무신도 등의 물질문화는 고려시대 이규보(1168~1241)가 쓴 있는 「노무편(老巫編)」에 그려진 개경무당의 연행과 매우 유사한 점을 보인다. 이는 고려시대의 굿이 개경을 중심으로 해주ㆍ옹진ㆍ연백 등지의 황해도 무당의 굿으로 전승되었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런 외형적인 황해도 굿판의 모습을 고려시대까지 소급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 황해도 무악은 매우 오래된 것이다. 황해도 〈만세바지〉를 부르는 혼소박 4박자 혹은 5박자 장단은 조선 초기부터 종교음악에 쓰였던 오래된 것이다. 또한 〈만세바지〉 〈긴만세바지〉 〈자진만세바지〉의 템포에 따른 세틀형식은 고려가요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황해도 무가의 음악 만들기 방식인 ‘동곡이명’이나 ‘모곡-자곡’의 음악 만들기 방식은 고려에서 조선 세종시대에 이루어진 우리의 전형적인 음악적 전통이다. 결국 황해도 무악의 내면적인 모습도 고려시대의 유풍을 간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황해도 무악에서 나타나는 고악(古樂)적 특징은 단순히 황해도 무악만의 특성이 아니라 우리나라 무악의 일반적 보편성일 수도 있다. 혼소박 4박자, 세틀형식, ‘동곡이명’이나 ‘모곡-자곡’의 음악 만들기 방식은 다른 지방의 무악에서도 흔히 보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악외적인 여러 특징, 특히 물질문화적 측면에서 황해도 굿은 다른 지방의 굿에 비해 오래된 특성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한국 무악의 보편적인 특징은 황해도 무악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다. The origin of Korean shaman ritual can be traced back to the ancient state rituals recorded in Sanguochi. The present ritual, however, is different from those rituals in its performance context.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a shaman ritual, janggu (hourgalss-shaped drum), haegeum (two-stringed fiddle), ajaeng (bowed zither), for instance, were imported during the Koryo dynasty (918-1293). It means that the shaman ritual had formed during the Koryo dynasty. Hwanghae provincial shaman ritual is regarded as the bona fide spirit-descended shaman's ritual. The spirit experience of the shaman during a ritual, the accompanying musica and dance, and the material culture, including the dresses and shaman paintings, of Hwanghae shaman can be tranced back to the Koryo dynasty. The poet Yi Gyu-bo (1168~1241) wrote a poem to describe the shaman custom and ritual of the day in Gaeseong, the capital city of the dynasty. The features shown in the poem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present Hwanghae ritual. Hwanghae shaman ritual music also presents the old traits. The quintuple meter, the tripartite structure of shaman song, and the music-making is reminiscent of the Koryo dynasty. In this sense, Hwanghae shaman ritual music is the oldest one among the regional music traditions in Korea.

      • KCI등재

        아시아 샤머니즘과 한국 무교의 악기학적 비교

        이용식(Lee Yongshik)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한국 무교(巫敎)는 동북아시아 샤머니즘(Shamanism)의 한 갈래로써, 이는 무당의 빙의(trance) 경험이나 굿ㆍ무당ㆍ박수 등의 어원학적 관련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전승되는 우리나라의 무당굿은 북방아시아 샤머니즘 의례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우리나라 무당굿의 악기나 음악이 고려시대 이후에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정립되면서 동북아시아 샤머니즘 음악과는 다른 독자적인 음악문화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무악(巫樂)의 아시아적 보편성과 특수성올 찾고자 한다. 샤머니즘 음악은 지역에 따라 토착화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음악학적으로 서로 비교하기가 쉽지 않지만, 악기학(organology)적으로는 동아시아 샤머니즘 음악의 보편성과 우리나라 무악의 특수성올 고찰할 수 있다. 동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는 고대로부터 전송되는 샤머니즘 문화기 지속되고 있다. 현재 이 지역은 사회주의 정치체제와 라마교 또는 이슬람교라는 세계종교가 중심종교로 자리매김했지만, 여전히 민간에서는 샤머니즘에 기초한 민간신앙이 전승되고 있다. 샤머니즘이 토착화하면서 각 지역마다 독특한 음악문화를 형성했지만, 여전히 샤머니즘 의례의 기저에 깔린 악기의 보편성은 존재한다. 특히 틀북(frame drum)은 동북아시아 샤머니즘에는 여전히 보편적인 악기로 전승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틀북인 소고가 전승되지만, 이는 단면고인 동북아시아 샤머니즘 틀북과는 달리 양면고이고 손잡이가 달린 점에서 악기학적으로는 동일계통의 악기가 아닌 것이다. 소고는 오히려 티벳 등지의 라마교 북과 관련성이 있다. 우리나라 굿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로 쓰이는 강구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서 동북아시아 샤머니즘 북괴는 악기학적으로 관련이 없다. 동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샤머니즘적 민간신앙의례에서 중요하게 연주하는 악기는 루트류 악기이다. 발현악기와 찰현악기가 모두 존재하는데 활을 사용하는 찰현악기보다는 발현악기가 샤머니즘과 관련된 악기로서 오래된 고형의 악기이다. 우리나라에는 비파ㆍ월금 등의 루트류 발현악기가 삼국시대에 유입되었지만, 이는 무교 의례에는 스며들지 못하고 주로 불교의 악기로 전승되다가 궁중과 양반의 악기로 확산되었다. 찰현악기인 해금은 몽골의 모린 후르나 중앙아시아의 코부즈와 같은 계통의 악기이다. 해금은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굿판의 악기로 중요하게 연주되고 있다. 이외에 우리나라 굿판의 악기인 피리와 젓대와 같은 관악기는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는 샤머니즘 악기로 중요하게 쓰이지는 않는다. 이런 선율악기가 굿판에 유입되어 굿이 종교의례이면서도 공연예술로 승화된 것은 다른 아시아 샤머니즘 문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 무교의 독특한 특정이라 할 수 있다. Korean shamanism is a branch of Northeast Asian shamanism based on the shaman's experience of trance during a ritual and the linguistic commonalities of ritual and male and female shamans. However, the ritual practice of the present Korean shamanis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theast Asian shamanism Korean shamanism has developed its distinctive traits, especially in music, since Goryeo dynasty (918~1392), In this paper, I explore the commonalities of Northeast Asian shamanism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hamanism based on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each area. One of the roost common musical instruments used in Northeast Asian shaman ritual is the frame drum. The Korean frame drum, called sogo, however, is different from Northeast Asian frame drum because it is a double-headed drum and has a handle in its body, The Korean frame drum has similarities with the Tibetan drum The Korean hourglass-shaped drum, called janggu has widely been used in shaman ritual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has distinctive Korean traits. The lute is widely used in Northeast Asian and Central Asian shaman rituals. The plucked lute is more archaic than the bowed lute, In Korea, the plucked lutes, called bipa and Wolgeum, have been us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are more used in Buddhist ritual than in shaman ritual. The bowed lute, called haegeum, has a common trait with Mongolian morin khur and Central Asian kobuz. The haegeum came into Korea during the Garyeo dynasty and has been used one of the roost important instruments in the Korean shaman ritual. Other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Korean shaman ritual are the transverse bamboo flute, called daegeum, and the cylindrical double-reed oboe, called pin. The use of melodic instruments in shaman ritual is a distinctive feature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